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1553Y1 - 차음식 방음벽 - Google Patents

차음식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553Y1
KR970001553Y1 KR2019940005950U KR19940005950U KR970001553Y1 KR 970001553 Y1 KR970001553 Y1 KR 970001553Y1 KR 2019940005950 U KR2019940005950 U KR 2019940005950U KR 19940005950 U KR19940005950 U KR 19940005950U KR 970001553 Y1 KR970001553 Y1 KR 970001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und insulation
double
bol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647U (ko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화경건설 주식회사
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경건설 주식회사, 박기성 filed Critical 화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5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553Y1/ko
Publication of KR950027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6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55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음식 방음벽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일부절결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보인 설치상태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가-가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차음벽 1 : 프레임
1', 23a :체결공 1a : 괘지요홈
1b,21b,21c: 2중격벽 1 c : 격벽
1d : 받침턱 1e : 요입부
2, 22 : 카바 2a : 괘지돌기
2b, 2c : 지지편 3 : 차음판
3a : 보울트공 4, 24 : 고정보울트
5 : 지지보울트 6 : 지지구
7 : 너트 8 : H빔
21 : 중간프레임 22' : 요입부
22a : 구멍 22b : 돌출턱
25 : 마감판 25a : 돌출부
본 고안은 차음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음틀을 이루는 프레임에 격벽과 2중격벽을 형성시켜 차음판을 2중격벽에 보울트로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프레임에 취부된 차음을 외주연부 및 보울트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괘지돌기를 갖는 카바를 프레임의 괘지요홈에 결합시켜 보울트가 부식되어 녹물이 흘러내린 자국이 보이지 않도록 하므로서 외관이 미려한 차음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음판 외곽 테두리 부분에 금속편을 앞뒤를 대거나형 프레임을 차음판 외곽에 씌워 체결구로 고정시킨 극히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플임으로 감싼 차음벽을 H 빔 사이에 고정시킬때 별도의 고정구를 H 빔에 고정시킨 다음, 고정구에 차음판이 결합된 차음벽을 재차 고정시킨후 마감처리(고정구와 차음틀 사이에 실리콘재 주입등)를 하였던 것으로 이는 일정구간의 방음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매우 번거로운 작업과 고정설치 작업시 고정수단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차음판을 감싸고 있는 프레임에 보울트를 일정간격으로 체결시킨것이 외부로 표출되기 때문에, 눈, 비로 인하여 부식되고 부식된 녹물이 흘러내린 자국이 그대로 보여지므로 외관나상 보기흉한 결점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출원인 실용신안 등록출원제 94-2947호로 출원한 차음식 방음벽의 설치 구조에서는 프레임에 차음판 끼움요부를 형성시켜 이 끼움요부에 끼워진 차음판에 실리콘재를 주입시켜 고정되도록 하였는바, 실리콘재 만으로는 고정력에 한계가 있어 본 고안은 이를 개량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음판(3)이 취부된 프레임(1)을 H 빔(8)사이에 게재시켜 지지보울트(5)로 지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프레임(1)일측 상하에 괘지요홈(1)을 갖는 2중격벽(1b)에는 고정보울트(4)보다 직경이 작은 체결공(1')을 뚫고, 2중격벽(1b)에 취부되는 차음판(3)이 받침턱(1d)에 저지되도록 하며, 지지편(2b)(2b)을 갖는 카바(2)의 괘지돌기(2a)가 상기한 프레임(1)의 괘지요홈(1a)에 엇갈리게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격벽(1d)으로 연결된 프레임(1)일측의 요입부(1e)에 지지구(6)가 안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제4도와 제5도에서와 같이 차음벽(A)이 길게 형성되거나 지리적 여건상 풍압을 많이 받는 장소 또는 대형 차량이 자주 지나다니는 지역은 차음벽(3)에 많은 풍압이 발생하여 이를 보강할 필요가 있는데, 차음벽(A)이 설치되는 중간프레임(21)내에 2중격벽(21b)을 주어 마감판(25)의 돌출부(25a)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프레임(1)간의 연결접속부이며, 10은 접속보울트, 11은 와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압출성형된 프레임(1)과 카바(2)는 차음벽(A)설치 기준에 따라 절단되며, 프레임(1)과 카바(2)중 프레임(1)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을 천공하며, 차음판(3)에는 일정간격으로 보울트공(3a)을 뚫어 놓는다.
먼저, 조립방법을 기술하면, 바닥에 프레임(1)을 사각형으로 배치시켜 모서리 부분의 연결 접속부(9)에 접속보울트(10)로 체결하여 사각형틀을 완성한 다음, 이상방에 차음판(3)을 올리게 되는바, 각각의 프레임(1)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받침턱(1d)에 차음판(3)이 저지되면서 보울트공(3a)과 체결공(1')이 일치된다. 체결공(1')은 보울트공(4)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으므로 고정보울트(4)가 회전하면 체결공(1')과 타이트 하게 나착되어 고정된다.
체결공(1')은 2중 격벽(1b)에 나란히 2개가 천공되어 있어, 체결된 보울트(4)가 진동에 의하여 풀리지 않으며 견고하게 체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울트(4)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차음판(3)과 프레임(1)에 고정력을 고르게 하여 풍압에도 끄떡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임(1)에 차음판(3)의 고정이 끝나면, 카바(2)의 괘지돌기(2a)를 괘지요홈(1a)에 비스듬한 상태로 걸어맞춤하면서 뉘이면 괘지돌기(2a)는 괘지요홈(1a)내에 엇갈리게 맞물린 상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절곡된 지지편(2b)(2c)은 차음판(3)일측과 맞닿아 차음판(3)외 주연부를 지지한다.
그러나, 카바(2)의 괘지돌기(2a) 일측을 괘지요홈(1a)일측에 대고 밀어서 레일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 카바(2), 차음판(3)의 결합이 끝난다음 차음틀을 H 빔(8)사이에 끼워 설치하는데, H 빔(8)에 지지구(6)와 너트(7)가 나착된 보울트(5)를 조이면, 프레임(1)의 요입부(1E)에 위치한 지지구(6)에 의하여 차음틀의 프레임(1)을 지지하는게 된다. 이때, 프레임(1)의 격벽(1c)이버팀간 역할을 하여 보울트(5)가 조여지는 힘에 대응하여 프레임(1)의 보강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과 차음판의 결합을 2중격벽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견고하게 함은 물론, 2중격벽 외측에 형성시킨 괘지요홈에 카바의 괘지돌기를 걸어맞춤하여 체결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카바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차음판과 프레임을 결합시킨 보울트가 카바에 의하여 보이지 않도록 하므로서 외관이 미려한 차음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차음판(3)이 취부된 프레임(1)을 H (8)사이에 개재시켜 지지보울트(5)로 지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프레임(1)일측 상하에 괘지요홈(1a)을 갖는 2중격벽(1b)을 형성하고, 2중격벽(1b)에는 고정보울트(4)보다 직경이 작은 체결공(1')을 뚫고, 2중격벽(1b)에 취부되는 차음판(3)이 받침턱(1d)에 저지되도록 하며, 지지편(2b)(2c)을 갖는 카바(2)의 괘지돌기(2a)가 상기한 프레임(1)의 괘지요홈(1a)에 엇갈리게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격벽(1d)으로 연결된 프레임(1)일측의 요입부(1e)에 지지구(6)가 안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식 방음벽.
  2. 제1항기재에 있어서, 중간프레임(21)내에 2중격벽(21b)(21c)을 형성하고, 2중격벽(21b)에 고정보울트(24)보다 작은 체결공(23a)을 천공하며, 차음판(3)일측으로 카바(22)를 체착시키되, 요입부(22')에 천공된 구멍(22a)으로 고정보울트(24)를 나착시키며, 요입부(22')입구의 돌출턱(22b)에 마감판(25)의 돌출부(25a)가 맞물려 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식 방음벽.
KR2019940005950U 1994-03-24 1994-03-24 차음식 방음벽 Expired - Lifetime KR970001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950U KR970001553Y1 (ko) 1994-03-24 1994-03-24 차음식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950U KR970001553Y1 (ko) 1994-03-24 1994-03-24 차음식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647U KR950027647U (ko) 1995-10-18
KR970001553Y1 true KR970001553Y1 (ko) 1997-03-14

Family

ID=1937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950U Expired - Lifetime KR970001553Y1 (ko) 1994-03-24 1994-03-24 차음식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5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26B1 (ko) * 2007-08-30 2007-12-12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확장가능한 다목적 차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647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13919A (ja) 屋根パネルを用いた屋根構造
KR970001553Y1 (ko) 차음식 방음벽
JP371629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横目地構造
JPS6336101Y2 (ko)
JPH0334968Y2 (ko)
JP3067521U (ja) 遮音壁
JPH0348966Y2 (ko)
JPS5841309Y2 (ja) 窓手摺取付装置
JP2536183Y2 (ja) バルコニーの取付部の構造
JPS5924742Y2 (ja) 窓手摺取付構造
JPS6242041Y2 (ko)
JPH0326801Y2 (ko)
JPH0318563Y2 (ko)
JPH0340974Y2 (ko)
JP4751521B2 (ja) 柱引寄せ構造部に用いる基礎パッキン及びその調整板
JP3024062B2 (ja) 軒先ユニットの取付け構成体
JPH06299669A (ja) 支柱の取付構造
JPS6037927Y2 (ja) パネル取り付け具
JPH02501B2 (ko)
KR950006779Y1 (ko) 벽판넬의 조립구조
JPH049766Y2 (ko)
JPS6020761Y2 (ja) 塀用笠木
JPS5814727Y2 (ja) 床パネルと中柱の取付構造
JPS5819212Y2 (ja) 壁パネルの取付装置
JP2007023759A (ja) 瓦止め金具、瓦、止め金具付瓦及び瓦壁面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3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6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61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7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0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