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9902B1 - 합성 장치를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 장치를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902B1
KR970009902B1 KR1019940018959A KR19940018959A KR970009902B1 KR 970009902 B1 KR970009902 B1 KR 970009902B1 KR 1019940018959 A KR1019940018959 A KR 1019940018959A KR 19940018959 A KR19940018959 A KR 19940018959A KR 970009902 B1 KR970009902 B1 KR 970009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oscillation
interference
synthesiz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762A (ko
Inventor
마사히로 마따이
구니또시 요네꾸라
Original Assignee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세기모또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세기모또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0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1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0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variable tuning element hav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settings and adjustable to a desired one of these settings
    • H03J5/0245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 H03J5/0272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the digital values being used to preset a counter or a frequency divider in a phase locked loop, e.g. frequency synthesizer
    • H03J5/0281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the digital values being used to preset a counter or a frequency divider in a phase locked loop, e.g. frequency synthesizer the digital values being held in an auxiliary non erasable memor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03J7/06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using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J7/065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using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the counter or frequency divider being used in a phase locked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 장치를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3도는 제2도의 간섭 주파수 계산 루틴의 한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
제4도는 종래 기술의 수신기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5a도는 내지 제5c도는 종래 기술의 수신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제4도의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의 주파수 선택에 따라 전송된 신호에 대해 복조된 디지털 신호의 논리 변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유닛 2 : 논리 유닛
3 : 제1합성 장치 4 : 제2합성 장치
24,27,28 : CPU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합성 장치를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이후, 간략하게 수신기라 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부 발진 주파수에 의한 수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유닛 내의 국부 발진기용 합성 장치를 이용하는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제4도는 종래 기술의 수신기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No. H 3-42921에 기재된 것과 같은 형태의 수신기는 무선유닛(1)과 논리 유닛(2)을 포함한다. 무선 유닛(1)에는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5 및 6)가 제공된다. 안테나(10)에 의해 수신된 호출 신호는 고주파수 증폭기(11)에서 증폭되고, 그후, 제1믹서(13)에서는 제1중간 주파수(△f1)의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제1국부 발진기(5)로부터의 제1국부 발진 신호와 혼합된다. 제1중간 주파수 신호는 제2믹서(15)에서 제2국부 발전기(6)로 부터의 제2국부 발진 신호와 혼합되어 제2중감 주파수(△f2)신호로 변환된다.
그후, 중간 주파수 신호는 증폭기(17)에서 증폭되고, 제한기(18)에서 일정한 진폭으로 제한되며, 검출기(19)에서 검출된다. 12,14 및 16으로 지신된 번호는 영상 주파수 성분가 같은 의사 주파수(spurious frequencies)를 분리시키기 위한 필터이다. 제1국부 발진기(5)(원래의 발진을 포함)는 발진기(51)와, 이후에 설명되는 제1중간 주파수의 고주파수 또는 저주파수와 같은 발진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형 주파수 분할기(52)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국부 발진기(6)도 발진기(61)와, 이후에 설명되는 제2중간 주파수의 고주파수 또는 저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형 주파수 분할기(62)를 포함한다.
논리 유닛(2)에 있어서, 검출된 신호는 A/D 변환기(2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화된 디지털 신호는 디코더(21) 및 CPU(24)를 통해 신호 처리가 행해진다. 자신의 위치 호출 신호의 수신시에, ROM(22)에 저장된 자신의 위치 호출 번호의 조회 결과에 따라, 스피커 구동기(25)는 스피커(26)에 소리가 나도록 구동시키고, 또한 디스펠리이(71)에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디코더(21)와 CPU(24)는 각각 클럭(29 및 30)에 의해 동작된다. CPU(24)에는 양의 논리 극성과 음의 논리 극성(positive and negative logic polarrities)의 전환을 위해 극성 설정 스위치(72)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FM변조된 호출 신호는 양의 신호(positive signal)에 대해 (f0-y)주파수에서 전송되고, 음의 신호(negative signal)에 대해 (f0+y)주파수에서 전송된다. 제1믹서(13)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변환 결과로 얻어진 파수는 제5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f1±y)가 되고, 제2믹서(15)에 의해 주파수 변환을 통해 얻어진 주파수는 제5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f2±y)가 된다.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19)는 (△f2+y 및,△f2-y)의 얻어진 주파수 신호를 △V1및 △V2로 각각 변환한다. 논리 유닛(2)에 있는 A/D 변환기(20)는 그들 전압을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고, 그 결과로서, △V1의 디지털 신호를 음의 신호로 제공하고, △V2의 디지털 신호를 양의 신호로 제공한다.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 처럼, 제1믹서(13)에 공급되는 제1국부 발진기(5)의 주파수로서, 수신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fL1L)가 사용되는 경우와, 보다 높은 주파수 (fL1U)가 사용되는 경우에, 얻어진 제1중간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f1+y)에서 (△f1-y)로 변환되거나, 또는 (△f1-y)에서 (△f1+y)로 변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제2중간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f2+y)에서 (△f2-y)로 변환되거나 또는 (△f2-y)에서 (△f2+y)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5및6)의 발진 주파수가 고주파수와 저주파수 사이에서 변화하는 경우에, 논리유닛(2)에서 양의 논리 및 음의 논리를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극성 설정 스위치(72)의 절환에 의해 행해진다.
전송된 FM 신호와 변환된 디지털 신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송신국으로부터 송신된 FM 신호의 주파수는 양의 신호(1)인 경우에 (f0-y)(f0는 채널 주파수)가 되고, 음의 신호(0)인 경우에는 (f0+y)가 된다. 무선 유닛에 있어서, 주파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위해 복조할 수 있는 주파수까지 낮아진다. 제5A도 및 제5B도는 중간 주파수에서 주파수 관계를 도시한다. 제1믹서(13)에서 제1중간 주파수(△f1)를 구하기 위하여,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는 fL1U또는 fL1L중 하나가 될 수 있다. fL1L가 선택되는 경우, 제1중간 주파수는 (f0-y)(양의 신호)에 대해 (△f1-y)가 되고, (f0+y)(음의 신호)에 대해서는 (△f1+y)가 된다. 그러나 fL1U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그 관계가 반절된다. 유사하게, 제2믹서(15)에서 제2중간 주파수(△f2)를 구하기 위하여,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는 fL2L또는 fL2U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변환 주파수 관계는 주파수 선택에 따라 반전된다.
복조가 가능한 주파수(△f2)로으 주파수 변환이 2개의 믹서를 통해 이루어질 때, 검출기는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y)에 대해서 △V2를 제공하고, (△f2-y)에 대해서는 △V1을 제공하는 A/D 변환을 실행하고, 기준 전압으로 Vref를 갖는 비교기는 양의 디지털 신호와 음의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을 실행한다.
상기 변환으로 인하여, 송신된 신호 (f0-y)(양의 신호) 및 (f0+y)(음의 신호)에 대하여 복조된 디지털 신호의 논리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다.
수신기 주파수 설정에 따른 논리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논리 유닛(2)에는 극성 설정 스위치(72)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0Ω 저항기를 이용하여 논리 유닛의 입력 포트를 VDD(H) 또는 GND(L)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설정에 따라, 비교기 출력 데이터를 양의 논리 또는 음의 논리로 처리된다.
수신기의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가 호출 신호 주파수 또는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로 설정되기 때문에,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의 고조파(harmonics)는 호출 신호 주파수 또는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근처에 있게 되고, 수신 감도 또는 다른 특성을 저하시키는 간섭 무선파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제1국부 발진기에서 발생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를 제1증가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더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이다. 동시에, 논리 유닛의 디코더(21)에서 양의 논리 극성과 음의 논리 극성은 반전된다. 따라서, 동시에, 극성 설정 스위치(72)는 전환된다.
효과적인 주파수 이용을 위해서, 실제로 다른 지역에 대해서는 다른 호출 신호 주파수(일반적으로 25KHz의 주파수 간격)을 할당한다. 이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호출 신호 주파수에 대응하여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를 제1중간 주파수 보다 낮거나 높게 변환하여,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의 고조파가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지 않으면서 또한, 그에 따라 극성 설정 스위치를 절환하도록 할 필요가 있따. 이러한 수신기 설정에는 CPU 입력 포트를 VDD 또는 GND로 설정하기 위해 납땜 같은 번거로운 동작이 요구되고, 이는 시간 낭비다.
본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부 발진기 신호 주파수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고주파가 간섭 무선파로 작용하지 않고, 또한 자동적으로 대응하는 극성의 설정이 행해지는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각각의 합성 장치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즉,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와 그 국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어 수단은 발진 주파수 중 하나의 고조파가 다른 발진 주파수와 그 고조파 및 수신된 신호 주파수에 대해 간섭 주파수가 되지 않도록 수신된 호출 신호 주파수와 제1 및 제2국구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 계산을 실행하는 주파수 계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높은 제1고주파수(fL1U)의 발진 신호와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낮은 제1저주파수(fL1L)의 발진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제1합성 장치와;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높은 제2고주파수(fL2U)의 발진 신호와 보다 낮은 제2저주파수(fL2L)의 발진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제2합성 장치; 각각의 지역에 대해 설정된 호출 신호 주파수 데이타를 저장하는 기억 수단;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제1중간 주파수(△f1)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1합성 장치의 출력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혼합하는 제1믹서; 제2중간 주파수(△f2)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2합성 장치의 출력 신호와 제1중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는 제2믹서; 제2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제1 및 제2합성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L)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저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2수단과; 간섭 주파수로 작용할 수 있는 고조파가 존재하게 된다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L로 설정하는 제3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선택 수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에 있어서,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fL2L)신호가 간섭파로 되는 경향이 있음을 인지되었을 때,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제2고주파수(fL2U)로 설정하는 제4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고주파수(fL2U)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도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저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차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5수단;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한다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U로 설정하는 제6수단; 간섭 주파수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제1고주파수(fL1U) 및 제2저주파수(fL2L)로 설정하는 제7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저주파수(fL2L)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고주파수(fL1U)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8수단;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한다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U및 fL2L로 설정하는 제9수단; 여전히 간섭파가 존재한다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제1고주파수(fL1U)와 제2고주파수(fL2U)로 설정하는 제10수단과;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임의 발진 부파수의 선택이 간섭 상태로 유도된다면, 중간 주파수 상태의 최소의 영향으로 설정되도록 각각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11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높은 제1고주파수(fL1U)의 발진 신호와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낮은 제1저주파수(fL1L)의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제1합성 장치;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높은 제2저주파수(fL2U)신호와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낮은 제2저주파수(fL2L)신호를 발생하는 제2합성 장치; 각각 지역에 대해 설정된 호출 신호 주파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수단;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제1중간 주파수(△f1)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1합성 장치의 출력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혼합하는 제1믹서; 제2중간 주파수(△f2)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2합성 장치의 출력 신호와 제1중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는 제2믹서; 제2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fL1L및 fL2L로 설정하는 제1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저주파수(fL2L)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저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2수단과;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한다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L로 설정하는 제3수단을 포함하는 헤테로다인(heterodyne)수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즐럭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그 예로, 무선 유닛(1)에 제공된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는 각각 독립된 제1 및 제2합성 장치(3 및 4)로 구성된다.
제1합성 장치(3)에 있어서, 기준 클럭(CLK)(31)은 주파수 분할기(1/L)(32)에서 L로 나누어 기준 주파수 신호를 발생한다. 이 기준 주파수 신호의 위상은 주파수 분할기(1/N)(34)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O)(33)의 출력을 N으로 나누어 구해진 주파수 신호의 위상과 위상 비교기(PC)(35)에서 비교된다. 비교 결과로 얻어진 차이 전압은 두 신호의 위상을 일치시키기 위해 VCO(33)에 공급된다. 위상 비교기(PC)(35)로부터의 차이 전압은 클럭 성분을 포함하고, 그로 인해 그 클럭 성분은 저역 통과 필터(LPF)(36)를 통해 제거된다.
유사하게, 제2합성 장치(4)는 기준 클럭(CLK)(41), 주파수 분할기 (1/L)(42), VCO(43), 위상 비교기(PC)(45) 및 저역 통과 필터(LPF)(46)를 포함하고, 그 주파수 분할기(1/M)(44)는 VCO 출력을 M으로 나눈다.
논리 유닛(2)은 A/D 변환기(A/D)(20) 및 디코더(DEC)(21)를 포함하고, ROM(1SR. ROM)(22)과 더불어 제2ROM(2ND. ROM)(23)을 포함하기도 한다. 제2ROM(2ND.ROM)(23)에는 각각의 지역에 대해 설정된 호출 신호주파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제1CPU(1ST. CPU)(24)와 더불어 제2CPU(2ND. CPU)(27) 및 제3CPU(3RD. CPU)(28)가 제공되어 있따. 제2CPU(27)는 호출 신호 주파수와 제1합성 장치(3)의 발진 주파수 사이의 관계를 계산한다. 제CPU(28)는 제2CPU(27)의 계산 결과에 따라 데이터 논리를 설정한다. 제1CPU(24)는 제2 및 제3CPU(27 및 28)의 처리 결과로부터 제1 및 제2합성 장치(3 및 4)에 있는 주파수 분할기(34 및 44)의 주파수 분할 비율을 제어하고, 그로 인해 각각의 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무선 유닛(1)에 있어서,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호출 신호는 고주파수 증폭기(11)에서 증폭되고, 그후, 제1중간 주파수(△f1)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1믹서(13)에서 제1합성 장치(3)의 제1국부 발진기 신호와 혼합된다. 제1중간 주파수 신호는 제2중간 주파수(△f2)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2믹서(15)에서 제2합성 장치(4)의 제2국부 발진기 신호와 혼합된다. 제2중간 주파수 신호는 증폭기(17)에 의해 증폭되고, 그후, 제한기(18)에서 일정한 진폭으로 제한된 다음, 검출기(19)에 의해 검출된다. 필터(12,14 및 16)는 영상 주파수와 같은 불필요한 주파수를 제거한다.
논리 유닛(2)에 있어서, 검출된 신호는 A/D 변환기(2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그 디지털 신호는 디코더(21) 및 CPU(24)를 통해 신호처리가 행해진다. 자신의 위치 호출 신호가 수신될 때, ROM(22)에 저장된 자신의 위치 호출 번호 등의 조회 결과에 따라 스피커 구동기(25)에 의해 스피커(26)가 동작된다. 클럭(29 및 30)은 디코더(21), 제1CPU(24)와, 제2 및 제3CPU(27 및 28)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된다.
제2도는 상기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에서 전원이 ON상태가 되면, 단계(S2)에서는 수신기에 설정된 호출 신호 주파수가 제2ROM(23)으로부터 판독된다. 그후, 단계(S3)에서는, fL1L로 설정된 제1합성 장치(3)의 발진 주파수와 fL2L로 설정된 제2합성 장치(4)의 발진 주파수에 따라, 제2CPU(27)는 제2합성 장치(5)의 발진 주파수(fL2L)의 고조파가 호출 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 장치(3)의 발진 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지 않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계산을 실행한다.
제3도는 간섭 주파수 계산 루틴의 한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비록, 간섭을 일으키는 패턴이 수십 개의 서로 다른 패턴이 존재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단 2개의 패턴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루틴에 있어서, 단계(S31)에서는 제2ROM(23)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를 이용하여 fL1L=f0-△f1및 fL2L=△f1-f2를 구한다. 다음, 단계(S32)에서는 원형 발진 파수(fL)는 fL1L/n으로 구해지는데, 여기서 fL1L은 제1국부 발진 파수이고, n은 모듈로 수(modulo number)이다. 그후, 단계(S33 및 S34)에 있어서, 불필요한 주파수와 회선 주파수(f0)사이의 주파수 차이(△fL1t)(여기서, t는 정수)와, 원형 발진 주파수와 제2국부 발진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차이(△fL2)는 fL1t=f0-tfL과 fL2=fL-fL2L로서 구해진다. 여기서, tfL은 불필요한 주파수이고 t는 통상 1 내지 n 범위에 있다. 본 예에서는, t=n은 fL1으로 이용되고, 나머지는 불필요한 것이다. 자신의 국부 발진 주파수 근처의 불필요한 주파수가 존재 한다면, 그 국부 발진 주파수는 안정되지 못하다.
따라서, 최적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악의 간섭 주파수가 선택되어 있다. 즉, △fL1이 높게 되면 될수록 간섭은 접점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단계(S35)에서는 △fL1t및 △f2의 최소값이 선택되고, △fL1과 △f는 단계(S36)에서 비교된다. 단계(S36)에서 △fL1이 △f보다 높으면, 루틴은 단계(S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fL1은 단계(S37)에서 저장되고, 그 루틴은 단계(S6)로 진행된다.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고조파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CPU(24)는 단계(S4)에서, 주파수 분할기(34 및 44)의 주파수 분할 비율의 제어를 통해 합성 장치(3 및 4)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L로 설정한다. 또한, 제3CPU(28)는 단계(S5)에서 양의 데이터 논리를 설정한다.
제2CPU(27)에서 계산 결과로서 제2합성 장치(4)의 발전 주파수(fL2L)가 간섭파로 되는 경향을 인지했을 경우, 그 주파수는 고주파수(fL2U)로 설정되고, 제2CPU(27)는 단계(S6)에서 간섭파로 되는 경향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동일한 계산을 실행한다. 이러한 계산은 제3도의 루틴과 동일하며, fL1L=f0-△f1및 fL2U=f1+△f2로 실행된다. 간섭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되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3 및 4)의 발진 주파수는 단계(S7)에서 fL1L및 fL2U로 설정되고, 음의 논리는 단계(S8)에서 제3CPU(28)에 의해 설정된다.
다시, 상기와 같은 계산의 결과로서 간섭 주파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지되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3 및 4)의 발진 주파수는 고주파수(fL1U)와 저주파수(fL2L)로 각각 설정되고, 제2CPU(27)는 단계(S9)에서 임의 간섭에 대하여 동일한 계산을 실행한다. 간섭 주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되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3 및 4)의 발전 주파수는 단계(S10)에서 각각 fL1U및 fL2L로 설정되고, 음의 데이터 논리는 단계(S11)에서 제3CPU(28)에 의해 설정된다.
단계(S9)에 이어서, 간섭 주파수 계산은 보다 적은 수의 단계로 보다 빠르게 실행되고, fL1U와 fL2U가 간섭과 무관 한지의 여부를 단계(S12)에서 체크하게 된다. 그들 주파수가 간섭과 무관하게 된다면, 단계(S15)가 실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최악의 주파수(△fL1, △fL2, △fL3및 △fL4) 가운데 최소의 영향을 받는 국부 발진 주파수 조합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계(S13)에서는 4개의 주파수 중 최대값이 선택된다. 그러면, 제1 및 제2국부 발진 주파수는 단계(S14)에서 최대 주파수(△fL)로 설정된다.
여전히 간섭파가 존재하게 되면, 제1 및 제2합성 장치(3 및 4)의 발진 주파수는 단계(S15)에서 고주파수(fL1U및 fL2U)로 각각 설정되고, 양의 데이터 논리는 단계(S16)에서 설정된다.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임의 발진 주파수 선택은 제1 및 제2중간 파수(△f1및 △f2)의 값에 따라 간섭 상태로 유도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중간 주파수가 영향(고조파의 차수에 따라 변환하는 영향)의 범위가 저장되고, 각각의 주파수는 최소의 영향을 받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또는 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전체 자동동작으로 설정된 주파수에 근거하여 논리 극성을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신기의 설정 동작을 간략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지역에서 수신기를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호출신호 주파수가 변경되는 경우에, 제2ROM에서 선택된 주파수를 전환시켜, 적절한 주파수의 설정을 완전히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CPU가 단일 CPU로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 처럼, 본 발명의 주파수 계산에 따라,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 중 한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 고조파가 다른 발진 주파수 및 그 고조파와, 또는 수신된 신호 주파수에 대해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지 않도록 주파수 계산을 행하고, 각각의 국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상기 계산의 결과로 결정된다. 따라서, 수신된 신호 주파수에 따라 각각의 국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적당한 주파수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에 대해 설정된 발진 주파수에 따라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 극성을 전환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얻어진 데이터의 논리 극성을 완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더 용이한 수신기의 설정 동작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각각의 합성 장치로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와, 국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에서 설정된 발진 주파수에 따라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 극성을 전환하는 수단과, 수신된 호출 신호 주파수와 제1 및 제2국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에 따라, 발진 주파수 중 한 고조파가 다른 발진 주파수 및 그 고조파와 수신된 신호 주파수에 대해 간섭 주파수가 되지 않도록 주파수를 계산하는 주파수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2.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높은 제1고주파수(fL1U)의 발진 신호와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낮은 제1저주파수(fL1L)의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제1합성 장치;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높은 제2고주파수(fL2U)의 발진 신호와 제2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낮은 제2저주파수(fL2L)의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제2합성 장치; 각각의 지역에 대해 설정된 호출 신호 주파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수단;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제1중간 주파수(△f1)로 변환시키기 위해 수신된 신호와 제1합성 장치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제2중간 주파수(△f2)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1중간 주파수 신호와 제2합성 장치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는 제2믹서; 제2중간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fL1L및 fL2L로 설정하는 제1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저주파수(fL2L)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저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2수단과;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할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L로 설정하는 제3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fL2L)신호가 간섭파가 되는 경향이 있다고 인지될 때,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제2고주파수(fL2U)로 설정하는 제4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고주파수(fL2U)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저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5수단과;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할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U로 설정하는 제6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간섭 주파수가 존재함이 인지 되었을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제1고주파수(fL1U) 및 제2저주파수(fL2L)로 설정하는 제7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저주파수(fL2L)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고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8수단;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할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U및 fL2L로 설정하는 제9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여전히 간섭파가 존재할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제1고주파수(fL1U)와 제2고주파수(fL2U)로 설정하는 제10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임의 발진 주파수의 선택이 간섭 상태로 유도될 때, 중간 주파수 상태의 최소의 영향으로 설정되도록 각각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11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7. 헤테로다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높은 제1고주파수(fL1U)의 발진 신호아 제1국부 발진기 주파수 보다 낮은 제1저주파수(fL1L)의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제1합성 장치; 제2국부 발진기 신호 보다 높은 제2고주파수(fL2L)의 발진 신호와 제2국부 발진기 신호 보다 낮은 제2저주파수(fL2L)의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제2합성 장치; 각각의 지역에 대해 설정된 호출 신호 주파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수단;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제1중간 주파수(△f1)로 변환시키기 위해 수신된 신호와 제1합성 장치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는 제1믹서; 제2중간 주파수(△f2)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2합성 장치의 출력 신호와 제1중간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는 제2믹서; 제2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fL1L및 fL2L로 설정하는 제1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저주파수(fL2L)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 (f0) 또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저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2수단과;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할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L로 설정하는 제3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2합성 장치의 발전 주파수(fL2L) 신호가 간섭파로 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감지했을 때,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제2고주파수(fL2U)로 설정하는 제4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고주파수(fL2U)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장치로부터의 제1저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5수단과;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할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L및 fL2U로 설정하는 제6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간섭 주파수가 존재함을 인지하였을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제1고주파수(fL1U) 및 제2저주파수(fL2L)로 설정하는 제7수단; 제2합성 장치로부터의 제2저주파수(fL2L)의 고조파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호출 신호 주파수(f0) 또는 제1합성 장치로부터의 제1고주파수(fL1L)에 대하여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8수단과; 간섭 주파수로 작용하는 허용 가능한 고조파가 존재할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fL1U및 fL2L로 설정하는 제9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여전히 간섭파가 존재할 때,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각각 제1고주파수 (fL1U) 및 제2저주파수(fL2U)로 설정하는 제10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합성 장치의 임의 발진 주파수 선택이 간섭 상태로 유도될 때, 중간 주파수 상태의 최소 영향으로 설정되도록 각각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11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장치.
KR1019940018959A 1993-07-31 1994-08-01 합성 장치를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70009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08601A JPH0746150A (ja) 1993-07-31 1993-07-31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93-208601 1993-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762A KR950004762A (ko) 1995-02-18
KR970009902B1 true KR970009902B1 (ko) 1997-06-19

Family

ID=1655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959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9902B1 (ko) 1993-07-31 1994-08-01 합성 장치를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52174A (ko)
JP (1) JPH0746150A (ko)
KR (1) KR970009902B1 (ko)
CN (1) CN1109250A (ko)
TW (1) TW2715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7876A (en) * 1996-12-18 2000-05-0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Dual conversion settop terminal including a system for avoiding oscillator difference beats
US6002924A (en) * 1996-12-31 1999-12-14 Aor, Ltd. Full-spectrum all-mode radio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US6163687A (en) * 1997-07-22 2000-12-19 Intel Corporation Tuning module for a dual frequency PLL synthesized tuner
US6163684A (en) * 1997-08-01 2000-12-19 Microtune, Inc. Broadband frequency synthesizer
DE19819038C2 (de) * 1998-04-28 2002-01-03 Rohde & Schwarz Frequenzumsetzeranordnung für Hochfrequenzempfänger oder Hochfrequenzgeneratoren
DE19857303A1 (de) * 1998-12-14 2000-06-15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Empfangsstufe
US6577177B2 (en) 1999-04-01 2003-06-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Non-linear distortion generator
WO2000060735A1 (en) 1999-04-01 2000-10-1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Non-linear distortion generator
US6643501B1 (en) * 1999-12-02 2003-11-04 Sierra Wireless, Inc. Flexible ferrite gasket for receiver second image protection
US6587243B1 (en) 1999-12-10 2003-07-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econd order predistortor for a return laser transmitter
US6509789B1 (en) 2000-01-24 2003-01-2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ircuit for reducing second and third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for a broadband RF amplifier
US6466084B1 (en) 2000-01-24 2002-10-15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ircuit for reducing third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for a broadband RF amplifier
US6647075B1 (en) * 2000-03-17 2003-11-11 Raytheon Company Digital tuner with optimized clock frequency and integrated parallel CIC filter and local oscillator
US8693959B1 (en) * 2000-07-21 2014-04-08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a direct conversion receiver and transmitter
GB0020528D0 (en) * 2000-08-22 2000-10-11 Mitel Semiconductor Ltd Multiple conversion tuner
GB2372174B (en) * 2001-02-12 2003-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termediate frequency planning in radio transmitters and receivers
US6785527B2 (en) * 2001-04-02 2004-08-31 Tektronix, Inc. Conversion spur avoidance in a multi-conversion radio frequency receiver
JP2003198402A (ja) * 2001-12-21 2003-07-11 Toyota Industries Corp 受信機
US6985020B2 (en) * 2002-07-09 2006-01-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Inline predistortion for both CSO and CTB correction
US20040052536A1 (en) * 2002-09-17 2004-03-18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econd order predistortion circuit
US7425995B2 (en) * 2003-02-28 2008-09-16 Silicon Laboratories, Inc. Tuner using a direct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television receiver using such a tuner, and method therefor
US7447493B2 (en) * 2003-02-28 2008-11-04 Silicon Laboratories, Inc. Tuner suitable for integration and method for tuning a radio frequency signal
US7340230B2 (en) * 2003-04-14 2008-03-04 Silicon Laboratories Inc. Receiver architectures utilizing coarse analog tuning and associated methods
US7272374B2 (en) * 2004-06-30 2007-09-18 Silicon Laboratories Inc. Dynamic selection of local oscillator signal injection for image rejection in integrated receivers
DE102005054347A1 (de) * 2005-11-15 2007-05-24 Atmel Duisburg Gmbh Elektronische Schal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lektronischen Schaltung
US20090209222A1 (en) * 2008-02-15 2009-08-20 Tektronix, Inc. Conversion Architecture For Residual Spur Avoidance
US7961040B2 (en) * 2008-08-22 2011-06-14 Omnivision International Holding, Ltd. Accuracy on-chip clock generator for multi-clock driven single chip solution
US20100323636A1 (en) * 2009-06-23 2010-12-23 Nicholas Cowley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channel tuners
US8224279B2 (en) 2009-12-18 2012-07-17 Silicon Laboratories, Inc. Radio frequency (RF) receiver with dynamic frequency planning and method therefor
US8874060B2 (en) * 2009-12-18 2014-10-28 Silicon Laboratories Inc. Radio frequency (RF) receiver with frequency planning and method therefor
FR2960363B1 (fr) * 2010-05-21 2012-05-18 Thales Sa Dispositif de transposition flexible en frequence large bande pour recepteur de telecommande satellite, et recepteur associes
TW201401791A (zh) * 2012-06-18 2014-01-01 Wistron Neweb Corp 無線通訊系統之射頻接收裝置
CN103516372A (zh) * 2012-06-21 2014-01-15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接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5072A (en) * 1982-02-22 1985-10-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due to spurious signals generated in synthesized receivers
US4575761A (en) * 1983-04-28 1986-03-11 Rca Corporation AFT arrangement for a double conversion tuner
US4512035A (en) * 1983-05-16 1985-04-16 Motorola, Inc. Method of programming a synthesizer ROM for elimination of receiver self-quieting
JPH0669227B2 (ja) * 1984-07-11 1994-08-31 ソニー株式会社 Y/c分離器
US4703520A (en) * 1986-10-31 1987-10-27 Motorola, Inc. Radio transceiver having an adaptive reference oscillator
JPS63161718A (ja) * 1986-12-24 1988-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局装置
US4879758A (en) * 1987-01-02 1989-11-07 Motorola, Inc. Communication receiver system having a decoder operating at variable frequencies
JPH0710051B2 (ja) * 1987-07-16 1995-02-01 八重洲無線株式会社 無線受信機
JPH0342921A (ja) * 1989-07-11 1991-02-25 Nec Corp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390346A (en) * 1994-01-21 1995-02-1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Small frequency step up or down converters using large frequency step synthesiz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250A (zh) 1995-09-27
US5752174A (en) 1998-05-12
KR950004762A (ko) 1995-02-18
JPH0746150A (ja) 1995-02-14
TW271519B (ko) 199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902B1 (ko) 합성 장치를 갖춘 무선 선택 호출 수신 장치
US6073000A (en) Direct conversion receiving circuit and direct conversion receiver
US6040738A (en) Direct conversion receiver using single reference clock signal
WO2000076060A1 (en) Dual-band image rejection mixer
US4097805A (en) Frequency-synthesizer type transceiver
KR20050070000A (ko) 전압 제어형 발진기 사전 설정 회로
KR100293770B1 (ko) 직접 변환 방법을 이용하는 선택적 호출 무선 수신기
US5727019A (en) Digital modem
US6825729B2 (en) Frequency synthesizer with sigma-delta modulation
JPH0715371A (ja) スーパーへテロダイン方式の送受信方法と送受信機
US4194151A (en) Multifrequency generator
US7231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ctional-N synthesis
JP3874942B2 (ja) 周波数可変方式、これを用いた電圧制御発振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の受信機
JP3839766B2 (ja) If復調モジュール
JP3786567B2 (ja) 無線通信機
US7363013B2 (en) Phase lock loop appl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829548B2 (ja) ローカル信号発生回路
JPH06268551A (ja) シンセサイザ回路
JP2550701B2 (ja) Fsk受信機
JP2000165277A (ja) 局部発振回路
JP3593159B2 (ja) クロック発振回路を備えた受信機
KR10038706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상 동기 루프
JP2023081171A (ja) ダイレクトコンバージョン方式の無線受信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55207B2 (ko)
JPH05252058A (ja) 無線送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1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120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