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2488A - 강유전체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유전체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0012488A KR980012488A KR1019960029330A KR19960029330A KR980012488A KR 980012488 A KR980012488 A KR 980012488A KR 1019960029330 A KR1019960029330 A KR 1019960029330A KR 19960029330 A KR19960029330 A KR 19960029330A KR 980012488 A KR980012488 A KR 9800124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resultant
- ferroelectric film
- deposited
- lower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9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92 flock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KJTLSVCANCCWHF-UHFFFAOYSA-N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 KJTLSVCANCCW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RTOMJZYCJJWKI-UHFFFAOYSA-N Tita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i]#N NRTOMJZYCJJW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KMKTIVRRLOHAJ-UHFFFAOYSA-N oxygen(2-);thallium(1+) Chemical compound [O-2].[Tl+].[Tl+] WKMKTIVRRLOHA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OCIAKWEIIZHES-UHFFFAOYSA-N ruthenium(iv) oxide Chemical compound O=[Ru]=O WOCIAKWEIIZH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38 thall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5801 BaSrTi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TXDPTMKBJXEOW-UHFFFAOYSA-N dioxoiridium Chemical compound O=[Ir]=O HTXDPTMKBJXE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PUBBGLMJRNUCC-UHFFFAOYSA-N oxygen(2-);tantalum(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a+5].[Ta+5] BPUBBGLMJRNU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80 solge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6 tantal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10B12/033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plug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82—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having dielectrics comprising perovskit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92—Electrodes
- H10D1/694—Electrodes comprising noble metals or noble metal ox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강유전체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는,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결과물 상에 도전물질을 증착한 후 이방성식각하여, 콘택홀을 채우는 플럭을 형성하는 단계, 플럭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전극물질믈 증착한 후 패터닝함으로써 하부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결과물 상에 강유전체막 및 전극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강유전체막을 증착하기 전에 미스얼라인에 의해 노출된 플럭의 표면을 미리 산화시켜줌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고온의 산화 분위기에서 강유전체막을 증착하더라도 실리콘의 확산에 의해 증착되는 BST박막의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버블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로프스카이트 구조의 물질로 이루어진 유전막을 구비하는 강유전체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56M 디램(DRAM) 이상의 고집적 메모리소자에서는 캐패시터로 사용되는 면적이 점차 작아져 기존의 질화막/산화막(NO)이나 오산화탈륨(Ta2O5)과 같은 유전막으로는 충분한 셀 캐패시터를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한된 셀 면적에서 메모리 셀의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하고 있는데, 통상다음의 세가지로 나뉘어진다. 즉, ① 유전체막을 박막화하는 방법, ② 캐패시터의 유효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 ③ 유전상수가 큰 물질을 유전체막으로 방법 등이다. 이 중 첫 번째 방법, 즉 유전체막의 두께를 100Å 이하로 박막화하는 경우에는, 파울러 - 노드하임 전류(Fowler - Nodheim current)에 의해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므로, 대용량 메모리장치에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 방법, 즉 캐패시터의 구조를 입체화하는 방법은 3차원구조의 캐패시터를 제조하기 위한 복잡한 공정이 수반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의 상승을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세 번째 방법인 유전율이 큰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유전체(이하, “강유전체”라 통칭함), 예를 들어 피.지.티(PZT, PbZrTiO₃) 또는 비.에.스.티(BST; BaSrTiO₃)계열의 강유전체를 사용하여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강유전체는 기존의 유전체막으로 사용되던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또는 산화탄탈륨(Ta₂) 막과는 달리 자발분극 현상을 가지며, 벌크(bulk) 상태에서 수백∼ 1,000 정도의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다. 이러한 강유전체를 유전체막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유전체막을 500Å 이상의 두께로 형성하더라도 등가 산화막 두께(equivalent oxide thickness)를 10Å 이하로 박막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강유전체를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극물질이 중요한데,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전극물질로서는, ① 전극 위에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막질의 형성이 가능할 것, ② 전극과 강유전체막의 계면에서의 저유전체막의 생성이 없을 것, ③ 실리콘 또는 강유전체의 구성원자들의 상호확산이 일어나지 않을 것, 그리고 ④ 전극의 패터닝이 쉬울 것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현재 강유전체를 유전체막으로 사용하는 메모리소자의 전극으로서는 내 산화성이면서 고 전도성 물질인 백금(Pt; Platinum), 루테늄(Ru; Ruthenium), 이리듐(Ir; Iridium) 등의 귀금속류와, 산화이리듐(Ir) 또는 산화루테늄(RuO₂) 등의 전도성 산화물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COB(Capacitor Over Bit line) 구조의 DRAM 소자에서 캐패시터의 하부 전극은,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영역과 층간절연층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실리콘 플럭(plug)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백금(Pt)이 폴리실리콘과 직접 접촉하게 되면, 후속 공정중에 실리사이데이션(silicidation) 반응이 일어나 실리콘이 전극 내부로 확산하고, 다시 고유전율 박막까지 확산하여 계면 저유전층의 형성과 고유전 박막의 유전율 자체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확산방지막이 백금전극과 폴리실리콘 플럭 사이에 설치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강유전체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으로 분리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게이트, 소오스/ 드레인을 구비라는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평탄화된 층간절연막(2)과 질화막(4)을 형성한 후, 통상의 사진식각 공정을 적용하여 상기 질화막(4) 및 층간절연막(2)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캐패시터의 스토리지전극을 접속시키기 위한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콘택홀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불순물이 도우프된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에치백함으로써, 상기 콘택홀을 채우는 폴리실리콘 플럭(6)을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플럭(6)의 실리콘과 이후에 형성될 하부전극의 백금의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티타늄(Ti)과 같은 물질을 증착하여 장벽층(8)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백금(Pt)을 증착하여 하부전극층(10)을 형성한 후, 사진식각 공정을 적용하여 상기 백금층 및 장벽층을 패터닝함으로써 하부전극 패터닝함으로써 하부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결과물 상에 BST와 같은 강유전물질(12)과 백금계의 전극물질(14)을 차례로 증착한 후 패터닝함으로써 캐패시터를 완성한다.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하부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백금층과 장벽층을 식각할 때 미스얼라인(misalign)이 발생할 경우, 마아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것과 폴리실리콘 플럭(6)의 표면이 노출되게 된다. 이후에 도 1c와 같이 BST막을 고온 산화성 분위기에서 증착하게 되면, 플럭의 폴리실리콘이 BST와 바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BST를 증착하는 동안 폴리실리콘 플럭 중의 실리콘이 확산되어 BST 막의 표면 모폴리지(morpology)가 불량하게 된다. 또한, 실리콘이 산화되면서 실리콘산화막이라는 저유전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BST 박막의 표면 모폴로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도 2는 이와 같이 실리콘 위에 BST를 증착하였을 때의 표면을 보여주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으로서, BST 박막의 표면에 버블(Bubbling)이 발생된 것을 보여 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유전막을 증착하기 전에 실리콘을 미리 산화시킴으로써, 강유전막증착시 실리콘의 확산을 방지하고 표면 모폴로지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강유전체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a도 내지 제1d도는 종래의 확산방지막을 구비하는 강유전체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제2도는 실리콘 위에 BST를 증착하였 때의 BST막의 표면을 보여주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다.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체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체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결과물 상에 도전물질을 증착한 후 이방성식각하여, 상기 콘택홀을 채우는 플럭을 형성하는 단계; 플럭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전극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함으로써 하부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결과물 상에 강유 전체막 및 상부전극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유전체막을 증착하기 전에 미스얼라인에 의해 노출된 플럭의 표면을 미리 산화시켜줌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고온의 산화 분위기에서 강유전체막을 증착하더라도 실리콘의 확산에 의해 증착되는 BST박막의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버블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체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으로 분리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게이트, 소오스/드레인을 구비하는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평탄화된 층간절연막(22)과 질화막(24)을 형성한 후, 통상의 사진식각 공정을 적용하여 상기 질화막(24) 및 층간절연막(22)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캐패시터의 스토리지 전극을 접속시키기 위한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콘택홀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불순물이 도우프된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에치백함으로써, 상기 콘택홀을 채우는 폴리실리콘 플럭(26)을 형성한다. 상기 플럭(26)은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도시되지 않음)와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을 접속시키기 위한 중간 접속층 역할을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플럭(26)의 실리콘과 이후에 형성될 하부전극의 백금의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티타늄(Ti),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와 같은 장벽금속을 증착하여 장벽층(28)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장벽층 위에 하부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 예를 들어 백금(Pt), 이리듐(Ir), 루테늄(Ru), 산화이리듐(IrO₂), 산화루테늄(RuO₂) 등의 비산화성 전극물질을 증착하여 하부전극층(30)을 형성한 후, 사진식각 공정을 적용하여 상기 하부전극층 및 장벽층을 패터닝함으로써 하부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시 X축 방향으로 미스얼라인 마아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 플럭(26)의 표면이 노출될 수가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BST를 증착하기 전에 상기 결과물의 표면을 400∼ 600℃ 정도 온도의 산소(O₂) 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노출되어 있는 플럭 표면의 폴리실리콘을 산화시킨다. 이 때, 상기 열처리 시간은 플럭의 폴리실리콘이 50 ∼ 100Å 정도 산화될수 있는 시간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노출된 부분의 폴리실리콘을 미리 산화시켜주면 후속 공정에서 고온의 산화성 분위기에서 BST막을 증착하더라더 플럭의 표면이 이미 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증착되는 BST박막의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버블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결과물 상에 BST와 같은 고유전물질을 금속-유기 화학기상증착(MOCVD) 방법, 졸-겔 방법 또는 스퍼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증착한 후, 예를 들어 백금(Pt), 루테늄(Ru), 이리듐(Ir),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 알루미늄(Al) 중의 어느 한 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함으로써 유전막(32) 및 상부전극(34)을 형성한다.
상술을 본 발명에 의한 강유전체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강유전체막을 증착하기 전에 미스얼라인에 의해 노출된 플럭의 표면을 미리 산화시켜줌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고온의 산화 분위기에서 강유전체막을 증착하더라도 실리콘의 확산에 의해 증착되는 BST박막의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버플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Claims (1)
-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결과물 상에 도전물질을 증착한 후 이방성식각하여, 상기 콘택홀울 채우는 플럭을 형성하는 단계; 플럭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전극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함으로써 하부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결과물 상에 강유전체막 및 전극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9330A KR980012488A (ko) | 1996-07-19 | 1996-07-19 | 강유전체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9330A KR980012488A (ko) | 1996-07-19 | 1996-07-19 | 강유전체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12488A true KR980012488A (ko) | 1998-04-30 |
Family
ID=6624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29330A KR980012488A (ko) | 1996-07-19 | 1996-07-19 | 강유전체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8001248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6354A (ko) * | 2000-02-02 | 2001-09-10 | 니시가키 코지 | 용량소자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1996
- 1996-07-19 KR KR1019960029330A patent/KR9800124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6354A (ko) * | 2000-02-02 | 2001-09-10 | 니시가키 코지 | 용량소자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70308B1 (ko) |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
KR0147640B1 (ko) |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27843B1 (ko) | 반도체 소자의 콘택 배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커패시터 제조방법 | |
EP0814514A2 (en) |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 capacitor | |
US7470595B2 (en) | Oxidizing a metal layer for a dielectric having a platinum electrode | |
JPH09102591A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287187B1 (ko) |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80206B1 (ko) | 고유전체 캐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0147655B1 (ko) |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
US20040097050A1 (en) | Capacitor | |
KR100235949B1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 |
KR100273689B1 (ko) | 반도체메모리장치및그제조방법 | |
KR100219506B1 (ko) |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 |
US6689623B2 (en) | Method for forming a capacitor | |
KR100275113B1 (ko) | 반도체장치의강유전체캐패시터제조방법 | |
KR0165408B1 (ko) | 고유전막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
US6306666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ferroelectric memory device | |
KR980012488A (ko) | 강유전체막을 구비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
KR100464938B1 (ko) | 폴리실리콘 플러그 구조를 사용한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형성방법 | |
US6465300B2 (en) | Method for forming a lower electrode for use in a semiconductor device | |
KR100604659B1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 |
KR100520447B1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 |
KR19980040654A (ko) |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 |
KR0168339B1 (ko) |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커패시터 제조방법 | |
KR100209377B1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