[go: up one dir, main page]

WO2016052988A1 - 투명 플라스틱 시트 - Google Patents

투명 플라스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52988A1
WO2016052988A1 PCT/KR2015/010302 KR2015010302W WO2016052988A1 WO 2016052988 A1 WO2016052988 A1 WO 2016052988A1 KR 2015010302 W KR2015010302 W KR 2015010302W WO 2016052988 A1 WO2016052988 A1 WO 20160529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stic sheet
transparent plastic
pet
sheet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03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두준길
심상화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3739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38846A/ko
Publication of WO20160529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529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plastic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stic sheet of a single layer structure useful as a cover sheet for front protection of a display.
  • a glass material has been used as a display material of an electrode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luminescent fluorescent display tube, or a light emitting diode.
  • glass is fragile and has a large specific gravity, so it is limited to pursue thinness and lightness, and it is not suitable for implement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ly, transparent plastic materials that can replace glass materials are attracting attention. Plastic materials are light and difficult to break,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so it is expected to be very competitive when replacing existing glass materials.
  • PC polycarbonate
  • the plastic sheet showing the most stable physical properties is known as a sheet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of PC and PMMA.
  • the laminated structure sheet of PC and PMMA has achieved some degree of transparency, surface hardness,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but it is vulnerable to impact strength such as frequent cracking at the edge of PMMA layer forming the surface layer. It is still a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arent plastic sheet of PET material that satisfies both impact resistance and transmittance.
  •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IV) of 1.0 to 1.4 dl / g, a transmittance of 85 to 92% and a thickness of 0.6 to 1.2 mm according to ASTM D1003. Provide a sheet.
  • IV intrinsic viscosity
  • Plastic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n impact strength of 150 to 250J / cm 2 in accordance with ASTM D256.
  • Plastic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 surface hardness of 1H to 2H based on JIS K5600-5-4.
  • the plastic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 haze of 1.0 to 3.5% and a QUV test based on 500 hours of yellowing (YI) of 1.5 to 2.5 based on ASTM D1003.
  •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y be obtained by polycondensing an esterification reaction of terephthalic acid with ethylene glycol to prepare a prepolymer, and solid phase polymerizing the prepolymer at a temperature of 250 to 300 ° C. for 1 to 40 hours.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xtruded at a forming roll temperature of 50 to 90 °C.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82 to 85 °C.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the edge (side) cracking phenomenon and the impact strength of the conventional window cover sheet having a weak impact resista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urface hardness even with a single layer structure.
  •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to secure th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metal ball drop test (load 132 g) of a window cover (left) of a conventional PC / PMMA structure and a solid PET window cover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IV) of 1.0 to 1.4 dl / g, a transmittance of 85 to 92% based on ASTM D1003 and a thickness of 0.6 to 1.2 mm. Sheets can be provided.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referred to as a window sheet, it can be easily used as a display front protection sheet.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Its strength,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re excellent.
  • Beyond synthetic fibers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lms such as thermoplastic molded articles, video tapes, diffusion films, and vapor deposition films.
  • PET is used as an optical material, the crystallization rate is fast, so that b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only a thin film of several tens of micro-thickness. There was also a side that satisfies the mechanical properties required as a film by orientation and crystallization through stretching.
  • the plastic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may exhibit a transmittance of 85 to 92% based on ASTM D1003 at a thickness of 0.6 to 1.2 mm despite being an unstretched extruded sheet.
  • PET the main component of the plastic sheet
  • IV intrinsic viscosity
  • the intrinsic viscosity (IV) is 2g of a solid sample in ortho-chlorophenol 25ml and dissolved at 100 °C, 15ml of the melted sample in an Ostwald B-type viscometer and waiting in a 25 °C thermostat bath after falling water Measure and define the intrinsic viscosity as the calculated value.
  •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IV) of 1.0 to 1.4 dl / g is a solid phase PET, and (a) polycondensation of an esterification reaction of terephthalic acid with ethylene glycol to prepare a prepolymer. And (b) solid-phase polymerizing the prepolymer at a temperature of 250 to 300 ° C. for 1 to 40 hours.
  • the step (a) may be performed as follows.
  • the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are esterified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 to 300 ° C., preferably about 150 to 260 ° C. for about 1 to 6 hours, preferably about 2 to 5 hours.
  • the reaction product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is then polycondensed for 6 hours to 20 hours, or 8 hours or 18 hours at a temperature of about 200 to 300 ° C, preferably about 260 to 290 ° C and reduced pressure of about 0.1 to 1 torr.
  • the polyester prepolymer having a higher intrinsic viscosity of 0.65 to 0.8 dl / g may be synthesized by reacting the dicarboxylic acid and glycol for 6 hours or more or 8 hours or more as described above. .
  • an antimony-based catalyst and a phosphorus-based compound may be further added, and may be added at any stage of the polymerization.
  • the antimony-based catalyst is an esterification reaction.
  • the phosphorus compound may be added to the polycondensation step.
  • the antimony-based catalyst has high catalytic activity, thereby speeding up the polycondensation rate of dicarboxylic acid and glycol, and may impro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ntrinsic viscosity of the prepolymer to be produced.
  • the antimony catalyst that can be used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timony carbonate, antimony glycolate, antimony triacetate, antimony trioxide (Sb 2 O 3 ), or mixtures thereof, and the amount of the dicarboxylic acid and glycol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150 ppmw or less, preferably 50 to 150 ppmw, more preferably 50 to 120 ppmw, based on the total amount.
  • the phosphorus compound may play a role of preventing degradation and discoloration in the production of PET resin.
  • the phosphorus compound may be polyphosphoric acid, organophosphorus compound, 4-phosphonium compound, and the like, and specifically, phosphoric acid (Phosphoric acid), trimethyl phosphate, triethyl phosphate, and triphenyl phosphate
  • phosphoric acid Phosphoric acid
  • trimethyl phosphate triethyl phosphate
  • triphenyl phosphate Known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phosphate, phenylphosphine, 2-carboxyethyl phenyl phosphinic acid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step (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more detail as follows.
  • the polyester prepolymer prepared is dried and precrystallized under an inert gas or vacuum at 100 ° C. to 250 ° C., preferably about 150 to 220 ° C. for about 1 to 10 hours, and then about 150 to 300 ° C., preferably about
  • the solid phase polymerization may be performed for about 1 hour to 40 hours in a high temperature inert gas atmosphere including 170 to 250 ° C. temperature and nitrogen gas.
  • the solid phase polymerization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to the solid phase polymerization method known to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polyester resins, such as batch polymerization method and continuous solid phase polymerization method.
  •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IV) of 1.0 to 1.4 may be prepared, but the solid phase polymerization method and condition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xtruded at a forming roll temperature of 50 to 90 °C.
  • the intrinsic viscosity of PET is increased by solid phase polymerization, so that light transmittance can be secured even in a relatively thick sheet.
  • the temperature of the forming roll during extrusion becomes 100 ° C or higher, as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PC or PMMA sheet,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the rate of crystallization of PET.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quench the solid PET sheet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orming roll in the above range so as to delay the crystallization rate of the solid PET as much as possible.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T material
  • the impact strength is 150 to 250J / cm 2 based on ASTM D256
  • the surface hardness is 1H to 2H based on JISK5600-5-4
  • ASTM D1003 the haze is 0.1 to 0.5% and the yellowing degree (YI) is 1.5 to 2.5 based on the QUV Test 500 hours.
  • the scratch occurs even when observed with the naked eye even after 1000 repeated friction resistance tests based on Steel Wool # 0000. Missing characteristics can be met.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viscosity PET material, a transparent plastic sheet satisfy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82 to 85 °C.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defined as a value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itable for applying optical properties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aze, yellowing, friction resistance, surface hardness and impact strength to the window sheet.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rface hardness of 1H or more, it can be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cover sheet for front protection after coating, and above all, impact Since the impact strength is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PC / PMMA structure multilayer sheet having a strength of only 50 to 80 J / cm 2 ,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ompensate for the edge cracking of the window sheet.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laminate a hard coat layer cured by thermosetting or active energy rays to further improve the friction resistance on the surface layer.
  • a hard coat layer cured by thermosetting or active energy rays to further improve the friction resistance on the surface layer.
  • the resin used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any one selected from among those marketed as a hard coat agent in consideration of appropriateness with a coating line can be selected.
  • an ultraviolet absorber an ultraviolet absorber
  • Various stabilizers, such as a light stabilizer and antioxidant, a surfactant, such as a leveling agent, an antifoamer, a thickener, an antistatic agent, and an antifog additive, etc. can be added suitably.
  • the surface of the obtain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epolymer was subjected to precrystallization at about 170 ° C. for about 2 hours, and then subjected to solid phase polymerization under nitrogen flow for 4 hours at 225 ° C. and 30 hours at 190 ° C.
  •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85 ° C. was finally prepared.
  •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repolymer was 0.65 dl / g
  •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hereinafter, abbreviated as “solid PET resin”) prepared by solid phase polymerization showed an intrinsic viscosity of 1.2 dl / g.
  • each of the solid-state PET resin was prepared so that the intrinsic viscosity became 0.9dl / g, 1.0dl / g, 1.4dl / g, respectively. And there was a yellowing problem, there was a limit to control the intrinsic viscosity of PET to more than 1.5.
  • the solid PET B was melt kneaded at a temperature of 270 ° C. with a twin screw extruder, and then extruded at a screw diameter of 150 mm to prepare a 1.0 mm transparent plastic sheet.
  • the temperature of the forming roll was controlled to 60 ° C., followed by rapid cooling.
  • Transparent plastic sheets according to Examples 2 and 3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olid PET C and solid PET D were used as raw materials.
  • Transparent plastic sheets according to Examples 4 and 5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es of the rolls 1 and 2 were adjusted to 0.6 mm and 1.2 mm, respectively.
  • a plastic sheet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olid PET A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used.
  • a PET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 m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PET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80 ° C. and an intrinsic viscosity of 0.6 dl / g was used in the extruder.
  • PMMA manufactured by LG MMA, Grade HP-202
  •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10 ° C.
  • a polycarbonate LG Chemical, trade name CARIBRE, Grade 1300-10
  •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45 ° C. It injected
  • the die temperature during extrusion was set at 275 ° C. and led the resin laminated and integrated in the die to go through three polishing rolls in a horizontal batch with mirror finish.
  •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roll is set to 80 °C
  • the second roll is set to 85 °C
  • the temperature of the third roll is set to 90 °C
  • the plastic sheet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rolls 1 and 2 was adjusted to 0.5 mm and 1.3 mm, respectively.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ere performed as follows,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solid state PET, the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optical sheet material and composition, and the optical sheet thicknes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ables 1 to 3, respectively.
  • Haze and transmittance measurement Haze and transmittance wer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3 standard.
  • Notched impact strength measurement Notched each sample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t 23 °C.
  • Yellowness (YI value) measurement A 10cm ⁇ 10cm size sample was exposed to a QUV tester (SSA-Q, SSA-Q) for 500 hours at 0.3mW / cm2 with a UV B light source. Yellowness was measured by the E-313 method.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measured by using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After taking about 10mg of sample, put it into the sample pan, and then to 200 °C at 20 °C / min as the first scanning condition. After removing the heat history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by raising the temperature and quenching aga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measured at the inflection point by the Onset Point method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to 200 °C again at 10 °C / min.
  • DSC Different Scanning Calorimeter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Solid PET A) Example 1 (Solid PET B) Example 2 (Solid PET C) Example 3 (Solid PET D) Solid PET Intrinsic Viscosity (dl / g) 0.9 1.0 1.2 1.4 Haze (%) 1.7 1.5 1.2 1.0 Transmittance (%) 89 91 92 93 YI (after QUV test) 3.5 1.5 1.7 1.9 Surface Hardness (Pencil Hardness) 1H 1 H 1H 2H Notched Impact Strength (J / cm 2 ) 192 210 250 300 Friction Resistance (Scratch) Not Occurred Not Occurred Not Occurred Not Occurr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 81.2 83 84.5 85.7
  • the transparent plastic sheets of Examples 1 to 3 obtained from PET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1.0 or more had a haze of 2.0% or less and a transmittance of 90% or more.
  • PET A was more than 85%, the transmittance was lower than that of the examples.
  • YI value the yellowing property
  • Example 1 made of solid PET having an inherent viscosity of 1.2, the haze and transmittance were remarkably improved when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which is a general PET (intrinsic viscosity 0.6) sheet.
  • Comparative Example 1 is a general PET (intrinsic viscosity 0.6) sheet.
  • the surface hardness of the general PET sheet was very soft, about 2B, but in the solid PET sheet, the surface hardness was improved to 1H, and it was understood that the application to the window sheet for prote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was sufficiently possible.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Sheet thickness 1.0mm 0.6mm 1.2 mm 0.5mm 1.3 mm Haze (%) 1.5 0.7 2.3 0.4 2.8 Transmittance (%) 91 92 86 92 85 YI (after QUV test) 1.5 1.2 2.8 1.0 3.9 Surface hardness before coating (pencil hardness) 1 H 1H 1H 1H 1H Notched Impact Strength (J / cm 2 ) 210 150 250 120 280 Friction Resistance (Scratch) Not Occurred Not Occurred Not Occurred Not Occurred Not Occurred Not Occurred Not Occurred Not Occurred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heet according to the overall thickness was as shown in Table 3,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having a sheet thickness of less than 0.6mm, the impact resistance to the thickness was low, the notched impact strength appeared low, the thickness exceeded 1.2mm In Comparative Example 4, the impact strength was increased, but as the thickness increased, the transmittance decreased, and the YI value was also 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점도(IV)가 1.0 내지 1.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투과율이 ASTM D1003 기준 85 내지 92%이며, 두께가 0.6 내지 1.2mm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하며, 이는 내충격성이 취약한 통상의 윈도우 커버시트의 엣지(측면) 깨짐 현상 및 충격강도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단층구조로도 표면경도 확보가 가능한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플라스틱 시트
본 발명은 투명 플라스틱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의 전면 보호용 커버 시트로 유용한 단층 구조의 플라스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표시패널용 전극 기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발광 형광 표시관 또는 발광 다이오드의 디스플레이 소재로서 유리 소재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유리는 파손되기 쉽고 비중이 커서, 얇고 가벼움을 추구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현에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이에 유리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가 주목을 끌고 있다. 플라스틱 소재는 가볍고 파손이 어려우며,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하여 기존의 유리 소재가 사용되던 분야를 대체할 경우 매우 경쟁력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LCD, PDP, 모바일폰, 또는 프로젝션 TV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가 크게 발전함에 따라 점차 이들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전면 보호용 커버 시트 즉, 윈도우 시트(Window Sheet)를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기서 유리를 대체하는 플라스틱 소재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가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PC는 투명성, 내충격성, 내열성, 가공의 자유도, 경량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기기 등의 미터 커버나 액정 디스플레이 커버는 물론, 창유리, 선루프, 계기 커버 등의 자동차용도, 채광용 지붕재나 창유리와 같은 건재용도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한 윈도우 시트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커버로서 투명 수지판의 표면에 UV 코트막, 이면에 위상차 필름을 구비한 투명 수지판(일본공개특허 제2000-321993호 참조)이나 내충격성이 우수한 경화피막을 피복해서 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적층체의 제조방법(일본공개특허 제2004-130540호 참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투명 플라스틱 필름 표면에 광경화성을 갖는 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포함하는 고경도 소재를 도포하고 광경화시켜 투명성, 고표면경도, 내후성, 내약품성, 내구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일본공개특허 제2008-037101호 참조)도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각종 기기장치에서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및 저가격화가 진행되면서, 액정 디스플레이 커버를 비롯한 수지 성형품의 사용조건은 한층 엄격해지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저가격화와 소량다품종 생산에 대응하기 위해서 생산성이 높은 수지재료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속에서 유리 대체 플라스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PC는 표면경도가 낮고 저반사성 등의 표면 특성에 한계가 있어 보급단계로 확대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상황이 되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의 투명성, 표면 고경도성, 내구성 및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다각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 개발 동향에 따르면, 가장 안정적인 물성을 나타내는 플라스틱 시트는 PC와 PMMA가 적층 구조를 갖는 시트로 알려져 있다. PC와 PMMA의 적층 구조 시트는 투명성, 표면 고경도성, 내구성 및 내열성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다만, 표면층을 형성하고 있는 PMMA층의 엣지부 깨짐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등 충격강도에는 취약하여 이를 해결하는 것이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충격성과 투과율을 모두 충족하는 PET 소재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고유점도(IV)가 1.0 내지 1.4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투과율이 ASTM D1003에 의거하여 85 내지 92%이며, 두께가 0.6 내지 1.2mm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플라스틱 시트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충격강도가 150 내지 250J/cm2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플라스틱 시트는 JIS K5600-5-4에 의거하여 표면경도가 1H 내지 2H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에 의한 플라스틱 시트는 ASTM D1003에 의거하여 헤이즈가 1.0 내지 3.5% 및 QUV test 500시간 기준 황변도(YI)가 1.5 내지 2.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과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중축합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예비 중합체를 2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1 내지 40시간 동안 고상중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현에 의한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50 내지 90℃의 성형롤 온도 조건에서 압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유리전이온도가 82 내지 8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의 경우 내충격성이 취약한 통상의 윈도우 커버 시트의 엣지(측면) 깨짐 현상 및 충격강도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단층구조로도 표면경도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공정 단순화가 가능하여 제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통상의 PC/PMMA구조의 윈도우 커버(좌)와 본 발명의 고상 PET 윈도우 커버(우)의 금속 ball 낙하 실험(하중 132g)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고유점도(IV)가 1.0 내지 1.4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투과율이 ASTM D1003에 의거하여 85 내지 92%이며, 두께가 0.6 내지 1.2mm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시트라고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전면 보호용 시트로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ET라고도 불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을 축합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 결정성 고분자로서 강도, 내열성, 내후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나 그 용도가 합성섬유를 넘어서 열가소성 성형품이나 비디오 테이프, 확산 필름, 증착 필름 등의 각종 필름류에도 널리 확대되어 있다. 다만, PET를 광학 용도의 소재로 사용할 경우,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투명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이축연신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십 마이크로 두께의 얇은 필름 형태로만 제조가 가능하였다. 또한 연신을 통해 배향 및 결정화됨으로써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기계적 물성을 충족하는 측면 또한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며 무연신 압출시트임에도 불구하고 0.6 내지 1.2mm의 두께에서 ASTM D1003에 의거하여 85 내지 92%의 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시트의 주 성분인 PET가 고유점도(IV)가 1.0 내지 1.4 dl/g인 PET이기에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고점도의 PET의 경우 모듈러스가 좋고 결정화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연신을 거치지 않고서도 제반 물성을 충족할 수 있고, 또한 압출시에 결정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수십 마이크로의 두께가 아니더라도 광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고유점도(IV)는 고상시료 2g을 ortho-chlorophenol 25㎖에 넣고 100℃에 녹인 다음, 상기 녹인 시료 15㎖를 Ostwald B형 점도계에 넣고 25℃ 항온조에서 대기한 후 낙류 초수를 측정하여 고유점도를 계산한 값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고유점도(IV)가 1.0 내지 1.4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고상중합 PET로서, (a)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과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중축합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고, (b)상기 예비 중합체를 2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1 내지 40시간 동안 고상중합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상중합 PET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a)단계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약 10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260 ℃ 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6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시킨다. 그 다음 에스테르화 반응의 반응물을 약 20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약 260 내지 290 ℃ 의 온도 및 약 0.1 내지 1 torr의 감압 조건에서 6시간 내지 20시간, 또는 8시간 또는 18시간 동안 중축합한다. 이때, 중축합시 상기와 같이 6시간 이상, 또는 8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상기 디카르복실산 및 글리콜을 반응시킴으로써, 0.65 내지 0.8 dl/g의 보다 높은 고유 점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예비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예비중합체 합성시에는 안티몬계 촉매 및 인계 화합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중합의 어느 단계에서나 투입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에스테르화 반응 단계에만 투입하거나, 에스테르화 반응물의 중축합 단계에만 투입하거나,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 단계 및 중축합 단계에 모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안티몬계 촉매는 에스테르화 반응 단계에 투입하고, 인계 화합물은 중축합 단계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안티몬계 촉매는 촉매 활성이 높아 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의 축중합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제조되는 예비중합체의 고유 점도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안티몬 촉매로는 산탄산안티몬, 안티몬글리콜레이트, 삼아세트산 안티몬, 삼산화안티몬(Sb2O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첨가량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및 글리콜 총량 대비 150ppmw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ppmw,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ppmw일 수 있다.
상기 인계 화합물은 PET 수지의 제조에서 열화 및 변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인계 화합물은 폴리인산, 유기인화합물, 4포스포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인산(Phosphoric acid), 트리메틸 포스페이트(Trimethyl phosphate),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riethyl phosphate),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페닐포스핀(Phenylphosphine), 2-카르복실에틸페닐 포스핀산(Carboxylicethylphenyl phosphin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공지의 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및 글리콜 총량 대비 30ppmw이하 또는 5ppmw 내지 30ppmw 의 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ppm이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상기 (b)단계의 고상중합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예비중합체를 10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220℃의 불활성 기체 또는 진공하에서 약 1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 및 예비 결정화시킨 후, 약 1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250℃ 온도와 질소가스 등을 포함한 고온의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약 1 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고상중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상중합은 배치식 중합방법과 연속식 고상 중합방법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고상중합방법을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으로 고유점도(IV)가 1.0 내지 1.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으나, 고상중합 방법 및 조건이 반드시 상술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현예에 의한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50 내지 90℃의 성형롤 온도 조건에서 압출된 것일 수 있다. 고상중합에 의하여 PET의 고유 점도가 높아짐으로써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시트에서도 광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으나, 압출시 성형롤의 온도가 PC나 PMMA 시트를 제조할 때와 동일하게 100℃이상이 될 경우 고상 PET의 결정화 속도를 제어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에 고상 PET의 결정화 속도를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도록 가능한 성형롤의 온도를 상기 범위로 제어하여 고상 PET 시트를 급랭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PET소재임에도 불구하고 ASTM D256에 의거하여 충격강도가 150 내지 250J/cm2, JISK5600-5-4에 의거하여 표면경도가 1H 내지 2H, ASTM D1003에 의거하여 헤이즈가 0.1 내지 0.5% 및 QUV Test 500시간 기준 황변도(YI)가 1.5 내지 2.5 이며, 나아가 Steel Wool #0000 기준 1000회 반복 내마찰성 테스트에도 육안 관찰시 스크레치(Scratch) 발생이 없는 특성을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고점도의 PET 소재로서, 유리전이온도가 82 내지 85℃를 만족하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이다.
한편, 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 유리전이온도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으로 정의한다.
즉, 본 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헤이즈, 황변도, 내마찰성, 표면경도 및 충격강도와 같은 광학 특성 및 물성이 윈도우 시트로 적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특히, 일반 PET시트의 표면경도가 2B 정도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표면경도가 1H 이상으로서, 코팅 후 전면 보호용 커버 시트로서의 역할이 기대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충격강도가 50 내지 80J/cm2에 불과하는 PC/PMMA 구조의 다층시트에 비하여 충격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기에 통상 윈도우 시트의 엣지부 깨짐 현상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표면층 상부에 내마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열경화 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된 하드코팅층을 추가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 형성에 사용되는 수지의 경우 도장(塗裝) 라인과의 적정(適正)성을 고려하여 하드코트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 가운데 적절히 선택한 것이라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유기용제 외에,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각종 안정제나 레벨링제, 소포제, 증점제, 대전방지제, 방담제(防曇劑) 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에스테르화 반응기에 테레프탈산 1620kg(9.75 kmole)과 에틸렌글리콜 597kg(9.62 kmole), 안티몬 촉매(100ppm)를 투입하고, 1.5 ㎏/㎠G의 압력과 255 ℃의 온도 조건에서 4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켰다. 반응 중 발생한 물과 에스테르화 반응종료 후 추가로 발생하는 에틸렌글리콜을 증류탑을 통해 분리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에스테르화 반응의 반응물에 내열제로 인산(14ppm)을 첨가하고, 280℃ 온도와 0.3 torr의 고진공하에서 4시간 동안 중축합 반응을 수행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예비중합체의 표면을 17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예비 결정화를 진행한 후, 225℃의 온도에서 4시간, 190도 온도에서 30시간동안 질소 Flow하에서 고상중합을 진행하여 유리전이 온도가 85℃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최종적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예비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0.65 dl/g 이었으며, 이를 고상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이하, ‘고상 PET 수지’라 약칭함)는 1.2dl/g수준의 고유 점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중합 반응 시간 및 온도를 제어하여 고유점도가 각각 0.9dl/g, 1.0dl/g, 1.4dl/g이 되도록 각각의 고상PET수지를 제조하였는데, 반응기내 위치별 점도 차이에 의해 향후 가공 불량 및 황변 문제가 존재하여 PET의 고유점도를 1.5이상으로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 다양한 고유 점도를 갖는 고상PET 수지를 이하 각각 고상PET A: IV=0.9dl/g, 고상PET B: IV=1.0dl/g, 고상PET C: IV=1.2dl/g 및 고상PET D: IV=1.4dl/g로 나타낸다.
실시예 1
상기 제조 예를 통해 수득한 고상 PET 수지 가운데, 고상PET B를 2축 압출기로 270℃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한 후, 1축의 스크류직경 150㎜에서 압출하여 1.0mm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상 PET의 결정화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성형롤의 온도를 60℃로 제어하여 급랭 처리하였다.
실시예 2 및 3
원료로서 각각 고상PET C 및 고상PET D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및 3에 따른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및 5
1번과 2번롤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시트 두께를 각각 0.6mm 및 1.2mm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4 및 5에 따른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고상PET 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압출기에 유리전이온도가 80℃이고, 고유점도가 0.6dl/g인 PET 수지(코오롱 인더스트리사 제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가 1mm인 PET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유리전이온도 110℃인 PMMA(제조사 LG MMA, Grade명 HP-202) 수지 및 145℃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LG화학, 상품명 CARIBRE, Grade 1300-10)수지를 준비한 다음 이들을 각각 배럴 직경 45㎜, 실린더 온도 245℃인 서브 압출기와 배럴 직경 150 ㎜, 실린더 온도 270℃인 메인 압출기에 투입하고, 2종류의 수지를 동시에 용융 압출하였다.
압출시 다이(die) 온도는 275℃로 설정하고, 다이 내에서 적층 및 일체화된 수지가 경면 마무리된 가로형 배치의 3개의 폴리싱 롤을 지나도록 유도하였다. 이때, 1번 롤의 온도는 80℃, 2번 롤의 온도는 85℃, 3번 롤의 온도는 90℃로 설정하였고, 메인 압출기(PC층 형성)와 서브 압출기(PMMA층 형성) 회전수는 토출량비가 메인/서브=90/10이 되도록 설정하여 PMMA 층의 두께가 0.10mm인 PC/PMMA 시트(전체 두께 1mm)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및 5
1번과 2번롤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시트 두께를 각각 0.5mm 및 1.3mm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4 및 비교예 5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물성 평가를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고상 PET의 고유 점도에 따른 평가 결과, 광학시트 소재 및 구성에 따른 평가 결과 및 광학 시트 두께에 따른 평가 결과로 구분하여 하기 표 1 내지 3에 각각 반영하였다.
측정예
1) 헤이즈 및 투과율 측정: ASTM D1003 규격에 따라 헤이즈 및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2) 표면경도(연필경도) 측정: JISK5600-5-4에 따라, Mitsubishi사 제조 연필 (Mitsubishi 6B~9H)을 사용하여 전동식 1kg 하중 기준으로 표면 경도를 측정하였다.
3) 노치드 충격강도 측정: 각각의 샘플에 노치를 만들어 23℃에서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황색도(YI값) 측정: 10cm×10cm 크기의 샘플을 QUV 테스터기(신성계측기社, SSA-Q)에 UV B 광원으로 광량 0.3mW/㎠으로 500시간 노출시킨 후 UV-Vis Test기를 통해 E-313 방법으로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5) 내마찰성 측정: 10cm×20cm 크기의 샘플을 내마찰성 Test기기에 장착Steel 후, Wool 번호 #0000을 장착하여 1000회 왕복 운동시킨 후 코팅표면에 스크레치(Scratch)가 발생한 시점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6) 유리전이온도 측정: 유리전이 온도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으로, 시료를 약 10mg 채취한 후 샘플팬에 넣고, 1차 스캔조건으로 20℃/min로 200℃까지 승온하여 가공시 발생된 열이력을 제거한 후 다시 급냉한 한 후 다시 10℃/min로 200℃까지 승온하면서 유리전이온도를 Onset 포인트법으로 변곡점에서 측정한다.
표 1
비교예 1(고상PET A) 실시예 1(고상PET B) 실시예 2(고상PET C) 실시예 3(고상PET D)
고상 PET 고유 점도(dl/g) 0.9 1.0 1.2 1.4
헤이즈 (%) 1.7 1.5 1.2 1.0
투과율 (%) 89 91 92 93
YI (QUV 테스트 후) 3.5 1.5 1.7 1.9
코팅전표면경도 (연필경도) 1H 1 H 1H 2H
노치드 충격강도 (J/cm2) 192 210 250 300
내마찰성 (Scratch 발생여부)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유리전이온도(℃) 81.2 83 84.5 85.7
상기 표 1의 결과에 따르면, 고유 점도가 1.0이상인 PET로부터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3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의 경우 헤이즈는 2.0% 이하이고 투과율이 90%이상으로 나타나 광학적 물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고상PET A의 경우 투과율은 85%를 넘긴 하였으나 실시예에 비해 떨어졌고, 무엇보다 황변도(YI값) 특성이 크게 저하되어 윈도우 시트로 적용하기에 광학적 물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표 2
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소재 및 구성 고상 PET 시트 일반 PET 시트 PC/PMMA 시트
헤이즈 (%) 1.5 86.6 0.3
투과율 (%) 91 71 93
YI(QUV 테스트 후) 3.3 8.5 2.5
코팅전 표면경도 (연필경도) 1 H 2 B 2 H
노치드 충격강도 (J/cm2) 210 156 80
내마찰성 (Scratch 발생여부) 미발생 발생 미발생
유리전이온도(℃) 83 75 측정안함
상기 표 2를 분석한 결과, 고유점도가 1.2인 고상 PET로 제조한 실시예 1의 경우, 일반 PET(고유 점도 0.6) 시트인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헤이즈와 투과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면서 일반 PET 시트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광학적 특성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 PET 시트에서는 표면경도가 2B정도로 매우 무른 특성을 보였으나, 고상 PET 시트에서는 표면경도가 1H로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전면 보호용 윈도우 시트로의 적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통상의 윈도우 시트로 사용되는 구조인 PC/PMMA 시트(비교예 2)와 비교할 경우, 실시예 1의 투과율은 비교예 3에 근접할 만큼 향상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노치드 충격강도가 월등하게 우수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동일한 하중(132g)에서 PC/PMMA의 경우 전면 균열이 발생하였으나, 고상 PET 시트의 경우 전혀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즉, 고상 PET시트의 경우, 우수한 광학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충격에 취약하다는 결정적 단점을 지니고 있었던 기존의 PC/PMMA 시트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표 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3 비교예4
시트 두께 1.0mm 0.6mm 1.2mm 0.5mm 1.3mm
헤이즈 (%) 1.5 0.7 2.3 0.4 2.8
투과율 (%) 91 92 86 92 85
YI (QUV 테스트 후) 1.5 1.2 2.8 1.0 3.9
코팅 전 표면경도 (연필경도) 1 H 1H 1H 1H 1H
노치드 충격강도 (J/cm2) 210 150 250 120 280
내마찰성 (Scratch 발생여부)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또한, 전체의 두께에 따른 시트의 물성은 상기 표 3과 같았는데, 시트 두께가 0.6mm미만인 비교예 3의 경우 두께에 대한 충격 저항성이 적어 노치드 충격강도가 낮게 나타났고, 두께가 1.2mm를 초과한 비교예 4의 경우 충격강도는 높아졌으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투과율이 떨어지고, YI값 또한 낮게 나타났다.

Claims (7)

  1. 고유점도(IV)가 1.0 내지 1.4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투과율이 ASTM D1003에 의거하여 85 내지 92%이며,
    두께가 0.6 내지 1.2mm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충격강도가 150 내지 250J/cm2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JIS K5600-5-4에 의거하여 표면경도가 1H 내지 2H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ASTM D1003에 의거하여 헤이즈가 1.0 내지 3.5% 및 QUV test 500시간 기준 황변도(YI)가 1.5 내지 2.5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과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중축합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예비 중합체를 250 내지 300 ℃의 온도에서 1 내지 40시간 동안 고상중합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50 내지 90℃의 성형롤 온도 조건에서 압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유리전이온도가 82 내지 85℃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PCT/KR2015/010302 2014-09-30 2015-09-30 투명 플라스틱 시트 WO201605298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915 2014-09-30
KR20140131915 2014-09-30
KR1020150137397A KR20160038846A (ko) 2014-09-30 2015-09-30 투명 플라스틱 시트
KR10-2015-0137397 2015-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2988A1 true WO2016052988A1 (ko) 2016-04-07

Family

ID=5563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0302 WO2016052988A1 (ko) 2014-09-30 2015-09-30 투명 플라스틱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5298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728A (ja) * 2002-09-18 2004-04-30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285145A (ja) * 2003-03-20 2004-10-14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16056A (ja) * 2002-03-28 2007-01-2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031482A (ja) * 2006-07-02 2008-02-14 Efutekkusu Kk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グラフト共重合樹脂の製造方法
JP2010163513A (ja) * 2009-01-14 2010-07-2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6056A (ja) * 2002-03-28 2007-01-2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31728A (ja) * 2002-09-18 2004-04-30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285145A (ja) * 2003-03-20 2004-10-14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031482A (ja) * 2006-07-02 2008-02-14 Efutekkusu Kk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グラフト共重合樹脂の製造方法
JP2010163513A (ja) * 2009-01-14 2010-07-2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166B1 (ko)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TWI854963B (zh) 可撓性顯示器之表面保護薄膜用的聚酯薄膜
KR20160049506A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KR20170028083A (ko) 커버 윈도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578336B (zh) 包含聚芳酯树脂和含有三嗪结构的氨基树脂的光学膜树脂组合物及用其制备的光学膜
WO2017057903A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6052988A1 (ko) 투명 플라스틱 시트
JP4645011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150125709A1 (en) Polyester com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film
JP6922913B2 (ja) 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7002780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調光フィルム
WO2015102173A1 (ko)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08195804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6052989A1 (ko) 투명 플라스틱 시트
WO2016105142A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8846A (ko) 투명 플라스틱 시트
KR20120049960A (ko) 백색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08630A1 (ko) 투명 플라스틱 시트
WO2017217754A1 (ko) 폴리에스테르 단층 필름
KR20120067792A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7114895B2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WO2018139697A1 (ko) Fbpe를 포함하는 pet-pen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077219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349866B2 (ja) 積層体
KR101005280B1 (ko) 고분자 재료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 미디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476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476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