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3995Y1 - 외부신호 혼합회로 - Google Patents

외부신호 혼합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995Y1
KR970003995Y1 KR2019910014876U KR910014876U KR970003995Y1 KR 970003995 Y1 KR970003995 Y1 KR 970003995Y1 KR 2019910014876 U KR2019910014876 U KR 2019910014876U KR 910014876 U KR910014876 U KR 910014876U KR 970003995 Y1 KR970003995 Y1 KR 970003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hronization
burst
cc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4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748U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4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995Y1/ko
Publication of KR930007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5Gene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ser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 colour picture signals or sepa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from colour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외부신호 혼합회로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외부신호 혼합회로의 블럭도.
제2도 및 5도는 이 고안에 따른 외부신호 혼합회로의 혼합회로도.
제3도의 (a)(b)(c)는 이 고안에 따른 외부신호 혼합회로의 화면상태도.
제 4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외부신호 혼합회로의 다른 화면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리부 20 : 신호 및 동기발생부
30 : 타이밍 발생기 40 : CCD
50 : 신호처리부 100 : 동기회로
110 : 동기분리부 120 : 동기부
200 : 버스트동기회로 210 : 버스트 분리부
220 : PLL부 VR1 : 가변저항
SW1 : 스위치
이 고안은 영상저장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저장시 외부영상을 혼합하므로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삽화 및 배경위에 파사체가 삽입될 수 있게한 외부신호 혼합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캠코더 등의 영상저장 및 재생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캠코더의 사용자는 캠코더 등을 이용해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 소정영상을 덧불여 재생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종래에는 수퍼임포스(Super lmpose) 기능을 갖는 메모리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는 영상메모리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캠코더의 사용자는 원하는 영상을 촬상되는 영상에 부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고안의 목적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등에서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캠코더의 고체 촬상 소자(Charge Coupled Devlce : 이하 CCD라 함)에 촬상되는 영상신호의 동기를 맞추어 줌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들이 혼합되어 질 수 있게 한 외부신호 혼합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비데오 신호를 휘도 및 색신호로 분리하는 분리회로와, 상기 분리회로의 휘도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동기를 조절하는 동기회로와, 상기 분리회로의 색신호에서 버스트신호를 분리하여 버스트신호의 동기를 맞추며 부반송파를 출력하는 버스트동기회로와, 상기 버스트동기회로의 출력에 따라 동기화된 수직, 수평동기신호 부반송파, 색블랭크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및 동기발생부와, 상기 신호 및 동기발생부의 수직, 수평구동신호, 동기회로의 동기신호에 따라 CCD 구동펄스 및 클램프펄스를 출력하는 타이밍발생기와, 상기 CCD구동펄스에 따라 소정영상을 촬상하는 CCD와 상기 CCD에 촬상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Y/C분리부 및 신호처리부의 휘도 및 색신호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혼합회로로 구성되는 외부신호 혼합회로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외부 신호 혼합 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이 고안에 따른 외부신호 혼합회로의 블록도로서 분리부(10), 동기회로(100), 버스트동기회로(200), 신호 및 동기발생부(20), 타이밍 발생기(30), CCD(40), 신호처리부(50) 및 혼합회로(300)로 이루어진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리부(10)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등으로부터 인가되는 비데오 신호(VS)를 휘도신호(Y) 및 색신호(C)로 분리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동기회로(100)는 상기 분리부(10)의 휘도신호(Y)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110)와, 상기 동기분리부(110)의 동기신호에 동기를 맞춘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부(1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버스트동기회로(200)는 상기 분리부(10)의 색신호(C)로부터 버스트(Burst)신호를 분리하는 버스트분리부(210)와, 상기 버스트분리부(210)의 버스트신호에 동기되는 부반송파를 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 : 이하 PLL이라 함)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PLL부(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PLL부(220)에는 상기 버스트 동기회로(200)의 부반송파에 동기되는 수직 수평구동신호(VD), (HD), 부반송파(SC), 색블랭크신호(CB)를 출력하는 신호 및 동기발생부(2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동기희로(100) 및 버스트동기회로(200)에 타이밍발생기(30)를 연결하여 상기 타이밍발생기(30)가 상기 동기회로(100)의 출력 및 상기 버스트동기회로(200)의 수직, 수평구동신호(VD)(HD)에 동기를 갖추어 CCD구동펄스 및 클램프펄스(CLP)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타이밍 발생기(30)에는 CCD(40)가 연결되며, 상기 CCD(40)는 타이밍발생기(30)의 CCD구동펄스에 따라 소정의 피사체를 촬상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CCD(40)에는 CCD(40)가 촬상한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신호(Y) 및 색신호(C)로 출력하는 종래의 신호처리부(5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50) 및 분리부(10) 사이에는 입력되는 휘도신호(Y)들과 색신호(C)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회로(30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혼합회로(300)는 제 2도와 같이 스위치(SW1)로 구성하고, 도시하지 않은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치(SW1)가 화면을 수직으로 분할하는 수평펄스, 화면을 수평으로 분할하는 수직펄스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신호처리부(50) 또는 분리부(10)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SW1)는 휘도신호(Y) 및 색신호(C)로부터 스위칭펄스를 추출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혼합회로(30)는 제 5도와 같이 가변저항(VRl)으로 되어 상기 신호처리부(50) 및 분리부(10)의 출력이 가변저항(VRl)에 의해 혼합되어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 고안에 따른 외부신호 혼합회로는 사용자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등의 비데오 신호(VS)를 상기 분리부(10)에 인가하면, 비데오 신호(VS) 및 색신호(C)로 분리된다.
이때, 동기분리부(110)는 상기 분리부(10)의 휘도신호(Y)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동기부(120)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부(120)는 상기 동기분리부(110)의 동기신호에 동기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버스트분리부(210)는 상기 분리부(10)의 색신호(C)로부터 버스트신호를 분리하여 PLL부(220)에 인가한다. PLL부(220)는 상기 버스트신호를 인가받아 PLL을 이용하여 상기 버스트신호에 동기되는 부반송파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PLL부(220)의 부반송파를 인가받은 신호 및 동기발생부(20)는 상기 부반송파에 동기되는 수직, 수평 구동신호(VD)(HD), 부반송파(SC) 및 색블랭크신호(CBLK)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발생기(30)는 상기 동기회로(100)의 출력 및 상기 버스트 동기회로(20)의 수직, 수평 구동신호(VD)(HD)에 동기를 맞추어 CCD 구동펄스 및 클램프펄스(CLP)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CCD(40)는 상기 CCD구동펄스에 맞추어 소정피사체를 촬상하게 되므로 상기 외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와 동기가 일치되는 비데오 신호를 신호처리부(50)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신호처리부(50)는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CCD(40)의 비데오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및 색신호(C)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10) 및 신호처리부(50)의 휘도(Y) 및 색신호(C)는 혼합회로(300)에서 혼합되나, 이와 같이 혼합되는 방법은 구성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나누어 설명한다
1) 제 1 경우,
제 1경우는 제 3도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분할하는 방법이다.
즉, 도시하지 않은 마이콤이 수평펄스(HP)를 이용하여 제 2도의 스위치(SW1)를 스위칭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마이콤은 화면을 제 3도의 (a)와 같이 좌우측으로 분할하여 화면의 좌측은 상기 신호처리부(50) 즉 CCD(40)에 촬상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의 우측은 상기 분리부(10), 즉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때에는 수평펄스를 펄스(P1)와 같이 스위치(SW1)에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SW1)는 하이레벨의 펄스가 인가될 때, 상기 신호처리부(50)측으로 스위칭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마이콤은 화면을 제 3도의 (b)와 같이 분할하고자 할 때에는 수직펄스(P2)를 이용하면 된다. 즉 화면의 상측이 상기 신호처리부(50)의 출력이 디스플레이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SW1)가 하이레벨의 펄스(P2)가 인가될 때 상기 신호처리부(50)에 스위칭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직, 수평펄스를 조합하여 상기 스위치(SW1)에 인가하면, 화면은 제 3도의 (c)와 같아 분할될 수 있다.
즉, 제 3도의 (c)와 같이 상기 분리부(10)의 화면 내에 상기 신호처리부(50)의 출력을 소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때에는 펄스(P3)(P4)와 같이 수직, 수평펄스를 상기 스위치(SW1)에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SW1)는 하이레벨의 펄스가 인가될 때 상기 신호처리부(50)에 스위칭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2) 제 2 경우,
제 2 경우는 상기 분리부(10) 및 신호처리부(50)의 휘도(Y) 및 색신호(C)에서 스위칭펄스를 추출하는 경우이다.
즉, 제 4도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임의의 주사선(1, 2)중, 특정의 휘도성분 및 크로마성분을 추출하면 펄스(P5), (P6)와 같은 스위칭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스위칭펄스(P5),(P6)를 상기 스위치(SW1)에 인가하면, 상기 분리부(10) 및 신호처리부(50)의 출력을 화면 내에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3) 제 3 경우,
제 3경우는 상기 1, 2경우와는 상이하게 상기 분리부(10) 및 신호처리부(50)의 출력을 상호 혼합하는 경우이다.
즉, 제 5도와 같이 가변저항(VRl)의 일측에는 상기 분리부(10)의 출력이 인가되고, 타측에는 상기 신호처리부(50)의 출력이 인가되므로, 이 두 신호는 상호 혼합되어 출력된다.
이때, 상기 가변저항(VR1)을 조절하므로서, 상기 분리부(10) 또는 신호처리부(50)의 출력이 강하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고안은 외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비데오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촬상되는 CCD의 비데오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화상을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에서 인가되는 비데오 신호를 휘도 및 색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의 휘도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동기를 조절하는 동기회로와,
    상기 분리부의 색신호에서 버스트신호를 분리하여 버스트신호의 동기에 맞추어 부반송파를 출력하는 버스트동기회로와,
    상기 버스트동기회로의 출력에 따라 동기화된 수직, 수평구동신호, 부반송파, 색블랭크신호를 신호 및 동기 발생부와,
    상기 신호 및 동기발생부의 수직, 수평구동신호와, 동기회로의 동기신호에 따라 CCD구동펄스 및 클램프펄스를 출력하는 타이밍 발생기와,
    상기 타이밍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CCD구동펄스에 따라 소정영상을 촬상하는 CCD와,
    상기 CCD에 촬상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분리부 및 신호처리부의 휘도 및 색신호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혼합회로로 구성되는 외부신호 혼합회로.
KR2019910014876U 1991-09-12 1991-09-12 외부신호 혼합회로 KR970003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876U KR970003995Y1 (ko) 1991-09-12 1991-09-12 외부신호 혼합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876U KR970003995Y1 (ko) 1991-09-12 1991-09-12 외부신호 혼합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48U KR930007748U (ko) 1993-04-26
KR970003995Y1 true KR970003995Y1 (ko) 1997-04-24

Family

ID=1931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4876U KR970003995Y1 (ko) 1991-09-12 1991-09-12 외부신호 혼합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9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48U (ko) 199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12190A (ja) 立体テレビジヨン装置
CA2002555C (en) Television receiver
GB2037527A (en) Signal mixign circuits
US5627603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tilizing a conventional signal processor to process high-definition electronic camera signals
KR970003995Y1 (ko) 외부신호 혼합회로
US6421496B1 (en) Camcorder signal processor having superimposition capability and dual PLL
US5732186A (en) Image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special-effects-processing capability
GB2248745A (en) Picture signal superposing circuit
JP2861093B2 (ja) カメラ一体型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GB2226930A (en) Area specifying signal generation device using output video signal from video camera
JP2773863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CN1079621C (zh) 摄像装置及其信号处理装置
US4847679A (en) Multiplex chrominance gain control and matrix using a single multiplier and a coefficient shift register
JP2639942B2 (ja) 高速撮映回路
KR19980027712A (ko) 캠코더의 pip화면 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JP3420355B2 (ja) 立体画像記録再生装置
JPH01196981A (ja) タイトル画像挿入装置
JP2955291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KR900006153B1 (ko) 화상 재생 장치
JPH05236425A (ja) ワイドアスペクト比映像信号磁気記録再生装置
JP2603960B2 (ja) 信号変換システム
JP3112078B2 (ja) 画像記憶装置
JPH0888866A (ja) スチル撮像装置およびスチル映像信号処理方法
JPH01106587A (ja) カメラ一体型vtr
JP2719466B2 (ja) 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091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91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8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81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0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