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1715Y1 - 기포상 액체압착 방출용기 - Google Patents

기포상 액체압착 방출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15Y1
KR970001715Y1 KR2019960045477U KR19960045477U KR970001715Y1 KR 970001715 Y1 KR970001715 Y1 KR 970001715Y1 KR 2019960045477 U KR2019960045477 U KR 2019960045477U KR 19960045477 U KR19960045477 U KR 19960045477U KR 970001715 Y1 KR970001715 Y1 KR 970001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p
liquid
bubble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야끼 호리
Original Assignee
도오요오 세이깡 가부시끼가이샤
미끼 히로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요오 세이깡 가부시끼가이샤, 미끼 히로후무 filed Critical 도오요오 세이깡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1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기포상 액체압착 방출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기포상액체 압착방출 용기의 트위스트캡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기포상액체 압착방출 용기의 트위스트캡에 있어서의 체크밸브기구의 저면도 .
제3도는 본 고안의 어답터의 끼워있는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기포상액체 합착방출 용기에 액체를 넣은 상태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기포상액채 압착방출 용기의 트위스트캡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6도는 중간 마개내에 2개의 렐크밸브 기구를 설비한 예를 나타전 종단면도.
제7도는 트위스트캡의 일실시예메 있어서의 내측캡의 소리내는 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제8도는 동실시예의 외측캠의 스톰퍼의 구조를 나타전 평면도.
제9도는 동실시예의 소리내는 보스의 종다년도.
제10도는 외측캡과 내측켑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전 상단먼도.
제11도는 종래의 기포상압착 방출용기를 거꾸로 세을 상태에서의 흡기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본 고안은 기포상액체 압락방출용기에 관찬 것이며 더 상세히는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반복조작을 할 수있고, 균일하고 또 미세한 기포상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유리창이나 욕실의 벽면 등을 닦기 위한 액체세제 등을 넣은 용기는 사용할 때에 수직벽면에 액체를 그대로 스프레이하면 흘러내리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그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어 액체를 기포상으로 만들어 방출하기 위한 용기가 제안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60-20262호 공모에는 억지적 공기 유입통로와 기포의 발생유로를 따로 설비한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에 있어서. 유출파이프를 보지한 파이프조인트 구멍 개공면적과 유입흠 횡단면적과의 비를 특정하게 하고, 또 기포의 발생유로에 설비한 다공체의 공기구멍의 평균적 크기를 특정한 크기로 함으로써 발포상태가 양호한 기포상 액체를 분줄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국 실공소 63-13810호 공보에는 마찬가지로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에 있어서 발포수단으로서 상 류측에 다공판을 설비하고 하류측에 망 또는 부직포를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에 있어서 방출하는 기포상 액체를 더 미세화하기 위하여 용기 개구부 선단에 눈이 작은 망을 친 것이 알려져 있고 일본국 실개소 57-147602호 공보기재의 것은 통상의 캡내에 다공성통상 체를 설비하고 용기의 통채부를 압착하면 다공성 통상재내에 공기와 액채가 보내져 흔합되어 압출될때에 기포상 으로 되고 용기 선단의 망에서 더 미세화된 기포상액체로 되게 구성된 점에 특징을 갖는 것이고 일본국 실개소 57-149802호 공보에는 마찬가지로 통상의 캡내에 다공성 퉁상체를 설비하고 그 중앙부 선단을 개구상태로 하고 이 개구부에 아래로부터의 액체의 통과를 방해하고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기하는 밸브체를 설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고 용기의 동체부를 압착하면 이 다공성 통상체내에 공기와 액체가 들어가 혼합되어 압출될때에 기 포상화하고 용기선단의 망에서 더욱 미세화된 기포상체로 되는 용기가 개시되어있다.
상기 제1번째의 고안은 발포상태가 양호한 기포상액체를 분출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나 그 때문에 파이프조인트 구멍 개공 면적과 유입흠 횡단면적과의 비화 기포의 발생유로에 설비된 다공체의 공기 구멍의 평균적 크기를 특정크기로 한다는 설계단계에서의 정밀도가 요구되고 액체가 다공체를 통과함으로써 기포상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차차로 다공체가 막히기 쉽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제 2번째의 고안은 발포조작과 압착상태 해방시의 흉기조작이 동일 구멍에 의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압축 개방의 조작이 신속하에 행할 수 없고 기포상액체의 분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제 3 및 4번째의 고안은 어느것이나 최초의 기포화조작을 다공성 통상체내에서의 액채와 공기의 흔합에 의래서 행하고 또 선단부의 망에 의해서 기포상체를 미세화하기 때문에 기포상체의 미세화라는 점에서는 우수한 것이지만 기포상체방출후의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용기내에 흡입할 경우에는 제3번째의 고안에 있어서는 이 공기가 다공성통상체의 눈이 쿤 부분을 진입하고 제4번째의 고안에 있어서는 공기가 다공성 통상채의선단부에 설비된 밸브체를 진입하는 것으로 어느 경우에도 용기 중앙부에 설비된 파이프내를 통하여 소정의 공기 공간에 도달되게 된다. 즉 외부로 부터의 공기는 일단용기내의 액체중을 통과한 후에 공기 공간에 도달하게 되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액체의 기포화가 생겨 공기 공간에 충분한 양의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든지 상기 다공성 통상체가 차차로 막히게 되어 흡기 조작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이와 같은 방식은 몇번 이고 반복해서 기포상 액체를 방출하는 용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1-2회 정도의 기포상체의 방출만으로 목적이 달성되는 면도 크림용의 기포방출용기등에만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기포상액채 압착방출용기에 있어서의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결친 연구를 계속하여 상기 기술적 문제 해결수단으로서 용기 동체부를 손으로 눌렀을 때 즉 압착시의 기포화조작과 손을 때었을때(압착의 해제)의 흡기 조작을 각각 다른 유체유통기구로 행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사상으로 하여 기포화 조 작을 2배의 스크린을 사용한 액체유통기구로 행하고 흡기 조작을 그와는 별개의 독립된 채크밸브기구로 행하도록 구성한 고안을 완성시켜 일본국 실원평3-87879호 및 동 실원평 3-87880호로서 실용신안등록 출원을 하였다.
그후에 상기 연구를 계속하는 과정에서 거듭한 실험결과로서 포상액체의 생성을 한층 더 미세하게 크림 상화 하기 위한 용기의 구조를 완성시켜 본 고안에 이른 것이다.
본 고안의 윽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반복조작을 행항 수 있고 균일하고 또 극히 크림상화된 미세한 기포상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며 용기 본체외 외측컵 및 내측컵으로 된 트위스트캠의 나사맞춤 내지 결합 상태를 기밀성이 우수하게 하고 또 액체의 기포화 조작과 외기의 흡기조작을 각각 독립된 별개의 유체유통기구로 행하는 동시에 외측캡의 기포상액체 방출용 개구부 내면에 안쪽에 위치하는 개구부 전체면에 망상의 스크린을 배치한 관상부재(이하 본명세서에서는 이것을 단지 '어답터라고 할 때가 있다)를 끼워 맞춘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외압에 의래서 변형 가능한 용기 본체에 회측캡과 내측캡으로 된 트위스트캡이 나사맞춤되고 이 내측캡은 아래로 연장되는 주벽내명에 형성된 나사맞춤부를 거쳐서 용기 본체의 목부분과 나사맞춤되어 있고 내측캡 내면의 대략 중앙부와 이 중앙부세 인접된 위치에 서로 독립된 2개의 유체유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 유통기구는 내부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고성된 볼을 갖는 관상부재이고. 윗쪽 개구부는 이 볼과 면 접촉되고 아랫쪽 개구부는 이볼과 점접측되는 체크 밸브기구로서 설비되고 있고 다른족 유농기구는 개구부 전체면에 망상의 스크린을 배치한 관상부재가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이 외측캡의 선단개구부내면에는 안쪽에 위치하는 개구부 전체면에 망상 스크린을 배치한 관상부재를 끼워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상 액체 압착방출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중요한 기술적 특징은 기포상 액체 압착방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특유의 구조를 갖는 트위스트캡과 그 외측캡의 선단부 내면에 상기 어답터를 끼워 맞춘 구성의 조합에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에 의한 상기 고안에 있어서는, 용기 동체부를 압착했을 때의 기포화 조작과 압착을 해제했을 때의 흡기조작을 각각 별개의 유체유통기구로 행합을 기본적인 기술사상으로 하고 기포화 조작을 2배의 스크린을 사웅하여 행하고 흡기 조작을 그와는 별개로 구성한 체크밸브기구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술원인의 그후의 실험에 의하면 외측캡의 선단부 내면에 용기의 안쪽에 위치하는 개구부 전체면에 상기 어답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용기 동체부를 압착하였을때의 체크 밸브기구의 시일효과가 한층 더 우수하고 체크밸브기구로부터의 공기의 누설은 없고 내부로부터의 공기는 트위스트캡내의 망상스크린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제 1단계의 기포화가 바람직하게 행해지고 또 어답터 부분에서 미세한 기포화가 행해져 전체로서 크림상의 기포상액체의 방출이 가능해진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의 내면에 어답터에 배치된 망상 스크린을 설비함으로써 내측캡내의 스크린은 1매만으로도 방출시에는 충분히 미세한 크림상 기포상 액체를 생성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물론 내측캡내의 스크린은 상기 선출원 고안에서와 같이 관상링의 양면에 비치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어답터의 개구부 선단의 형상을 작은 구멍의 것으로 함으로써 기포상 액체를 멀리 날리수 있게 되어 도포면에 접근할 수 없는 장소나 좁은 홈상의 장소에도 분사할 수 있게 되고 개구형상을 옆으로 길게 함으로버 널은 폭의 면에 도포할 수 있는 등 도포대상물의 상태나 형상에 따라서 임의로 개구부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
본 고안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특징은 트위스트캡의 특유한 구조와 상기 어답러가 조합됨으로써 비로서 얻어지는 것이며 이점에 있어서 본 고안의 특유효과가 이해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제 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기포상액체 압착방출 용기의 트위스트캡 부분의 일예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의 중심선으로부터 우반부는 외측캡을 개방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좌반부는 트위스크캡이 폐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 1도에서 1은 외측캡. 2는 내측캡이고 이 2개의 캡이 조합되어 트위스트 캡을 구성하고 있다.
3은 내측캡의 관상부에 삽입되는 중앙부분이 협소한 개구부(36)를 갖고 선단부에 망상 스크린을 배치한 관상부재로 된 파이프조인트를 나타낸다.
내측캡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벽 내면에 형성된 나사맞춤부(23)를 거쳐서 용기본체의 목부분(41)과 나사 맞춤되어 있고 내측 캡의 대략 개구부(24a)에는 선단(25)을 폐쇠하고 그보다 약간 아래쪽에 휘치하는 부분에 망사상으로 복수의 개구부(96)를 형성하고 그 아래쪽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구멍을 갖는 관상부(31)내에 합성섬유나 금속제 등의 망상체로된 스크린(31)을 선단개구부 전체면에 배치한 관상부재를 내부에 삽입하고 이관상부재는 상기 관상부내에 형성된 턱부붙(28)에 맞닿아 밀착상태로 부착되고 그 아래쪽은 파이프(44)를 끼워 맞추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파이프조인트(3)로서 구성된다.
이예에서는 상기 망상체로 된 스크린은 관상부재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잇으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선출원 고안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파이프조인트의 위쪽을 양단부 전면에 스크린을 배치한 관상링으로 대치시켜도 좋다. 상기 스크린은 관상부재에 용착상태로 접착시켜도 좋으나 관상부재에 접촉 상태로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파이프조인트의 눌리는 힘으로 고정되고 충분히 그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파이프 조인트의 내벽 주위에는 파이프가 맞닿는 턱부분(37)까지 적어도 한줄의 연속된 수직흠(34)이 파여 있고 이 수직흠에 외접하여 액체 공급용 파이프(44)가 삽입되어 있고 이 파이프는 용기본체의 저변까지 도달되어 있다.
또 상기 관상부의 벽면(27)을 거쳐서 상기 관상부와 주벽(22)콰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체크밸브기구(51)가 형성되어 있다.
채크밸브기구는 내부에 스테인레스제 볼(52)을 갖고 이 볼은 상하이동자재하게 배치되어 있고 내부로부터 액체에 의해서 밀어올려지면 상부의 개구부(54)와 볼은 면접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개구부(54)를 폐쇄하고 그 압력이 해제되면 볼은 자중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지지편(53)에 의해서 점검촉에 의해서 지지되어 지지편(53)과 볼(52)간에는 공극(55)이 생긴다. (체크밸브 기구의 저면도를 나타낸 제2도 참조)
다음에 상기 트휘스트캡을 사용하여 용기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처를 기포상화하는 기구에 대래서 설명하겠다.
외측캡(1)은 선단에 개구부(11)를 갖고 그 개구부의 내면에는 용기의 안쪽에 위치하는 개구부 전체면에 망상스크린(14)을 배치한 관상부재(어답터)(15)가 끼워 맞추어 진다.
어답터(15)는 용기의 안쪽에 위치하는 개구면에 망상스크린이 전체면에 걸쳐서 래치되어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은 임의로 구성할 수 있지만 제1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개구부(16)를 작은 구멍으로 형성하고 용기의 안쪽에 위치하는 어답터(15)의 개구부전체면에 스크린이 접착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스크린은 반드시 겁착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제3도에 나닥번 것과 같이 용기의 개구부(11)내에 턱부분(17)을 형성하고 스크린(14)을 어답터와 턱부분 사이에 끼운 상태로 배치하여도 좋다.
어느 것으로 하여도 어답터 (15)와 용기개구부의 끼워맞춤은 기밀상태로 하는 것히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어답터(15)의 개구부(16)는 임의의 크기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1도의 예에서는 외측캡의 내경보다도 작은 직경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포상액체를 멀리 날릴수 있게 되어 예를 들면 도포면에 근접시킬 수 없는 장소나 좁은 흠상의 장소에도 분하할 수 있고 개구부형상을 엎으로 길게 한 경우에는 넓은 폭의 면에 도포할 수 있는등 도포대상물의 상태나 렁상에 따라서 임의의 개구부 형상을 설정 수 있다.
외측캡 개구부의 어답터(15)의 아리쪽에는 내측캡의 관상부의 선단부(25)와 갭 페쇄시에 기밀로 끼워 맞추기 위한 환상 격벽(12)이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캡 선단의 개구부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포상액체를 벽면에 바랍직하게 방출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 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위로 경사지게 개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외측캡의 전체 형상도 기포상액체를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연 전체로서 돔형의 형상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기의 디자인 감각에서 바랍직하다.
용기 본체는 동체부를 손으로 눌러서 즉 압착해서 용기를 일단 변형시키고 압착을 해제한 정우에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게 하는 재질로 구성되어야만 하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플리에틸렌테 레프탈 레이트. 폴리염화비닐 및 이들의 적층체 등의 역가소성수지에 의해서 형성한 것이 바랍직하게 사용되고 벽면은 무명의 것이나 불투명의 것이라도 좋으나 내부용량을 어느정도 눈으로 볼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착색 또는 무착색 으로. 문명 내지 반무명의 것이바람직하다.
또 캡을 구성하는 소재는 용기본체와의 끼워맞춤 및 내측캡과 외측캡의 조립이 기밀적으로 구성함이 필요하므로 예를 들면 폴리프로피렌. 폴리 에틸렌 등의 열가소성수지가 바랍직하게 사응된다. 제4도에 본 고안의 기포상액체 압착방출 용기에 액체가 들어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용기 본체내부에는 액체(42)를 충만시키지 않고 용기 위쪽에 예를 들면 용기 전체의 약 1/4-l/5 정도의 공기의 공간(43)을 남겨두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할 때에는 용기 본체(4)의 벽면을 압착함으로써(화살표)액체(42)는 핀이프(44)를 통하여 내측캡내의 스크린 아래쪽까지 밀어올려진다 한편 용기위쪽에 있는 공기는 파이프(44)와 파이프 조인트(3)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흠(234)의 공극을 통하여 역시 내측캡내의 스크린아랫쪽 까지 도달하여 상기 액체와 함쳐져 기포화를 개시한다. 또 용기벽면의 압착을 계속함로써 흔합된 액채와 공기가 스크린 부분을 통과하여 더 한층 비세화 기포 상액채로 되어 환상부(24a)외 개구부(26)를 거쳐서 외측캡의 개구부 내면에 끼워진 어답터(15)외 스크린 에서 더 비세하게 기포화되어 어답터외 개구부(16)에서 방출된다.
다음에 용기본체의 압착상태를 해제하면 용기본체내는 부암으로 되어 공기가 개구부(16)로 부터 스크린(14)을 통과하여 용기내로 진입된다.
이때에 관상부의 개구부(26)로 부터 스크린을 거쳐서 파이프(44)로 통하는 퉁기구멍은 기포상 액채도 채워져 있고 또 외측캡의 개구부(11)에 연통되는 체크밸브 기구는 불(52)이 지지부(53)에 의해서 지지되어 볼과 지지부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로부터의 공기는 체크밸브기구의 공극(55)을 통하여 용기본체내로 신속하게 진입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레 의하면 기포상 액체의 생성과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을 서로 별개의 기구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벽면외 압착, 해제의 조작이 극히 고속으로 되고 또한 액체와 공기의 흔합은 상시 일정한 비율로 행해져 내측캡내에 배치된 적어도 1베의 스크린과 외측캡에 배치된 1배의 스크린을 통과함으로써 균일하고 비세한 크림상의 기포상액체가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방출되게 된다.
이상은 바로 세운 상태에서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는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한 것은 용기의 구조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기포상액체 압착방출 용기의 트위스트캡 부분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1도와 마찬가지로 중심에서 우반부은 외측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개방상태로한 경우를 나타내고 좌반부는 폐쇠상태로 한 정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예에 있어서도 외측컵(1)락 내측캡(2)으로된 트위스트캡의 내측캡은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주벽내면에 형성된 나사맞춤부(23)을 거쳐서 용기본체의 목부분(41)과 나사맞춤되어 있고 내측캡의 대략 중앙부에서는 선단부(25)가 폐쇄되어 그로부터 약간 아랫쪽에 위치하는 벽면에 기포상액체 방출용 개구부(26)를 갖는 관상부가 세워 설비되고 상기 기포상액거 방출용 개구부(26)는 아랫쪽에서 보내지는 기포상액채가 균일상태로 또한 신속하게 창출되게 하기 위해서 이 관상부의 벽변에 맘사상으로 복수의 개구부로 헝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상부의 벽면에는 외측벽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62)를 돌출설비하는 동시에 그 아릿쪽에는 수평인 격벽(29)이 형성되고 이 격벽의 외주헤는 회측캡의 환상리브(18)와 걸어맞추기 위한 환상주벽(22a)의 위쪽을 향해서 설비되어 있고 또 이 격벽의 내면흔 중앙에 개구부(24B)를 갖고 주변에 환상연 주벽 (22b)을 갖는 중간마개(5)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캡은 선단부의 개구부(11) 내면에 제 1도와 같은 어답터가 형성되어있다.
중간마개(5)는 상기 내측캡의 중간마개 수납부의 주벽(22b)과 기밀적으로 끼워 안추어 져서 이부분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설이 없도록 시일되어 있는 것이바람직하다.
중간마개의 평면형상은 기본적흐로 주벽과 대략 직각으로 구성된 평면을 갖는 쟁반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고 이 평면에는 제 1도와 같'은 체크밸브기구(51a)와 이 체크밸브기구의 벽면을 거쳐서 인접하는 평면원형의부(35)에는 개구부전제면에 망상의 스크린(31)을 배치단 관상부재(32)를부(35)의 턱부분(35)에 맞닿게 기밀적으로 끼워 맞춘다.
스크린 령성위치는 반드시부(35)의 저부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관상부재(32)의 상면에 접착설비하여도 좋고 특별히 관상부재를 설비하지 않고 중간마개의 평면의 개구부에 접착 설비하여도 좋다. 또 체크밸브기구(51a)와 관상부재(32)가 끼워맞추어지는부의 경계도 유체의 누설이 없도록 기밀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부에 끼워 맞춰진 환상부재의 하면에서 조금 떨어진 부분에는 용기내의 액면 윗쪽과 체크밸브기구(51a) 의 아랫쪽에 연통하는 파이프삽입구멍(59)으로 분기되어 연통된 2개의 개구부(55.56)를 갖고 상기 체크밸브기구의 아랫쪽에는 선단이 체크밸브기구(51a)와 관상 부재의 양쪽에 연통된 개구부들(56,58)을 갖는 파이프삽입구멍(59)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파이프(44)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파이프의 선단은 파이프삽입 구멍(59)의 맞닿는 곳까지 삽입하지 않고'예를 들면 파이프의 선단을 지지하기 위한 스톱퍼(57)를 거쳐서 삽입부착하는 것이 파이플를 통한 공기의 유통이 유효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된 트위스트캡을 사웅하여 기포상 액체계를 방출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바로세운 상태의 기포상 액채의 방출을 설명하겠다.
바로세운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의 동체부를 압착하면 용기내의 액체는 파이프(44)를 통하여 개구부들(56,58)로 진입하려고 하지만 개구부(58)에 연통된 체크밸브기구(51a)는 아랫쪽으로 부터의 액채압에 의해서 몰(52a)이 개구부(54a)를 폐쇄하여 액채의 유통을 차단한다.
따라서 파이프로부터의 액체는 개구부(56)를 퉁하여 관상부재의 아랫쪽으로 진입한다.
한편 용기내의 윗쪽에 존재하는 공기는 개구부(55)를 통하여 역시 관상부재의 아랫쪽으로 진입하여 상기 액체와 혼합함으로써 기포상화가 개시되고 이어서 외측캡의 개구부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어답터의 스크린에서 더 미세한 기포상액채로 되어 아랫쪽으로 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개구부(16)를 거쳐서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용기본채동체부의 압착을 해제하면 용기의 형상이 원래의 형태로 회부되려고 하기 때문에 용기내는 부압으로 되고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어답터의 개구부(16)를 통하여 용기내로 진입한다. 이때에 중간마개 평면으로 개구되는 제크밸므기구의 개구부(54a)는 볼이 자중에 의해서 지지부(53a)까지 내려와 있고 한편 스크린을 배치한 관상부재는 기포상액체에 의해서 표면이 덮여 있어 공기가 통과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채크 밸브기구(51a)의 공극(55)(제2도 참조)을 통하여 개구부(58)에서 개구부들(56,5딘을 거쳐서 용기상부의 공기 공간으로 진입하여 사응전 상태로 회복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포상액채 압착방출 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의 기포화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채가 용기의 위쪽에 있고 공기가 용기의 아랫쪽에 존재하는 위치관계가 되므로 용기븐체의 동재부를 압착하면 파이프t44)로 부터는 공기가 들어오고 개구부(56)로 부터는 액체가 들어와 관상부재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 체크밸브기구(51a)는 자중내지 공기압에 의래서 폐쇄되게 되므로 파이프(44)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는 개구부(56)를 통하여 역시 관상부재(32) 방향으로 진입한다.
관상부재의 아랫쪽(뒤집은 상태에서는 윗쪽이 된다)에서 혼합된 액체와 공기는 망상스크린을 통과할 매에 기포화되고 어답터의 스크린에서 더 미세한 기포상액체로 되어 바로세운 상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전에는 윗쪽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개구부(16)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그대로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용기본체 동채부의 압착을 해제하면 외부로 부터 진입하는 공기는 체크밸브기 구(51a)의 볼을 밀어 을려 개구리(58)를 통하여 파잎프(44)내를 통하여 용기저부의 공기 공간까지 빨리 진입한다.
만일 제크밸브기구가 상기 종래예와 같이 내측캡의 측면 가까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1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액채중을 통과하여 공기 본래의 공간으로 돌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이 공간은 기포상액체로 충만되어 액체를 기포화 시키는데 필요한 충분한 량의 공기가 이 공간으로 돌아갈 수 없고 다음 조작으로 이행하게 되어 공기량에 비해서 액체량이 많은 혼합비율로 되어 미세한 기포는 발생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액상 그대로 방출된다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가 발생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는 중간마개의 대략 중앙부 아랫쪽에 위치하는 파이프 선단부의 윗쪽에도 또하나의 체크밸브기구(51b)를 설비한 것이 특징이다.
이 예에서는 파이프(44)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체크밸브기구를 면저의 체크밸브기구와는 반대 형상으로 즉 볼에 의해서 폐쇄되는 개구부(54b)를 파이프선단의 윗쪽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하고 불의 지지부(53b)가 개구부들(56.58)에 근접하여 설비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개구부(58)로 부터 직접 개구부(56)로 진입하게 되므로 용기내로의 공기의 복귀가 빨라져 기포상액체를 한층 더 빨리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트위스트캡의 다른 실시예를 제1도 및 제7도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1도. 제7도, 제8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측캡의 격벽(29)위에는 소리내는 보스(61)가 돌출설비되고 이 소리내는 보스가까이에는 중앙관 상부 벽면(27)으로부터 주벽(22)을 향하여 벌어지는 형태로 들출되어 있는 트위스트캡의 개폐상태를 규제하는 스톱퍼들(62a.62b)을 형성하고 외측캡의 내면에는 상기 소리내는 보스(61)의 선단이 타고 넘어가는 ㄷ자상 평면의 격벽을 갖는 스톱펴(63)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스톱퍼(63)는 소리내는 보스가 제 2격벽(65)을 넘어서 반대쪽의 제1 격벽(64)을 때리는 소리를 내는 동시에 제 2격벽(65)과 스톱퍼(62)가 면접촉상태로 걸여 멈추도륵 구성되어 있다.
즉 내측캡의 스틉퍼(62a)는 외측캡을 회동시켜 개방상태로 한 경우의 개구부(16)가 상시 사용하기 쉬운 장소에 오도록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용기본체가 예를 들면 편평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에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며 스톱퍼(62a)와 외측캡의 스톱퍼의 제 2격벽(65)이 맞닿은 상태(제10도 참조)가 그 바람직한 개방상태를 의 미한다.
또 내측캡의 또 하나의 스톱퍼(62b)는 외측캡을 폐쇄하는 경우에 나사 끼워맞춤이 오버련되든지 다음 사용할 때에 외측캡을 회동시켜 개방하려는 경우에 과도하게 조여있어서 그것을 강한 힘으로 개방하려고 하여 내측캡과 외측캡 나사끼워 맞춤이 빠져 버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비된 것이고 외측캡의 스톱퍼의 제 1 격벽(64)이 맞닿아 과도하게 조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스톱퍼들(62a.62b)은 반드시 별개로 형셩할 필요는 없고 스톱퍼들 (62a, 62b)을 합친 부채꼴 형상의 것으로 형성해도 좋다.
소리내는 보스의 형상은 내측캡의 격벽(29)위에 선단이 반발탄성을 갖는 봄상체로 헝성한 것이지만 트위스트캡의 작동회수의 증가에 의해서도 형상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또 적당한 반발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제7도 및 제9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커트부를 회동방향으로 넓힌 상태로 설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트위스트캡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가 소리내는 보스의 달각하는 소리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외압에 의래서 변형 가능한 용기본체에 외측캡과 내측캡으로 된 트위스트캡이 나사맞춤된 기포상액채 압착방출 응기에 있어서, 내측캡에 기포상액체 발생 기구와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는 기구를 각각 별개의 장치로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기포상액체의 방출과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이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고 또한 외측 캡의 개구부내면에 형성된 어답터의 스크린이 기포상액체를 더한충 미세하게 하는 동시에 어답터의 개구부 형상을 예를 들면 작은 구멍의 것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발생된 기포상액체를 멀리 날릴 수 있게되어 용기가 접근할 수 없는 장소나 흠상의 대상물에 기포상액채를 바람직하게 방출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4)

  1. 외압에 의패서 변형가능하고, 외압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하는 용기본체(4)에 포화 가능한 액체를 수납하고,액채의 포화조작과 외기의 흡기 조작을 각각 독립된 유체유통기구에 의해 행하도록 된 기포상 액체 방출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볼에(4)에 나착되는 캡은 외측캡(1)과 내측캡(2)으로 구성되는 트위스트캡이며. 상기 내측캡(2)은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주벽(22)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맞춤부(23)를 거쳐서 용기 본체의 목부분(41)과 나사맞춤되어 있고, 상기 내측캡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인접한 위치는 서로 독립된 2개의 유체 유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1개의 유체유통기구는 내부에 상하이동 자재하게 구성된 볼(52)을 갖는 외기의 흡기 기구용 관상부재로서 상기 볼과 면접촉하는 위쪽 개구부(54)와 볼과 점접촉하는 아랫쪽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편(53)을 갖는 채크밸브기구로서 설치되어 있으며, 유통기구는 개구부전체면에망상스크린(31)을 배치한 관상부재가 끼워져 있고, 내부에 혼합실을 가지며. 또한 상기 외측캡(1)의 선단개구부(11)의 내면에도 안쪽에 위치하는 개구부 전체면에 제 2포화 기구로서 망상스크린(14)을 배치한 관상부재를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캡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주벽(22)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맞춤부(23)를 거쳐서 용기 본체의 목부분(41)과 나사맞춤되고. 대략 중앙부와 이 중앙부에 인접된 위치에 서로 독립된 2개의 유체 유통기구가 형성된 내측캡(2)과 이 내측캡과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회동자재하게 나사맞춤되어 있는 외측캡(1)으로 되고, 상기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유체유통기구는 상단이 폐쇄되고, 상단에서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는 측면에 기포상액체 방출용 개구부(26) 를 갖고, 그 아래쪽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파이프조인트에 끼워맞추는 부분(21)이 형성된 관상구가 구성되어 있고, 이 관상부에는 상단의 개구부 전체면에 망상 스크린(31)을 배치하고, 하단에 파이프를 끼워맞추는 개구부를 갖고 내경주면에 적어도 1개의 수직흠(34)이 형성된 관상부재로 된 파이프조인트(3)가 접촉상태로 끼워지고, 또 아랫쪽 개구부 내면체는 이 수직흠(34)에 외접하여 용기 저변까지 연장된 파이프(44)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동시에 그것과 벽면을 거쳐서 인접하는 유체유통기구는 상하양단에 개구부를 갖고, 내부에 상하이동 자재하게 배치된 볼 (52a)을 갖는 관상부재이고. 위쪽 개구부(54a)는 이 볼과 면접촉되고, 아래쪽 개구부는 이 볼과 점접촉되고. 아랫족 개구부는 이볼과 점접촉되는 체크뱉브기구(51a)로서 설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캡이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주벽내면에 형성된 나사맞춤부(23)를 거쳐서 용기본체의 목부분(41)과 나사맞춤되는 내측캡(2)과. 이 내측캡과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회동자재하게 나사맞춤되어 있는 외측캡(1)으로 되고, 상기 내측캡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단이 폐쇄되고. 그 약간 아랫쪽에 위치하는 벽면에 기포상액체 방출용 개구부(26)를 갖는 관상부가 세워져 설비되고, 이 관상부의 아랫쪽에는 수평 격벽(29)이 형성되고. 이 격벽의 내면에는 중앙에 개구부(24a)를 갖고 주변에 환상의 주벽을 갖는 중간마개 수납부가 헝성되어 있고. 이 중간마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중간 마개 수납부에는 윗쪽을 향하여 형성된 주벽과 이 주벽과 대략 직각으로 구성된 평면을 기본적으로 갖는 쟁반상의 중간마개(5)가 기밀적으로 끼워맞추어지고, 이 평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하양단에 개구부를 갖고, 내부에 상하이동자재하게 배치된 볼(52a)을 갖는 관상부재이고, 윗쪽 개구부(S4a)는 이 볼과 면접촉되고, 아랫쪽 개구부는 이 볼과 점접촉되는 지지편(35a)을 갖는 체크밸브기구로 된 유체유통기구가 설비되어 있고, 그것과 벽면을 거쳐서 인접되는 부분에는 개구부 전체 면에 망상스크린(31)을 배치한 관상부재(32)를 기밀적으로 끼운 액패 유통기구가 설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상액체 압착방출 용기 .
  4. 제 1-3항의 어느 한향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캡이 내측캡 격벽(64,65)위에 돌출설비된 소리내는 보스(61)를 갖는 동시에 이 소리내는 보스에 가까운 주변에는 중앙관상부벽면으로부터 주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제1스톱펴(62a.62b)를 형성하고. 외측캡의 내면에는 상기 소리내는 보스(61)의 선단이 격벽을 타고 넘은 상태로 상기 제1스톱퍼(62a, 62b)와 접촉상태로 걸려 멈추는 평면이 'ㄷ자 상의 제2 스톱퍼(6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상액체 압착방출용기.
KR2019960045477U 1993-04-23 1996-12-04 기포상 액체압착 방출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9700017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837 1996-12-0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837 Division 1993-04-23 1996-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715Y1 true KR970001715Y1 (ko) 1997-03-15

Family

ID=1935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477U Expired - Fee Related KR970001715Y1 (ko) 1993-04-23 1996-12-04 기포상 액체압착 방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7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7006A (en) Squeeze bottle foam dispenser with threshold pressure valve
RU2428261C2 (ru) Сжимаемый вспениватель
JP3327472B2 (ja) 自動閉鎖装置
RU2283699C2 (ru) Пен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445173C2 (ru) Пенообразующий узел, сжимаемый пенообразователь и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420360C2 (ru) Сжимаемый вспениватель
US4156505A (en) Device for producing foam
US3973701A (en) Foam generating and dispensing device
JP6301528B2 (ja) 泡形成アセンブリ及びスクイズフォーマー
US4509661A (en) Squeezable container for dispensing foamed sol
JPH0561971B2 (ko)
AU665822B2 (en) Liquid foam-discharging, squeezable vessel
JP2530791Y2 (ja)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KR970001715Y1 (ko) 기포상 액체압착 방출용기
JPH1029652A (ja) 泡吐出容器
JP3193559B2 (ja) 泡噴出容器
US2601938A (en) Cartridge for dispensing liquid chemicals
KR101910060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JP3112636B2 (ja) 泡生成ポンプ式流体分与容器および気液混合部材
JP2566799Y2 (ja)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JP2502508Y2 (ja) 泡沫スプレ―装置
JPH0811961A (ja) 泡噴出容器
JP2537089Y2 (ja)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CN210140100U (zh) 一种盖体及异形立体出料管
US3567130A (en) Diff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UA0105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UA01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UG16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008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81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