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41B1 - Lateral resurfed mosfet - Google Patents
Lateral resurfed mosf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4841B1 KR970004841B1 KR1019890017432A KR890017432A KR970004841B1 KR 970004841 B1 KR970004841 B1 KR 970004841B1 KR 1019890017432 A KR1019890017432 A KR 1019890017432A KR 890017432 A KR890017432 A KR 890017432A KR 970004841 B1 KR970004841 B1 KR 970004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rain
- conductive
- type
- cathod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4
- 241001137251 Corvidae Species 0.000 claims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4—Double-diffused metal-oxide semiconductor [DMOS] FETs
- H10D30/65—Lateral DMOS [LDMOS] FE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28—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double-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DMOS] FETs
- H10D30/028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double-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DMOS] FETs of lateral DMOS [LDMOS] FE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01—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having lightly-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s, e.g. LDD IGFETs or DDD IGFETs
- H10D30/603—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having lightly-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s, e.g. LDD IGFETs or DDD IGFETs having asymmetry in the channel direction, e.g. lateral high-voltage MISFETs having drain offset region or extended drain IGFETs [EDMO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3—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source or drain regions
- H10D62/149—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151—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IGFETs
- H10D62/152—Source regions of DMOS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7—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channel regions
- H10D62/351—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357—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 H10D62/364—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of IGFE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3—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sources, drains, anodes or cathodes
- H10D64/251—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4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 H10D64/5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Landscapes
- Bipolar Transis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도전변조형 MOSFET와 역방향으로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에 대한 등가회로도.1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diode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conventional conductive modulated MOSFET in a reverse direc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에 있어서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the plan view of FIG. 7.
제9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제10도의 평면도에 있어서 ⅩI-ⅩI선에 따른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in the plan view of FIG.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평면도.13 is a plan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0실시예를 기초로 실시가능한 1변형예의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modific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first to t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의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실리콘기관 2 : p형 에피택셜층1: silicon organ 2: p-type epitaxial layer
3 : n형 버퍼층 4 : n-형 드리프트층3: n-type buffer layer 4: n - type drift layer
5 : 게이트절연막 6 : 게이트전극5 gate
8 : P+형 드레인층 9 : N+형 소오스층8: P + type drain layer 9: N + type source layer
10 : 소오스전극 11 : 드레인전극10
13 : n형 캐소드층 14 : n+형 층13: n type cathode layer 14: n + type layer
15 : 캐소드전극 16 : 절연막15
17 : n-형 층 18,19 : 산화막17: n - type layer 18,19: oxide film
20 : 폴리실리콘 100 : 컨덕터20: polysilicon 100: conductor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드레인과 소오스 및 게이트가 반도체기판의 한쪽 표면상에 형성된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in which drains, sources and gat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Traditional Technology and Problems]
드리프트층(drift layer)에 축전된 전자와 정공에 기인하는 도전변조를 이용하는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로서는 「M.Darwish et al.Lateral Resurfed COMFET, Electronics Letters. 7th June 1984, Vol. 20, No.12, pp519-520」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에서는 턴오프 동작시의 스위칭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n형 베이스층에 축적된 캐리어들을 빠르게 제거시켜야 하는 바, 만일 전자가 n형 베이스층으로부터 드레인층으로 빠르게 움직이지 않으면 p형 드레인층과 n형 베이스층 및 p형 베이스층으로 구성되는 pnp형 트랜지스터가 동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많은 양의 테일전류(tail current)가 도전변조형 MOSFET를 통해서 흐르게 되어 턴오프동작시의 스위칭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턴오프동작을 빠르게 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n형 베이스층에서의 캐리어의 수명을 짧게 해 주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턴오프특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소자의 온상태전압이 증가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s a lateral conduction modulation MOSFET using conduction modulation resulting from electrons and holes stored in a drift layer, M. Darwish et al. Lateral Resurfed COMFET, Electronics Letters. 7th June 1984, Vol. 20, No. 12, pp519-520. In this type of lateral conduction modulation MOSFET, carriers accumulated in the n-type base layer need to be removed quickly to increase the switching speed during the turn-off operation. If electrons do not move quickly from the n-type base layer to the drain layer, The pnp type transistor composed of the p-type drain layer, the n-type base layer and the p-type base layer is operated, so that a large amount of tail current flows through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so that during turn-off operation The switching speed will slow down. Therefore, one of the methods to speed up the turn-off operation is to shorten the life of the carrier in the n-type base layer. Although this method can improve the turn-off characteristics, the on-state voltage of the devic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제1도는 종래 다이오드를 역방향으로 MOSFET와 병렬로 접속시킨 도전변조형 MOSFET를 모터구동회로중의 인버터회로로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 회로에서 다이오드를 접속시킨 이유는 모터의 인덕턴스 콤퍼넌트에 저장되는 에너지를 재생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다이오드를 접속시키게 되면 장치의 크기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FIG. 1 shows a case where a conductive modulated MOSFET in which a conventional diode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MOSFET in a reverse direction is used as an inverter circuit in a motor driving circuit. The reason why the diode is connected in this circuit is stored in the inductance component of the motor. To regenerate energy. However, when the diode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device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increased.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 애노드-쇼트구조(anode-short structure)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M.R.Simpson et al.Analysis of Lateral Insulated Gate Transistor IEDM85.pp740∼743」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애노드-쇼트 구조를 사용하면 n형 베이스층에 축적되는 캐리어들을 턴오프동작중에 애노드-쇼트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되어 고속의 스위칭 속도가 얻어지게 된다. 또 애노드-쇼트구조를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다이오드회로를 도전변조형 MOSFET에 통합시킬 수 있게 되어 외부적으로 다이오드를 접속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To solve this problem, an anode-short structure has been proposed, which is disclosed in M.R.Simpson et al. Analysis of Lateral Insulated Gate Transistor IEDM85.pp740-743. Using the anode-short structure enables carriers accumulated in the n-type base layer to be effectively released through the anode-shot portion during the turn-off operation, thereby obtaining a high switching speed. The use of the anode-short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naturally integrate the diode circuit shown in FIG. 1 into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external diode connection.
그런데 애노드-쇼트구조를 사용하면 정공을 p형 드레인층으로부터 n형 베이스층으로 효과적으로 주입시킬 수 없다. 따라서 도전변조의 잇점을 충분히 살릴 수 없으므로 MOSFET의 온상태전압이 바람직스럽지 못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anode-short structure is used, holes cannot be efficiently injected from the p-type drain layer to the n-type base layer. Therefore, the advantage of conduction modulation cannot be fully utiliz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on-state voltage of the MOSFET is undesirably increased.
즉 만족스러운 도전변조를 위해서는 드레인층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n형 베이스층의 횡저항(lateral resistance)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 P+형 드레인층을 애노드-쇼트부까지 확장시켜야 하고, ② n형 베이스층의 불순물농도를 낮춰야 하며, ③ P+형 드레인층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n형 베이스층을 얇게해야 한다.In other words, for satisfactory conductivity modulation, the lateral resistance of the n-type base layer located below the drain layer must be increased. For this purpose, the ⓛ P + -type drain layer must be extended to the anode-short portion, and ② The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type base layer should be lowered, and ③ the n type base layer located below the P + type drain layer should be thinned.
그런데 상기 ①의 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면 도전변조형 MOSFET의 소자영역이 증가되어 버리고, 상기 ② 또는 ③의 조건을 만족시키게 되면 도전변조형 MOSFET의 항복전압이 낮아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f the condition of ① is satisfied, the element area of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is increased. If the condition of ② or ③ is satisfied,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is lowere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전변조형 MOSFET에 애노드-쇼트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턴오프동작시의 스위칭특성을 개선시킬 수는 있지만 온상태전압이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온상태전압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애노드-쇼트구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자영역의 증가 또는 항복전압의 감소를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node-short structure is used in the conventional conductive modulation MOSFET, the switching characteristics during the turn-off operation can be improved, but the on-state voltage inevitably increases.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anode-short structure without increasing the on-state voltage,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crease in the device area or a decrease in the breakdown voltage is inevitable.
[발명의 목적][Purpose of inven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 상술한 애노드-쇼트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결됨은 물론 온상태전압이 낮고 고속의 턴오프특성을 나타내는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horizontally conductive modulated MOSFET that solves the problems caus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anode-short structure and has a low on-state voltage and high-speed turn-off characteristics. The purpose is.
[발명의 구성][Configuration of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형의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는, 제2도전형 베이스층에 제1도전형 드레인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전형 베이스층에 인접해서 제2도전형 캐소드층이 형성되며, 이 캐소드층은 pn접합에 의해 제2도전형 베이스층과 분리되어 있으면서 드레인전극과 동전위로 설정된 캐소드전극과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lateral typ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of the first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ductive type drain layer is formed on a second conductive base layer, and is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conductive base layer. A two-conducting cathode layer is formed,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ductive base layer by pn jun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set on the coin.
또 본 발명의 제2형의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는, 제2게이트전극이 웨이퍼영역과 드레인층의 사이에 삽입된 제2도전형 베이스층의 표면부상에 게이트절연막을 매개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of the second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 gate electrod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base layer inserted between the wafer region and the drain layer via a gate insulating film. .
(작용)(A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형의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에 있어서 실질적인 애노드-쇼트구조는 대전류가 MOSFET를 통해 흐르기 이전에는 형성되지 않는 바, 예컨대 제1도전형을 p형, 제2도전형을 n형이라 가정하고 n형 캐소드층을 n형 베이스층에 인접해서 형성시킨 경우를 생각해 보기로 한다.In the lateral typ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of the first typ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substantial anode-short structure is not formed before a large current flows through the MOSFET. For example, the first conductive type is p type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is n type. Assume that the n-type cathode layer is formed adjacent to the n-type base layer.
이러한 경우에 소자가 턴온되면 n형 소오스층으로부터 n형 베이스층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는 많은 양의 전자가 주입되지 않는 한 p형 드레인층으로 흡수되는데, 이때 드레인층으로부터 n형 베이스층으로 정공이 주입되어 도전변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전류가 증가되어 많은 양의 전자가 주입되게 되면 p형 드레인층으로부터 n형 베이스층으로 주입된 정공을 n형 베이스층으로부터 급격히 방출되어 기판에 축적된다. 그리고 많은 양의 정공이 기판에 축적되면 n형 베이스층으로부터 기관으로 전자가 주입되는 바, 이 전자는 턴오프 동작시에 기판으로부터 드레인층과 동전위로 설정된 캐소드층으로 쉽게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형의 MOSFET에 있어서는 많은 양의 전자가 주입될 때 실질적인 애노드-쇼트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온상태전압이 낮아지고 턴오프특성도 개선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device is turned on, electrons injected from the n-type source layer from the n-type base layer are absorbed into the p-type drain layer unless a large amount of electrons are injected, wherein holes are injected from the drain layer to the n-type base layer. As a result, conductive modulation occurs. When a large amount of electrons are injected to increase the current, holes injected from the p-type drain layer into the n-type base layer are rapidly released from the n-type base layer and accumulated in the substrate. When a large amount of holes are accumulated in the substrate, electrons are injected from the n-type base layer into the engine, and the electrons are easily released from the substrate into the drain layer and the cathode layer set on the coin during the turn-off operation. Therefore, in the MOSFET of the first type described above, a substantial anode-short structure is formed when a large amount of electrons are injected, thereby lowering the on-state voltage and improving the turn-off characteristic.
그리고 제1형의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에 있어서 n형 베이스층과 n형 캐소드층은 pn접합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애노드-쇼트구조를 채용한 경우와 달리 소자의 크기가 증가된다던지 항복전압이 낮아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더욱이 n형 캐소드층과 p형 베이스층간에 등가적으로 pn접합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이 pn접합다이오드는 도전변조형 MOSFET에 역방향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제1형의 도전변조형 MOSFET는 역도통기능도 갖추게 된다.Since the n-type base layer and the n-type cathode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n junction in the first type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the size of the device increases or breaks down unlike the conventional anode-short structure. Problems such as a low voltage are solved. Furthermore, an equivalent pn junction diode is formed between the n-type cathode layer and the p-type base layer, and the pn junction diode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odulation MOSFET in parallel in the opposite direction. MOSFETs will also have reverse conduction.
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형의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에 있어서는 턴오프동작시에 제2게이트전극에 바이어스를 공급하면 제2베이스층의 표면영역에 채널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채널이 형성되면 충분한 양의 캐리어들이 드레인층으로부터 기판영역으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애노드-쇼트구조임에도 불구하고 턴오프동작시에 캐리어의 주입효율은 낮아지지 않으며, 그에 따라 온상태전압도 증가되지 않는다.In the lateral type conductive modulation MOSFET of the second typ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bias is supplied to the second gate electrode during the turn-off operation, a channel is formed in the surface region of the second base layer. Positive carriers can be injected from the drain layer into the substrate region. Therefore, despite the anode-short structure, the injection efficiency of the carrier during the turn-off operation is not lowered, and thus the on-state voltage is not increased.
즉, 본 발명의 제2형의 도전변조형 MOSFET에 의하면 낮은 온상태전압과 만족할 만한 턴오프특성이 성취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type of conductive modulation MOSFE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 on-state voltage and satisfactory turn-off characteristic are achieved.
(실시예)(Example)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제2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전변조형 MOSFET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P+형 또는 n+형 또는 n-형 실리콘기판(1)과 실리콘기판(1)상에 에피택셜성장된 p-형 에픽택셜층(2)으로 이루어진 웨이퍼를 준비하고, 이어 상기 p-형 에피택셜층(2)의 표면영역에 p형 베이스층(7)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 p형 베이스층(7)의 표면영역에 n+형 소오스층(9)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이어 상기 p-형 에피택셜층(2)의 표면영역에 상기 p형 베이스층(7)과 인접되게 n-형 고저항 베이스층(4:드리프트층)과 n형 저저항 베이스층(3; 버퍼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n-형 드리프트층(4)은 p형 베이스층(7)과 n형 버퍼층(3)에 동시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 n형 버퍼층(3)의 표면영역에는 P+형 드레인층(8)이 형성된다. 상기 p형 베이스층(7)의 부분중 상기 n+형 소오스층(9)과 n-형 드리프트층(4)간에 위치하는 부분은 채널영역으로 작용하는데, 이 채널영역상에는 게이트절연막(5)이 형성되고, 이 게이트절연막(5)상에는 게이트전극(6)이 형성된다. 또 소오스전극(10)은 소오스층(9)과 베이스층(7)의 양쪽에 접속되어 있고, 드레인전극(11)은 p+형 드레인층(8)에 접속되어 있다.First, a P + type or n + type or n-type
n형 캐소드층(13)은 p-형 에피택셜층(2)의 표면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n형 버퍼층(3)은 상기 n형 캐소드층(13)과 p형 베이스층(7)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n형 캐소드층(13)은 p-형 에피택셜층(2)에 의해 n형 버퍼층(3)과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n+형 층(14)이 n형 캐소드층(13)의 표면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캐소드전극(15)은 상기 n+형 층(14)과 오믹콘택되어 있다. 또 캐소드전극(15)과 드레인전극(11)은 서로 접속되어 동전위로 설정되어 있다.The n-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전변조형 MODFET의 기본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basic operation of the conductive modulated MODF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전변조형 MOSFET를 턴온시키기 위해 소오스전극의 전위에 비해 정바이어스인 바이어스를 게이트전극(6)에 인가하면 p형 베이스층(7) 표면의 채널영역의 극성이 반전되어 전자가 소오스층(9)으로부터 n-형 드리프트층(4)으로 주입되게 된다. 이러한 전자의 흐름에 의해 전자가 n형 버퍼층(3)을 매개로 p+형 드레인층(8)으로 주입되면 n형 버퍼층(3)과 p+형 드레인층(8)에 의해 형성되는 pn접합은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되게 되는 바, 그에 따라 정공이 p+형 드레인층(8)으로부터 n형 버퍼층(3)을 매개로 n-형 드프리트층(4)으로 주입되며, 이렇게 정공이 주입되면 n-형 드리프트층(4)에서 도전변조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도전변조에 기인해서 n-형 드리프트층(4)의 저항이 줄어들게 되므로 온상태전압이 낮아지게 된다.Applying a bias, which is positive biased to the
이 도전변조형 MOSFET를 통해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p+형 드레인층(8)으로부터 주입된 정공들은 n형 버퍼층(3)과 n-형 드리프트층(4)으로부터 급격히 방출되어 p-형 애피택셜층(2)에 축적되게 되고, 그에 따라 n형 버퍼층(3)내의 전자들도 p-형 에피택셜층(2)으로 주입되어 이 p-형 에피택셜층(2)에서도 도전변조가 일어나게 된다.When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through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holes injected from the p +
게이트전극(6)에 소오스전극(10)의 전위에 비해 부(負)바이어스 또는 0바이어스를 인가하면 게이트전극(6)의 아래에 위치하는 채널반전층이 소실되어 소오스층(9)으로부터의 전자주입이 중단되고, 그에 따라 도전변조형 MOSFET는 턴오프되게 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소자에 있어서는 n형 캐소드층(13)이 p-형 에피택셜층(2)의 표면영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p-형 에피택셜층(2)에 축적되어 있는 전자는 턴오프동작중에 n형 캐소드층(13)을 통해 도전변조형 MOSFET로부터 빠르게 방출되게 된다. 즉 제1실시예의 소자는 실질적으로 애노드-쇼트구조를 구비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되게 되어 턴오프동작시의 스위칭속도가 빨라지게 된다.When a negative or zero bias is applied to the
제1실시예에 따른 소자는 온상태에서 종래의 소자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면서도 애노드-쇼트구조를 채용할 경우의 소자면적의 증대라던지 항복전압의 감소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낮은 온상태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자가 턴오프되면 n형 캐소드층(13)이 실질적인 애노드-쇼트구조로서 작용하므로 고속의 턴오프특성이 얻어지게 된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perates in the same way as the conventional device in the on state, but does not increase the device area or decrease the breakdown voltage when the anode-short structure is employed, and obtains a low on-state voltage. Will be. In addition, whe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ff, the n-
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p형 베이스층(7)과 p-형 에피택셜층(2) 및 n형 캐소드층(13)으로 구성되는 다이오드가 도전변조형 MOSFET에 역방향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 다이오드를 접속시키지 않더라도 역도전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ode composed of the p-type base layer 7, the p − epitaxial layer 2, and the n-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제2도)에 대응되는 부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par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제3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을 설명한다.Firs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3도에 있어서 절연막(16)이 p+형 드레인층(8)의 끝부분과 n+형 층(14)의 끝부분간에 형성되어 n형 버퍼층(3)과 p-형 에픽택셜층(2) 및 n형 캐드층(13)을 덮고 있고, 드레인전극(11)과 캐소드전극(15)을 일체화시킨 컨덕터(100)가 절연막(16)상에 형성되어 있다.In FIG. 3, an insulating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n-형 드리프트층(4)은 p형 베이스층(7)과 접속되지 않고 실제로는 p형 베이스층(7)과 아주 조금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4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n −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판(1)과 이 반도체기판(1)상에 에피택셜성장된 p-형 에피택셜성장층(2) 및 이 p-형 에피택셜성장층(2)상에 에피택셜성장된 고저항 n-형 층(17)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웨이퍼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n-형 층(17)이 충분한 고저항을 유지하는 한 n형 캐소드층(13)과 n형 버퍼층(3)은 실질적으로 서로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본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한 잇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n-형 층(17)은 불순물확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5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전체에 의해 2부분으로 분리된 웨이퍼를 사용한다. 즉 제6도에 있어서 산화막(18)의 윗부분은 제1실리콘기판이고, 산화막(18)의 아랫부분은 제2실리콘기판(21)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실리콘기판의 표면은 경면연마되어 있다. 절연막으로서 기능하는 산화막(18)은 경연연마된 제1 및 제2실리콘기판의 표면사이에 위치하는 바, 이 산화막(18)을 중간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실리콘기판은 직접접합기술에 의해 일체화된다.FIG. 6 show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wafer separated into two parts by a dielectric is used. That is, in FIG. 6, the upper portion of the oxide film 18 is the first silicon substr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xide film 18 is the second silicon substrate 21. In FIG.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substrates are mirror polished. An oxide film 18 functioning as an insulating film is located between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substrates that have been polished, and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substrates are directly bonded in the state where the oxide film 18 is sandwiched between them. Are integrated by.
제1실리콘기판에는 소자분리영역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홈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홈의 내벽에는 산화막(19)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내에는 폴리실리콘(20)이 매립되어 있다. 또 유전체에 의해 2부분으로 분리된 이러한 형태의 웨이퍼는 폴리실리콘기판중에 단결정실리콘을 매립하는 등의 방법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silicon substrate is provided with a groove used for forming an element isolation region. An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도전변조형 MOSFET의 요부 단면구조만을 도시하였지만,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인 레이아우트 및 단면구조를 도시하기로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main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is shown, but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more specific layout and cross-sectional structure will be shown.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제6실시예에 따른 도전변조형 MOSFET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도전변조형 MOSFET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변형시킨 것이다.7 and 8 show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modified to actually use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제6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전극(6)은 타원형 링(ring)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게이트전극(6)의 안쪽에는 p형 드레인층(8)이 타원형 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게이트전극(6)의 바깥쪽에는 n형 소오스층(9)이 역시 타원형 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n형 캐소드층(13)은 섬(island)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드레인층(8)으로 둘러싸여 있다. 한편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소자는 스트라이프(stripe)형태로 배열된 1개의 단위소자만을 나타낸 것이고, 실제의 소자에서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구조를 갖춘 복수의 단위소자가 배열되어 사용되게 된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제9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제6실시예를 변형해서 얻어진 것인 바, 여기서는 드레인층(8)으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복수의 캐소드층(13a,13b,…)이 위치되어 있다.FIG. 9 show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btained by modifying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S. 7 and 8, in which a plurality of regions within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제6실시예와 드레인과 소오스간의 관계를 반대로 설정한 것이다. 특히 n형 소오스층(9)과 n형 캐소드층(13)이 타원형 링의 형태로 형성된 p형 드레인층(8)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10 and 11 show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in and the source and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S. 7 and 8 are reversed. In particular, the n-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제9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제8실시예를 변형한 것이다.FIG. 12 shows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modifica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1.
제9실시예에 있어서 단위소자는 소오스층(9)과 드레인층(8) 및 게이트층(6)으로 이루어지고 타원형 링의 형태로 형성된 단위소자는 웨이퍼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단위소자의 바깥쪽에 위치된 직선부에만 n형 캐소드층(13)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ninth embodiment, the unit device is composed of the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는 상기 제12도에 도시된 제9실시예를 조금 더 변형시킨 것으로, 여기서는 복수의 캐소드층(13a,13b,13c,13d)이 단위소자를 둘러싸도록 배열되어 있다.FIG. 13 shows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urther modification of the ninth embodiment shown in FIG. 12, where a plurality of cathode layers 13a, 13b, 13c, and 13d are provided. It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unit element.
이상 설명한 제6 내지 제10실시예(제7도 내지 제13도)에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5실시예에서 얻은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sixth to tenth embodiments (Figs. 7 to 13) described above, the same effects as those obtained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obtained.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을 여러 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는 바, 제14도는 이러한 변형예를 도시해 놓은 것이다. 즉,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B에 종래의 소자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웨이퍼의 영역 A에 본 발명에 따른 소자를 형성해도 된다. 또 반도체웨이퍼를 에피택셜성장된 웨이퍼로 한정할 필요는 없고 FZ웨이퍼나 CZ웨이퍼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각 층의 전도형을 반대로 도전형으로 설정해도 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FIG. 14 shows such modifications. That is, the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region A of the wafer while the conventional element is formed in the region B as shown in FIG. The semiconductor wafer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epitaxially grown wafers, and FZ wafers or CZ wafers can also be used. Moreover, you may set the conductivity type of each layer mentioned above as a conductivity type conversely.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는 제1게이트전극(6)과 제2게이트전극(23)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1게이트전극(6)과 게이티 절연막(5)을 매개로 p형 베이스층(7)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제2게이트전극(23)은 게이트절연막(22)을 매개로 드레인층(8)과 캐소드층(14)간의 웨이퍼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패턴은 제7도와 제9도에 도시된 패턴과 마찬가지로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1실시예는 제2게이트전극(23)의 표면을 절연막으로 피복하고, 제2게이트전극(23)상에 형성된 절연막위에 드레인전극(11)과 캐소드전극(15)을 일체화시켜 형성하는 변형도 가능하다.FIG. 15 shows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2 except for the
제11실시예에 따른 도전변조형 MOSFET의 기본적인 동작은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제11실시예에 따른 도전변조형 MOSFET를 턴온시키기 위해 드레인전극(11)에 공급되는 전압에 비해 부의 전압인 전압을 제2게이트전극(23)에 공급하면 제2게이트전극(23)의 아랫쪽에 위치한 n형 버퍼층(3)의 표면영역에 반전층이 발생되어 채널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면 정공이 드레인층(8)으로부터 p-형 에피택셜층(2)으로 곧바로 주입되어 도전변조효과가 증대되며, 그에 따라 온상태전압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전변조형 MOSFET를 턴오프시키려면 제2게이트전극(23)에 정(正)의 전압이나 0의 전압을 공급하면 된다.The basic operation of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In order to turn on the conductive modulated MOSFET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when a voltage that is negative compared to the voltage supplied to the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실시예는 앞의 실시예에 비하여 애노드-쇼트 구조를 드레인층(8)에 대해서 적용한 점이 다르다. 특히 드레인전극(11)이 일부분이 교트-회로부(24)로서 n형 버퍼층(3)과 접속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2실시예에서는 캐소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2게이트전극(23)이 드레인층(8)과 p-형 에피택셜층(2)사이에 삽입된 n형 버퍼층(3)의 표면영역에 게이트절연막(22)을 매개로 형성되어 있다.FIG. 16 shows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iffer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anode-short structure is applied to the
제12실시예에 따른 도전변조형 MOSFET를 턴온시키려면 제15도에 도시된 제11실시예와 같이 제2게이트전극(23)에 부의 바이어스를 인가해 주면 된다. 이러한 바이어스를 인가해 주게 되면 정공이 제2게이트전극(23)의 아랫쪽에 위치한 n형 버퍼층(3)의 표면영역에 형성된 채널영역을 통해서 드레인층(8)으로부터 p-형 에피택셜층(2)으로 주입되어 도전변조효과가 증진되게 된다. 또한 본 제12실시예에 있어서는 n형 버퍼층(3)과 n-형 드리프트층(4) 및 p-형 베이스층(7)으로 구성되는 pn접합다이오드에 의해 역도전기능도 실현할 수 있게 된다.To turn on the conductive modulation MOSFET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a negative bias is applied to the
상술한 제12실시예의 도전변조형 MOSFET에 있어서는 애노드-쇼트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예컨대 드레인으로부터의 정공주입률의 감소 등의 문제점을 제1시예와는 다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ductive modulated MOSFET of the twelfth embodiment, problems such as the reduction of the hole injection rate, for example, from the drain caused by using the anode-short structure, can be solved by a method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 실시예는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제11 및 제12실시예를 결합시킨 것이다. 이 제13실시예에서도 앞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므로 그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17 shows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bines the eleventh and twelfth embodiments shown in FIGS. In this thirteen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can be obtained, so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omitted.
한편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구성요소에 병기한 도면에 대응하는 참조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한정할 의도로 병기한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numerals corresponding to the drawings written i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laims ar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no.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횡형 도전변조형 MOSFET에 있어서 소자면적의 증대라던지 항복전압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온상태전압을 낮출 수 있고 고속의 턴오프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역도전기능을 갖춘 도전변조형 MOSFET를 실현할 수도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increase the device area and to lower the breakdown voltage in the horizontal conductive modulated MOSFET, but also to lower the on-state voltage and to obtain a high-speed turn-off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nductive modulated MOSFET with reverse conduction.
Claims (2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0171888 | 1988-11-29 | ||
JP63-301718 | 1988-11-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8690A KR900008690A (en) | 1990-06-03 |
KR970004841B1 true KR970004841B1 (en) | 1997-04-04 |
Family
ID=1790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7432A KR970004841B1 (en) | 1988-11-29 | 1989-11-29 | Lateral resurfed mosfe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724204B2 (en) |
KR (1) | KR97000484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7186A (en) * | 1987-02-26 | 1993-08-17 | Kabushiki Kaisha Toshiba | Conductivity-modulation 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single gate structure |
KR100340925B1 (en) * | 2000-11-04 | 2002-06-20 | 오길록 | Rf powe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JP5432750B2 (en) * | 2010-02-01 | 2014-03-05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1989
- 1989-05-17 JP JP1123601A patent/JP272420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1-29 KR KR1019890017432A patent/KR97000484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8690A (en) | 1990-06-03 |
JPH02224274A (en) | 1990-09-06 |
JP2724204B2 (en) | 1998-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68700A (en) | Lateral conductivity modulated mosfet | |
US5070377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3325736B2 (en) |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 |
US6781200B2 (en) |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for realizing low gate capacity and a low short-circuit current | |
US6066863A (en) | Lateral semiconductor arrangement for power IGS | |
KR100398532B1 (en) | Insulated gate transistor | |
US4717940A (en) | MIS controlled gate turn-off thyristor | |
US5089864A (en) | Insulated gate type semiconductor device | |
EP0697739B1 (en)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 |
JP2663679B2 (en) | Conductivity modulation type MOSFET | |
US20020053717A1 (en) | Semiconductor apparatus | |
JPH04146674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 |
US4881112A (en) | IC with recombination layer and guard ring separating VDMOS and CMOS or the like | |
KR100278526B1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H07169868A (en) | Circuit pattern having at least one bipolar powe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JPH03194974A (en) | Mos type semiconductor device | |
US5808345A (en) | High speed IGBT | |
JPH04261065A (en) | semiconductor equipment | |
US4935799A (en) | Composite semiconductor device | |
US6111278A (en) |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discontinuous emitter regions therein for inhibiting parasitic thyristor latch-up | |
US5336907A (en) | MOS gate controlled thyristor having improved turn on/turn off characteristics | |
KR970004841B1 (en) | Lateral resurfed mosfet | |
JP3111725B2 (en) | Dual gate semiconductor device | |
JPH10150193A (en) | High withstand voltage semiconductor device | |
JPH08130312A (en) | Horizontal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1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6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2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7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