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3359B1 - 내부 탕구계를 가진 이중 주조 밀봉 코넥터 - Google Patents

내부 탕구계를 가진 이중 주조 밀봉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59B1
KR970003359B1 KR1019890701122A KR890701122A KR970003359B1 KR 970003359 B1 KR970003359 B1 KR 970003359B1 KR 1019890701122 A KR1019890701122 A KR 1019890701122A KR 890701122 A KR890701122 A KR 890701122A KR 970003359 B1 KR970003359 B1 KR 97000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vity
sealing
housing
se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2289A (ko
Inventor
챨스 맥랙켄 데니스
랜달 말스트롬 챨스
게드 닐슨 피터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70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6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with molding of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내부 탕구계를 가진 이중 주조 밀봉 코넥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분해된 부품을 도시한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일체의 밀봉부재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제1도와 유사한 도면이다.
제3도는 도체 수용 밀봉체를 도시한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투영한 도면이다.
제4도는 하우징이 제거될 때 노출되는 일체형 밀봉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밀봉부분의 내부 요소를 도시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단면한 제4도와 유사한 도면이다.
제6도는 2중주조 공정의 제1단계로 주조된 장치의 강성 하우징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제7도는 밀봉체가 형성될 때 2중주조 공정의 제2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8도는 계합면 밀봉체의 원형 형상을 도시하며, 제7도내의 8-8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제9도는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주형의 요소를 도시하고 강성 및 유연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하우징의 최종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코넥터가 대응 코넥터 또는 부품상의 헤더에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기적 상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형식의 밀봉된 전기 코넥터 특히, 강성 부분과 변형가능한 밀봉 부분으로 이루어진 이중 주조된 절연 하우징을 가진 전기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1986년 5월 13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862,902호는 1982년 12월 27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53,372호의 연속 출원으로서 착탈 가능한 전기 코넥터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 접접 터미널을 보유 및 분리하기 적당한 형식의 더 강성의 재료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가요성 밀봉 재료를 가진 일편형 주조 코넥터를 이용한 전기 코넥터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다. 이들 두 특허출원에 설명된 일편형 하우징은 한 재료가 주형에 우선 주입되고 그 다음에 하나 이상의 인접 공동을 형성하는 코어핀 또는 슬리브를 이동하여 제2재료가 주입되는 이중 주조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들 두 계류중인 특허출원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 설명된 형식의 2중 주조 밀봉 코넥터는 암수 코넥터 사이에 위치된 별개의 도체 또는 별개의 밀봉체를 둘러싸는 별개의 밀봉 부재를 사용하는 밀봉 전기 코넥터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별개의 밀봉체는 사용한 코넥터의 한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4,311,355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 코넥터는 터미널에 의해 절연체에 크림프된 별개의 와이어 밀봉체가 사용된다. 복수의 돌출 원통형 타워를 둘러싼 계면 밀봉체는 암수 코넥터사이에 계면에 밀봉을 형성한다. 이 코넥터의 조립체는 수 코넥터에 조립될 계면 밀봉체와 터미널이 코넥터에 삽입되기 전에 와이어에 각 와이어 밀봉체가 크림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힌지가 있는 제2로크 장치는 터미널을 위하여 제2로크를 제공하도록 폐쇄되어야만 한다. 자동처리를 위하여 적당하지 않은 수많은 조립 작업은 이러한 코넥터를 사용할 때 필요하다. 더욱이, 이러한 코넥터는 암수 코넥터 사이에서 선택적인 키잉을 하기 위하여 준비가 없기 때문에 모듈러 키잉을 위하여 적당하지 않다. 모든 수 코넥터와 모든 암 코넥터가 동일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4,311,355호에는 터미널과 밀봉체가 각 하우징의 후면 부분에 터미널이 삽입되기 전에 와이어에 부착된 코넥터가 설명되어 있다. 탄성 래치가 보유 기능으로서 사용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88,242호의 코넥터는 또는 밀봉 코넥터이다. 이 코넥터에서 와이어는 코넥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터미널은 크림프된 터미널을 하우징의 후면으로 견인하기 전에 하우징의 전면상의 스트립된 와이어에 크림프되다. 그러므로 이 코넥터는 터미널이 코넥터의 후방에서 와이어 밀봉체를 통하여 삽입될 필요가 없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밀봉 코넥터는 비교적 강성의 터미널 하우징과 비교적 유연한 밀봉체를 가진 일체형의 이중 주조 하우징을 구비한다. 계면 밀봉체는 전기 코넥터의 짝결합면을 따라 형성되고 도체밀봉은 터미널 하우징의 대향 후방면을 따라 형성된다. 내부밀봉 웨브는 밀봉이 적어도 하나의 연속 밀봉 부재에 의해 터미널 하우징의 대향면상에 형성되도록 도체 밀봉 부분과 계면 밀봉체를 결합한다. 적어도 하나의 세로 공동이 대향면과 세로 밀봉 공동내에 위치한 밀봉 웨브 또는 웨브 사이에서 연통하는 비교적 강성 터미널 하우징내로 형성된다.
밀봉 코넥터는 강성 하우징이 우선 형성되고 코어핀과 슬리브를 형성된 계면 밀봉체와 도체수용 밀봉체를 따라 강성 하우징 부분의 대향면에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2중 주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비교적 강성의 하우징의 대향면들 사이에서 연통하는 내부밀봉 공동을 형성하여서 탄성중합체 밀봉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단일 게이트만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 게이트가 닫혀있지 않을때와 탄성중합체 재료가 주입될 때 이는 강성하우징내의 내부 게이트를 통하여 유동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탄성 중합체 재료는 짝결합면과 계면밀봉체와 게이트로부터 내부 밀봉 공동이 대향 측면상에 있는 도체 밀봉 부분에 주입된다.
본원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밀봉전기 코넥터(2)는 분리 장치상의 연결블록 또는 헤더내 또는 짝결합 코넥터내의 터미널과 와이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도체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밀봉전기 코넥터는 비교적 강성의 하우징(4)과 비교적 유연한 밀봉체(10)로 구성된 절연체를 구비한다. 비교적 강성의 하우징(4)과 비교적 유연한 밀봉체(1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2중 주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일체형 부재를 구비한다. 비교적 강성인 하우징(4)은 터미널(8)을 제자리에 보유하기 위한 구조를 제고하고 코넥터(2)를 짝결합 코넥터에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래치(6)를 포함한다. 비교적 유연한 또는 탄성 밀봉체(10)는 두 코넥터 몸체 사이의 계면에서 일체적인 밀봉을 달성하기 적당하고 하우징이 대향면으로부터 들어가도록 와이어와 같은 도체둘레에 밀봉을 형성하기 적당하다.
비교적 강성인 터미널 하우징(4)은 후면벽(12)과 전면벽(14)을 구성하는 대향 측면을 가진 프리즘의 구조를 가진다. 상부벽(16)과 하부벽(18)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을 형성하도록 후면벽(12)과 전면벽(14)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비교적 강성인 터미널 하우징(4)의 대향단부는 결합면(20)으로부터 대향된 후면벽(22)과 결합면(20)을 형성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 대향 후면벽면(22)은 비교적 강성 하우징(4)과 비교적 유연한 밀봉체(10)로 구성된 일체형 이중주조 코넥터 하우징의 단부가 중재한다. 키슬롯(24)은 후면벽(1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짝결합 코넥터의 반쪽 부재와 정렬이 달성되도록 작용한다. 이 키슬롯은 종래의 구조의 것이다. 깔대기형 절단부(26)는 대향측면 또는 전면벽(14)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 절단부(26)는 비교적 강성 부분(4)의 결합면(2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중앙에 위치한 슬롯(28)과 결합한다. 슬롯(28)의 중요성을 절연체의 밀봉부분의 주조와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하자.
외부벽(12, 14, 16, 18)은 결합면(20)쪽으로 후면벽면(22)으로부터 연장된 터미널 지지몸체(30)를 가진 환상의 중공 공동을 한정한다. 터미널 지지몸체(30)는 하우징과 일체이고 결합편(20)과 대향 또는 후면(22)사이에서 연통하는 복수의 터미널 공동(32)을 가진다. 복수의 핑거(34)는 터미널 지지몸체(30)의 후방으로부터 캔틸레버 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 쇼울더를 구성하는 전면 정지부(38)는 각각의 캔틸레버 핑거(34)의 대향 터미널 공동벽에 형성되어 있고 후면정지부(36)는 캔틸레버(34)의 기초부에 형성되어 있다. 틈새는 터미널(8)의 터미널 지지몸체(30)내에 래치 고정성분(70)이 위치될 수 있도록 터미널지지 몸체의 외부와 각 캔틸레버 핑거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지체는 가요성 캔틸레버 핑거(34)를 위하여 구비되어 있고, 전면 및 후면 정지부가 터미널에 대하여 단단히 지지되어 있다.
외부벽(12, 14, 16, 18)과 터미널 지지몸체(30) 사이의 공동은 대체로 환형이고 그 안의 중앙에 배열된 터미널을 가진 결합 코넥터상에 덮개를 수용하기에 적당하다. 코넥터(2)는 외부래치(6)에 의해 결합 코넥터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각각의 외부 래치는 한쌍의 래치아암(44)의 자유 단부에 위치된 돌출 래치 이어(42)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공동(48)은 결합면(20)으로부터 대향된 후면(22)을 통하여 환형의 계합공동(4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대체로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진 이 개방 밀봉 공동(48)은 터미널 지지몸체(30)내에 형성된 터미널(32)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48)은 터미널 공동(32)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폐쇄 밀봉 공동(46)은 터미널지지 몸체의 대향측면에 위치되어 있고 후면벽면(22)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밀봉 공동(46)은 결합면에 인접한 환형공동(40)과 연통하지 못한다. 비교적 강성인 하우징(4)은 사출 주조될 수 있는 단일편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코넥터(2)의 절연 몸체는 하우징(4)에 부가하여 탄성중합체 밀봉체(10)를 구비하고 있다. 터미널지지 하우징(4)과 비교적 더 강성인 밀봉체(10)는 일체 또는 일체로 결합된 일편 하우징의 성분을 함께 구비한다. 밀봉체(10)는 비교적 강성인 터미널 지지 하우징(4)의 후면벽면(20)에서 멀리 연장된 도체 밀봉부분(50)을 구비한다. 단일편 밀봉체(10)는 또한 하우징(4)의 결합면(20)에 인접한 환형공동(40)내에 위치한 환상의 계합면 밀봉체(60)를 포함한다. 도체 밀봉부분(50)과 계합면 밀봉부분(60)은 대향면(20, 22) 사이에서 연통되는 개방밀봉공동(48)을 통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밀봉 웨브(68)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밀봉체(10)는 밀봉체(10)의 자유 단부와 터미널 하우징(4)의 후면 사이에 연장된 복수의 와이어 통로 또는 도체 수용구멍(52)을 가지고 있다. 도체 밀봉부분 통로(52)가 대응 터미널 공동(32)과 정열되어 있다. 복수의 내부 밀봉 리브는 각각의 도체 밀봉 통로(52)내에 한정되어 있다. 이들 밀봉리브(54)는 방사상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안에 삽입되는 와이어와 밀봉 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와이어 수용통로(52)를 한정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밀봉체는 밀봉체의 가장 밖의 자유단부와 연통하는 종방향 일체 리브(56)와 상호 연결되어 있다. 도체 수용 통로에 인접하게 연장된 슬롯(5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밀봉체의 대향 측면을 따라 위치되어 있다. 이를 슬롯의 사각횡단면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슬롯(58)은 터미널 지지몸체(4)내의 밀봉 공동(46, 48)과 정렬되어 있다. 그러나, 제10도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밀봉 물질은 슬롯(58)과 밀봉 공동(46, 48)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밀봉체(10)의 전면 단부에 위치한 계합면 밀봉부분(60)은 원형 형상이고 터미널 지지 하우징내의 환형공동(40)에 결합된다. 결합 코넥터와 일체로 계합면 밀봉은 형성하는 환형의 직립 밀봉리브(62)는 또한 밀봉체(60)의 환상전면 근처로 연장되어 있다. 밀봉체의 연장부(64)는 터미널 지지 하우징의 전단벽(14)을 따라 절단슬롯(28)의 뿌리부에 위치되어 있다. 연속 밀봉웨브(68)는 개방 밀봉 공동(48)에 위치되고 있고 계합면 밀봉체(60)와 도체 밀봉부분(50)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제2절두형 밀봉 웨브부분(66)은 폐쇄 밀봉 공동(46)내의 도체 밀봉부분(5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9도는 비교적 강성 하우징(4)과 비교적 유연한 밀봉체(10)를 가진 2중 주조된 코넥터 하우징이 2중 주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제6도 내지 제10도는 자연적으로 또는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자들이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을 기초로하여 주조 장치를 제조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주형(100)는 상부주형(102)과 하부주형(104)과 복수의 코어핀과 주형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슬리브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게이트(106)는 제6도내의 주형 공동과 연통한다. 강성 하우징(4)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주형 공동은 제6도에 도시된 위치에 각각의 코어핀과 코어핀 슬리브가 있을 때, 상부 및 하부주형(102, 104)과 코어핀(110, 114)과 코어핀 슬리브(112, 116)로 형성된 공동안으로 게이트(106)를 통하여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물질을 주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코이핀(114) 둘레에 연장된 코어핀 슬리브(116)가 대향슬리브(112)와 접합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슬리브 아암(120)을 가지고 있다. 슬리브 아암(120)은 강성 터미널 지지 하우징(4)내에 내부개방 밀봉 공동(48)을 형성한다. 강성 지지하우징(4)이 주조된후에, 주형의 부분들은 미리 형성된 강성하우징(4)의 대향면과 인접하는 것을 피하거나 부가적인 주형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변경된다. 샌토프렌(Santoprene)과 같은 탄성 중합체 물질은 하부주형(104)내에 위치한 밀봉물질 게이트(108)를 통하여 주입할 수 있다. 슬리브(112)의 이동은 터미널 지지하우징(4)의 외부벽(12, 14, 16, 18)사이에 형성된 공동(40)과 연통할 수 있는 게이트(108)를 연다. 탄성중합체 재료는 터미널 지지하우징(4)의 대향면(20, 22)과 인접한 밀봉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게이트(108)를 통하여 주입된다. 게이트(108)는 강성 터미널 지지하우징내의 절단슬롯(28)과 정렬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탄성중합체 물질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강성 지지하우징(4)과 슬리브(112)사이의 환상 공동안으로 유동한다. 이 탄성중합체 물질은 터미널 지지하우징(4)의 후면벽면(22)에 인접하게 위치한 도체 밀봉부분(50)과 계합면 밀봉부분(60)사이에서 게이트로서 작용하는 내부밀봉 공동(48)을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슬리브(116)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슬리브 아암(120)은 밀봉 공동(48)의 외부로 이동되었다. 탄성중합체 물질은 내부밀봉 공동(48)을 통하여 통과한 후에 도체 밀봉부분(50)을 형성한다. 폐쇄 밀봉 공동(46)은 개방 밀봉 공동(48)을 통하여 처음으로 통과한 탄성중합체 물질을 수용한다. 탄성중합체 물질은 환상의 밀봉리브(54)를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요홈(118)을 가진 코어핀(114) 둘레에 형성된다. 종방향 요홈(122)은 밀봉 요홈을 위한 바인더로서 작용하도록 요홈(118) 근처의 코어핀(11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리브(56)는 이종방향 요홈(122)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이 방법에서, 제10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와이어에 크램프된 터미널(8)을 수용하기 적당한 일체형 2중 주조 하우징이 제조된다. 밀봉 재료는 밀봉 부분을 통하여 터미널의 삽입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탄성적이다. 캔틸레버 핑거(34)상의 후면 정지부(36)는 삽입되는 동안에 터미널의 진로밖으로 구부러진다. 터미널은 터미널 공동(32)의 대향벽상의 전면 정지부(38)와 결합한다. 따라서, 고정부재(70)는 종방향의 양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캔틸레버 핑거(34)에 인접하게 삽입될 수 있다. 코넥터(2)는 제10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결합 코넥터(7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2중 주조 방법을 사용하여 하우징의 대향 표면을 따라 밀봉을 형성하기위하여 내부 게이트를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와 방법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형태의 다른 코넥터는 이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더 강성의 하우징 부재의 대향면 사이에 연장된 복수의 개방 종단된 밀봉 공동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청구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원의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8)

  1. 밀봉 전기 코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과 비교적 강성인 터미널 하우징과 비교적 유연한 밀봉체를 포함하는 절연 몸체와, 결합면과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 사이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공동과, 각 터미널 공동에 배열된 터미널과, 결합면과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 사이에서 연통하는 터미널 하우징내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밀봉 공동과, 밀봉 공동을 통하여 연장된 단일 밀봉체에 의해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에 인접하게 형성된 도체 밀봉 부분과 결합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분리결합 코넥터와 결합 가능한 계합면 밀봉 부분과, 일체형 2중 주조된 부재를 포함한 절연 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한부분이 결합면과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 사이에 연장된 터미널 하우징의 한 측면과 밀봉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밀봉 공동은 한측면에 인접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자유단부를 가진 터미널 하우징에서 떨어져 연장된 도체 밀봉 부분은 터미널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각각의 터미널 공동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 수용 구멍을 가진 도체밀봉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슬롯이 적어도 하나의 도체 수용 구멍에 인접한 도체 밀봉 부분의 자유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슬롯이 밀봉 공동과 정렬되어 있고 밀봉 공동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슬롯의 횡단면이 밀봉 공동의 횡단면과 맞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체수용 구멍은 도체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방사상 제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8. 밀봉전기 코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과 비교적 강성인 터미널 하우징과 비교적 유연한 밀봉체를 포함하는 절연 몸체와, 결합면과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 사이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공동과, 각 터미널 공동에 배열된 터미널과, 결합면과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 사이에서 연통하는 터미널 하우징내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밀봉 공동과, 밀봉 공동을 통하여 연장된 단일 밀봉체에 의해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에 인접하게 형성된 도체밀봉 부분과 결합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분리 결합 코네터와 결합 가능한 계합면 밀봉 부분과, 터미널 공동에 인접하게 연장된 각각의 밀봉 공동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계합면 밀봉 부분이 환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밀봉 공동이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도체 밀봉체는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에서 떨어져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12. 밀봉전기 코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과 비교적 강성인 터미널 하우징과 비교적 유연한 밀봉체를 포함한 일체로 2중 주조된 절연 몸체와 결합면과 대향 터미널 하우징면 사이에서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공동을 포함하는 터미널 하우징과, 각각의 터미널 공동내에 배열된 터미널과, 대향터미널 하우징면에 인접하게 형성된 도체 밀봉 부분과 결합면에 형성된 분리결합 코넥터와 결합 가능한 계합면 밀봉 부분과, 각각의 터미널 공동과 정렬된 각각의 통로와, 각각의 통로는 적어도 이것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일체형 리브를 가지고 도체 밀봉부분의 가장 밖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절연 몸체가 주조될 때 밀봉부분을 형성하는 코어핀상의 요홈에 의해 형성된 종방향의 일체형 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13. 밀봉전기 코넥터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의 대향면들 사이에 밀봉 공동을 형성한 주형에 절연물질로 비교적 강성인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와, 하우징의 대응면에 인접한 주형내에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향면들 사이의 밀봉 공동을 개방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대향면으로부터 멀리 주형의 부분을 이동하는 단계와, 하우징의 한면에 인접한 밀봉 공동과 연통하는 주형내에 게이트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2중 주조 방법에 의해 하우징의 대향면상의 밀봉표면을 가진 단일 탄성중합체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형내에 하우징이 있는 동안에 밀봉 공동을 통하여 게이트로부터 탄성중합체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형성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게이트는 밀봉 공동의 구멍과 하우징의 대향면에 인접한 공동의 구멍과 관련하여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형성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변경 부재는 하우징의 한면에 인접한 공동을 형성하고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한면과 인접하게 변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형성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변경 부재는 밀봉 공동을 개방하기 위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형성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변경 부재는 제1변경 부재와 대향 방향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형성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변경 부재는 각각 슬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전기 코넥터 형성방법.
KR1019890701122A 1987-10-22 1988-09-23 내부 탕구계를 가진 이중 주조 밀봉 코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970003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12,572 US4961713A (en) 1987-10-22 1987-10-22 Dual molded sealed connector with internal gating
US112,572 1987-10-22
PCT/US1988/003273 WO1989004072A1 (en) 1987-10-22 1988-09-23 Dual molded sealed connector with internal g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289A KR890702289A (ko) 1989-12-23
KR970003359B1 true KR970003359B1 (ko) 1997-03-17

Family

ID=2234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122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3359B1 (ko) 1987-10-22 1988-09-23 내부 탕구계를 가진 이중 주조 밀봉 코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61713A (ko)
EP (1) EP0347440B1 (ko)
JP (1) JP2683932B2 (ko)
KR (1) KR970003359B1 (ko)
DE (1) DE3886393T2 (ko)
WO (1) WO1989004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661A (en) * 1995-03-15 1999-04-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USD323141S (en) 1989-01-13 1992-01-14 Yazaki Corporation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D323142S (en) 1989-02-23 1992-01-14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D334013S (en) 1989-02-23 1993-03-16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D325024S (en) 1989-03-31 1992-03-3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D323143S (en) 1989-06-09 1992-01-1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D323316S (en) 1989-06-09 1992-01-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
FR2663791A1 (fr) * 1990-06-22 1991-12-27 Tecnoffra Dispositif d'etancheite des boitiers de connexions electriques.
JP2712880B2 (ja) * 1991-06-19 1998-02-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インサートコネクタの成形方法
JP2613995B2 (ja) * 1991-12-16 1997-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防水栓
IT226738Z2 (it) * 1992-07-02 1997-07-01 Sit La Precisa Spa Connettore con cavo elettrico particolarmente per alimentare bobine di elettromagneti
US5447446A (en) * 1992-11-05 1995-09-05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 having secured seal
US5391088A (en) * 1993-02-24 1995-02-21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 coupling connector
US5458507A (en) * 1993-09-10 1995-10-17 Eft Interests, Ltd. Fluid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with boot-type seal assembly
JP2926676B2 (ja) * 1993-09-24 1999-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結合型コネクタ
JP3404832B2 (ja) * 1993-10-15 2003-05-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
US5485673A (en) * 1994-06-16 1996-01-23 Switchcraft Inc. Environmental connector
JP3278028B2 (ja) * 1994-11-07 2002-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WO1996037927A1 (en) * 1995-05-25 1996-11-28 The Whitaker Corporatio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BR9608867A (pt) * 1995-06-09 1999-06-15 Siemens Ag Disposição de um relé em um soquete de encaixe
US5839920A (en) * 1995-12-06 1998-11-2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eal
JP3243786B2 (ja) * 1996-09-04 2002-01-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US5795189A (en) * 1996-11-18 1998-08-18 Liou; Ching-Chong Structure for a decorative lamp
US5888091A (en) * 1997-12-03 1999-03-30 The Whitaker Corporation Termination of an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
FR2776845B1 (fr) * 1998-03-27 2000-05-05 Proner Comatel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boitier pour connecteur electrique etanche
US6428081B1 (en) 1999-04-28 2002-08-06 Cadillac Products, Inc. Water shield having integrated wiring
US6348169B1 (en) 1999-04-28 2002-02-19 Cadillac Products, Inc. Method of making a dual durometer water shield
JP3691300B2 (ja) * 1999-08-26 2005-09-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EP1172193A1 (de) * 2000-07-13 2002-01-16 Wippermann, Eri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teils und Steckteil
JP2002134220A (ja) * 2000-10-30 2002-05-1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の防水部構造
FR2823610B1 (fr) * 2001-04-12 2003-05-30 Nexans Guide-cable pour boitier etanche et ensemble d'etancheite comportant un tel guide
US20050173098A1 (en) * 2003-06-10 2005-08-11 Connors Matthew J. Three dimensional vapor chamber
US20050139995A1 (en) * 2003-06-10 2005-06-30 David Sarraf CTE-matched heat pipe
US7186127B2 (en) * 2004-06-25 2007-03-06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Nut seal assembly for coaxial connector
US7500874B2 (en) * 2004-06-25 2009-03-10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Nut seal assembly for coaxial cable system components
US7260891B2 (en) * 2005-01-13 2007-08-28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Connector overmold spacer
US7217154B2 (en) * 2005-10-19 2007-05-15 Andrew Corporation Connector with outer conductor axial compression conn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201595B1 (en) * 2006-01-06 2007-04-1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body co-molded with cable and peripheral seals
DE102006004782B4 (de) * 2006-02-02 2011-05-1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rastungsvorrichtung für einen elektrischen Kontakt in einem Steckverbinder
DE102006049703C5 (de) * 2006-10-18 2014-07-17 Erich Jaeger Gmbh & Co. Kg Steckverbinder
CN105122556A (zh) * 2013-04-15 2015-12-02 矢崎总业株式会社 树脂模制件和防水屏蔽连接器
EP3490077B1 (en) 2017-11-22 2021-02-17 Aptiv Technologies Limited Sealed electrical wire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18115768A1 (de) * 2018-06-29 2020-01-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inderbauteils, sowie Ringdichtungsanordnung
EP4307487A1 (en) * 2022-07-15 2024-01-1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housing with molded-in sea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5278A (en) * 1976-12-20 1978-08-08 A P Products Incorporated Molded cable termination assembly with insert
US4311355A (en) * 1978-10-23 1982-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Weath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4293182A (en) * 1980-01-21 1981-10-06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bod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588242A (en) * 1983-07-06 1986-05-13 Amp Incorpora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US4639061A (en) * 1984-11-19 1987-01-27 Itt Corporation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or
US4664461A (en) * 1984-12-06 1987-05-1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line manufactured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810209A (en) * 1987-05-28 1989-03-07 Amphenol Corporation Pressuriz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501785A (ja) 1990-06-14
WO1989004072A1 (en) 1989-05-05
DE3886393D1 (de) 1994-01-27
JP2683932B2 (ja) 1997-12-03
US4961713A (en) 1990-10-09
EP0347440A1 (en) 1989-12-27
EP0347440B1 (en) 1993-12-15
DE3886393T2 (de) 1994-06-01
KR890702289A (ko) 198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359B1 (ko) 내부 탕구계를 가진 이중 주조 밀봉 코넥터
KR900007577B1 (ko) 단일체(單一體)로 성형된 하우징을 가진 밀봉(密封)된 콘넥터
US4772231A (en) Unitary molded sealed connector with modular keying and terminal retention
KR0141092B1 (ko) 원형 din 전기 콘넥터
JPS5915421Y2 (ja) 電気コネクタ−
US4998896A (en) Sealed stamped and formed pin
US4560219A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RU2114494C1 (ru) Улучшенная перекрестн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дл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US4904209A (en) Modular plug coupler
CA1213954A (en) Connector having means for positively seating contacts
US4367908A (en) Electrical connector coupling
US4640567A (en) Detachable sealed 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JPS59148287A (ja) コネクタ
JP2007537462A (ja) 内部ラッチ機構を有する防水電気コネクタ
CA203025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insertion feature
IL154138A (en) Electrical connector
EP0201893A2 (en) Shielding connector
JPH02500624A (ja) モジュラー・プラグ用カプ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40940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lotted beam contact
US7285003B2 (en) Harsh environment connector including end cap and latching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US3548367A (en) Wire splicing unit
US6544067B2 (en) Cable connector
US5485673A (en) Environmental connector
JP2831077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該装置を含む接続モジュール
US4666222A (en) Grounded contac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08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8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