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1798A - 승강기 - Google Patents
승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0001798A KR980001798A KR1019970017337A KR19970017337A KR980001798A KR 980001798 A KR980001798 A KR 980001798A KR 1019970017337 A KR1019970017337 A KR 1019970017337A KR 19970017337 A KR19970017337 A KR 19970017337A KR 980001798 A KR980001798 A KR 9800017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predetermined
- casing member
- rotated
- ro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74—Capstans
- B66D1/7415—Friction drives, e.g. pulleys, having a cable winding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7)
-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각 일단이 건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한쌍의 로우프와;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하나의 로우프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1제어유니트와; 상기 제1제어유니트중 한 요소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안착부재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로우프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2제어유니트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2제어유니트중 한 요소에 전달시키는 전달수단과; 상기 안착부재의 하강시 그 하강을 정지 및 해제시키는 제동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안착부재가 로우프를 따라 상승되고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요소들의 자중으로 하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2제어유니트를 각각 수용하는 제1, 2프레임과, 상기 각 로우프를 상기 각 제1, 2제어유니트측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각 제1, 2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유니트는 소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한 로우프의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에 수용되는 제1케이싱부재와; 상기 제1케이싱부재에 마련되며 그 외주연에 인입된 로우프가 권회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1메인풀리부재와; 상기 제1메인풀리부재를 소정속도로 감속 또는 증속시키는 제1속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속도제어수단이 상기 제1케이싱부재는 그 내부공간을 소정간격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중간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메인풀리부재는 그 내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환형의 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싱부재의 상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 외주연에 제1선기어가 형성된 제1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부에 압입설치되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제1마스터구동부재와; 상기 제1샤프트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주연에 제2선기어가 형성된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선기어와 외접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와; 상기 각 제1유성기어가 내접되며 상기 제1케이싱부재에 소정의 제1고정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정지되는 제1링기어와; 상기 중간플레이트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선기어와 외접되고 상기 제1메인풀리부재의 기어부에 내접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1링기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1걸림쇠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링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걸림쇠에 걸려 회전 정지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유니트는 소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한 로우프의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된 제2케이싱부재와; 상기 제2케이싱부재에 마련되며 인입된 로우프가 권회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2메인풀리부재와; 상기 제2메인풀리부재를 소정속도로 감속 또는 증속시키는 제2속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속도제어수단이 상기 제2케이싱부재는 그 내부공간을 소정간격으로 분할하는 한쌍의 중간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2메인풀리부재는 그 내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환형의 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케이싱부재의 상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 일단부 외주연에 제3선기어가 형성된 제2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부에 압입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제2마스터구동부재와; 상기 제2샤프트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주연에 제4선기어가 형성된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3선기어와 외접되는 복수의 제3유성기어와; 상기 각 제3유성기어가 내접되며 상기 제2케이싱부재에 소정의 제2고정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정지되는 제2링기어와; 상기 중간플레이트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4선기어와 외접되고 상기 제2메인풀리부재의 기어부에 내접되는 복수의 제4유성기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2링기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2걸림쇠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2링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걸림쇠에 걸려 회전 정지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제1, 2제어유니트에 의해 상기 한쌍의 로우프를 따라 하강될 때 일정한 속도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정속제어수단이 더 포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제어수단이 상기 제2케이싱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서브케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제2케이싱부재로부터 상기 공간으로부터 환형리브가 연장 형성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제2마스터구동부재와 치합되어 회전되며 그 타단부가 상기 공간으로 돌출되는 구동회전체와, 상기 서브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소정의 일방향클러치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연동회전체와, 상기 환형리브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마찰패드와, 상기 연동회전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연동회전체의 일방향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마찰패드에 마찰접촉되는 마찰웨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수단은 상기 구동회전체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복수의 포올과, 상기 연동회전체의 외주면에 상기 각 포올이 걸려지도록 일방향 걸림턱을 가지는 래치가 형성되어서, 상기 구동회전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될때에는 상기 포올이 상기 래치에 걸려지고, 구동회전체가 타방향으로 회전될때에는 상기 포올이 상기 래치로부터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연동회전체의 외주면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브레이크패드가 각 단부에 마련된 한쌍의 브레이크레버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브레이크레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패드가 연동회전체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제1케이싱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마스터구동부재와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제2케이싱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마스터구동부재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가지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소정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하는 연결축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구동축과 종동축의 단부 및 상기 연결축의 양 단부는 각각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축 그리고 종동축과 연결축을 각각 연결부쉬로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외부의 충격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보호파이프에 내장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소정폭 연장되는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등의 지지되는 등받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1, 2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및 등받이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1, 2프레임이 회전되어 수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메인풀리부재의 각 가이드홈은 상기 로우프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대향 형성되며 상호 지그재그로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양측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7337A KR100251014B1 (ko) | 1997-05-06 | 1997-05-06 | 승강기 |
EP98103741A EP0876987A1 (en) | 1997-05-06 | 1998-03-03 | Outside up-down elevator |
JP10105243A JPH1170179A (ja) | 1997-05-06 | 1998-04-15 | 外壁昇・下降用昇降機 |
CN98101391A CN1198499A (zh) | 1997-05-06 | 1998-04-16 | 外墙升降机 |
US09/061,627 US6009979A (en) | 1997-05-06 | 1998-04-16 | Outside up-down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7337A KR100251014B1 (ko) | 1997-05-06 | 1997-05-06 | 승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1798A true KR980001798A (ko) | 1998-03-30 |
KR100251014B1 KR100251014B1 (ko) | 2000-04-15 |
Family
ID=1950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7337A KR100251014B1 (ko) | 1997-05-06 | 1997-05-06 | 승강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009979A (ko) |
EP (1) | EP0876987A1 (ko) |
JP (1) | JPH1170179A (ko) |
KR (1) | KR100251014B1 (ko) |
CN (1) | CN119849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1010908C2 (nl) * | 1998-12-28 | 2000-06-30 | Altrex Bv | Liftkooigeleidingsstelsel. |
US20080087497A1 (en) * | 2006-10-13 | 2008-04-17 | Sky Climber Access Solutions, Llc | Suspended work platform with an integrated rescue system and a method for rescuing a worker |
KR101216217B1 (ko) * | 2009-05-12 | 2012-12-26 | 전병수 |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균등화 장치 |
DE102010000363A1 (de) * | 2010-02-11 | 2011-08-11 | Widmesser, Florian, Dipl.-Ing., 93053 | Sicherungsvorrichtung, insbesondere Seilsicherung |
KR101023580B1 (ko) * | 2010-07-15 | 2011-03-21 | 전병수 |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자동 균등화 장치 |
AT510556B1 (de) * | 2011-04-11 | 2012-05-15 | Univ Wien Tech | Kletterseilsicherung |
KR101463511B1 (ko) | 2013-02-25 | 2014-11-19 | 한국과학기술원 | 자전거 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
LU92298B1 (fr) | 2013-10-28 | 2015-04-29 | Capital Access Sarl | Treuil à poulie d'adhérence autonome |
US10023445B2 (en) * | 2014-04-07 | 2018-07-17 | Actsafe Systems AB | Portable power driven system comprising a rope grab arrangement |
KR102167184B1 (ko) * | 2014-08-07 | 2020-10-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구동 모듈,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및 운동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
KR102125078B1 (ko) * | 2014-08-07 | 2020-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구동 모듈,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및 운동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
CN106237552A (zh) * | 2016-09-13 | 2016-12-21 | 山东创能机械科技有限公司 | 一种高楼多人缓降逃生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036970B1 (ko) * | 1969-04-23 | 1976-04-16 | Pomagalski Jean Sa | |
GB1285473A (en) * | 1969-07-21 | 1972-08-16 | Thomas Ltd Marti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pe climbing devices |
US3944185A (en) * | 1974-06-28 | 1976-03-16 | Mayco Equipment Co., Inc. | Hoist apparatus |
US4225012A (en) * | 1979-04-06 | 1980-09-30 |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 Safety clamp device and apparatus utilizing same |
DE3475772D1 (en) * | 1983-02-24 | 1989-02-02 | Novitec Sc | Lifting device, in particular a working-platform |
US5203265A (en) * | 1991-04-26 | 1993-04-20 | Nii Koichi P | Self-propelling, multi-route transport for movement alo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of track |
-
1997
- 1997-05-06 KR KR1019970017337A patent/KR1002510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
- 1998-03-03 EP EP98103741A patent/EP0876987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8-04-15 JP JP10105243A patent/JPH1170179A/ja active Pending
- 1998-04-16 US US09/061,627 patent/US600997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4-16 CN CN98101391A patent/CN1198499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98499A (zh) | 1998-11-11 |
JPH1170179A (ja) | 1999-03-16 |
US6009979A (en) | 2000-01-04 |
EP0876987A1 (en) | 1998-11-11 |
KR100251014B1 (ko) | 200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80001798A (ko) | 승강기 | |
CN1037424C (zh) | 电梯装置 | |
AU678779B2 (en) | Elevator motor placed in the counterweight | |
EP0631969B1 (en) | Elevator drive machine placed in the counterweight | |
WO2009036692A1 (fr) | Machine de déchargement de dragage synchrone à aimant permanent à courant alternatif | |
JP4530544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EP1057772A3 (en) | Driving apparatus for elevator | |
JPH0237825Y2 (ko) | ||
US6942066B1 (en) | Elevator apparatus | |
FI125338B (fi) | Hissin nostokoneisto sekä hissiasennus | |
AU7917800A (en) | Lift with a car attached to a support | |
CN116290718B (zh) | 建筑用安全吊篮及其控制方法 | |
US6968925B1 (en) | Elevator apparatus | |
CN215938814U (zh) | 一种低慢速缓降逃生器 | |
KR950004519B1 (ko) | 안전 승강기 | |
ES2246189T3 (es) | Mecanismo de accionamiento para ascensores. | |
JP4010706B2 (ja) | シートシャッターの昇降装置 | |
KR20190086153A (ko) | 완강기 | |
GB2131381A (en) | Traction machine for elevators | |
KR200400984Y1 (ko) | 수평형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 |
JPS6324788Y2 (ko) | ||
KR0181389B1 (ko) | 휴대용 승강기의 브레이크장치 | |
JPWO2006027840A1 (ja) |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 |
KR200324218Y1 (ko) | 피난 로프 완강기 | |
KR100882330B1 (ko) | 안전 베어링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0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5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128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1999050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80429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2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