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5579B1 - 시이트(sheet)재료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sheet)재료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579B1
KR970005579B1 KR1019920026338A KR920026338A KR970005579B1 KR 970005579 B1 KR970005579 B1 KR 970005579B1 KR 1019920026338 A KR1019920026338 A KR 1019920026338A KR 920026338 A KR920026338 A KR 920026338A KR 970005579 B1 KR970005579 B1 KR 97000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heet material
terminal
contact
hea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337A (ko
Inventor
시게오 오오타
신고 오오야마
Original Assignee
롬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켄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5932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813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61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82745A/ja
Application filed by 롬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켄이치로 filed Critical 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5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05B3/265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the insulating bas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e.g. ceram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이트(sheet)재료 가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선 I-II를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
제3도는 상을 고정하기 위한 전자 사진술 프린트에 사용되어 지는 것과 같은 히터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의 VII-VII선을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
제8도는 제7도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에서 도시한 히터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도.
제11도는 종래 기술의 히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종래 기술의 히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길이 방향 온도 분포를 도시하고 있는 그래프 및
제13도는 다른 종래 기술의 히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100 : 기판 2,2',2'',101,10' : 가열저항 스트립
2a : 중간직선부 2b,2b',2b'' : 경사진 단말부
2d : 말단 확장부 3,102 : 단자전극
5 : 연결구멍 6 : 와이어링 전도패턴
7 : 마운틴 구멍 8 : 접촉부재
9 : 전력공급선 10 : 볼트
11 : 스페이서 12 : 너트
13 : 절연와셔 H1,H2,H3,H4,H5,H6 : 히터
S : 페이퍼 시이트 L : 기준 접촉선
P : 원통형 압착기 A : 종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히터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페이퍼 시이트 위에 상을 고정하기 위한 사진 복사기 또는 전자사진 프린터와 같은 사무자동화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선형 히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히터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여러형태의 선형히터들이 사진복사기들 또는 전자사진 프린터들(예를 들면 레이저 빔프린터)에서의 페이퍼 시이트 위에 상들(침적된 토우너)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예들은 램프히터와 로울러히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램프히터와 로울러 히터 둘다 크기(두께)와 가격을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불이익하다. 또한 램프 히터는 재료의 특성 때문에 쉽게 손상된다. 반면에 로울러 히터는 그 로울러 안에 여러 개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에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히터들의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전자 사진술에서 페이퍼 시이트 위에 상들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립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종래기술 스트립 히터의 전형적인 배열이 첨부 도면 중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형적인 종래기술의 스트립히터는 인쇄된 저항 스트립(101)으로 형성된 표면을 갖고 있는 긴 절연기판(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항 스트립(101)의 각각의 끝은 전력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하여 은으로 만들어진 확대된 단자전극(102)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은-팔라듐 합금을 만들어진 저항 스트립(101)은 전류가 그것을 지나갈 때 열을 발생한다.
분명히 상기 종래 기술의 스트립히터는 배열에 있어서 매우 간단하다. 게다가 상기 스트립히터는 기판(100)의 두께를 건조시킴으로써 매우 얇거나 가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히터는 워밍업 하기 위한 시간이 매우 짧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기술과 스트립히터는 여전히 하기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은으로 만들어진 상기 확대된 단자 전극들(102)은 열소산이 가장 쉽게 발생하는 부분들이다. 따라서, 상기 저항 스트립(101)이 그것의 전길이에 대해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만들어져 있을 때 불규칙한 온도분포가 제12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부보다 각각의 전극들 근처에서 상기 저항 스트립의 표면온도가 더 낮다는 결과를 일으킬 것이다. 그 결과 상기 히터는 저항 스트립(101)의 전길이(A)보다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더 적은 효과적인 히팅길이(A')를 가질 것이다.
저항 스트립(101)의 전길이(A)가 가열하기 위해 활용된다면, 불규칙한 상고정이 일어날 것이다. 다른 한편, 효과적인 히팅길이(A')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상기 히터의 허용할 수 없는 길이 증대를 불가피하게 일으킬 것이다.
전술한 전형적인 종래 기술 스트립 히터의 문제점은 제1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Tsuyuki등(특허 : 1991. 11. 26; 출원 : 1989. 8. 22)에 미합중국 특허 제5,068,517호에 명시된 것처럼 상기 각각의 전극들(102)을 향한 폭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한쌍의 단말부(101a')를 갖고 있는 저항 스트립(101')를 형성함으로서 해결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은 저항 스트립(101a')를 갖고 있는 저항 스트립부(101a')들이 그 감소된 폭에도 불구하고 상기 더 좁은 단말부(101a')들이 상기 중앙부보다 더 큰 양의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더 쉽게 깨어진다는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항 스트립에 손상을 줄 가능성을 증가시키지 않고 시이트 재질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선형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항 스트립에 손상을 줄 가능성을 증가시키지 않고 시이트 재질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선형히터를 포함하는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절연기판과 그 길이 방향으로 뻗어지는 상기 기판의 표면위에 형성된 가열저항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시이트 재질용히터가 제공되는데, 상기 히팅 저항 스트립은 한쌍의 단말부와 각 단말부로부터 횡축으로 벗어난 중간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절연기판; 그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상기 기판의 표면위에 형성된 가열저항 스트립; 및 기준 접촉선을 따라 그 절연기판에 대한 시이트 재질을 프레싱하기 위한 플래튼으로 이루어진 시이트 재질용 가열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저항 스티립은 기준 접촉선으로부터 횡측으로 벗어나서 위치한 중간부를 가지고 있으며, 기준 접촉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 한쌍의 단말부들을 더 갖고 있다.
다른 목적들,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들이 첨부도면에 대해 주어진 실시예의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하기에서 첨부도면중 제1도에서 제11도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진다. 이러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부분들은 유사한 참조번호와 숫자에 의해 표시되었다.
[실시예 1]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로 하면, 본 실시예의 히터(H1)는 세라믹과 같은 열저항 절연재로 되어진 긴 기판(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진 가열저항 스트립(2)으로 형성된 상부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는 상기 저항 스트립(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쌍의 확대된 단자전극들(3)이 있다. 보호 유리코팅(4)은, 상기 저항 스트립(2) 전체를 그리고 상기 각각의 단자 전극들(3)(제2도 참조)일부를 덮고 있다. 전극(3) 각각의 노출부는 전력공급선(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상기 저항 스트립(2)은 스트립 형상으로 은-팔라듐 페이스트를 프린팅하고나서 고정을 위해 페이스트를 베이킹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각각의 단자전극들(3)은 패드형상으로 실버 페이스트를 프린팅하고 나서 고정을 위해 그 페이스트를 베이킹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분명히 상기 저항 스트립(2)은 루테늄 산화물과 같은 어떤 다른 적당한 저항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단자 전극들(3)은 동 또는 금과 같은 어떤 다른 적당한 전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 스트립(2)은 중간의 직선부(2a)와 한쌍의 경사진 단말부(2b)(제1도 참조)를 갖도록 만들어져 있다. 상기 히터(H1)는 그 히터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진 기준 접촉선(L)를 제공한다. 제1도에 분명히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저항 스트립(2)의 중간의 직선부(2a)는 상기 기준 접촉선(L)로부터 횡축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으며, 반면에 상기 경사진 단말부(2b) 각각은 그것과 함께 교차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상기 접촉선(L)에 접근해 가재된다.
도면(3)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배치를 갖고 있는 그 히터(H1)는 침적된 토우너를 나르며 캐리어 필름(c)위에 저지된 페이퍼 시이트(s)위에 상을 고정하기 위한 전자 사진 기술 프린터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작동 중에는, 상기 시이트(s)는 원통형 플래튼(p)에 의해 상기 기준 접촉선(L)(제1도)를 따라 상기 히터(H1)에 대해 압착된다. 상기 플래튼(D)의 길이방향축(A)은 또한 상기 기준 접촉선(L)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L')에 포함되어 있다.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열소산은 상기 히터(1)의 중앙부보다 그 히터의 양끝부분에서 더 높다. 따라서 상기 저항 스트립(2)의 온도는 상기 경사진 끝부분(2b)보다 중각부분(2a)에서 더 높다. 그러나 상기 페이퍼 시이트(s)는, 상기 저항 단말부들(2b)을 통과하거나 또는 교차하는 상기 기준 접촉선(L)을 따라 상기 히터(H1)에 대해 늘려지지만 상기 저항 그 중간부(2a)로부터 다소 벗어나 있다. 따라서, 상기 저항 말단부(2b)는 상기 저항 중간부(2a)보다 더 큰 정도로 상기 페이퍼 시이트(s)에 열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상기 저항 스트립(2)의 불균일한 온도 분로를 보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H1)는 상기 페이퍼 시이트(s)에 대해 균일한 길이방향의 가열 즉 균일한 상 교정을 제공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저항 스트립(2)은 그것의 전 길이에 대하여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항 스트립이 단말부들을 압축하도록 만들어질 때 발생할 사용수명의 감소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제13도 참조).
[실시예 2]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슷하게, 제2실시예의 히터(H2)는 긴 절연기관(1), 가열저항스트립(2'), 한쌍의 단자전극들(3) 및 보호유리코팅(4)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저항 스트립(2')은 기준 접촉선(L)에 위치되며 경사진전이부들(2c')을 통하여 중간부(2a)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직선 단말부들(2b')을 지니고 있다.
상기 기준 접촉선(L)에 위치한 상기 가열 저항 단말부들(2b')은 상기 기준 접촉선(L)으로부터 벗어난 위치한 상기 저항 중간부(2a')보다 더 큰 정도로 시이트 재질(제4도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히터(H2)는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실시예 3]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제3실시예의 히터(H3)는 긴 절연기관(1), 가열저항스트립(2) 및 보호유리코팅(4)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저항 스트립(2)은 기준 접촉선(L)으로부터 횡축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는 중간 직선부(2a)와, 그것과 교차하기 위한 상기 기준 접촉선(L)에 접근하는 한쌍의 경사진 단말부(2b)를 지니고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항 스트립(2)의 경사진 단말부(2b)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판(1)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전극(3)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반면에 그 다른 단말부(2b)는 연결구멍(5)이 상기 기판(1)을 통하여 형성된 단말 연장부(2d)속으로 통합된다. 게다가, 상기 기판(1)의 바닥면은 그 면위에 또 다른 단자전극(3a)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링 전도 패턴(6)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멍(5)의 내부 벽면은 상기 저항 단말 연장부(2d)와 상기 와이어링 전도 패턴(6)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을 이루기 위한 전도체로 코팅되어 있다.
분명히 제3실시예의 히터(H3)는 상기 기준 접촉선(L)에 연결된 저항 단말부(2b)가 상기 기준 접촉선(L)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상기 저항 중간부(2a)보다 더 큰 정도로 시이트 재질(제5도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열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이점이 있다.
[실시예 4]
제6, 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히터(H4)는 제2실시예(제4도)의 것과 비슷하나 하기한 점에서만은 그것과 다르다. 먼저 절연기관(1')는 상기 각각의 단자전극(3)들로부터 밖으로 위치한 한쌍의 초과 단말부(1a')들을 갖도록 만들어져 있다. 각각의 상기 초과 단말부(1a')들을 갖도록 만들어져 있다. 각각의 상기 초과 단말부(1a')들은 마운틴 구멍(7)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두 번째로 각각의 단자 전극(3)은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접촉부재(8)와 접촉하여 이루어져 있다. 립 스프링과 같은 탄성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상기 접촉 부재(8)는 내부적으로 나사산이 나있는 베이스스텝(8b)과 V형 접촉부(8a)를 지니고 있다. 상기 접촉부재(8)는 상기 기판(1')의 그 해당 초과 단말부(1a')상에 고정되어 있고 나사산이 있는 생(shank)(10b)와 헤드(10a)를 갖고 있는 볼트(10)에 의해 전력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력 공급선(9)는 척부(9b)를 갖고 있는 금속 컨넥터 플레이트(9a)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볼트 생크(10b)가 상기 마운틴 구멍(7)을 통하여 접촉부재(8)의 베이스 스텝(8)과 함께 인게이지먼트 속으로 삽인되었을 때 상기 컨넥트 플레이트(9a)는 상기 볼트헤트(10a)와 상기 기판 단말부(1a')사이에 샌드위치 되어 있다. 기판 단말부(1a')와 베이스 스템(8b)사이에 놓여진 스페이서는 11에 표시되어 있다.
기준 접촉선(L)으로부터 저항 스트립(2')의 중간 직선부(2a')를 횡축으로 오프셋팅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상기 이점들 이외에 제4실시예의 히터(H4)는 다음의 추가적인 이점들이 있다.
접촉멤버(8)의 사용 때문에 각각의 단자 전극(3)과 그 해당 전력 공급선(9)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볼트체결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접촉부재(8)가 기판(1')가 해당 초과 단말부(1a')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재(8)는 기판(1')의 열작동이 일어나는 동안에 선형적으로 확장한다. 하더라도 초과단말부(1a')에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슬라이드로 열이 가해지는 동안에 접촉부재(8)와 단자전극(3)사이에 일어나지 않으며 그래서 상기 접촉연결에서의 슬라이드에 의해 일어나게 될 전기적 저항증가(즉 온도증가)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접촉부재(8)와 단자전극(3)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만약 상기 접촉부재가 분리 기계 프레임에 고정되어 그 결과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단자전극 사이에 상대적 슬라이드가 발생하는 것보다 믿을만하게 오래 견디게 해준다.
다른 한편, 단자전극(3)이 납땜을 함으로써 전력 공급선(9)에 곧바로 연결된다면 저항 스트립(2')이 약 200℃의 높은 온도에까지 가열되기 때문에 고용융점 납땜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납땜 작동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하더라도 더 열등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다른 방법으로 전력 공급선(9)에 단자 전극(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도 접착재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납땜보다 전도성이 더 낮기 때문에 상기 전도 접착제는 상기 요구되어지는 열 발생에 해당하는 충분한 전류를 확보하기 위해 단자전극(3)을 완전히 엎을 만큼의 큰 양에 적용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열적 스트레스들이 상기 전도 접착제와 기판(1')(낮은 열팽창계수를 갖고 있는)사이의 열팽창에 있어서의 차이 때문에 전도 접착제에 반복적으로 적용된다. 그 결과 상기 전기적 연결부에 손상을 야기하게 된다.
분명히 접촉부재(8)의 사용은 그 용융점 납땜을 사용하는데 또는 상기 요구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일어나는 문제점들을 완전히 제거한다.
[실시예 5]
제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히터(H5)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히터는 제4실시예(제6,7도)의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사용이 클립타입(clip-type) 접촉부재(8')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만 그것과 다르다. 일반적으로 U자형으로 립스프링을 구부림으로써 만들어진 클립타입 접촉부재(8')는 해당 단자전극(3)과의 접촉을 프레싱하기 위한 굽거나 또는 휜 접촉부(8a')를 지니고 있다. 접촉부재(8')는 기판(1')의 해당 초과단말부(1a')에 형성된 해당 마운틴 구멍(7)에 인게이징한 굽은 정박부(8c')를 더 지니고 있다. 전력 공급선(9)은 저 용융점 납땜을 사용함으로써 접촉부재(8')에 연결되어질 수 있다.
조립하기 위해 접촉부재(8')는 기판(1')의 해당초과 단말부(1a')상에서 맞추기 위해 단지 탄성적으로 열려있는 것만을 요구한다. 따라서 제5실시예의 히터(H5)는 그것을 조립하는데 간편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6]
제9, 10도는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히터(H6)는 제4실시예(제6, 7도)의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다음 점들에서 다르다. 특별히 절연기판(1)는 마운틴 구멍(7)으로 형성된 어떤 초과 단말부(1a)만을 갖도록 만들어져 있다. 기판(1)의 초과 단말부(1a)근처에 위치한 저항 스트립(2)의 단말부(2b')들중 어느 하나는 기판(1)톱표면 상에 형성된 단자전극(3)에 곧바로 연결되어 있다.
다른 한편 저항 스트립(2')의 상대편 단말부(2b')는 기판(1)의 바닥면에 형성된 와이어링 전도 패턴(6a)에 접촉구멍(5a)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접촉구멍(5a)의 내부벽은 전도재료로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링 전도 패턴(6a)는 처음에 언급한 전극(3)과 중첩 관계에 있는 기판(1)의 바닥면 상에서 또 다른 단자전극(3a')에까지 확장된다.
상기 두 개의 단자전극(3. 3a)들은 각각의 접촉 부재(8)들과 프레싱 접촉으로 이루어져 있다. 립 스피링과 같은 탄성적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는 접촉 부재(8)들 각각은 전력공급선(9)과의 연결을 위한 V형 접촉부(8a)와 척부(8d)을 지니고 있다.
각각의 접촉부(8)들은 각각의 스페이서(11')들에 의해 기판(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나 보통 단일 볼트(10')에 의하여 기판(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볼트는 접촉부재(8)들중 어느 하나를 맞물고 있는 헤드(10a')와 절연와셔(13)를 경유하여 상대편 접촉부재와 접하고 있는 너트(12)에 맞물림 되고 있는 나사산 있는 셩크(10b')를 지니고 있다.
분명히, 절연와셔(13)는 상기 두 접촉 부재(8)사이에 전기적 분리를 보장해준다. 그러나 볼트(10')가 비전도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면 상기 와셔(13)는 없어도 된다.
분명히 제6실시예의 히터(H6)는 단일 볼트(10')가 두 접촉 부재(8)를 고정하기 위해 보통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립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많은 방법에서 같은 것이 변화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어떤 히터는 상고정에 덧붙여 열가소성 수지 시이트를 열접착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한 변화들은 본 발명의 뜻과 범위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간주되어 질 수 없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알려진 것들과 비교하여 분명하게될 그러한 모든 변경 수정들이 다음 언급할 특허청구범위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15)

  1. 절연기판 ; 그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상기 기판의 표면위에 형성되어 있는 가열 저항스트립 ; 및 접촉선을 따라 상기 절연기판과 접촉하도록 시이트 재질을 프레싱하는 플래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항스트립은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횡축으로 벗어난 중간부를 가지며, 상기 저항스트립은 상기 접촉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 한쌍의 분기되지 않은 단말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스트립의 중간부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스트립의 각각의 단말부는 경사져 있고, 상기 중간부로부터 뻗어져 나와 상기 접촉선에 점차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스트립의 각각의 단말부는 상기 접촉선을 따라 상기 접촉선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스트립의 직선 단말부 각각은 경사진 전이부를 통하여 상기 중간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스트립은 보호코팅으로 완전히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스트립의 단말부 각각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며, 전력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은 상기 단자 전극에 인접한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싱 접촉부재를 통하여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각 단말부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기판의 연자 단말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볼트체결에 의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기판의 각 단말부에 끼워 맞춰지기 위하여 탄성적으로 열릴 수 있는 클립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스트립의 한쪽 단말부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지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저항 스트립의 다른 쪽 단말부는 처음 언급된 표면 반대쪽인 기판의 다른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전극들은 대응되는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은 상기 전극에 인접한 상기 기판의 반대편 표면에 각각 고정된 프레싱 접촉부재를 각각 통하여 대응하는 전력 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한쪽 단말부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접촉부재들은 상기 기판의 연장된 단말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촉부재들은 단일의 볼트에 의하여 공통으로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재질 가열장치.
KR1019920026338A 1991-12-28 1992-12-28 시이트(sheet)재료 가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70005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359328 1991-12-28
JP3359328A JPH05181374A (ja) 1991-12-28 1991-12-28 加熱ヒ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物の加熱装置
JP03-361518 1991-12-30
JP3361518A JPH05182745A (ja) 1991-12-30 1991-12-30 加熱ヒ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37A KR930012337A (ko) 1993-07-20
KR970005579B1 true KR970005579B1 (ko) 1997-04-18

Family

ID=2658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338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5579B1 (ko) 1991-12-28 1992-12-28 시이트(sheet)재료 가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88973A (ko)
KR (1) KR970005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5162A (ja) * 1992-03-26 1993-10-22 Rohm Co Ltd ライン型加熱体
JP3161114B2 (ja) * 1992-12-29 2001-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装置
JP3245785B2 (ja) * 1994-03-14 2002-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ーおよび接続構造
JP3445035B2 (ja) * 1995-07-28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加熱装置
US5722025A (en) * 1995-10-24 1998-02-24 Minolta Co., Ltd. Fixing device
DE19903590A1 (de) * 1999-01-29 2000-08-03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mit einem Dickschicht-Heiz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6879803B2 (en) * 2003-04-29 2005-04-12 Lexmark International, Inc. Belt fuser for a 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EP1619485B8 (de) * 2004-02-24 2007-10-03 Electrovac AG Temperaturmessfühler
KR101338350B1 (ko) 2007-07-16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히터를 이용한 나노 구조 또는 다결정 실리콘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나노 구조 또는 다결정실리콘 및 이들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101318291B1 (ko) * 2007-07-16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히터 유닛, 마이크로 히터 어레이, 그 제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JP2009064759A (ja) * 2007-09-10 2009-03-26 Rohm Co Ltd ヒータ
WO2009063626A1 (ja) * 2007-11-16 2009-05-22 Panasonic Corporation 発熱体ユニット及び加熱装置
WO2009063643A1 (ja) * 2007-11-16 2009-05-22 Panasonic Corporation 発熱体ユニット及び加熱装置
KR101318292B1 (ko) * 2007-11-30 201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히터, 마이크로 히터 어레이, 그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20110052283A1 (en) * 2008-05-09 2011-03-03 Panasonic Corporation Heat generating unit and heating apparatus
KR20090122083A (ko) * 2008-05-23 200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히터, 마이크로 히터 어레이, 그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090128006A (ko) * 2008-06-10 2009-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히터, 마이크로 히터 어레이, 그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KR20100086799A (ko) * 2009-01-23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히터 및 그 제조 방법
US8644749B2 (en) * 2010-10-08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rface heating type heating unit for fixing device, an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3379681B (zh) * 2012-04-28 2016-03-30 清华大学 加热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470A (en) * 1964-03-24 Electric water heating apparatus
IT985711B (it) * 1973-06-18 1974-12-20 Siv Soc Italiana Vetro Lunotto disappannante a sistema irradiante
DE2644093A1 (de) * 1976-09-30 1978-04-06 Eichenauer Fa Fritz Heizkoerper mit zumindest einer isolierstoffplatte und einer um diese fortlaufend gewundenen wendel
US5068517A (en) * 1988-08-25 1991-11-2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Printed strip heater
US5083168A (en) * 1988-11-15 1992-01-21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and fixing heater for use in the same
JPH048557A (ja) * 1990-04-26 1992-01-1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ヒ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37A (ko) 1993-07-20
US5288973A (en) 199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579B1 (ko) 시이트(sheet)재료 가열장치
EP0360418B1 (en) Strip heater
JPH0529067A (ja) 加熱体の構造及びoa機器の加熱装置
JP2777488B2 (ja) 加熱体の構造及びoa機器の加熱装置
KR860001238Y1 (ko) 고압가변저항기
KR960012761B1 (ko) 시이트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US5343021A (en) Heater mounted on a substrate having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substrate
US5162635A (en) Heater
KR970006298B1 (ko) 화상 가열 장치 및 가열기
US5306898A (en) Heater for sheet material
CA1244144A (en)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device
JPH05283146A (ja) 厚膜抵抗発熱体
JP3582535B2 (ja) 平面ヒータおよび定着装置
JP2740207B2 (ja) 定着用加熱体、定着装置および事務用機器
JPH05181375A (ja) 加熱ヒータ
JP3380583B2 (ja) ヒーター、定着装置および定着装置組込機器
CN119894420A (zh) 便座升温装置
US5068510A (en) Soldering means which has at least one stirrup electrode which can be heated by electrical resistance
JPH08153571A (ja) 加熱体、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8227239A (ja) 熱定着装置
JP2932554B2 (ja) トナー定着用ヒータおよび発熱体の通電発熱方法
JPH0255665A (ja) 電気はんだこて先及び電気はんだ工具
JPH05275160A (ja) 定着ヒーター
JPH03150584A (ja) 定着用ヒータ
JPH11306937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9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92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