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28902A - 현상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토너카아트리지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토너카아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28902A
KR970028902A KR1019960052837A KR19960052837A KR970028902A KR 970028902 A KR970028902 A KR 970028902A KR 1019960052837 A KR1019960052837 A KR 1019960052837A KR 19960052837 A KR19960052837 A KR 19960052837A KR 970028902 A KR970028902 A KR 970028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tainer
cartridge
mounting portion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조로꾸
마사노부 마에시마
Original Assignee
미타 요시히로
미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요시히로, 미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970028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9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현상장치 및 그러한 현상장치에 적용되는 토너카아트리지(32)에 관한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본 발명은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소요대로 장착시킬수가 있는 신규의 또한 개량된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와 그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토너카아트리지(32)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그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는 토너수용개방구(60)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벽(54)과 그 저면벽(54)의 양측가장자리에 배치된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을 갖고 그 지지측면벽(56),(58)의 한쪽의 내면에는 걸어맞춤수단(78)이 배치되어있고 그 토너카아트리지(32)는 전체로서 원통형상이며 또한 그 원주벽(88)에는 개방이 자유롭게 밀봉된 토너배출개방구(90)가 형성되어있는 용기(86)와 그 용기(86)내에 수용된 토너를 포함하고 용기(86)의 한쪽측면벽의 외면에는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이 배치되어있고 그 용기(86)의 한쪽측면벽을 그 지지측면벽(56),(58)의 그 한쪽의 내면에 대향시켜서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과를 걸어맞춤과 동시에 그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을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의 내면에 대향시키므로서 그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그 토너카아트리지(32)가 장착되고 그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에 의해 토너카아트리지(32)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그 토너카아트리지(32)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정전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기에 장비되어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 및 토너카아트리지(3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상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토너카아트리지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현상장치의 아주 적당한 실시형태를 구비한 화상장치를 나타내는 간략정면도.

Claims (20)

  1.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와 그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토너카아트리지(32)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그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는 토너수용개방구(60)가 형성되어있는 저면벽(54)과 그 저면벽(54)의 양측가장자리에 배치된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을 갖고 그 지지축면벽(56),(58)의 한쪽의 내면에는 걸어맞춤수단(78)이 배치되어있고, 그 토너카아트리지(32)는 전체로서 원통형상이며 또한 그 원주벽(88)에는 개방이 자유롭게 밀봉된 토너배출개방구(90)가 형성되어있는 용기(86)와 그 용기(86)내에 수용된 토너를 포함하고 용기(86)의 한쪽측면벽의 외면에는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이 배치되어있고 그 용기(86)의 한쪽측면벽을 그 지지측면벽(56),(58)의 그 한쪽의 내면에 대향시켜서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과를 걸어맞춤과 동시에 그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을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의 내면에 대향시키므로서 그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그 토너카아트리지(32)가 장착되고 그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에 의해 토너카아트리지(32)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그 토너카아트리지(32)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토너카아트리지(32)는 전체로서 원통형상이며 또한 원주벽(88)에 토너통과 개방구(118)가 형성되어있는 커버부재(114)를 포함하고 그 용기(86)는 그 커버부재(114)내에 동심원상으로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되어있고 그 용기(86)의 토너배출개방구(90)와 커버부재(114)의 토너통과개방구(118)와가 원주방향으로 변위되어 위치해서 그 토너배출개방구(90)가 밀봉되어있고,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토너수용개방구(60)에 그 커버부재(114)의 토너통과개방구(118)를 정합시켜서 토너카아트리지(32)가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장착되고 그 용기(86)를 회전시켜서 용기(86)의 토너배출개방구(90)를 커버부재(114)의 토너통과개방구(118)에 정합시키므로서 토너배출개방구(90)가 개방되고 토너배출개방구(90), 토너통과개방구(118), 및 토너수용개방구(60)를 통해서 토너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지지측면벽(56),(58)의 한쪽의 내면에는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해서 제1의 각도위치와 제2의 각도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 자유롭게 회전부재(64)가 배치되어있고, 그 회전부재(64)의 내면에 걸어맞춤수단(78)이 형성되어있고, 그 토너카아트리지(32)의 커버부재(114)의 개방된 한쪽 측면을 통해서 토너카아트리지(32)의 그 용기(86)의 한쪽측면벽에 형성되어있는 걸어맞춤수단(78)을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에 걸어맞추면 그 회전부재(64)와 용기(86)와의 상대적회전이 저지되고 회전부재(64)를 제1의 각도위치로부터 제2의 각도위치로 회진시키면 이에따라서 그 용기(86)가 회전되어서 토너배출개방구(90)가 토너통과개방구(118)에 정합되어서 그 회전부재(64)를 제2의 각도위치로부터 제1의 각도위치로 복귀시키면 토너배출개방구(90)가 토너통과개방구(118)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변위해서 위치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부재(64)에는 파지아암(68)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회전부재(64)의 원주면에는 가시표지(80)가 부설되고 그 용기(86)의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에도 가시표지(80)가 부설되어있고 회전부재(64)의 가시표지(80)의 각도위치와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의 가시표지(80)의 각도위치와를 정합시키면 걸어맞춤수단(78)에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을 걸어맞추는것이 가능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에는 축지지구멍(82)과 그 축지지구멍(82)으로부터 외부가장자리까지 뻗는 안내홈(84)이 형성되어있고, 그 토너카아트리지(32)의 그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의 외면에는 길이방향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축지지부(112)가 형성되어있고,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그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의 내면에 토너카아트리지(32)의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을 대향시키는때에는 그 축지지부(112)가 안내홈(84)을 통해서 축지지구멍(82)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토너배출개방구(90)를 토너통과개방구(118)에 정합시키기위해 회전부재(64)를 제1의 각도위치로부터 제2의 각도위치로 회전시켜서 용기(86)를 회전시키면 그 축지지부(112)도 회전되므로서 그 축지지부(112)가 그 축지지구멍(82)내에 구속되어서 그 축지지구멍(82)으로부터 안내홈(84)으로 이동하는것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안내홈(84)은 축지지구멍(82)의 직경보다 적은폭을 갖고 그 축지지부(112)는 안내홈(84)의 폭과 실질상 동일 내지 이보다 적은 두께와 안내홈(84)의 폭보다도 큰 축지지구멍(82)의 직경과 실질상 동일 내지 이보다 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토너카아트리지(32)의 커버부재(114)는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과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벽을 갖고 그 측면벽에는 토너회수용기장착부(130)가 배치되어있고 토너카아트리지(32)는 그 토너회수용기장착부(130)에 붙이고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토너회수용기(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장착부(130)에 장착된 토너회수용기(86)의 주체부(66)는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토너카아트리지(32)가 장착되면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의 외면에 인접해서 위치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토너수용개방구(60)가 형성되어있는 저면벽(54)과 그 저면벽(54)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을 갖고 그 지지측면벽(56),(58)의 한쪽의 내면에는 걸어맞춤수단(78)이 배치되어있는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를 포함하는 현상장치에 적용되는 토너카아트리지(32)로서, 전체로서 원통형상이며 또한 그 원주벽(88)에는 개방이 자유롭게 밀봉된 토너배출개방구(90)가 형성되어있는 용기(86)와 그 용기(86)내에 수용된 토너를 포함하고 용기(86)의 한쪽측면벽의 외면에는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추어지는 수단(104)이 배치되어있고 그 용기(86)의 한쪽측면벽을 그 지지측면벽(56),(58)의 그 한쪽의 내면에 대향시켜서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과를 걸어맞춤과 동시에 그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을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의 내면에 대향시키므로서 그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그 토너카아트리지(32)가 장착되고 그 한쌍의 지지측면벽(56),(58)에 의해 토너카아트리지(32)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걸어맞춤수단(78)과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그 토너카아트리지(32)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전체로서 원통형상이며 또한 원주벽(88)에 토너통과개방구(118)가 힝성되어 있는 커버부재(114)를 포함하고 그 용기(86)는 그 커버부재(114)내에 동심원상으로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되어있고 그 용기(86)의 토너배출개방구(90)와 커버부재(114)의 토너통과개방구(118)와가 원주방향으로 변위해서 위치해서 그 토너배출개방구(90)가 밀봉되어있고,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토너수용개방구(60)에 그 커버부재(114)의 토너통과개방구(118)를 정합시켜서 토너카아트리지(32)가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장착되고, 그 용기(86)를 회전시켜서 용기(86)의 토너배출개방구(90)를 커버부재(114)의 토너통과개방구(118)에 정합시키므로서 토너배출개방구(90)가 개 방되고 토너배출개방구(90), 토너통과개방구(118), 및 토너수용개방구(60)를 통해서 토너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 의 지지측면벽(56),(58)의 한쪽의 내면에는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해서 제1의 각도위치와 제2의 각도위치와의 사이를 회전이 자유롭게 회전부재(64)가 배치되어있고, 그 회전부재(64)의 내면에 걸어맞춤수단(78)이 형성되어있고, 커버부재(114)의 개방된 한쪽 측면을 통해서 그 용기(86)의 한쪽측면벽에 형성되어있는 걸어맞춤수단(78)을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에 걸어맞추면 그 회전부재(64)와 용기(86)와의 상대적회전이 저지되고 회전부재(64)를 제1의 각도위치로부터 제2의 각도위치로 회전시키면 이에따라서 그 용기(86)가 회전되어서 토너배출개방구(90)가 토너통과개방구(118)에 정합되어서 그 회전부재(64)를 제2의 각도위치로부터 제1의 각도위치로 복귀시키면 토너배출개방구(90)가 토너통과개방구(118)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변위해서 위치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회전부재(64)에는 파지아암(68)이 형성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15. 제13항에 있어서, 회전부재(64)의 원주면에는 가시표지(80)가 부설되고 그 용기(86)의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에도 가시표지(80)가 부설되어있고 회전부재(64)의 가시표지(80)의 각도위치와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의 가시표지(80)의 각도위치와를 정합시키면 걸어맞춤수단(78)에 걸어맞추어지는수단(104)을 걸어맞추는것이 가능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16. 제13항에 있어서,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에는 축지지구멍(82)과 그 축지지구멍(82)으로부터 외부가장자리까지 뻗는 안내홈(84)이 형성되어있고, 그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의 외면에는 길이방향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축지지부(112)가 형성되어있고,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그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의 내면에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을 대향시키는때에는 그 축지지부(112)가 안내홈(84)을 통해서 축지지구멍(82)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토너배출개방구(90)를 토너통과개방구(118)에 정합시키기위해 회전부재(64)를 제1의 각도위치로부터 제2의 각도위치로 회전시켜서 용기(86)를 회전시키면 그 축지지부(112)도 회전되므로서 그 축지지부(112)가 그 축지지구멍(82)내에 구속되어서 그 축지지구멍(82)으로부터 안내홈(84)으로 이동하는것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안내홈(84)은 축지지구멍(82)의 직경보다 적은폭을 갖고 그 축지지부(112)는 안내홈(84)의 폭과 실질상 동일 내지 이보다 적은 두께와 안내홈(84)의 폭보다도 큰 축지지구멍(82)의 직경과 실질상 동일 내지 이보다 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19. 제12항에 있어서, 커버부재(114)는 용기(86)의 다른쪽측면벽과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벽을 갖고 그 측면벽에는 토너회수용기장착부(130)가 배치되어있고 그 토너회수용기장착부(130)에 붙이고떼는것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토너회수용기(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장착부(130)에 장착된 토너회수용기(86)의 주체부(66)는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에 토너카아트리지(32)가 장착되면 토너카아트리지장착부(30)의 지지측면벽(56),(58)의 다른쪽의 외면에 인접해서 위치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카아트리지.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52837A 1995-11-10 1996-11-08 현상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토너카아트리지 KR970028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92551 1995-11-10
JP29255195 1995-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902A true KR970028902A (ko) 1997-06-24

Family

ID=1778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837A KR970028902A (ko) 1995-11-10 1996-11-08 현상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토너카아트리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09384A (ko)
EP (1) EP0773483B1 (ko)
KR (1) KR970028902A (ko)
CN (1) CN1151538A (ko)
AU (1) AU7068696A (ko)
CA (1) CA2189482A1 (ko)
DE (1) DE69619199T2 (ko)
SG (1) SG75103A1 (ko)
TW (1) TW3111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3723B2 (ja) * 1995-05-23 2002-04-1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722019A (en) * 1996-01-29 1998-02-24 Oki Dat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nd drum cartridge for receiving the toner cartridge therein
JP3408166B2 (ja) * 1997-09-30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50310A (ja) * 1999-02-26 2000-09-1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602008B2 (ja) * 1999-07-30 2004-12-15 株式会社沖データ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89182B1 (en) * 2000-02-18 2001-09-1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toner bottle types, stirring toner, and detecting the amount of remaining toner
US6963713B2 (en) * 2002-04-24 2005-11-0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with a plurality of feeding projections
BR0215658B1 (pt) * 2002-09-30 2011-12-27 dispositivo para contenÇço e suprimento de material a granel.
JP3824991B2 (ja) * 2002-11-21 2006-09-20 株式会社沖データ トナーカートリッジ装着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4689422B2 (ja) * 2005-09-27 2011-05-25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639968B2 (en) * 2006-03-27 2009-12-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87155B2 (en) * 2006-03-27 2009-09-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47005B2 (en) * 2006-03-27 2010-01-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toner box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82759B2 (ja) * 2006-03-27 2012-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トナーボックス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298543A (ja) * 2006-04-27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411554B2 (ja) * 2007-03-01 2010-0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086262B2 (en) 2018-04-23 2021-08-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sumable component identifi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228B2 (ja) * 1989-12-26 1997-0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トナー現像装置と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着脱方法
JPH049980A (ja) * 1990-04-27 1992-01-14 Mita Ind Co Ltd トカー補給装置
US5294960A (en) *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541714A (en) * 1992-05-18 1996-07-30 Fujitsu Limited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060725B2 (ja) * 1992-06-30 2000-07-10 富士通株式会社 現像剤カ−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5331378A (en) * 1993-07-29 1994-07-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independent driven systems
KR0135906B1 (ko) * 1993-12-28 1998-05-15 미따라이 하지메 현상제 카트리지 및 그 재생 방법(Developer Cartridge and Remanufactruring Method Therefor)
US5614996A (en) * 1994-03-03 1997-03-25 Kyocera Corporation Toner storage unit, residual toner collect unit, toner container with thes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toner container
JP3392256B2 (ja) * 1994-04-22 2003-03-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75103A1 (en) 2000-09-19
EP0773483A3 (en) 1999-08-18
CA2189482A1 (en) 1997-05-11
TW311186B (ko) 1997-07-21
DE69619199D1 (de) 2002-03-21
AU7068696A (en) 1997-05-15
EP0773483B1 (en) 2002-02-13
EP0773483A2 (en) 1997-05-14
US5809384A (en) 1998-09-15
DE69619199T2 (de) 2002-10-17
CN1151538A (zh) 199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28902A (ko) 현상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토너카아트리지
KR970022599A (ko)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US6256469B1 (en) Toner supply apparatus in image forming system
KR940020183A (ko) 현상기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 장치
US6259877B1 (en)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 device
US5752141A (en) Rotating type developing apparatus
KR950029880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용 토너 보급장치
KR960038514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화상 형성장치
RU2009126579A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RU2660387C1 (ru) Картридж тонера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2002202658A (ja) トナー縦型容器結合具組立部品
WO2018198605A1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1183895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H06348127A (ja) トナ−供給装置
JPH08234552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US7035574B2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980003910A (ko)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A2120072A1 (en) Compact Single Component Development System with Modified Toner Agitator and Toner Dispense Auger Disposed Therein
JP3271848B2 (ja) 現像装置及びトナーボックス
KR950033726A (ko) 현상유닛
JP2005121969A (ja)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0512215A2 (en) Developing device
JP4353461B2 (ja) 現像剤収容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1292375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398898B2 (ja) 画像形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