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4725B1 - Ice storage, distribution unit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Ice storage, distribution unit and its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25B1
KR970004725B1 KR1019890700486A KR890700486A KR970004725B1 KR 970004725 B1 KR970004725 B1 KR 970004725B1 KR 1019890700486 A KR1019890700486 A KR 1019890700486A KR 890700486 A KR890700486 A KR 890700486A KR 970004725 B1 KR970004725 B1 KR 97000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vessel
liquid
storage
slur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700834A (en
Inventor
엘. 골드스타인 블라디미르
Original Assignee
선웰 엔지니어링 컴패니 리미티드
블라디미르 엘, 골드스타인
죤 로버트 스콜리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225,711 external-priority patent/US4912935A/en
Application filed by 선웰 엔지니어링 컴패니 리미티드, 블라디미르 엘, 골드스타인, 죤 로버트 스콜리 오렌지 filed Critical 선웰 엔지니어링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0070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25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1/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ice
    • F25C2301/002Producing ice slur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An ice storage and distribution unit includes an ice storage and separation vessel (12) for storing a slurry of ice and solution and separating the ice from the solution. An inlet slurry of ice and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ice storage and separation vessel (12) through an ice slurry inlet (14). The slurry separates into a bed of ice (17) and a liquid bath of solution (19) in the vessel (12). An agitator (30) is disposed within the vessel (12) for agitating the bed of ice (17) to obtain substantially free-flowing ice. Ice is then discharged from the vessel (12) through an ice outlet (40).

Description

[발명의 명칭][Name of invention]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 및 그 방법Ice storage an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 ice storage and distribution device.

제2도는 제1도 얼음 정장 및 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2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G. 1 ice suit and dispenser.

제3도는 제1도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3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G. 1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제4도는 제1도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4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G. 1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제5도는 얼음 및 염수 슬러리를 저장하고 운송하는 장치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 apparatu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ice and brine slurries.

제6도는 얼음 및 물 슬러리를 저장하고 운송하는 제5도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6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FIG. 5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ice and water slurries.

제7도는 얼음, 염수 및 물 슬러리를 저장하고 운송하는 제5도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7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FIG. 5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ice, brine and water slurries.

제8도는 얼음, 염수 및 물 슬러리를 저장하고 운송하는 제5도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8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FIG. 5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ice, brine and water slurries.

제9도는 제1도 내지 제8도 장치에 사용되는 블레이드 조립체의 부분측횡단면도.9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ade assembly used in the device of FIGS. 1-8.

제10도는 제9도의 블레이드 조립체의 저면도.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blade assembly of FIG.

제11도는 제1도 내지 제8도의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블레이드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측면도.11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blade assembly for use with the apparatus of FIGS. 1-8.

제12도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12 is another embodiment of an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제13도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13 is another embodiment of an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기술 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배경 기술]Background Technology

종래에는 파이프를 통해 얼음을 공기와 함께 불어서 드라이(dry)입자 형태로 운송하였다. 그러한 입자는 입자의 중량이 감소되어 그 응괴(conglomeration)가 방지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물의 함량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완전한 드라이얼음 입자를 얻는 것이 어렵고, 그래서 얼음 입자는 무거워지고 응괴되어 큰 얼음 입자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입자 운송시에 에너지 요구량이 높게되어, 운송 파이프가 막힐 수가 있다.Conventionally, ice is blown with air through a pipe and transported in the form of dry particles. It is essential that such particles have a water content that is low enough that the weight of the particles can be reduced so that conglomeration can be prevented. It is difficult to obtain complete dry ice particles, so ice particles tend to be heavy and agglomerate to form large ice particles. Therefore, the energy demand at the time of particle transportation becomes high and a transportation pipe may be clogged.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제거하고 완화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and alleviate the above drawbacks.

따라서,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장치는, 용액 및 얼음의 슬러리를 저장하고 얼음을 용액에서 분리하는 얼음 장치 및 분리 용기를 포함한다. 용액 및 얼음의 유입 슬러리는 얼음 슬러리 유입구를 통해서 얼음 저장 및 분리 용기로 유입된다. 슬러리는 용기내에서 얼음의 베드와 용액의 액체 중탕으로 분리된다. 얼음의 베드 표면을 깎아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흐르는 얼음을 얻기 위해서 용내 내에 교반기가 설치된다. 얼음은 얼음 유출구를 통해 용기에서 방출된다.Thus,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ing an ice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comprises an ice device and a separating vessel for storing a solution and a slurry of ice and separating the ice from the solution. Inflow slurry of solution and ice is introduced into the ice storage and separation vessel through the ice slurry inlet. The slurry is separated in a vessel into a bed of ice and a liquid bath of solution. An agitator is installed in the chamber to shave the bed surface of ice to obtain ice that flows substantially freely. Ice is discharged from the vessel through the ice outle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얼음을 저장하고 분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용액 및 얼음의 유입 슬러리를 저장 및 분리 영역으로 유입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슬러리는 얼음 베드와 액체 중탕으로 분리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ovides a method of storing and dispensing ice, includes introducing a slurry of solution and ice into the storage and separation zone. The slurry is separated into an ice bed and a liquid bath.

얼음은 교반 영역에서 교반되어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흐르게 된다. 그후 얼음은 교반 영역으로부터 방출된다.The ice is stirred in the stirring zone and flows substantially freely. Ice is then released from the stirring zone.

본 발명에서는 얼음이 저장되어 필요시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염수(brine) 및 얼음의 슬러리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얼음은 대량의 물을 저장해야 할 필요없이 저장가능할뿐 아니라, 여전히 운송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얼음 저장 및 분배 방법은 적은 에너지를 사용해서 얼음을 운송할 수 있게 하고, 종래 기술의 방법보다 얼음 운송 파이프가 막히게 되는 경향이 낮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lurry of brine and ice may be separated so that ice may be stored and easily transported when necessary. In addition, ice is not only storeable without having to store large amounts of water, but still transportable. In addition,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transport ice using less energy and has a lower tendency for the ice transport pipes to become clogged than the prior art methods.

또한 저장 용기의 얼음 유입구가 분리 용기의 얼음 유출구에 접속되는 저장 용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된 얼음 및 염수는 저장 용기의 얼음 유입구를 통해 저장 용기로 유입된다. 교반된 얼음은 저장 용기내에서 얼음의 배드를 형성하고, 함유된 염수는 부분적으로는 얼음의 베드로부터 배수된다. 액체를 저장 용기내로 유입하기 위해 제2저장 용기 액체 유입구가 구비된다. 또한, 얼음의 베드를 교반하기 위해 교반 수단이 저장용기 내에 구비된다. 액체를 배수하기 위해 저장 용기의 기저부내에 배수구가 구비된다. 그안에 얼음 운송 수단이 위치되는 제2얼음 유출구가 교반 수단에 인접하게 위치한다.It is also preferred to have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ic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ice outle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The stirred ice and brine enter the storage vessel through the ice inlet of the storage vessel. The stirred ice forms a bed of ice in the storage vessel, and the brine contained is partially drained from the bed of ice. A second storage vessel liquid inlet is provided for introducing liquid into the storage vessel. In addition, stirring means are provided in the reservoir for stirring the bed of ice. A drain is provided in the base of the reservoir for draining the liquid. In it a second ice outlet on which the ice transport means is located is located adjacent to the stirring means.

본 발명의 방법은 1985년 11월 5일자의 미합중국 특허 제4,551,159호(골드스타인) 및 1985년 5월 30일자의 미합중국 특허 제739,225호(골드스타인)에 기재된 얼음 제조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상기 양 특허의 내용을 참고 문헌으로서 본 출원에 병합한다. 이러한 얼음 제조 장치는 염수내에 미립자의 얼음 슬러리를 생성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with the ice making apparatus described in U.S. Patent No. 4,551,159 (Goldstein) of 5 November 1985 and U.S. Patent No. 739,225 (Goldstein) of May 30, 1985. It may be advantageous and the contents of both pat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is ice making device produces an ice slurry of particulates in the brine.

[최적 모우드][Optimum Mode]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얼음 저장 장치(10)는 저장 및 분리 용기(12)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슬러리 유입구(14)가 용기(12)의 기저부(16) 근처에 위치하며, 얼음 제조장치 혹은 얼음 발생장치(18)를 용기(12)에 접속한다. 또한 용기(12)의 기저부(16)에는 한쌍(21,22)의 액체 유출라인(20)이 있고, 그중 하나의 유출라인(21)은 배수구에 이르고, 다른 유출라인(22)은 염수 유입구(23)에 접속되어 얼음 발생장치(18)의 유입구(24)에 이른다. 슬러리 유입구(14)위에는 보충 물 유입구(25)가 있어 보충되는 물을 용기(12)내로 흐르게 한다.Referring first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ice storage device 10 includes a storage and separation vessel 12. A slurry inlet 14 is located near the base 16 of the vessel 12 and connects an ice maker or ice generator 18 to the vessel 12. There is also a pair of liquid outlet lines 20 at the base 16 of the vessel 12, one outlet line 21 of which leads to a drain, and the other outlet line 22 is a brine inlet ( It is connected to 23 and reaches the inlet 24 of the ice generator 18. Above the slurry inlet 14 is a replenishment inlet 25 to allow the replenished water to flow into the vessel 12.

용기(12)의 상단부(26)에는 레벨조정장치(28)가 있고, 이 레벨조정장치(28)에 인접하여 블레이드 조립체(30)가 있으며, 이 블레이드 조립체는 회전축(34)위에 장착된 세 개의 블레이드(32)로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축(34)은 용기(12)의 상부(36)를 통해 뻗어서 모우터(38)에 접속된다.At the upper end 26 of the vessel 12 there is a leveling device 28, adjacent to the leveling device 28, which has a blade assembly 30, which is mounted on three axes of rotation 34. It consists of a blade (32). This axis of rotation 34 extends through the top 36 of the vessel 12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38.

블레이드(32)에 인접하여 얼음 유출구(40)가 있다.Adjacent to the blade 32 is an ice outlet 40.

염수 공급 파이프(42)는 일단이 용기(12)에 접속되고, 얼음 유출구(40)에 타단이 접속된다. 얼음 유출구는 분배 파이프(46)에 접속된 펌프(44)에 이른다. 재순환 파이프(48)는 일단이 분배 파이트(46)에 접속되고, 타단이 용기(12)에 접속된다.One end of the salt water supply pipe 42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1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ice outlet 40. The ice outlet leads to a pump 44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46. The recirculation pipe 48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46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12.

이하 제1도를 참고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얼음 입자 및 염수 용액의 슬러리가 얼음 발생장치(18)에서 발생되어, 슬러리 유입구(14)를 통해 저장 및 분리용기(12)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얼음 발생장치(18)가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739,225호에 기재되어 있다.The operation of the devic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lurry of ice particles and brine solution is generated in the ice generator 18 and introduced into the storage and separation vessel 12 through the slurry inlet 14. Such an ice generator 18 is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739,225.

얼음 및 용액은 용기내에서 얼음 베드(17) 및 액체 중탕(19)으로 분리된다. 액체 중탕으로부터의 액체는 얼음 발생장치(18)로 재순환되어 추가적인 슬러리를 발생하거나 또는 배수된다. 얼음이 계속적으로 발생되어 용기내에 공급되므로, 용기 내에 얼음 베드가 만들어 진다. 레벨 검출기는 용기내에서 얼음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충분한 보충 물이 보충 물 유입구(25)에 가해져서 얼음 베드를 블레이브(32)의 레벨로 유지된다.Ice and solution are separated into ice bed 17 and liquid bath 19 in the vessel. Liquid from the liquid bath is recycled to the ice generator 18 to generate or drain additional slurry. As ice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fed into the container, an ice bed is created in the container. A level detector i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ice in the vessel and sufficient replenishment is applied to the replenishment inlet 25 to maintain the ice bed at the level of the blade 32.

블레이드(32)를 모우터(38)로 회전시켜, 얼음 베드의 표면을 깎아낸다.The blade 32 is rotated by the motor 38 to scrape off the surface of the ice bed.

깎아낸, 실질적으로 액체와 유리된 얼음이 얼음 유출구(40)를 통해 방출되어, 염수 공급 파이프(42)를 통해 액체 중탕으로부터의 액체와 혼합된다. 얻어진 슬러리는 펌프(44)를 통과하여, 순환 파이프(48)를 통해 용기(12)로 재순환 된다. 재순환된 얼음은 용기내에 남아 있던 더 큰 얼음 입자와 응결하여 더 크게 즉 더욱 용이하게 배수되는 얼음 입자로 된다. 얼음을 필요로 한다면, 얼음은 재순환 파이프(48)를 통해 용기로 재순환되지 않고, 대신에 분배 파이프(46)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직접 보내진다.The crushed, substantially liquid and freed ice is discharged through the ice outlet 40 and mixed with the liquid from the liquid bath through the brine feed pipe 42. The resulting slurry passes through a pump 44 and is recycled to the vessel 12 via a circulation pipe 48. The recycled ice condenses with the larger ice particles remaining in the container, resulting in larger, more easily drained ice particles. If ice is required, the ice is not recycled to the vessel via the recirculation pipe 48 but instead is sent directly to the desired location via the distribution pipe 46.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번호에 A를 붙여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및 작동 방법은 염수 대신에, 청수 파이프(50)를 통해 얼음 유출구(40A)내의 얼음에 청수(fresh water)를 적절히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제1도와 마찬가지이다. 선택적으로, 청수는 또한 노즐을 통해 용기 내의 얼음 베드의 표면 위에 분무되어 얼음 베드에 함유된 어떠한 염수도 씻어낸다.FIG. 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Components similar to thos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letter A. FIG. In this embodiment, th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are the same as in FIG. 1 except that fresh water is properly added to the ice in the ice outlet 40A via the fresh water pipe 50 instead of the brine. Optionally, fresh water is also sprayed through the nozzle onto the surface of the ice bed in the vessel to wash off any brine contained in the ice bed.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이한 번호에 ' 를 붙여서 명확하게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및 작동 방법은, 염수 및 청수가 염수 공급 파이프(42')와 청수 파이프(50')를 통해 얼음 유출구(40')내의 얼음에 각각 첨가되는 것 이외에는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청수 파이프(50')와 염수 공급 파이프(42')는 펌프(44')에서 얼음 유출구(40)에 반대로 방출되도록 접속되는 것이 좋다.FIG. 3 shows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Components similar to thos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re clearly marked with the same numeral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are shown in FIGS. 1 and 3 except that brine and fresh water are added to the ice in the ice outlet 40 ', respectively, via the brine supply pipe 42' and the fresh water pipe 50 '. Similar to FIG. Although not shown, the fresh water pipe 50 'and the brine supply pipe 42' are preferably connected so as to be discharged from the pump 44 'to the ice outlet 40 oppositely.

제4도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번호에 B를 붙여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및 작동 방법은, 유출구(40B)가 슬러리로서 펌핑되는 것이 아니라 중력에 의해 콘테이너(52)로 직접 방출되는 방식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와 유사하다.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vice. Components similar to thos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B.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FIG. 1 except that the outlet 40B is not pumped as a slurry but is discharged directly into the container 52 by gravity.

제5도에 있어서, 얼음 발생 장치(111)는 원형 횡단면의 분리 용기(110)와 장방향 횡단면의 저장 용기(112)로 구성된다.In FIG. 5, the ice generating device 111 is composed of a separating vessel 110 in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storage vessel 112 in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배수구(114)는 분리 용기(110)의 기저부(113)에 위치되고 직경으로 대향한 한쌍의 보충 액체 유입구(116)가 배수구 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유입구(116)는 용기(110)에 비교적 접선적으로 향한다. 보충 물 라인(115)이 유입구(116)에 접속되고, 예냉 부재(117)가 보충 물 라인에 위치되어, 보충 물을 사전 냉각한다.The drain 114 is located at the base 113 of the separation vessel 110 and a pair of make-up liquid inlets 116 opposed in diameter are located above the drain. This inlet 116 is relatively tangentially directed to the vessel 110. A refill water line 115 is connected to the inlet 116 and a precooling member 117 is located in the refill water line to precool the refill.

보충 액체 유입구(116) 아래에서 용기(110)를 가로질러 뻗는 수평 파이프(120)와 그것에서 뻗은 한쌍의 라이저(122))(riser)를 구비하는 제1얼음 및 염수 유입구(118)가 용기(110) 내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라이저들은 그 상단(126)내에 개구(124)를 가져서, 그 개구를 통해 얼음 및 염구가 용기(110)로 들어간다. 용기(110)내의 얼음 및 액체의 레벨이 예비설정 높이에서 유지되도록 레벨 제어 장치(128)가 유입구에 결합된다. 레벨을 조정하도록 타이머 제어 장치(119)가 사용될 수 있다.Below the replenishment liquid inlet 116 a first ice and brine inlet 118 having a horizontal pipe 120 extending across the vessel 110 and a pair of risers 122 extending therefrom is provided. 110)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These risers have an opening 124 in the top 126 through which the ice and salt balls enter the container 110. A level control device 128 is coupled to the inlet so that the level of ice and liquid in the vessel 110 is maintained at a preset height. The timer control device 119 can be used to adjust the level.

라이저(122)위에는 블레이드 조립체(130)가 위치되고, 이러한 조립체(130)는 회전축(132)에 장칙된 세 개의 절삭 블레이드(131)로 구성되며, 이러한 회전축(132)은 용기(110)의 상부(133)를 통해 뻗어서 접속되며 용기(110)외측에 위치된 모우터(134)에 의해 회전가능하다.Above the riser 122 is a blade assembly 130, which is composed of three cutting blades 131 mounted on a rotating shaft 132,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10. It extends through 133 and is rotatable by a motor 134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110.

제1얼음 유출구(136)가 블레이드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이러한 유출구(136)는 저장 용기(112)의 상부(138)에 접속된다. 저장용기(112)의 기저부(140) 내에는 복수의 교반기(142)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반기(142)는 저장 용기 외측에 위치된 각각의 모우터(144)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다. 토오크 측정 장치(149)가 교반기(142)상의 토오크를 측정하도록 사용되고, 토오크가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추가적인 보충 물을 라인(152)을 통해 첨가하여 얼음 베드의 레벨을 상승시킨다. 교반기(142) 아래에는 오오거(145)(augur)가 내부에 위치된 제2얼음 유출구(143)가 있다. 레벨검출기(146)는 저장 용기(112)의 기저부(140) 근처에 위치되어, 저장 용기(112)내의 액체 레벨을 검출한다. 이러한 레벨 검출기는 배수 파이프(147)와 결합한다. 저장용기(112)의 기저부(140)내의 레벨 검출기(146)에 인접해 배수구(148)가 있다. 재순환 라인(150)은 일단이 배수구(148)에 접속되고, 타단이 저장 용기(112)의 상부(158)에 접속된다. 펌프(151)는 재순환 라인(151)내에 위치되어 배수구(148)로부터 저장용기(112)의 상부까지 액체를 펌핑한다.A first ice outlet 136 is located adjacent the blade, which outlet 136 is connected to the top 138 of the storage container 112. A plurality of agitators 142 are installed in the base 140 of the storage container 112. These stirrers 142 are each rotatable by respective motors 144 located outside the storage vessel. Torque measuring device 149 is used to measure the torque on stirrer 142, and if the torque is above a predetermined level, additional replenishment is added via line 152 to raise the level of the ice bed. Below the stirrer 142 is a second ice outlet 143 with an auger 145 located inside. The level detector 146 is located near the bottom 140 of the storage container 112 to detect the liquid level in the storage container 112. This level detector is coupled with the drain pipe 147. Adjacent to the level detector 146 in the base 140 of the reservoir 112 is a drain 148. The recirculation line 1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148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158 of the storage container 112. Pump 151 is located in recirculation line 151 to pump liquid from drain 148 to the top of reservoir 112.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보충 액체는 보충 액체 유입구(116)를 통해 분리 용기(110)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유입구가 접선 방향으로 배향되므로 보충액체가 탱크로 들어갈때 소용돌이 치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737,22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얼음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미세한 얼음 입자 및 염수의 슬러리가 제1얼음 및 염수 유입구(118)를 통해 분리 용기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얼음은 분리 용기(110)내에 조밀한 균일층을 형성하고, 약간의 염수만 통과해서 배수될 수 있다. 그래서 얼음층은, 보충 물에 의해 얼음층위에 가해진 압력 때문에 보충된 물 위에 유지된 피스톤을 형성한다.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as follows. The replenishment liquid is continuously supplied into the separation vessel 110 through the replenishment liquid inlet 116. Since the inlet is tangentially oriented, the replenishment liquid swirls as it enters the tank. Slurry of fine ice particles and brin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as described in US Pat. No. 737,225 is continuously fed into the separation vessel through the first ice and brine inlet 118. The ice forms a dense homogeneous layer in the separation vessel 110 and can be drained through only a small amount of brine. The ice layer thus forms a piston held on the supplemented water because of the pressure exerted on the ice layer by the supplement.

보충 물과 얼음 및 염수 슬러리는 분리 용기(110)에 연속적으로 첨가되어 블레이드(131)의 레벨에서 얼음층을 유지한다. 블레이드(131)는 연소적으로 작동되어 얼음층의 상면을 깎아낸다. 깎아낸 얼음 및 염소는 제1얼음 유출구(136)를 통해 저장 탱크(110)로 공급된다.Supplemental water and ice and brine slurry are continuously added to the separation vessel 110 to maintain the ice layer at the level of the blade 131. The blade 131 is combustively operated to shave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layer. The crushed ice and chlorine ar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110 through the first ice outlet 136.

얼음의 결정 구조가 블레이드의 절단 작용에 의해 변경되어, 더욱 큰, 즉 더욱 용이하게 배수되는 얼음 결정이 저장 용기(112)내에서 얻어진다. 깎인 얼음 입자가 저장용기(112)에 떨어지기 때문에, 함유된 염수가 그것에서부터 배수된다. 저장 용기내에서는 깎인 얼음 입자가 다른 얼음 입자와 동결하여 더 큰 얼음 입자를 형성한다. 얼음에서 배수된 염수는 배수구(148)로 떨어지고, 얼음은 저장 용기(112)내에 저장된다.The crystal structure of the ice is changed by the cutting action of the blade so that larger, ie more easily drained ice crystals are ob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112. Since the shaved ice particles fall into the reservoir 112, the contained brine is drained therefrom. In storage containers, the shaved ice particles freeze with other ice particles to form larger ice particles. The brine drained from the ice falls into the drain 148 and the ice i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112.

얼음을 운송하기를 원하는 경우, 배수된 염수는 재순환 라인(150)을 통해 용기(112) 상부로 재순환된다. 또한 부가적인 염수가 염수 유입구(152)를 통해 용기(112)에 공급된다. 그후 교반기가 작용하여, 재순환된 염수와 보충된 염수가 교반기(142)의 레벨에서 얼음에 가해져서 얼음의 교반을 돕고, 얼음 슬러리를 유지한다. 그후, 오오거(145)가 작용하여, 얼음이 유출구(143)로 운송되고, 소망 위치로 펌핑된 제6도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1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장치에서, 얼음 및 청수 슬러리가 제공된다.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도면 번호에 A를 붙여서 표시하였다.If desired to transport ice, the drained brine is recycled to the top of vessel 112 via recycle line 150. Additional brine is also supplied to the vessel 112 through the brine inlet 152. A stirrer is then acted on, where recycled brine and supplemented brine are added to the ice at the level of the stirrer 142 to aid in stirring the ice and maintain the ice slurry. The auger 145 is then acted so that ice is transported to the outlet 143 and FIG. 6 pumped to the desired position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11, in which the ice And fresh water slurry are provided. Components similar to thos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are denoted by the letter A. FIG.

제6도는 실시예의 장치 및 공정은, 배수구(148A)로부터의 재순환 라이(150A)이 자장 용기(112A)의 상부(138A)가 아니라, 제1얼음 및 액체 유입 라인(120A)에 접속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보충 청수가 예냉 부재(156)에 의해 미리 냉각된 라인(154)을 통해 제1용기(110A)에 유입된다. 제2용기(112A)내에는, 청수가 예냉 부재(157)로 미리 냉각되어, 라인(158)을 통해서 용기로 유입된다.6 shows the apparatus and process of the embodiment except that the recycle lie 150A from the drain 148A is connected to the first ice and liquid inlet line 120A, not the top 138A of the magnetic field container 112A. This is the same as in FIG. In addition, the supplementary fresh water flows into the first container 110A through the line 154 previously cooled by the precooling member 156. In the second vessel 112A, fresh water is cooled in advance by the precooling member 157 and flows into the vessel through the line 158.

제6도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저장 용기에서는, 염수가 얼음으로부터 배수되고, 재순환 라인(150A)을 통해 분리 용기로 재순환된다. 그후, 저장 용기내의 얼음은 액체 유입구(158)로부터 청수가 분무됨으로써 세척되며, 그로써 나머지 염수가 제거되고, 배수되어 분리 용기로 재순환된다.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 교반기가 작동한다. 그후 청수 및 얼음의 슬러리는 오오거(145A)를 통해 저장 탱크로부터 제거된다.The apparatus of FIG. 6 operates as follows. In the storage vessel, the brine is drained from the ice and recycled to the separation vessel via recycle line 150A. The ice in the storage vessel is then washed by spraying fresh water from the liquid inlet 158, whereby the remaining brine is removed, drained and recycled to the separation vessel. If ice is required, the stirrer is activated. Slurry of fresh water and ice is then removed from the storage tank through auger 145A.

제7도는, 얼음, 염수 및 청수 슬러리가 제공된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11')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번호에 ' 를 붙여서 표시하였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11 'provided with ice, brine and fresh water slurries.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the embodiment of FIG. 5 are denoted by the same numerals.

제7도 실시예의 장치 및 공정은, 청수가 예냉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미리 냉각된 라인(151)을 통해 제2얼음 유출구(143')로 유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대신에, 청수파이프(151)는 유출구(143')에 대향하는 것 같이 방출되도록 오오거(145')에 접속되는 것이 좋다. 그래서 본 실시예는 얼음, 염수 및 물 슬러리를 제공한다. 또한 제6도의 실시예는 유출구(143A')에 염수 공급 파이프(153)를 제공하여 그로써 얼음, 물 및 염수 슬러리가 얻어지도록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제7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염수 공급파이프(153)는 유출구(143A')에 대향하는 것처럼 방출되도록 오오거(145A')에 접속되는 것이 좋다.The apparatus and process of the FIG. 7 embodiment are similar to those of FIG. 5 except that fresh water flows into the second ice outlet 143 'through a pre-cooled line 151 to a precooling member (not shown). It is the same. Instead, the fresh water pipe 151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auger 145 'so as to be discharged as opposed to the outlet 143'. Thus this example provides ice, brine and water slurries. The embodiment of FIG. 6 may also be modified as shown in FIG. 8 to provide a brine feed pipe 153 to outlet 143A 'such that ice, water, and brine slurries are obtain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brine supply pipe 153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auger 145A 'so as to be discharged as opposed to the outlet 143A'.

제9도 및 제10도는 제1도 내지 제8도의 블레이드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와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에 C를 붙여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체(30C)가 얼음 표면 위를 부유한다. 조립체(30C)는, 축(30C)이 모우터(38C)의 베어링(54)에 접동가능하게(Slidably) 위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축(34C)은 그 일부분을 넘어 길이 방향으로 뻗는 홈(56)을 가져서 그 홈내로 구동축(60)에 연결된 키이(58)(key)가 접동가능하게 잠궈진다. 수평으로 뻗은 스키(66)(ski)가 절단 모서리(64) 바로 위의 각각의 블레이드(32C)의 이동 단부(62)에 부착된다.9 and 10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blade assembly of FIGS. 1-8.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is embodiment, assembly 30C floats on the ice surface. Assembly 30C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1-8, except that shaft 30C is slidably positioned in bearing 54 of motor 38C. The shaft 34C has a groove 5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yond a portion thereof so that a key 58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60 is slidably locked into the groove. A horizontally extending ski 66 is attached to the moving end 62 of each blade 32C directly above the cutting edge 64.

작동에 있어서, 스키(66)들은 얼음 베드의 표면에 놓여지고, 블레이드(32C)의 절단 모서리(64)는 베드내로 뻗어서 베드를 절단한다. 베드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우, 블레이드 조립체(30C)가 홈(56) 및 키이(58)에 의해 구획된 한계내에서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용기가 얼음 및 액체로 가득찬 경우, 조립체(30C)는 그 최대 높이에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68)는 축(32C)에 의해 활성화되어 용기를 배수한다.In operation, skis 66 are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ice bed, and the cutting edge 64 of blade 32C extends into the bed to cut the bed. When the bed is raised or lowered, the blade assembly 30C is raised or lowered within the limits defined by the grooves 56 and the keys 58. If the container is full of ice and liquid, assembly 30C is at its maximum height and limit switch 68 is activated by shaft 32C to drain the container.

제11도는 제1도 내지 제8도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블레이드 조립체중 블레이드의 또 다른 설계의 예를 도시한다. 제1도와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에 D를 붙여서 표시하였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블레이드(32D)는 절단 모서리(70)가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32D)는 베드에 홈을 파서 얼음 베드내의 모세관을 파손한다. 블레이드의 작용은 얼음 베드 표면에 피이크와 흔적을 남기고, 물을 얼음 베드에서 더욱 빨리 배수되도록 한다.FIG. 11 shows an example of another design of blades in a blade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numerals as D. FIG. As shown in FIG. 11, the blade 32D has a sawtooth edge 70 in the shape of a saw tooth. These blades 32D dig into the bed and break the capillary in the ice bed. The action of the blade leaves peaks and traces on the ice bed surface and allows water to drain out of the ice bed more quickly.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1도와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에 E를 붙여서 표시하였다.1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similar to those of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E. FIG.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충 물은 중앙 유입구(72)를 통해 용기(12E)에 서서히 첨가된다. 보충 물을 용기에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용기에 남아 있는 용액은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그래서 농축도를 용기내에서 설정한다. 염수가 물보다 조밀하기 때문에, 소금의 농도는 상부 근처보다 용기의 바닥에서 다 낮다. 용기(12E)의 상부에 액체 분배기가 위치된다. 청수는 이러한 분배기에 의해 베드의 표면에 분무된다.In this embodiment, replenishment is slowly added to vessel 12E via central inlet 72. By slowly adding the replenishment to the vessel, the solution remaining in the vessel remains stationary. So the concentration is set in the container. Since the brine is denser than water, the salt concentration is lower at the bottom of the vessel than near the top. At the top of the vessel 12E is a liquid distributor. Fresh water is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bed by this dispenser.

이러한 구성으로, 청수, 염분 유리의 얼음이 각각 빠르게 얻어진다.With this configuration, ice of fresh water and salt glass are obtained quickly, respectively.

또한 본 실시예는 오오거(76)를 도시한다. 단일 또는 복수의 오오거는 장방향 탱크가 원통형 탱크 대신에 사용되는 경우 블레이드 조립체를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교반기는, 실시예내의 탱크가 장방형이라면 제1도 내지 제8도의 실시예에 사용된 블레이드 부품을 대신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also shows an auger 76. Single or multiple augers may be substituted for the blade assembly when the long tank is used instead of the cylindrical tank. Such agitator can replace the blade component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S. 1-8 if the tank in the embodiment is rectangular.

제13도는 선박에 사용하기 적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13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uitable for use in a ship.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및 분배장치(210)는 장방향 용기(212)를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739,225호에 기재된 바와 마찬가지의 얼음 발생장치(216)로부터 도입되는 슬러리 유출구(214)는 이 용기(212)의 상부(218) 근처에 접속된다. 이러한 슬러리 유입구(214) 아래에는 레벨 검출기(220)가 있고, 레벨 검출기는 용기(212)내의 액체 레벨을 측정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210 includes a longitudinal container 212. A slurry outlet 214 introduced from an ice generator 216 as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739,225 is connected near the top 218 of this vessel 212. Below this slurry inlet 214 is a level detector 220, which measures the liquid level in the vessel 212.

용기(212)의 기저부(222)에는, 기저부(222)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뻗은 복수의 교반기(224)가 위치된다. 이러한 교반기(224)는 용기(212)의 외측에 위치된 모우터(226)에 의해 각각 작동된다. 토오크 측정 장치(225)가 교반기(224)와 결합된다.At the base 222 of the vessel 212, a plurality of agitators 224 extending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222 are located. These stirrers 224 are each operated by a motor 226 located outside of the vessel 212. Torque measuring device 225 is coupled with agitator 224.

용기의 기저부(222)에 배수조(228)(sump)가 부속되어 있다. 보충 물 유입구(230) 및 두 개의 액체 유출구(232,234)가 이러한 배수조(228)에 접속된다. 액체 유출구(232)는 배수구(236)에 접속되고, 용기(212)의 상부(218)에 접속된 액체 재순환 파이프(238)에 접속된다. 다른 액체 유출구(234)는 얼음 발생장치(216)에 접속된다. 내부에 펌프(242)가 위치된 얼음 유출구(240)가 배수조(228)에 인접해서 위치된다.A sump 228 is attached to the base 222 of the container. Replenishment water inlet 230 and two liquid outlets 232, 234 are connected to this sump 228. The liquid outlet 232 is connected to the drain 236 and to the liquid recirculation pipe 238 connected to the top 218 of the vessel 212. The other liquid outlet 234 is connected to the ice generator 216. An ice outlet 240 in which the pump 242 is located is located adjacent to the sump 228.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슬러리가 얼음 발생장치내에서 발생되고, 이러한 슬러리는 용기(212)내로 유입된다. 용기내의 물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염수가 용기에서 제거될 수 있고, 염수 농도가 지나치게 높게 되는 경우 유입구(230)를 통해 보충 물이 첨가될 수 있다. 염수 농도는 온도 게이지에 의해 모니터(monitor)될 수 있다. 제거되는 액체는 배수조(228)내로 배수되고, 액체 유출구(234)를 통해 얼음 발생장치로 재순환될 수 있다. 얼음 발생장치(216)로부터 추가의 슬러리가, 얼음 베드가 용기(212)에 만들어질때까지 용기(212)에 공급된다.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as follows. Slurry is first generated in the ice generator and this slurry is introduced into the vessel 212. The water level in the vessel may be kept constant, or brine may be removed from the vessel, and supplemental water may be added via inlet 230 if the brine concentration becomes too high. The brine concentration can be monitored by a temperature gauge. The liquid to be removed may be drained into drain 228 and recycled to the ice generator through liquid outlet 234. Additional slurry from the ice generator 216 is supplied to the vessel 212 until an ice bed is made in the vessel 212.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 교반기(224)는 얼음을 교반하도록 작용하고, 얼음은 얼음 유출구(240)를 통해 방출되어, 원하는 위치에 펌핑된다.If ice is needed, the stirrer 224 acts to agitate the ice and the ice is discharged through the ice outlet 240 and pumped to the desired location.

토오크 측정장치(225)는 교반기에 의해 가해진 토오크를 측정하고, 토오크가 소정양을 초과해서 증가된 경우 보충 물이 라인(230)을 통해 첨가된다.The torque measuring device 225 measures the torque applied by the stirrer, and the supplement is added through the line 230 when the torque is increased beyond the predetermined amount.

청수 얼음을 염수 얼음 대신에 원하는 경우, 재순환 파이프(234)가 제거되고, 청수가 용기의 상부로 분무되어 얼음에 함유된 어떠한 염수도 씻어낸다. 그후 청수는 필요시 보충 액체 유입구(230)를 통해 첨가된다. 얼음, 염수 및 청수 슬러리를 원하는 경우, 청수 공급 파이프가 유출구(240)에 접속되거나 오오거(242)에 접속될 수 있다.If fresh water ice is desired instead of brine ice, the recycle pipe 234 is removed and fresh water is sprayed to the top of the vessel to flush any brine contained in the ice. Fresh water is then added via supplemental liquid inlet 230 if necessary. If ice, brine and fresh water slurries are desired, a fresh water supply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240 or to the auger 242.

본 실시예는 선박에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한 것으로 탱크의 상단부가 대부분 비기 때문에, 물이 엎질러지거나 튀기는 것을 억제하며, 그대신 제1도 내지 제8도의 탱크는 선박에 사용되는 경우 밀봉되지만, 얼음의 팽창은 상황에 따라 보충하여야만 한다.This embodimen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on ships, since the upper end of the tank is mostly empty, which prevents water from spilling or splashing. Instead, the tanks of FIGS. 1-8 are sealed when used on ships, but the ice expands. Should be supplement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Claims (18)

용액내 얼음조작들의 슬러리(shurry)를 생성하는 얼음 제조 장치와; 상기 용액내 얼음조작들의 슬러리를 저장하며 용액으로부터 상기 얼음을 분리시키는 얼음 저장 및 분리용기와; 상기 얼음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용액내 얼음조작들의 슬러리를 슬러리가 얼음 배드(bed)와 용액의 액욕으로 분리되는 상기 용기속으로 안내하는 얼음 슬러리 유입구와; 상기 용기내에 설치되어 상기 얼음 베드를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교반된 얼음을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해내는 얼음 유출구와; 상기 용기와 연통하는 보충 액체 유입구와;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용기내의 상기 얼음 베드의 레벨을 모니터하는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얼음 배드가 상기 교반기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내에서 미리 정해진 레벨로 유지되도록 상기 보충 액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용기 속으로의 액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보충 액체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레벨 검출 수단에 응답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An ice making apparatus for producing a slurry of ice operations in a solution; An ice storage and separation vessel for storing the slurry of ice operations in the solution and separating the ice from the solution; An ice slurry inlet for directing the slurry of ice operations in the solution from the ice making device into the vessel where the slurry is separated into an ice bed and a liquid bath of solution; A stirrer installed in the vessel to stir the ice bed; An ice outlet for discharging the stirred ice from the vessel; A replenishment liquid inlet in communication with the vessel; Level detection means connected with the vessel to monitor the level of the ice bed in the vessel; A valve connected to the replenishment liquid inlet and responsive to the level detecting means to control the liquid flow from the replenishment liquid inlet into the vessel such that the ice bed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vessel adjacent the stirrer.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블레이드 조립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2.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tirr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vessel and is in the form of a blade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유출구에 의해 상기 얼음 저장 및 분리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얼음 유출구를 통해 교반된 얼음 및 함유된 염수가 내부로 안내되어 그 내부에서 얼음 베드로 형성되는 제2저장용기와; 액체를 상기 제2저장용기내로 안내하는 제2저장용기 액체 유입구와; 상기 제2저장용기의 기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얼음 베드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 및; 상기 교반 수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저장용기 얼음 유출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The secon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outlet is connected to the ice storage and separation vessel, and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is formed with an ice bed inside the stirred ice and the contained brine through the ice outlet. ; A second reservoir liquid inlet for directing liquid into the second reservoir; Stirring means disposed adjacent the base of the second reservoir to stir the ice bed; And a second storage container ice outlet located adjacent to the stirr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는 토오크 측정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토오크 측정수단은 상기 보충 액체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내로 유입되는 액체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orque measuring means is coupled to the stirrer, and the torque measuring means controls the amount of liquid introduced into the vessel through the replenishment liquid in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수단에는 토오크 측정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토오크 측정수단은 상기 제2저장 용기 액체 유입구내의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4. An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torque measuring means is coupled to the stirring means, and the torque measuring means controls a valve in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liquid inlet. 제1항에 있어서, 유출 얼음 슬러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얼음 유출구에 인접한 상기 교반된 얼음내로 액체를 안내하는 액체 유입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2.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quid inlet for directing liquid into said stirred ice adjacent said ice outlet to provide an outflow ice slurr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염수 또는 청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7.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liquid is brine or fresh water. 제6항에 있어서, 유출 얼음 슬러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얼음 유출구내의 상기 교반된 얼음내로 제2액체를 안내하는 제2액체 유입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7.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iquid inlet for directing a second liquid into the stirred ice in the ice outlet to provide an outflow ice slurr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중의 하나는 염수이고 다른 하나는 청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9.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one of said liquids is brine and the other is fresh water.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얼음 슬러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용기로 재순환하기 위한 재순환 라인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ycling line for recyc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effluent ice slurry to the vess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제조 장치로 액체를 재순환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내의 액체 드레인(drain)으로 접속되는 재순환 라인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irculation line connected to a liquid drain in the vessel for recycling the liquid to the ice mak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액체 유입구는 접선방향으로 배향되는 한쌍의 유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장치.2. The ic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said replenishment liquid inlet comprises a pair of tangentially oriented inlets. 용액내 미립자 얼음의 유입 슬러리를 분리 영역으로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상기 분리 영역내에서 액조와 얼음 베드로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얼음 배드를 교반 영역에서 교반시키는 단계와; 교반된 얼음을 상기 교반 영역으로부터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 영역에서 상기 얼음 베드의 레벨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 베드의 레벨을 상기 교반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레벨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얼음 베드의 검출된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분리 영역과 상기 교반영역중 하나로 보충 액체를 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방법.Directing the incoming slurry of particulate ice in solution to the separation zone; Separating the slurry into a liquid bath and an ice bed in the separation zone; Stirring the ice bed in a stirring zone; Discharging the stirred ice from the stirring zone; Monitoring the level of the ice bed in the stirring zone; Introducing a replenishment liquid into one of the separation zone and the stirring zon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level of the ice bed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ice bed at a predetermined level in the stirring zone. Storage and Distribution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유출 얼음 슬러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된 얼음으로 액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dding liquid to the stirred ice to form an effluent ice slurr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얼음 슬러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분리 영역으로 되돌려 재순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returning and recyc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effluent ice slurry to the separation zo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액체는 상기 분리 영역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plenishment liquid is directed to the separation zon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된 얼음에 첨가되는 액체는 청수와 염수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iquid added to the stirred ice is one or both of fresh water and brin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는 상기 분리 영역내의 액조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 및 분배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brine is obtained from a bath in the separation zone.
KR1019890700486A 1987-07-17 1988-07-18 Ice storage, distribution unit and its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7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83487A 1987-07-17 1987-07-17
US074.834 1987-07-17
US074,834 1987-07-17
US9789087A 1987-09-17 1987-09-17
US097,890 1987-09-17
US097.890 1987-09-17
US225,711 1988-06-23
US07/225,711 US4912935A (en) 1987-09-17 1988-06-23 Ice storage and distribution unit
US225.711 1988-06-23
PCT/GB1988/000578 WO1989000668A1 (en) 1987-07-17 1988-07-18 Ice storage and distributio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834A KR900700834A (en) 1990-08-17
KR970004725B1 true KR970004725B1 (en) 1997-04-02

Family

ID=2737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486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725B1 (en) 1987-07-17 1988-07-18 Ice storage, distribution unit and its method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375701B1 (en)
JP (1) JP2736796B2 (en)
KR (1) KR970004725B1 (en)
CN (1) CN1018671B (en)
AT (1) ATE119267T1 (en)
AU (1) AU2251788A (en)
CA (1) CA1298983C (en)
DE (1) DE3853213T2 (en)
WO (1) WO198900066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923173L (en) * 1992-08-13 1994-02-14 Mmc As Device for ice making
FR2822226B1 (en) * 2001-03-19 2003-06-27 Lgl France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 DIPHASIC REFRIGERANT FLUID
KR100451136B1 (en) * 2001-08-22 2004-10-06 정순용 Hydrate heat control method and its apparatus of mass concrete
WO2004081469A1 (en) * 2003-03-10 2004-09-23 Skaginn Hf.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omogenous fluid ice
JP4692880B2 (en) * 2005-07-01 2011-06-01 株式会社マリンリバー Manufacturing equipment for salt water or seawater microscopic ice
JP2007040548A (en) * 2005-07-29 2007-02-15 Kajim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lt water soft ice
CN114867975B (en) * 2019-12-27 2024-06-21 大金工业株式会社 Ice supply device and ice ma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591A (en) * 1956-02-21 E branchflower
GB480183A (en) * 1935-09-21 1938-02-18 Erik Oeman Apparatus for producing cold
DE668100C (en) * 1937-04-07 1938-11-25 Julius Pintsch Kom Ges Device for securing small pieces of ice
US2419881A (en) * 1944-06-02 1947-04-29 Int Harvester Co Sea water fractionator
US3825158A (en) * 1973-05-16 1974-07-23 W Morris Cube ice storage bin with disturber bars
US4129015A (en) * 1977-04-22 1978-12-12 Morris Jr William F Ice storage and dispensing bin
US4341085A (en) * 1981-03-04 1982-07-27 Chicago Bridge & Iron Company Freeze concen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535942A (en) * 1981-12-02 1985-08-20 Kyoeizoki Co., Ltd. Apparatus for containing easily solidifying powder and particles
US4401449A (en) * 1982-04-29 1983-08-30 Refrigeration Engineering Corporation Slush ice maker
CH659314A5 (en) * 1982-10-27 1987-01-15 Sulzer Ag TRAINED ENERGY STORAGE AS A DIRECTLY OPERATING EVAPORATOR.
DE3484537D1 (en) * 1984-07-17 1991-06-06 Sunwell Eng Co Ltd ICE PRODUCTION MACHINE.
US4584843A (en) * 1984-11-05 1986-04-29 Chicago Bridge & Ir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of storing ice slurry and its use for cooling purposes
JPS61282739A (en) * 1985-06-06 1986-12-12 Yasuo Igarashi Ice slurry thermal accumu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671B (en) 1992-10-14
EP0375701B1 (en) 1995-03-01
DE3853213T2 (en) 1995-10-26
KR900700834A (en) 1990-08-17
EP0375701A1 (en) 1990-07-04
AU2251788A (en) 1989-02-13
CA1298983C (en) 1992-04-21
CN1032072A (en) 1989-03-29
WO1989000668A1 (en) 1989-01-26
DE3853213D1 (en) 1995-04-06
JPH03500806A (en) 1991-02-21
ATE119267T1 (en) 1995-03-15
JP2736796B2 (en) 199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1138B1 (en) Ice slurry delivery system
KR970004725B1 (en) Ice storage, distribution unit and its method
US5035733A (en) Ice storage and distribution unit
US4912935A (en) Ice storage and distribution unit
US3098735A (en) Art of separating water from aqueous liquids
US4242841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feeding an abrasive-containing suspension into the zone of action of work tools of polishing and finishing lathes
EP0441230B1 (en) Apparatus for separation by pressurization and flotation
CA256272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product
US5294408A (en) Compact lime slaker
US4779992A (en) Lime slaker
EP0094061A2 (en) Apparatus for dissolution of pulp
JP5404224B2 (en) Cooling system
CA1217351A (en) Process for freezing or chilling
JP2004057972A (en) Gravity separation equipment for finely divided plastic pieces in liquid
NO172558B (en) STORAGE AND DISTRIBUTION UNIT
CA1316840C (en) Method and system for degrading a foam fluid
JPH0150447B2 (en)
JP6761302B2 (en) Granular frozen product manufacturing equipment and granular frozen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JPH10174556A (en) Frozen drink manufacturing equipment
US289905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granular materials
SU1321394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iver from entrails of dressed fish in fluid medium
BE102778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ING MATERIALS, SUCH AS METALS AND PLASTICS, OF DIFFERENT KIND MASS INTO TWO SEPARATE FRACTIONS
FI69870B (en) FOERFARANDE FOER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ETT GRUSLIKNANDEMATERIAL MED ETT FLUIDIUM
JPH09124834A (en) Transfer apparatus of synthetic resin waste material having coating film
SU1527009A1 (en) Mix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8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