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6466Y1 -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466Y1
KR970006466Y1 KR2019950008082U KR19950008082U KR970006466Y1 KR 970006466 Y1 KR970006466 Y1 KR 970006466Y1 KR 2019950008082 U KR2019950008082 U KR 2019950008082U KR 19950008082 U KR19950008082 U KR 19950008082U KR 970006466 Y1 KR970006466 Y1 KR 970006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using
supporting structure
housing supporting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101U (ko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08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466Y1/ko
Publication of KR960034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제1도의 C-C선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리어앤드멤버2 : 램프하우징
3 : 보강판4 : 전방연결판
5 : 리어 필라 인너6 : 리어휀더
7 : 후방연결판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램프하우징의 내측으로 전방연결판과 보강판을 신설함으로서, 램프하우징부의 비틀림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후부차체에 설치되는 램프하우징은 제5도에 나타내었다. 즉, 하측부로는 리어 앤드멤버(11)를 결합하고 있고, 상측으로는 리어휀더(16)를 결합하고 있으며, 내측에는 일측브라케트(13)와 타측브라케트(14)를 결합시키고 있는 램프하우징(12) 일측부에는, 리어 필라 인너(15)를 연결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램프하우징(12)은 개방화된 구성이므로 비틀림강성에 약하여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코너부인 램프하우징의 강성을 보강하여 비틀림에 취약했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램프하우징의 개방되어 있는 부위로 보강판을 전방연결관과 함께 연결시켜줌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램프하우징(2)의 타측에 연결되어지는 리어앤드멤버(1)와, 일측으로 후방연결판(7)과 함께 연결되어지는 리어 필라 인너(5)와, 그리고 상측부에는 리어휀더(6)를 연결시키고 있는 구성에서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2)의 개방되어 있는 부위로 보강판(3)을 위치시켜서 결합시키되, 램프하우징(2)과 보강판(3)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결되도록 중간에 전방연결관(4)을 결합시켜서 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어앤드멤버(1)와 리어 필라 인너(5) 그리고 리어휀더(6) 부위에는 제2도와 제3도 같이 모두 폐단면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비틀림강성에 강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 램프 하우징(2)의 개방된 부위로 보강판(3)이 전방연결관(4)과 함께 제3도와 같이 연결되면서 폐단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므로, 코너부인 램프 하우징(2)도 비틀림강성이 강하게 보강된 상태가 되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브라케트의 설치가 필요없게 되는 것이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에 의해 최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램프하우징(2)의 타측에 연결되어지는 리어앤드멤버(1)와, 일측을 후방연결판(7)과 함께 연결되어지는 리어 필라 인너(5)와, 그리고 상측부에는 리어 휀더(6)를 연결시키고 있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2)의 개방되어 있는 부위로 보강판(3)을 위치시켜서 결합시키되, 램프하우징(2)과 보강판(3)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결되도록 중간에 전방연결관(4)을 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KR2019950008082U 1995-04-20 1995-04-20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KR970006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082U KR970006466Y1 (ko) 1995-04-20 1995-04-20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082U KR970006466Y1 (ko) 1995-04-20 1995-04-20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101U KR960034101U (ko) 1996-11-19
KR970006466Y1 true KR970006466Y1 (ko) 1997-06-24

Family

ID=1941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082U KR970006466Y1 (ko) 1995-04-20 1995-04-20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4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101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466Y1 (ko) 자동차용 후부차체의 램프하우징 보강구조
US4350383A (en) Instrument board mounting structure
KR200152937Y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강성보강구조
KR0114630Y1 (ko) 자동차의 프론트판넬 취부구조
KR970035065A (ko) 자동차의 측면 강성 보강구조
KR200162425Y1 (ko) 자동차의 휀더 패널 보강구조
KR200184794Y1 (ko) 리어앤드 익스텐션패널의 취부구조
KR960001117Y1 (ko) 보강판이 설치된 팩키지트레이
KR950009964Y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측면 후레임
KR100201459B1 (ko) 자동차 후문의 힌지부 보강구조
KR950013898A (ko)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패널 보강구조
KR970036413A (ko) 자동차의 시트 마운팅용 브래키트
KR0152742B1 (ko) 도어 샤시 취부구조
KR0177963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보강 브라켓트
KR960037491A (ko) 자동차 전면부의 차체구조
KR970041784A (ko) 자동차의 터널 패널 보강구조
KR970001055A (ko) 자동차 도어부의 보강구조
KR19980031346A (ko) 차량용 토션빔 액슬타입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KR970000709A (ko) 자동차 후문의 힌지보강판 취부구조
KR970041802A (ko) 자동차용 프론트플로어의 전방판넬 보강구조
KR950008186A (ko) 차량의 측면도어용 보강바아의 취부구조
KR970006084A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970041723A (ko) 프론트 컴플리트 펜더의 장강성 향상구조
KR20020040389A (ko) 버스용 도어
KR960033991A (ko) 자동차 플로어판넬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4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2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12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