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129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295B1
KR970001295B1 KR1019910017502A KR910017502A KR970001295B1 KR 970001295 B1 KR970001295 B1 KR 970001295B1 KR 1019910017502 A KR1019910017502 A KR 1019910017502A KR 910017502 A KR910017502 A KR 910017502A KR 970001295 B1 KR970001295 B1 KR 970001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refrigeration
compartment
freezer compartment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447A (ko
Inventor
노부미쓰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2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
제1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X-X선에 따른 세로단면도.
제3도는 냉기순환을 병합해서 나타낸 본 발명의 냉장고의 주요부 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Y-Y선에 따른 세로단면도.
제5도는 냉장실용 토출관(duct) 또는 냉장실용 흡입관을 매설하고 있는 단열측면벽의 주요부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주요구성부품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2 : 단열벽
3 : 단열칸막이판 4 : 냉동실
5 : 냉장실 6 : 문
7 : 냉각실 8 : 냉각기
9 : 냉동실 냉기순환용 송풍기 10 : 단열판
11 : 압축기 12 : 응축기
13 : 공냉용 송풍기 14 : 상부벽
16 : 덮개 17 : 냉각기덮개
18 : 나사 19 : 냉기흡입구
20 : 냉기토출구 21 : 배수접시
25 : 냉장용토출관 26 : 냉기토출구
30 : 흡입구 31 : 댐퍼장치
31 : 댐퍼장치 32 : 댐퍼
33 : 전동기 34 :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
35 : 흡기배기장치 37 : 송풍기보호장치
38,39 : 그물선반 40 : 외부상자
42 : 단열재 43 : 유니트 브레이커
44 : 열린곳부분 47 : 냉장실 내부 상자
48 : 개방구구분 49 : 냉장실 내부상자
50 : 맞닿는 조각 51 : 관구멍
53 : 고리 54 : 부착나사
55 : 보스
본 발명은 본체를 단열벽으로 구성하고, 상부를 냉동실, 하부를 냉장실로 형성한 2가지 온도식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1대의 압축기와 1대의 냉각기를 탑재시키고, 냉각기는 본체상부의 냉각실에 배치하고, 이 냉각실로부터 그 아래쪽의 냉동실에 냉기를 보내어 냉동실을 순환한후 냉각로 귀환하는 순환냉기를 형성해서 우선 냉동실을 냉각시키며, 그리고 냉동실의 아래쪽에 칸막이판을 개재하여 설치한 냉장실을 냉각시키는데 냉동실의 안쪽에 별도로 설치되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연통하는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용 흡입관에 의해 냉동실의 순환냉기를 냉장실에 도입해서 행하고 있는 냉장고가 일본국 실공소 60-9663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로부터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보에 제시된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냉동실의 유효 내용적이 냉장용토출 및 흡입관의 존재에 의해 용적감소가 부득이 하였다.
또, 관을 2개 조립하는 복잡한 작업을 강요당하여 조립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냉동실에 설치하는 그물선반과 냉장실에 설치하는 그물선반의 크기가 달라서 각각을 달라서 각각을 따로 준비해야하고, 부품의 숫자가 많아져 비용상승을 초래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냉동실내의 넓은 유효내용적의 확보와 관의 부착 공정의 용이화와, 또한 부품의 공통사용등 제조, 구조적인 면, 사용성의 면에서도 한층 향상이 도모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단열벽으로 구성한 본체내의 냉장고실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를 냉동실, 하부를 냉장실로 하고, 전기한 냉동실의 위쪽에 냉동실에의 냉기토출구와 냉동실로부터의 냉기흡입구를 갖고 내부에 냉각기와 냉동실 냉기순환 송풍기를 수용한 냉각실을 설치하고, 냉각실로 귀환하는 냉기중 냉기흡입구 부근의 냉기의 일부를 전기한 냉장실에 배치한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에 의해 냉장실로 인도하는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실의 냉기를 냉기흡입구부근으로부터 냉장실로 귀환시키는 냉장용 흡입관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용흡입관은 그 냉기도입구와 냉기토출구가 상기 냉동실 냉기순환팬을 사이로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관계로 되도록 냉각실에 개방하는 상태로 좌우의 단열측벽내에 매설되어 있다.
냉각실과 냉동실의 사이에 순환하고 있는 냉기중 일부를 냉장실로 인도하는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실의 냉기를 냉각실로 귀환시키는 냉장용 흡입관은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의 단열측면벽내에 매설하는 방법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양관이 냉동실내에는 존재하지 않아 냉동실의 유효내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가 있다.
게다가,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용 흡입관은 그 냉기도입구와 냉기토출구가 냉동실 냉기순환팬을 사이로 해서 대향하는 배치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실로의 냉기도입압과 냉장실로부터 냉각실로의 냉기토출압은 거의 같은 압력으로 되며, 냉기는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용 흡입관을 통해서 냉각실과 냉장실 사이로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되어 냉장실의 온도제어를 확실히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관은 단열체를 발포충전해서 본체의 단열측면벽을 제조하는 공정의 단계에서 매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관의 장착작업을 대단히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냉동실, 냉장실에 들어가는 그물선반의 공통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1은 전면이 개방된 단열벽(2)로 본체를 구성해서 이루어진 냉장고로서, 냉장고내를 예를 들면 단열벽(2)와 일체로 구성한 단열칸막이판(3)에 의해 상부에 냉동실(4), 하부에 냉장실(5)를 구획형성하고, 전기한 양 실의 전면 개방구를 개폐자유롭게 폐색할 수 있는 단열문(6)을 본체에 부착시키고 있다.
전기한 냉동실(4)의 위쪽위치에는 냉각실(7)이 형성되고, 이 냉각실(7)내에는 냉각기(8)과 전동기(9a)로 회전구동되는 냉동실 냉기순환용 송풍기(9)가 배치되어 있다.
10은 상면에 압축기(11), 응축기(12), 공냉용 송풍기(13)등의 응축장치가 설치되고 이면에 전기한 냉각기(8) 및 전기한 냉동실 냉기순환용 송풍기(9)가 부착지지된 단열판으로서, 본체 상부벽(14)에 형성한 4각형의 개방구를 폐색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이들 응축장치는 전기한 본체의 상부벽(14)의 상면주위를 포위하도록 배치되는 덮개(16)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17은 전기한 단열벽(10)에 대응해서 전기한 냉동실 냉기순환용 송풍기(9) 및 전기한 냉각기(8)을 아래로부터 숨기도록 전기한 본체의 상부벽(14)에서 나사(18)(18)등에 의해 부착고정되는 냉각기 덮개로서 이 냉각기 덮개(17)과 전기한 단열판(10)으로서 형성되는 공간이 전기한 냉각실(7)이 된다.
그리고, 전기한 냉각기 덮개(17)은 한쪽으로 경사진 저면을 갖고 있으며, 이 저면에는 전기한 냉동실 냉기 순환용 송풍기(9)로 향하는 둥근구멍이 형성되어서 냉동실 냉기의 흡입구(19)로 됨과 동시에 저면의 뒤쪽끝은 일부가 절단되어서 냉동실 냉기의 토출구(2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한 냉각실(7)과 전기한 냉동실(4)은 이 흡입구(19) 및 토출구(20)에 의해 연통하고 있다.
또, 전기한 냉각기 덮개(17)의 내면측에는 배수접시(21)이 배치되어 성에 제거시의 전기한 냉각기(8)로붙의 성에 제거시의 물을 받아서 배수로(22a), 배수호스(22b)를 경유해서 본체밖으로 배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냉각운전이 행해지고 전기한 냉동실 냉기 순환용 송풍기(9)가 구동되면 전기한 냉동실(4)에 있어서는 냉동실내의 공기가 전기한 냉동실(4)에서 전기한 냉각실(7)내로 전기한 흡입구(19)를 통해서 흡입되고, 전기한 냉각기(8)에 의해 열교환되어서 냉기로 되고, 전기한 토출구(20)으로부터 전기한 냉동실(4)내를 순환하여 재차 전기한 흡입구(19)를 통해서 전기한 냉동실(4)로부터 전기한 냉각실(7)로 귀환하는 제3도의 화살표(A)로 표시된 순환류가 형성되어서 전기한 냉동실(4)내를 냉각시킨다.
25는 전기한 흡입구(19)부근의 냉기의 일부를 냉동실 냉기순환 송풍기(후술함)에 의해 전기한 냉동실(5)에 인도하는 냉장용 토출관이다.
또, 26은 냉동실 냉기순환 송풍기에 의해 전기한 냉동실(5)내를 같은 모양으로 순환한후의 냉기를 흡입해서 전기한 냉각실(7)로 귀환시키는 냉장용 흡입관이다.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와 전기한 냉장용 흡입관(26)은 냉동실 냉기순환 송풍기(9)를 사이로 해서 상호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는 위치적 관계로 있다.
그리고, 이 냉장용 토출관(25) 및 냉장용 흡입관(26)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한 냉동실(4)를 구성하는 좌우의 단열측면벽(2A)(2B)내에 매설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와 전기한 냉장용 흡입관(26)을 좌우의 단열측면벽(2A)(2B)내에 매설하므로서 관은 냉동실(4)내에는 존재하지 않아 전기한 냉동실(4)내를 모두 저장부로서 이용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유효내용적이 많이 확보된다.
그리고,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와 전기한 냉장용 흡입관(26) 모두 상단에 전기한 냉각실(7)로 향해서 직각으로 굴곡하여 수평으로 뻗은 굴곡부(25a)(26a)를 갖고, 이 굴곡부(25a)의 끝부분의 구멍이 전기한 냉장실(5)에의 냉기도입구(27)이 되고, 한쪽의 굴곡부(26a)의 끝부분의 구멍이 냉동실의 냉기와 합류하도록 전기한 냉장실(5)로부터의 냉기를 전기한 냉각실(7)내로 토출시키는 냉기토출구(28)로 되어 있다.
또, 당연히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의 하단의 끝부분의 구멍은 도입한 냉기의 토출구(29)가 되고, 전기한 냉장용 흡입관(26)의 하단의 끝부분의 구멍은 냉장실 냉기를 전기한 냉장용 흡입관(26)을 통해서 전기한 냉각실(7)로 귀환시키기 위한 흡입구(30)이 된다.
31은 전기한 토출구(29)와 접근해서 전기한 냉장실(5)측에 배치되어 전기한 토출구(29)를 개방 또는 폐색상태로 제어해서 전기한 냉장실(5)로 보내어지는 냉기의 양을 가감하는 댐퍼(damper)장치로서 예를 들면, 댐(32)가 전동기(33)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전기식의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댐퍼장치로서는 기계식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이 댐퍼장치(31)은 냉장실(5)에의 냉기의 흡입을 제어하고 있으나, 냉기의 흡입에 있어서는 반드시 이 댐퍼장치(31)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결국 후술하는 냉장실 후술하는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가 그 냉기 흡입작용을 주로 하고 있다.
34는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로서 전기한 댐퍼장치(31)과 거의 나란히 설치되어서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 및 전기한 냉장용 흡입관(26)과는 위치적으로 편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댐퍼장치(31)과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34)는 전기한 냉장실(5)의 한쪽의 측면벽내면에 장착된 흡기배기상자(35)내에 수용설치되어 있다.
또, 전기한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34)와 대응해서 전기한 흡기배기상자(35)에 형성하여 설치한 원형구멍은 냉장실 냉기의 분출구가 되고 이 분출구는 숭풍기 보호장치(37)로 덮여 있다.
따라서, 냉각운전이 행해지고, 전기한 냉동실 냉기 순환용 송풍기(9)와 전기한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34)가 구동되면, 제3도의 각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한 냉동실 냉기 순환용 송풍기(9)에 의해 전기한 흡입구(19)를 거쳐서 전기한 냉동실(4)로부터 전기한 냉각실(7)로 흡입되는 냉기의 일부가 전기한 냉장실 냉기 순환 송풍기(34)에 의해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를 통해서 강제적으로 흡인되어 그때 열려있는 전기한 덤퍼(32)로부터 전기한 흡기배기상자(35)내의 공간에 들어가서 측면쪽으로 진로가 굽혀져서 전기한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34)에 의해 전기한 냉장실(5)로 광범위하게 분출된다.
전기한 냉장실(5)를 순환한 냉장실내의 냉기는 전기한 냉동실 냉기순환용 송풍기(9)에 의해 위쪽으로 흘러서 전기한 냉각실(7)내로 들어가고, 냉동실의 냉기[화살표(A)로 나타내는]와 합류해서 전기한 냉각기(8)을 통과하여 재차 냉각되어서 다시 전기한 냉동실(4)로 보내지고, 전기한 냉동실(4)를 순환한후 전기한 흡입구(19)로부터 재차 전기한 냉각실(7)로 들어가며, 또한 그 일부가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로 도입되는 순환류로 되어 전기한 냉장실(5)내를 냉장에 적합한 온도를 냉각시킨다.
또한, 전기한 덤퍼(32)의 개폐를 전기한 냉장실(5)내에 설치한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해서 냉장실(5)내로 보내어지는 냉기의 양을 조정하므로서 소정의 냉장온도로 제어가능하게 한다.
38 및 39는 각각 전기한 냉동실(4)내와 전기한 냉장실(5)내에 설치되는 그물선반으로서 이 그물선반은 그 부착위치의 조정이 자유롭게 상하로 복수계단이 배치된다.
그리고 냉동실내의 그물선반(38)과 냉장실내의 그물선반(39)는 같은 크기로 되어 있어 공통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 및 전기한 냉장용 흡입관(26)을 단열측면벽(2A)(2B)내에 매설하는 방법을 제5도 내지 제6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알루미늄판을 가공해서 형성된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전기한 냉장용 흡입관(26)에 대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를 대표로 해서 설명한다.]는 냉장고 본체의 외벽이 되는 외부상자(40)과 전기한 냉동실(4) 및 전기한 냉장실(5)를 각각 형성하는 냉각실 내부상자(47)과 냉장실 내부상자(49)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들 내부 및 외부상자간에 단열제(42)가 발포충전되므로서 단열측면벽(2A)(2B)에 매설된다.
그러기위해 냉동실 내부상자(47) 및 냉장실 내부상자(49)측에 미리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가 부착되도록 한다.
즉,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에 있어서 그 상단의 전기한 냉기도입구(27) 부분을 유니트 브레이커(unit braker)(43)의 개방구부분(44)에 집어넣어, 전기한 개방구부분(44)보다 조금 돌출시킨 상태로 하고, 그리고 전기한 냉기도입구(27) 부분의 양단에서 밖으로 내단 플랜지(frange)(45)(45)에 유니트 브레이커(43)을 나사(46)(46)으로 부착고정시킨다.
그리고, 전기한 유니트 브레이커(43) 자체는 그 하변부분(43a)를 가지고 냉동실 내부상자(47)에 적절한 부착수단으로 부착시킨다.
한편,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의 하단의 전기한 토출구(29)부분에 있어서는 전기한 토출구(29)와 같은 크기의 개방구부분(48)을 형성한 냉장실 내부상자(49)의 한쪽측면에 전기한 토출구(29)가 닿게 된다.
50,50은 그 맞닿은 조각으로서, 전기한 토출구(29)의 상하가장자리에 뻗어나오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개방구부분(48)의 반대측으로부터는 합성수지제의 관구멍(51)이 끼워맞춰 넣어지고 그 측면주위벽부분(51a)는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의 전기한 토출구(29)부분내로 끼워 넣어진다.
이때, 전기한 측면주위벽부분(51a)의 상하면에서 각각 2개를 설치한 고리(53)(53)은 전기한 개방구부분(48)의 이면측 가장자리에 제5도와 같이 걸려서 전기한 냉장실 내부상자(49)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최후에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의 이면측으로부터 부착나사(54)(54)를 전기한 냉장실 내부상자(49)의 부착보스(boss)(55)(55)에 체결고정시킨다.
이렇게 해서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의 상단은 전기한 유니트 브레이커(43)을 개재하여 전기한 냉동실 내부상자(47)에 부착고정되고, 한편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의 하단은 전기한 관구멍(51)을 통해서 전기한 냉장실 내부상자(49)에 부착고정되는 결과로 전기한 각 내부상자에 미리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가 장착된 형태가 된다.
그리고, 이 냉장용 토출관(25)를 부착시킨 전기한 각 내부상자를 상기한 외부상자(40)내에 배치한다.
또한, 이때 유니트 브레이커(43)의 상변부분(43a)의 상기한 외부상자(40)과의 고정은 적절한 부착수단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설치한 후에 전기한 외부상자(40), 전기한 각 내부상자(47)(49) 및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와의 공간영역에 단열재(42)가 발포충전되어서 전기한 냉장용 토출관(25)는 단열측면벽(2A)내로 매설되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벽으로서 본체를 구성하고, 그 냉장고내를 칸막이판에 의해 상부에 냉동실, 하부에 냉장실을 형성하고, 냉동실의 냉각을 그 위쪽에 설치한 냉각실내에 배치한 냉각기과 냉동실 냉기순환 송풍기로서 냉기를 보내어 순환시켜서 행하는 한편, 냉장실내에도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를 배치하여, 이 냉장실의 냉각을 위해 냉동실과 냉각실과의 순환하는 냉기의 일부를 전기한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에 의해 냉장실로 인도하는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실의 냉기를 냉각실로 귀환시키는 냉장용 흡입관은 본체의 단열측면벽내에 매설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 양 관이 냉동실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비해 냉동실은 넓게 사용되어 유효 내용적이 향상된다.
측면벽에 단열재를 발포충전하는 공정중에 이 양관은 측면벽내에 함께 매설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립공정에서의 관의 냉동실내 부착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본체에의 관이 장착이 대단히 간단히 이루어진다.
또, 냉장실과 냉동실은 같은 평면적 넓이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거기에 설치하는 그물선반도 공통 사용할 수 있어 부품의 숫자의 삭감, 비용의 절감등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용 흡입관은 그 냉기도입구와 냉기토출구가 냉동실 냉기 순환팬을 사이로 해서 대향하는 배치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실로의 냉기도입압과 냉장실로부터 냉각실로의 냉기토출압은 거의 같은 압력으로 되며, 냉기는 냉장용 토출관과 냉장용 흡입관을 통해서 냉각실과 냉장실 사이로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되어 냉장실의 온도제어를 확실히 행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단열벽(2)로 구성한 본체내의 냉장고실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를 냉동실, 하부를 냉장실로 하고, 상기 냉동실의 위쪽에 냉동실(4)로의 냉기토출구(2)와 냉동실(4)로부터의 냉기흡입구를 가지고, 내부에 냉각기(8)과 냉동실 냉기순환 송풍기(9)를 수용한 냉각실(7)을 설치하며, 냉각실(7)로 귀환하는 냉기중 냉기흡입구(19)부근의 냉기의 일부를 상기 냉장실(5)에 배치한 냉장실 냉기순환 송풍기에 의해 냉각실(5)로 인도하는 냉장용 토출관(25)와, 냉장실의 냉기를 냉기흡입구(19) 부근으로부터 냉각실(7)로 귀환시키는 냉장용 흡입관(26)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용 토출관(25)와 상기 냉장용 흡입관(26)은 그 냉기도입구(27)과 냉기토출구(28)이 상기 냉동실 냉동순환 송풍기(9)를 사이로 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관계가 되도록 냉각실(7)에 개방한 상태로 좌우의 단열측면벽내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10017502A 1990-10-11 1991-10-07 냉장고 Expired - Fee Related KR970001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70602 1990-10-11
JP2270602A JPH0827123B2 (ja) 1990-10-11 1990-10-11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447A KR920008447A (ko) 1992-05-28
KR970001295B1 true KR970001295B1 (ko) 1997-02-05

Family

ID=1748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502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1295B1 (ko) 1990-10-11 1991-10-07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7123B2 (ko)
KR (1) KR970001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2331U (en) * 1997-04-25 2001-02-11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WO2001029493A1 (en) * 1999-10-20 2001-04-26 Daewoo Electronics Co., Ltd. Cooling air circulating system for use in a refrigerator
KR20230137713A (ko) 2022-03-22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3377U (ko) * 1973-07-20 1975-04-10
JPS5166870U (ko) * 1974-11-22 1976-05-26
JPS609663U (ja) * 1983-02-14 1985-01-23 小田 「こう」介 印鑑キヤツプ
JPH0447585Y2 (ko) * 1986-01-10 1992-1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48178A (ja) 1992-05-21
KR920008447A (ko) 1992-05-28
JPH0827123B2 (ja) 199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264B1 (en) Refrigerator having centrifugal fan with volute
KR100457274B1 (ko) 냉장고
US7234320B2 (en) Modular refrigeration unit and refrigerator
CA3083017C (en) Refrigerator integrated with ice maker
US4821530A (en) Air-conditioning refrigerator
US703240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WO2005003658A3 (en) Cabinet refrigerating system
KR20190013112A (ko) 냉장고
US5491980A (en) Reversible refrigerator/freezer system
JPH0424481A (ja) 組合せ冷蔵庫
EP1384963B1 (en) Built-in refrigerator
US2745260A (en) Hydrator on refrigerator cabinet door
CN114076460A (zh) 一种增大底部储物空间容积的冰箱
US6014868A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cold air supply structure
KR970001295B1 (ko) 냉장고
US3320764A (en) Refrigerator with removable wall
JP2000337748A (ja) 冷蔵庫
JP4118210B2 (ja) 冷蔵庫
JP3714715B2 (ja) 冷却貯蔵庫
KR960002577B1 (ko) 냉장고
JPH09243234A (ja) 冷却貯蔵庫における除霜排水蒸発装置
JP2007064601A (ja) 冷蔵庫
JP4156952B2 (ja) 冷却貯蔵庫
KR20060078134A (ko) 냉장고
JP2007064598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2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20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