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7659A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 리이드 및 라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 리이드 및 라이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17659A KR970017659A KR1019950029574A KR19950029574A KR970017659A KR 970017659 A KR970017659 A KR 970017659A KR 1019950029574 A KR1019950029574 A KR 1019950029574A KR 19950029574 A KR19950029574 A KR 19950029574A KR 970017659 A KR970017659 A KR 9700176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input
- signal
- buffer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2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0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5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8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3—Input synchroniz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Memory Syste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1)
- 다수의 비트 라인과 상기 다수의 비트 라인에 교차하는 다수의 워드라인과 상기 워드라인의 교차점에 위치한 다수의 메모리 쎌로 구성된 메모리 쎌 어레이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로우 인에이블 신호가 첫번째 상태에 있고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는 두번째 상태에 있는 동안 공급된 로우 어드레스와, 상기 컬럼 인에이블 신호가 첫번째 상태에 있고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두번째 상태에 있는 동안 공급된 컬럼 어드레스를 입력받기 위한 어드레스입력수단과, 상기 어드레스입력수단으로 부터 상기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대응하는 상기 워드라인을 인에이블시키는 로우 디코더와, 인에이블된 상기 워드 라인에 연결된 상기 메모리 쎌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비트 라인의 신호를 증폭하는 다수의 센스앰프와, 상기 어드레스입력수단으로 부터 상기 컬럼 어드레스를 받아 선택된 상기 비트 라인을 공통의 데이타 라인과 커플링시키는 컬럼 디코더와, 외부와 상기 공통의 데이타 라인을 접속하려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와 외부와의 데이타의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는 근원 동기 통신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가 다이나믹 형의 메모리 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입력수단이 상기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로우 어드레스버퍼 수단과, 상기 컬럼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컬럼 어드레스 버퍼 수단과, 라이트 인에이블 입력, 어드레스 입력, 컬럼 인에이블 입력, 로우 인에이블 입력 및 칩 셀렉트 입력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우 어드레스와 컬럼 어드레스를 상기 로우 어드레스 버퍼 수단과 컬럼 어드레스 버퍼 수단에의 저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입력수단이 상기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로우 어드레스 버퍼 수단과, 상기 컬럼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컬럼 어드레스 버퍼 수단과, 라이트 인에이블 입력, 어드레스 입력, 컬럼 인에이블 입력, 로우 인에이블입력, 외부 클럭 입력 및 칩 셀렉트 입력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우 어드레스와 컬럼 어드레스를 상기 외부 클럭에 동기시켜 상기 로우 어드레스 버퍼 수단과 컬럼 어드레스 버퍼 수단에의 저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원 동기 통신수단이 데이타의 교환을 위한 데이타용 터미널과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 및 데이타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데이타용 터미널을 통해 전달된 외부로부터의 입력된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데이타를 상기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된 입력 근원발생동기신호의 연속적인 한 에지에서 받아들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입력버퍼와,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의 하나이상의 연속적인 출력 데이타를 상기 데이타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로부터의 데이타출력동기신호의 연속적인 한 에지에서 데이타용 터미널을 통해 외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데이타출력동기신호를 상기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타출력버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출력버퍼가 연속적인 데이타의 수를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가 클럭소스와 상기 클럭소스로부터의 연속적인 클럭으로부터 상기 연속적인 출력 데이타의 수만큼을 게이팅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소스가 상기 외부클럭 입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소스가 외부클럭 입력의 주파수를 배가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소스가 링 오실레이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 오실레이터가 주파수를 프로그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원 동기 통신수단이 데이타의 교환을 위한 데이타용 터미널과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 및 데이타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데이타용 터미널을 통해 전달된 외부로부터의 둘 이상의 짝수의 연속적인 데이타를 상기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된 입력 근원발생동기신호의 연속적인 양 에지에서 받아들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입력버퍼와,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의 둘 이상의 짝수의 연속적인 출력 데이타를 상기 데이타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로부터의 데이타출력동기신호의 연속적인 양 에지에서 데이타용 터미널을 통해 외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데이타출력동기신호를 상기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타출력버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출력버퍼가 연속적인 데이타의 수를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가 클럭소스와, 상기 클럭 소스로부터의 연속적인 클럭으로부터 상기 연속적인 출력 데이타의 수의1/2만큼을 게이팅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소스가 외부클럭 입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소스가 외부클릭 입력의 주파수를 배가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소스가 링 오실레이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링 오실레이터가 주파수를 프로그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다수의 비트 라인과 상기 다수의 비트 라인에 교차하는 다수의 워드라인과 상기 워드라인의 교차점에 위치한 다수의 메모리 쎌로 구성된 메모리 쎌 어레이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타의 교환을 위한 데이타용 터미널과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 및 기준전압용 터미날과, 상기 데이타용 터미널을 통해 전달된 외부로부터의 연속적인 신호를 상기 기준전압용 터미날을 통해 입력된 기준전압과 비교 증폭하여 내부 데이타로 전환하는 제1비교증폭기와, 상기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을 통해 전달된 외부로부터의 연속적인 신호를 상기 기준전압용 터미날을 통해 입력된 기준전압과 비교 증폭하여 내부 동기신호로 전환하는 제2비교증폭기와 직렬로 입력된 데이타를 래치하여 병렬로 출력하기 위한 직렬입력병렬출력 버퍼와, 상기 내부 동기신호로 부터 상기 직렬입력병렬출력 버퍼의 입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펄스발생회로와, 상기 내부 데이타를 상기 직렬입력병렬출력 버퍼의 입력에 연결시키는 지연수단과, 상기 직렬입력병렬출력 버퍼의 출력을 제어하는 병렬출력신호로 구성된 데이타 입력 버퍼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채 메모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입력 버퍼가 입력 트랜스미션 게이트와 래치수단 및 출력 트랜스미션 게이트로 구성된 버퍼쎌과, 다수의 상기 버퍼쎌의 입력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상기 직렬입력병렬출력버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펄스발생회로가 상기 내부 동기신호로부터 상기 직렬입력병렬출력 버퍼에 소속된 다수의 상기 버퍼쎌의 상기 입력 트랜스미션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인에이블 시키는 펄스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이 상기 내부 데이타를 상기 직렬입력병렬출력 버퍼의 입력에 연결시키며, 상기 내부 데이타가 다수의 상기 버퍼쎌의 래치수단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도록 타이밍을 조절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입력 버퍼가 상기 직렬입력병렬출력 버퍼에 소속된 다수의 상기 버퍼쎌의 출력 트랜스미션 게이트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래치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출력시키는 상기 병렬출력신호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입력 버퍼가 두개의 상기 직렬입력병렬출력 버퍼가 평행하게 연결되어 인터리이브하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다수의 비트 라인과 상기 다수의 비트 라인에 교차하는 다수의 워드라인과 상기 워드라인의 교차점에 위치한 다수의 메모리 쎌로 구성된 메모리 쎌 어레이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클럭소스와, 병렬로 입력된 데이타를 래치를 통하여 직렬로 출력하는 병렬입력직렬출력 버퍼와, 상기 병렬입력직렬출력 버퍼의 입력을 제어하는 로드 신호와 상기 클럭 소스로부터 상기 병렬입력직렬출력 버퍼의 입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펄스발생회로와, 상기 병렬입력직렬출력 버퍼의 출력을 제어하는 직렬출력신호로 구성된 데이타 출력 버퍼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출력 버퍼가 입력 트랜스미션 게이트와 래치수단 및 출력 트랜스미션 게이트로 구성된 버퍼쎌과, 다수의 상기 버퍼쎌의 출력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상기 병렬입력직렬출력 버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펄스발생회로가 상기 로드신호가 디세이블된 후 상기 클릭소스 동기신호로부터 상기 병렬입력직렬출력 버퍼에 소속된 다수의 상기 출력 트랜스미션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펄스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신호가 상기 병렬입력출력 버퍼에 소속된 다수의 상기 버퍼쎌의 입력 트랜스미션게이트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래치수단에 외부의 데이타가 저장되도록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출력 버퍼가 두개의 상기 병렬입력직렬출력 버퍼가 평행하게 연결되어 인터리이브하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다수의 비트 라인과 상기 다수의 비트 라인에 교차하는 다수의 워드라인과, 상기 다수의 비트라인과 상기 다수의 워드라인의 교차점에 위치하면서 인에이블된 상기 워드라인에 대응하여 커플된 상기 비트 라인에 저장된 데이타를 공급하는 다수의 메모리 쎌로 구성된 메모리 쎈 어레이와, 상기 인에이블된 워드 라인에 연결된 상기 메모리 쎌에 의해 활성된 상기 비트 라인의 신호를 증폭하는 다수의 센스앰프와, 일정 수의 데이타용 터미널과 하단의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과, 상기 일정 수의 복수배의 데이타 라인과의 상기 각 데이타용 터미널에 소속되어 외부와의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타 입력버퍼와 데이타 출력버퍼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이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로 부터 두번째 상태의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두번째 상태의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 첫번째 상태의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신호 및 첫번째 상태의 칩 셀렉트를 공급하는 제1과정과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가 첫번째 상태에 있고 상기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는 두번째 상태에 있는 동안 공급된 로우 어드레스를 외부 클럭 신호의 한쪽 에지에서 로우 버퍼에 래치하는 제2과정과, 상기 로우 어드레스가 래치된 후 첫번째 상태의 상기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 두번째 상태의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 및 첫번째 상태의 칩 셀렉트를 공급하는 제3과정과, 상기 컬럼 인에이블 신호가 첫번째 상태에 있고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는 두번째 상태에 있는 동안 공급된 컬럼 어드레스를 상기 외부 클럭 신호의 한쪽 에지에서 컬럼 버퍼에 래치하는 제4과정과, 상기 로우 어드레스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모리 쎌들로 부터 상기 데이타 라인을 통해 상기 각 데이타용 터미널에 소속된 상기 데이타 출력버퍼에 전달된 상기 복수개의 상기 데이타를 상기 외부 클럭의 한 주기와 같은 시간 동안 근원 동기 통신 수단으로 출력하여 상기 데이타를 리이드하는 제5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이드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 및 제5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로부터 데이타가 리이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방법.
- 다수의 비트 라인과 상기 다수의 비트 라인에 교차하는 다수의 리드라인과, 상기 다수의 비트 라인과 상기 다수의 워드라인의 교차점에 위치하면서 인에이블된 상기 워드라인에 대응하여 커플된 상기 비트 라인에 저장된 데이타를 공급하는 다수의 메모리 쎌로 구성된 메모리 쎌 어레이와, 상기 인에이블된 워드 라인에 연결된 상기 메모리 쎌에 의해 활성된 상기 비트 라인의 신호를 증폭하는 다수의 센스앰프와, 일정 수의 데이타용 터미널과 하나의 근원발생동기신호용 터미널과, 상기 각 데이타용 터미널에 소속되어 외부와의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타 입력버퍼와 데이타 출력버퍼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 방법에 있어서 두번째 상태의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두번째 상태의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신호, 첫번째 상태의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 및 첫번째 상태의 칩 셀렉트를 공급하는 제1과정과, 상기 로우 인에이블 신호가 첫번째 상태에 있고 상기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는 두번째 상태에 있는 동안 공급된 로우 어드레스를 외부 클럭 신호의 한쪽 에지에서 로우 버퍼에 래치하는 제2과정과, 상기 로우 어드레스가 래치된 후, 첫번째 상태의 상기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 첫번째 상태의 상기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 두번째 상태의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 및 첫번째 상태의 칩 셀렉트를 공급하는 제1과정과,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가 첫번째 상태에 있고 상기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는 두번째 상태에 있는 동안 공급된 로우 어드레스를 외부 클럭 신호의 한쪽 에지에서 로우 버퍼에 래치하는 제2과정과, 상기 로우 어드레스가 래치된 후 첫번째 상태의 상기 컬럼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 두번째 상태의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 및 첫번째 상태의 칩 셀렉트를 공급하는 제3과정과, 상기 컬럼 인에이블 신호가 첫번째 상태에 있고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인에이블 신호는 두번째 상태에 있는 동안 공급된 로우 어드레스를 외부 클럭 신호의 한쪽 에지에서 컬럼 버퍼에 래치하는 제4과정과, 상기 외부 클럭의 한 주기와 같은 시간 동안 외부로부터 근원 동기 통신 수단으로 전달된 상기 각 데이타용 터미널당 상기 복수개의 연속적인 상기 데이타를 상기 로우 어드레스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 쎌들에 입력하는 제5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 및 제5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로부터 데이타가 라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9574A KR0164395B1 (ko) | 1995-09-11 | 1995-09-1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 리이드 및 라이트 방법 |
US08/712,127 US5844858A (en) | 1995-09-11 | 1996-09-11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read and write methods thereof |
JP24076296A JP3763083B2 (ja) | 1995-09-11 | 1996-09-11 | 半導体メモリ装置とその読出及び書込方法 |
US09/726,665 USRE37753E1 (en) | 1995-09-11 | 2000-11-29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read and write methods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9574A KR0164395B1 (ko) | 1995-09-11 | 1995-09-1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 리이드 및 라이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7659A true KR970017659A (ko) | 1997-04-30 |
KR0164395B1 KR0164395B1 (ko) | 1999-02-18 |
Family
ID=1942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9574A KR0164395B1 (ko) | 1995-09-11 | 1995-09-1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 리이드 및 라이트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844858A (ko) |
JP (1) | JP3763083B2 (ko) |
KR (1) | KR016439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07407B2 (ja) * | 1995-04-26 | 2005-01-0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半導体記憶装置 |
US6470405B2 (en) * | 1995-10-19 | 2002-10-22 | Rambus Inc. | Protocol for communication with dynamic memory |
US6266379B1 (en) | 1997-06-20 | 2001-07-24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Digital transmitter with equalization |
US6336159B1 (en) * | 1997-06-25 | 2002-01-01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in source-synchronous protocol and transferring signals in common clock protocol in multiple agent processing system |
KR19990014138A (ko) * | 1997-07-25 | 1999-02-25 | 이또가 미쯔야 | 이미지데이터 메모리에 연관된 복수의 판독/기록 액세스를 구비하는 이미지판독장치 및 방법 |
JP3090104B2 (ja) * | 1997-10-27 | 2000-09-18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メモリ装置 |
DE69923769T2 (de) | 1998-04-01 | 2006-02-02 |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Kanata | Asynchrones halbleiterspeicher-fliessband |
CA2233789C (en) * | 1998-04-01 | 2013-06-11 | Ian Mes | Semiconductor memory asynchronous pipeline |
US6510503B2 (en) * | 1998-07-27 | 2003-01-21 |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 High bandwidth memory interface |
US6469955B1 (en) * | 2000-11-21 | 2002-10-22 | Integrated Memory Technologies, Inc. |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having interleaved read and program capabiliti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
JP4439033B2 (ja) * | 1999-04-16 | 2010-03-24 |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 半導体記憶装置 |
US6609171B1 (en) * | 1999-12-29 | 2003-08-19 | Intel Corporation | Quad pumped bus architecture and protocol |
JP2001338489A (ja) * | 2000-05-24 | 2001-12-07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装置 |
US6742160B2 (en) | 2001-02-14 | 2004-05-25 | Intel Corporation | Checkerboard parity techniques for a multi-pumped bus |
KR100382736B1 (ko) | 2001-03-09 | 2003-05-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독출동작과 기입동작시 서로 다른 데이터율을 갖는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시스템 |
KR100408406B1 (ko) * | 2001-05-15 | 2003-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개의 제어 신호들에 동기되어 입력된 데이터를출력하는 데이터 래치 회로를 갖는 동기식 디램 반도체 장치 |
US7085889B2 (en) * | 2002-03-22 | 2006-08-01 | Intel Corporation | Use of a context identifier in a cache memory |
KR100525107B1 (ko) * | 2004-02-06 | 2005-11-01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메모리 장치의 동작 주파수 변동에 따라 비트라인 감지증폭기와 데이타 감지 증폭기를 연결하는 데이타 버스의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의 인에이블 구간을 제어하는 방법과그 장치 |
KR100608355B1 (ko) * | 2004-03-25 | 2006-08-08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메모리 장치의 동작 주파수 변동에 따른 내부 제어 신호의인에이블 구간을 제어하는 장치와 그 방법 |
KR100608365B1 (ko) * | 2004-05-17 | 2006-08-08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제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0812600B1 (ko) * | 2005-09-29 | 2008-03-13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클럭을 사용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
US7652922B2 (en) | 2005-09-30 | 2010-01-26 |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 Multiple independent serial link memory |
TWI446356B (zh) | 2005-09-30 | 2014-07-21 | Mosaid Technologies Inc | 具有輸出控制之記憶體及其系統 |
US11948629B2 (en) | 2005-09-30 | 2024-04-02 |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concurrent bank operations |
WO2007116827A1 (ja) * | 2006-03-30 | 2007-10-18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半導体記憶装置 |
JP2006244528A (ja) * | 2006-06-05 | 2006-09-14 | Renesas Technology Corp |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
US7688652B2 (en) * | 2007-07-18 | 2010-03-30 |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 Storage of data in memory via packet strobing |
JP4600467B2 (ja) * | 2007-12-03 | 2010-12-15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電子装置及びダブル・データ・レート・シンクロナス・ダイナミッ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
US8825939B2 (en) * | 2007-12-12 | 2014-09-02 |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itable for interconnection in a ring topology |
KR101575816B1 (ko) | 2009-06-19 | 2015-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 |
JP4785153B2 (ja) * | 2009-10-26 | 2011-10-05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及びマイコンシステム |
JP2011118932A (ja) * | 2011-03-07 | 2011-06-16 | Renesas Electronics Corp |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
US8825967B2 (en) | 2011-12-08 | 2014-09-02 | Conversan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Inc. | Independent write and read control in serially-connected devices |
US11068200B2 (en) * | 2019-11-27 | 2021-07-20 |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 Method and system for memory contro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3526B1 (ko) * | 1992-10-02 | 1996-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장치 |
EP1050820A3 (en) * | 1990-12-25 | 2001-06-06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 large storage capacity memory and a fast speed memory |
JP3272888B2 (ja) * | 1993-12-28 | 2002-04-08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記憶装置 |
-
1995
- 1995-09-11 KR KR1019950029574A patent/KR01643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
- 1996-09-11 US US08/712,127 patent/US5844858A/en not_active Ceased
- 1996-09-11 JP JP24076296A patent/JP3763083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9106671A (ja) | 1997-04-22 |
JP3763083B2 (ja) | 2006-04-05 |
KR0164395B1 (ko) | 1999-02-18 |
US5844858A (en) | 1998-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17659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 리이드 및 라이트 방법 | |
US6510095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oper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edge of clock signal | |
KR100407361B1 (ko) | 동기식 더블 데이터 속도용 디램 | |
JP5123336B2 (ja) | パイプラッチ回路を有するメモリ素子のデータ伝達方法 | |
US5673226A (en)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supplied with external sense amplifier activating signal | |
JP3317187B2 (ja) | 半導体記憶装置 | |
JP3180317B2 (ja) | 半導体記憶装置 | |
JP3177094B2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20050068810A1 (en) | Random access memory with post-amble data strobe signal noise rejection | |
US6172938B1 (en) | Electronic instrumen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0355229B1 (ko) | 카스 명령의 동작 지연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및 이에 적용되는 버퍼와 신호전송 회로 | |
KR20040043843A (ko) | 고속 데이터 출력을 위한 파이프래치 회로 | |
KR20050068323A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억세스회로 | |
US20030086320A1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ntegrated memory and logic | |
KR100265760B1 (ko) | 직접엑세스모드테스트제어회로를구비하는고속반도체메모리장치및테스트방법 | |
US6606272B2 (en) | Method and circuit for processing output data in pipelined circuits | |
KR100539964B1 (ko) |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프리차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차지 방법 | |
KR950020127A (ko) | 반도체 기억 회로 제어 방법 | |
KR950010084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100314414B1 (ko) | 반도체메모리장치 | |
US6226204B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
US5654934A (en) | Semiconductor memory employing a block-write system | |
US6643217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ermitting early detection of defective test data | |
JPH09180443A (ja) | 半導体メモリ回路 | |
US6275423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9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8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9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9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