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3425B1 - 자기기록재생장치와 그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장치와 그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425B1
KR960013425B1 KR1019920006363A KR920006363A KR960013425B1 KR 960013425 B1 KR960013425 B1 KR 960013425B1 KR 1019920006363 A KR1019920006363 A KR 1019920006363A KR 920006363 A KR920006363 A KR 920006363A KR 960013425 B1 KR960013425 B1 KR 96001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ading
driving
post
pendul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439A (ko
Inventor
아키오 코니시
요시토모 사카이
요시유끼 사이토
히데아끼 요시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850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15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850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62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850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6295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4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장치와 그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로우딩기구를 표시한 평면도.
제2도는 동 로우딩기구를 표시한 평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4도는 동 테이프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5도는 동 실시예의 로우딩기구를 표시한 사시도.
제6도는 동 로우딩기구의 요부를 표시한 사시도.
제7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캠기어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8도는 동 실시예의 로우딩기구의 요부를 표시한 평면도.
제9도는 동 실시예의 로우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0도는 동 실시예의 로우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1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요동판의 구성을 표시한 단면도.
제12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핀치로울러의 압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3도는 동 핀치로울러의 압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4도는 동 핀치로울러의 압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평면도.
제15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로우딩보우트의 위치결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6도는 로우딩보우트의 위치결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18도는 로우딩보우트의 위치결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19도는 종래의 로우딩기구를 표시한 평면도.
제20도는 동 종래예의 위치결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1도는 동 종래예의 요부단면도.
제22도는 동 종래예의 요부단면도.
제23도는 동 종래예의 요부단면도.
제24도는 종래의 로우딩포우스트 구동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개략평면도.
제25도는 종래의 로우딩장치의 구동부분인 간헐운동기구의 구성을 표시한 개략사시도.
제26도는 종래의 로우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섀시 2 : 테이프카세트
3 : 공급쪽 리일 4 : 감기쪽 리일
5,6,7 : 잘린 부분 8 :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
9 : 텐션포우스트 10 :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
11 :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 12 : 핀치로우딩
13 : 자기테이프 14 : 공급쪽 보우트
14a,15a : V 홈 15 : 감기쪽 보우트
15C : 삽입구멍 16 : 경사포우스트
17 : 공급쪽 로우딩가이드 17a,18a : 단차부
18 : 감기쪽 로우딩가이드 19 : 회전헤드실린더
20 : 캡스턴 21 : 베어링
22 : 오디오콘트롤헤드 23 : 보조가이드포우스트
24,26 : 고정경사포우스트 25 : 캡스턴모우터
30 : 로우딩모우터 31a,31b,32a,32b,33a,33b : 2중기어
34 : 캠기어 35 : 제1간헐기어부
35a,36c : 이가 빠진 부분 36 : 제2간헐기어부
36a,37b : 기어단부 37 : 캠부
37a,37b : 캠홈 37c : 캠벽
38 : 공급쪽 링기어 39 : 감기쪽 링기어
40,41 : 기어부 40a : 제1이가 빠진 부분
40b : 제2이가 빠진 부분 42 : 중간기어
43 : 진자기어 44,47,48,63,64,75 : 축
45 : 요동판 45a : 절곡부
46,61,73 : 긴구멍 49 : 차아지아암
50 : 비틀림 코일스프링 51,76 : 링크
51a,51b,66,67,70,71,86a : 핀 52,54 : 고정아암
53 : 공급쪽 구동축 55 : 감기쪽 구동축
57,59 : 유지부 57a,59a : 클릭
60 : 핀치로드 62 : 캠종동자
65 : 제1핀치차아지아암 68 : 제2핀치차아지아암
69 : 스프링 72 : 핀치아암
74 : 아암 86,87,91,92 : 스토퍼
90 : 텐션조정아암
본 발명은 회전헤드를 내장하는 원통형상의 회전헤드실리더에 자기테이프를 소정각도 두루 감고, 상기 회전헤드에 의해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회전헤드형 자기기록재생장치(이하 VTR이라고 부름)와 그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리일, 및 감기리일을 내장한 테이프카테트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인출하여, 상기 회전헤드실린더에 소정각도 두루 감는 것이다.
최근, VTR은 소형, 경량, 박형화가 도모되고 있고, 특히 VTR의 로우딩기구에 관한 구성은 매우 복잡한 것이며, 부품점수도 많고 VTR 전체의 크기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로우딩기구에 관한 개발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되고 있다.
이하, 종래의 VTR의 구성, 특히 로우딩완료시의 자기테인출부의 위치결정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일본국 특공소 57-23334호 공보참조).
제19도는 로우딩완료시의 VTR의 구성을 표시한 카세트이며, 도면에 있어서, (101)은 공급리일 및 감기리일을 내장한 카세트이며, 이 공급리일과 감기리일의 사이에는 자기테이프가 가이드포우스트(105a),(105b) 및 (106)를 개재해서 팽팽하게 걸려있다.
상기 카세트(101)는 기판(110)상의 소정위치에 올려놓고, 카세트(101)내의 공급리일은 공급리일대(111)에 끼워맞추고, 감기리일은 감기리일대(112)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162)는 소거헤드, (163)은 제어헤드, (164)는 캡스턴용 등의 모우터, (164)는 캡스턴, (166)은 아이들러이다. (I) 및 (II)는 카세트(101)내의 자기테이프를 인출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헤드실린더(113)의 주위에 두루 감기 위한 1쌍의 자기테이프 인출부이다.
(136),(137)은 로우딩링이며 동심원적으로 기판(110)의 하면부에 맞포개어져서 회동자재하게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인출부(I)의 구성을 설명하면, (114)는 인출부베이스이며, 기판(110)상의 안내홈(119)에 접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120)은 인출부베이스(114)에 배설된 수직인출핀으로서, 카세트(101)내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하기 위한 것이며, 인출완료후에 있어서는 주행계로를 형성하는 하나의 안내핀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이 인출부(I)의 구성인데, 인출부(II)는 인출부(I)와 대칭형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125)(125')는 상기 인출부(I) 및 (II)의 인출완료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이며, 제20도, 제2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스토퍼(125)는 제1스토퍼부를 구성하는 V홈(126)을 가진 돌출조각(127)과, 제2스토퍼부를 구성하는 U홈(128)을 가진 돌출조각(161)이 상하 서로 대향해서 배설되어 있으며, V홈(126)의 중심선 a-a'와, U홈의 중심선 b-b'를 연결하는 c-c'는 기판(110)의 상면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U흠(128)의 폭 S는 상기 수직인출핀(120)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며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토퍼(125)의 경사캠면(132)은, 제2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I)가 자기테이프(104)를 인출하면서 화살표 X방향으로 접동해 왔을 때, 인출부 베이스(114)에 설치된 돌출조각(118)이 스토퍼(125)의 제3스토퍼를 구성하는 구성하는 오목부(133)에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125')는 (125)와 완전히 대칭형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자기테이프인출부(I)가 스토퍼(125)와 정확하게 당접하는 상태를 제23도에 사용해서 설명한다. 로우딩링(136)의 회전과 동시에 이동해온 자기테이프인출부(I)는, 보스부(116)가 접동안내흠(119)에 정확히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이 접동안내흠(119)을 따라서 스토퍼(125)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먼저 제1스토퍼부를 형성하는 돌출조각(127)의 V홈(126)에 수직인출핀(120)이 당접한다. 이때 보스부(116)가 접동안내홈(119)에 끼워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수직인출핀(120)은 좌우로 흔들리는 일없이 정확히 V홈(126)의 중심에 당접해서 먼저 위치결정된다. 다음에 또 수직인출핀(120)을 압입하려고 하는 힘이 있으나, 수직인출핀(120)의 위쪽은 상기 V홈(126)에서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아래쪽만 압압된 선단부의 돌출조각(118)을 위쪽으로 밀어올리려고 한다. 그러나, 이 돌출조각(118)은 스토퍼(125)의 제3스토퍼부를 구성하는 오목부(133)의 상면과 당접하여 수평으로 유지된다. 상기 수직인출핀(120)의 아래쪽은 제2스토퍼부를 구성하는 돌출조각(161)의 U홈(128)에 정확히 끼워넣고 수직인출핀(120)의 아래쪽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규제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수직인출핀(120)은 각각 제1, 제2 및 제3스토퍼부를 구성하는 V홈(126)과 U홈(128)과 오목부(133)의 상면에서 좌우, 전후, 상하 등 모든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고, 기판(110)에 대하여 바르게 수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혹은 기록상태에 있어서 자기테이프(104)는 이 수직인출핀(120)에 걸리는 동시에 바르게 회전헤드실린더(113)에 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인출핀(120')의 동작도 상기 수직인출핀(120)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제1과제로서, 인출부(I),(II)의 위치결정에 관한 구성에 매우 복잡한 동시에, 부품점수가 매우 많고 또한 항상 안정된 테이프주행계를 얻기 위하여 각 구성부품의 가공정밀도는 매우 높은 것이 요구되고 있었기 때문에, 로우딩기구의 소형, 경량, 박형, 저비용화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인출부(I),(II)를 전후, 좌우, 상하 등 모든 방향에 대해서 위치규제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제2 및 제3 스토퍼부를 구성하는 V홈(126)과 U홈(128)과 오목부(133)의 상면의 각각이 필요하며, 또한 상당한 가공 정밀도가 필요했다.
다음에, 종래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는, 로우딩기어를 구동하는 기어를 2중기어로 구성하고, 이 2중기어를 구성하는 2개의 기어 사이를 중심주위에 배설된 코일스프링 등에 의해서 연결하고, 한쪽의 기어에 의해서 2중기어를 구동하고, 다른쪽의 기어에 의해서 로우딩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로우딩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로우딩포우스트가 스토퍼에 의해서 저지되었을때에 상기 한쪽의 기어를 다른쪽의 기어에 대해서 코일스프링에 대항해서 여분으로 회전시켜, 로우딩포우스트의 스토퍼에 대한 압착력을 얻고 있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자들이 이미 제안한 일본국 특원평 1-267329(일본국 특개평 3-127373호(91. 5. 30공개))에서는, 제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기어(201)의 회전력은 기어(202)와 기어(203)를 개재해서 로우딩주기어(204)에 전달되고, 그 회전력은 로우딩주기어(204)에 동축에 연결된 기어(205)를 개재해서 제1로우딩기어(206)에 전달되는 동시에, 기어(207)와 이 기어(207)에 동축에 연결된 기어(208)를 개재해서 제2로우딩기어(209)에 전달되고, 이들 기어(206)와 (209)는 각각 로우딩포우스트(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 링기어(210)와 (211)를 구동한다.
이때 기어(204)와 (205) 및 기어(207)와 (208)는 각각 2중기어에 의해서 구성되고, 기어(204)와 (205)의 사이 및 기어(207)와 (208)의 사이는 각각 중심주의에 배설된 코일스프링(212) 및 (213)을 개재해서 연결되고, 제1로우딩기어(206)와 제2로우딩기어(209)의 구동에는 지장은 없지만, 링기어(210),(211)에 연동하는 로우딩포우스트가 로우딩완료위치에서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저지되었을때에 기어(204)와 (207)가 또 약간 회전해서 기어(204)와 (205)의 사이의 코일스프링(212) 및 기어(207)와 (208)의 사이의 코일스프링(213)을 신장시키고, 각각의 탄성력에 의해 로우딩포우스트를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압착해서, 로우딩포우스트의 유지를 확실히 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는, 제2과제로서, 로우딩포우스트를 탄성적으로 압착하기 위하여, 회전헤드실린더에 자기테이프를 공급하는 쪽의 로우딩포우스트와 회전헤드실린더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하는 쪽의 로우딩포우스트의 각각에 대해서 부세수단의 1개씩 필요하며, 그 때문에 많은 기어가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두께나 점유면적이 커졌다. 특히 스프링부착 2중기어를 2개 사용하는 경우에, 그 문제가 커서, 소형, 경량, 박형화에는 매우 불리했다.
다음에, 종래의 자기기록재생장치, 예를 들면 VTR에 있어서는, 회전헤드를 가진 실린더드럼에 테이프를 두루 감는 로우딩동작완료후에 재생, 정지, 빨리감기 등의 모우드이행동작을 행하나, 이 모우드이행동작을 로우딩동작을 구동하는 모우터와 동일한 모우터에 의해서 행하기 위해서는 소위 구동력절환기구 혹은 간헐운동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이런 종류의 간헐운동기구에는 소위 제네바기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61442호 공보에서는 제2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기어(224)는 캠면(224b)과 간헐기어부(224c)와 전체둘레기어부(224d)의 3층구조로 되어있다. 또 이 캠기어(224)에 맞물리고 또한 캠기어(224)의 1회전에 대해서, 간헐회전운동을 행하는 제네바기어(225)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면(225b)과 전체둘레기어부(225c)의 2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캠기어(224)에는 모우터로부터 회전력이 전체둘레기어부(224d)를 개재해서 전달되고(도시하지 않음), 캠기어의 회전에 대해서 제네바기어가 종동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데, 이 기구의 구체적인 간헐운동의 동작을 제26도(a) 내지 제26도(f)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6도(a)에 있어서 제네바기어(225)의 캠면(225b)은 캠기어(224)의 캠면(224b)에 걸어두고 있으며 또한 제네바기어(225)의 전체둘레기어부(225c)는 캠기어(224)의 간헐기어부(224c)와 걸어맞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제네바기어(225)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다. 제26도(a)의 상태로부터 캠기어(2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6도(b)의 상태로 이행하고, 제네바기어(225)의 톱니(225d)가 캠기어(224)의 톱니(224e)와 걸어맞춤을 개시하고, 더욱 캠기어(2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6도(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네바기어(2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제네바기어(225)가 360℃ 약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6도(d)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이행하고, 또 캠기어(2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네바기어의 톱니(225e)와 캠기어의 톱니(224f)는 걸어맞춤이 이탈하나 제26도(e)에 표시한 바와 같은 캠기어의 캠부(224f)가 제네바기어의 캠면(225b)을 들어올려, 제26도(f)의 상태로 이행한다. 제26도(f)의 상태로부터 다시 캠기어(2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도, 제네바기어(225)의 캠면(225b)이 캠기어(224)의 캠면(224b)에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제네바기어는 회전하는 일없이 정지한 그대로이다.
이상과 같은 간헐운동기구를 이용하고, 캠기어를 모우터에 의해서 구동하는 동시에, 제네바기어에 로우딩 포우스트를 직접 구동하기 위한 로우딩기어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로우딩동작완료후 및 로우딩동작개시전에 동일 모우터에 의한 모우드이행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에서는 제3과제로서, 간헐운동기구에 소위 제네바기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캠기어는 캠부, 간헐기어부, 전체둘레기어부의 3층구조가 되기 때문에 장치전체를 소형경량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매우 불리했다.
또 제네바기어도 캠부 및 전체둘레기어부의 2층구조가 되어 두껍게된다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네바기어 그 자체는 작은 기어이므로, 제네바기어 그 자체에서 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것은 불가능한 결과, 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로우딩기어를 제네바기어에 맞물리게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도시생략). 따라서 원동부인 캠기어로부터 로우딩기어에 힘, 변위를 전달하는데에, 제네바기어와 같은 1개의 부재를 통과하지 않으면 안되어, 소형경량, 부품점수와같은 견지로부터도 불리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자기테이프 인출부의 위치결정기구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기기록재생장치는 로우딩보우트의 위치결정을 로우딩보우트의 V홈과 스토퍼를 당접시키는 구성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또 구동축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위치를 자기테이프의 인출완료시에 구멍부로부터 돌출부로 이행시키는 구성에 의해 실현시키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로우딩보우트의 위치결정은 V홈과 스토퍼가 당접하면, V홈에 의해 로우딩보우트의 좌우방향의 위치규제가 행해지고 동시에 당접에 의한 힘점의 방향이 섀시쪽이기 때문에, 전후, 상하의 위치규제도 동시에 행해진다.
또, 구동축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위치를 자기테이프의 인출완료시에 구멍부로부터 돌출부로 이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V홈과 스토퍼의 당접위치를 축으로 해서 로우딩보우트를 압압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우딩보우트의 후단부가 기준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2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스프링부착의 2중기어의 사용을 없애고, 또한 1개의 부세수단에 의해서 2개의 로우딩포우스트의 압착을 행할 수 있어, 소형, 경량,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 및 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는,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 및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2개의 로우딩기어와, 한족의 로우딩기어에 맞물리는 진자기어와, 이 진자기어와 다른쪽의 로우딩기어의 사이에 삽입장착되어서 상기 2개의 로우딩기어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하기 위한 중간기어와, 상기 진자기어와 중간기어가 피벗장착되어서 진자기어와 중간기어가 각각 맞물리는 로우딩기어의 대략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범위의 변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동판과, 진자기어 혹은 중간기어에 회전부세를 가하는 부세수단과, 2개의 로우딩기어중 어느 하나에 맞물려서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구동기어는 한쪽의 로우딩기어를 구동함으로써 진자기어, 중간기어를 개재해서 다른쪽의 로우딩기어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부세수단에 의해,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한쪽의 로우딩기어 및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다른쪽의 로우딩기어의 쌍방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부세를 받게 되고, 이 결과, 로우딩완료상태에 있어서 1개의 부세수단에 의해서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와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의 2개의 로우딩포우스트를 동시에 압착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진자기어, 중간기어의 회전축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라면, 로우딩완료상태에 있어서, 감기쪽 로울러포우스트와 공급쪽 로울러포우스트 쌍방이 동시에 각각의 스토퍼에 압착위치결정되는 일은 일어날 수 없다. 즉 반드시 어느 한쪽이 먼저 위치결정되고, 다른쪽은 스토퍼에 당접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진자기어 및 중간기어는 요동판상에 축지지되고 있으므로, 공급로우딩포우스트의 스토퍼에의 압압타이밍이 약간 어긋났다고 해도 요동판이 약간 변위함으로써 조정이 도모되고,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 쌍방 모두 각각의 스토퍼에 확실히 압압위치결정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3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원동부인 기어를 2층구조로 하여 소형, 경량,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네바기어를 폐지하고, 원동부의 기어보다 큰 로우딩기어에 직접 구동력을 직접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는, 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동시에 이가 빠진 부분을 가진 로우딩기어와, 이 이가 빠진 부분을 개재해서 이 로우딩기어와 걸어맞춤 이탈가능한 간헐기어부를 가진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로우딩완료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우딩기어가 구동기어의 간헐기어부로부터 걸어맞춤이탈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이가 빠진 부분의 위치를 로우딩기어에 설정하는 동시에, 로우딩완료위치에 있어서, 로우딩기어를 로우딩완료방향으로 회전을 강제하는 부세수단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구조에 의해 원동부인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로우딩기어가 구동되나, 로우딩완료직전에서 로우딩기어의 이가 빠진 부분으로부터 구동기어의 간헐기어부가 이탈한다. 이때 로우딩기어에 부세수단에 의해 로우딩완료방향으로 회전히 강제되고 있기 때문에, 로우딩포우스트는 압압위치결정된다. 또 구동기어를 다시 회전시켜 모우드이행동작을 행하여도 로우딩기어는 전달이 끊기고 있으므로 아무런 지장이 생기지 않아 간헐운동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이것과 반대인 언로우딩동작시에는, 구동기어가 역전함으로써 상기한 이가 빠진 부분에 구동기어의 간헐기어부가 걸어맞추고, 상기 부세수단에 대항하여 로우딩기어를 언로우딩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로우딩기어에 이가 빠진 부분을 형성하므로써 구동기어의 간헐기어부와의 걸어맞춤 이탈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동기어를 모우터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부분과, 간헐기어부와의 2층구조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제네바기어 등이 없이 구동기어로부터 직접 로우딩기어를 구동할 수 있어, 소형, 경량, 박형화,부품점수삭감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의 테이프로우딩전 및 테이프로우딩후의 평면도, 제3도 및 제4도 동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에 의한 테이프패스를 설명하는 개략평면도 및 테이프패스의 요부를 표시한 사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동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의 요부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제1도~제4도를 사용해서 로우딩포우스트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제3도, 제4도에 있어서, (1)은 섀시, (2)는 섀시(1)에 장착된 테이프카세트이며, 테이프카세트(2)내에는 공급쪽 리일(3)과 감기쪽 리일(4)이 배설되어 있다. 테이프카세트(2)가 섀시(1)에 장착되었을 때에, 테이프카세트(2)의 앞면부에 형성된 잘린 부분(5),(6),(7)의 각각에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와 텐션포우스트(9)와 경사포우스트(16), 및 제1과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0),(11) 및 핀치로울러(12)와 보조가이드포우스트(23)가 자기테이프(13)의 안쪽에 각각 삽입된다.
(14),(15)는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 및 제1과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0),(11)가 탑재된 공급쪽 보우트 및 감기쪽 보우트이며, 공급쪽 보우트(14)에는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외에 경사포우스트(16)가 배설되어 있으며,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8)와 함께 잘린 부분(5)에 삽입된다.
(17),(18)은 제1도,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로우딩동작시에 공급쪽 보우트(14) 및 감기쪽 보우트(15)를 각각 안내하는 원호형상의 공급쪽 로우딩가이드 및 감기쪽 로우딩가이드로서, 회전헤드실린더(19)의 주위를 따라서 배설되어 있으며,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는 로우딩완료위치정도로 높아지도록 구성되고,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는 로우딩완료위치정도로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회전헤드실린더(19)는 섀시(1)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고,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는, 공급쪽 보우트(14)가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를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공급쪽 리일(3)로부터 인출하여 자기테이프(13)를 회전헤드실린더(19)에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왼쪽으로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서 감고, 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0)는 감기쪽 보우트(15)가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를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감기쪽 리일(4)로부터 인출한 자기테이프(13)를 회전헤드실린더(19)에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해서 감는다.
이때,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는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가 점차 높아지는 슬로우프로 인해서 로우딩완료위치에서는 약간 뒤쪽으로 경사지는 자세가 되고, 제1과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0), (11)는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가 점차 낮아지는 슬로우프로 인해서 약간 앞쪽으로 경사지는 자세가 된다.
따라서,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에 의해서 회전헤드실린더(19)에 공급된 자기테이프(13)는 회전헤드실린더(19)의 상부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해서 인도되고, 회전헤드실린더(19)의 출구쪽에서는 하부로부터 제1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0)에 의해서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는 완만한 테이프패스에 반전해서 인출되고,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1)에 의해서 약간 앞으로 경사지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완만한 사향패스에 의해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인도된다.
(20)은 테이프카세트(2)의 장착위치의 바깥쪽에서 섀시(1)에 배설된 캡스턴이며, 상하단부가 베어링(21)에 의해서 지지되고, 또한 로우딩완료위치에 있어서의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10),(11)의 기울기와 대략 동등한 기울기가 되도록 섀시(1)에 경사져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진 캡스턴(20)은 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1)로부터 사향패스에 의해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인도되어온 앞으로 경사진 자세의 자기테이프(13)에 전면적으로 접촉하고, 로우딩동작완료시에 테이프카세트(2)의 잘린 부분(7)의 위치로부터 이동해오는 핀치로울러(12)에 의해서 자기테이프(13)를 끼워서 구동한다. 이때 핀치로울러(12)는 캡스턴(20)에 전체면에서 압접하도록 캡스턴(20)과 동등한 경사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2)는 로우딩완료위치의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1)와 캡스턴(20)의 사이에서 캡스턴(20) 근처위치에 배설된 오디오콘트롤헤드이며,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1)로부터 캡스턴(20)에 사향패스에 의해서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서 인도되는 앞으로 경사진 자세의 자기테이프(13)에 대한 접촉을 좋게하기 위하여, 캡스턴(20)과 동등한 경사가 되도록 섀시(1)에 배설되어 있다.
(23)은 핀치로울러(12)와 연동해서 이동하는 보조가이드포우스트이며, 로우딩개시전에는 테이프카세트(2)의 잘린 부분(7)에 삽입되고, 로우딩완료시에는 핀치로울러(12)와 함께 이동해서 캡스턴(20)과 핀치로울러(12)에 의해 주행되는 자기테이프(13)를 고정경사포우스트(24)쪽으로 안내한다. 제2감지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1)로부터 캡스턴(20), 보조가이드포우스트(23)를 통해서 마찬가지로, 앞으로 경사진 자세로 보내져온 자기테이프(13)는 테이프카세트(2)의 바로 앞에서 섀시(1)에 경사져서 고정된 고정경사포우스트(24)에 의해서 사향패스로부터 수평주행패스로 전환할 때의 테이프꼬임이 수정되고, 테이프카세트(2)의 감기쪽 리일(4)에 감긴다. (25)는 캡스턴(20)을 구동하는 캡스턴모우터로서, 섀시(1)에 경사져서 장착되어 있으며, 이 구성에 의해 캡스턴(20)을 테이프카세트(2)의 장착위치의 바닥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섀시(1)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어, 박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로우딩모우터(30)의 구동력은 2중기어인 (31a),(31b), 2중기어인 (32a),(32b), 2중기어인 (33a),(33b)를 개재해서 캠기어(34)에 전달된다. 캠기어(34)는 제7도(a),(b),(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반부분에는 일부가 이가 빠진 부분(35a)이 형성되는 동시에, 기어(33b)가 맞물림으로써 로우딩모우터(30)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1간헐기어부(35)가 형성되고, 또 하반부분에는 일부가 이가 빠진 부분(36c)이 형성되는 동시에 감기쪽 링기어(39)를 개재해서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0),(!1)에의 구동력의 전달에 사용되는 제2간헐기어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간헐기어부(35)에는 이가 빠진 부분(35a)을 가지고 있으나, 이것은 로우딩에 따라서 텐션포우스트(9)를 이동시키기 위한 텐션조정아암(90)의 일부를 제1간헐기어부(35)에 형성된 캠벽(37c)에 당접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며, 별도의 수단에 의해 텐션조정아암(90)을 제어할 수 있으면, 제1간헐기어부(35)를 전체둘레기어로 해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다음에, 상면부에는 핀치로울러(12)의 캡스턴(20)에의 압접이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캠부(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들이 일체로 캠기어(3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먼저, 캠기어(34)의 제2간헐기어부(36)에 의해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10),(11)가 구동되는 기구에 대해서, 제9도의 기어군의 평면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38)은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를 구동하기 위한 공급쪽 링기어, (39)는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10),(11)를 구동하기 위한 감기쪽 링기어이며, 회전헤드 실린더(19)의 아래쪽에서 그 중심위치가 서로 편심한 위치가 배설되어 있다. 감기쪽 링기어(39)의 외주의 소정범위에 형성된 기어부(40)는 캠기어(34)의 제2간헐기어부(36)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기어(40)의 중간부 및 로우딩시 회전방향의 화살표 (가)방향으로 보아서 후단부에는 로우딩동작의 시동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제2간헐기어부(36)의 기어단부(36a),(36b)와 걸어맞춤이탈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이가 빠진 부분(40a),(4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공급쪽 링기어(38)의 외주의 소정범위에 형성된 기어부(41)는, 이것에 맞물리는 중간기어(42), 이 중간기어(42)에 맞물리는 2중기어로 이루어진 진자기어(43)의 한쪽의 기어(43a), 또 진자기어(43)의 다른쪽의 기어(43b)를 개재해서 공급쪽 링기어(38)에 연동연결되어 있다. 이들 중간기어(42), 진자기어(43)는 섀시(1)에 설치된 축(44)에 요동자재하게 장착된 요동판(45)에 피벗장착되고, 요동판(45)은 타단부에 형성된 긴구멍(46)이 섀시(1)에 심어설치된 축(47)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그 요동범위가 규제되고 있다.
또, 제11도에도 그 단면도를 표시한 바와 같이, 진자기어(43b)는 이것과 일체가 된 플레이트(43c)를 가지고 있다. (49)는 차아지아암으로서, 요동판(45)에 심어설치된 축(48)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그외주부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50)이 배설되고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50)의 일단부는 차아지아암(49)에 걸어두고, 타단부는 요동판(45)의 절곡부(45a)에 걸어두고 있다. 이 결과, 차아지아암(49)은 제9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부세되고 있다.
(51)은 링크로서, 일단부는 핀(51a)에 의해 플레이트(43c)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타단부는 핀(51b)에 의해 차아지아암(49)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9도에 있어서는, 진자기어(43)는 링크(51)를 개재해서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부세되게 된다. 또한 진자기어(43)의 1회전에 대해서 차아지아암(49)은 축(48)을 중심으로 왕복요동운동을 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공급쪽 링기어(38)는 기어(41)의 로우딩시 회전방향의 화살표(나)방향으로 보아서 전단부에 고정아암(52)에 연장되고, 그 선단부에 공급쪽 구동축(53)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감기쪽 링기어(39)는 기어부(40)의 로우딩시 회전방향인 화살표(가)방향으로 보아서 전단부에 고정아암(54)이 연장되고, 그 단부에 감기쪽 구동축(55)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쪽 구동축(53)에는 제5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쪽 보우트(14)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공급쪽 보우트(14)의 후단부에는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의 외주에 형성된 단차부(17a)와 걸어맞추는 유지부(57)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유지부(57)에는 단차부(17a)와 걸어맞추는 클릭(57a)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급쪽 보우트(14)는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를 따라서 안내된다.
마찬가지로, 감기쪽 구동축(55)에는, 제5도,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감기쪽 보우트(15)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감기쪽 보우트(15)의 후단부에는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의 외주에 형성된 단차부(18a)와 걸어맞추는 유지부(59)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유지부(59)에는 단차부(18a)와 걸어맞추는 클릭부(59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감기쪽 보우트(15)는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를 따라서 안내된다.
여기서, 공급쪽 구동축(53)과 감기쪽 구동축(55)은 공급쪽 링기어(38)와 감기쪽 링기어(39)가 각각 로우딩시에 (나)방향과 (가)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원호형상의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와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의 외주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공급쪽 보우트(14) 및 감기쪽 보우트(15)는 로우딩중 각각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 및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의 외주로부터 이탈하는 일없이 안정되어 안내되고, 또한 공급쪽 보우트(14)는 로우딩완료위치만큼 높아지도록 점차 상승되고, 감기쪽 보우트(15)는 로우딩완료위치만큼 낮아지도록 점차 하강되면서 이동한다.
여기서, 공급쪽 보우트(14) 및 감기쪽 보우트(15)의 로우딩완료위치에 있어서의 위치결정기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5도는 공급쪽 보우트(14)의 위치결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바닥면도, (d)는 요부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각 부품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86)은 섀시(1)에 심어 설치된 스토퍼이며, 핀(86a)의 상부에는 원추형상의 압압부(86b)가 형성되어 있다. 또 (14a)는 공급쪽 보우트(14)의 선단부에 V홈이며, 경사부를 가지고 있다. 또 공급쪽 보우트(14)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바닥면에는 기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우딩완료위치근처에 형성된 섀시(1)의 기준면과 당접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제5도 및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쪽 링기어(38)의 회동에 따라서,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를 따라서 안내된 공급쪽 보우트(14)는 로우딩완료위치에서 스토퍼(86)와 V홈(14a)이 당접하여, 공급쪽 보우트(14)의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즉, 로우딩완료위치에서는, 후술하는 요동판(45)의 작용에 의해, 항상 공급쪽 구동축(53)을 개재해서 구동력이 P방향으로 가해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스토퍼(86)와 V홈(14a)이 당접하면, V홈(14a)에 의해 공급쪽 보우트(14)의 좌우방향의 위치규제가 행해진다. 또 동시에 공급쪽 보우트(14)에 대해서 F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공급쪽 보우트(14)의 전후, 상하의 위치규제도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86)와 V홈(14a)의 당접은 선접촉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면접촉에서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스토퍼(86)의 압압부(86b) 및 V홈의 구성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6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압부(86b)를 원추형상으로 형성하고, V홈(14a)에 경사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점접촉시켜도 된다. 또 제16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압부(86b)를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V홈(14a)에 경사부를 형성하므로써 점접촉시켜도 된다. 또, 제16도(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압부(86b)를 구로 하고, V홈(14a)에 경사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점접촉시켜도 된다. 또 제16도(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압부(86b)를 본 실시예와 같이 원추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당접하는 부근을 부분적으로 원추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쪽의 위치결정기구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감기쪽의 위치결정기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위치결정기구를 보다 고정밀도로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7도는 본 실시예의 감기쪽 보우트(15)에 있어서 위치결정시에 발생하는 일이 예상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또한 (1a)는 섀시(1)쪽의 기준면이며, (15b)는 감기쪽 보우트(15)의 기준면이다. 또 (15c)는 감기쪽 구동축(55)을 삽입하기 위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삽입구멍이다.
도면에 있어서, 감기쪽 구동축(55)의 이동에 따라서, 감기쪽 보우트(15)는 로우딩완료위치로 이동하고(제17도(a)→(b)), 로우딩완료위치에서는 후술하는 요동판(45)의 움직임에 의해 항상 감기쪽 구동축(55)을 개재해서 구동력이 P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다. 이에 의해 스토퍼(87)와 V홈(15a)이 당접하고, 감기쪽 보우트(15)의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여기서 감기쪽 보우트(15)는 감기쪽 구동축(55)에 대해서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 때문에 감기쪽 구동축(55)은 삽입구멍(15c)의 바닥부(스토퍼(87)와 V홈(15a)의 당접점보다도 상방부)에 P방향의 구동력을 가하게 되고, 스토퍼(87)와 V홈(15a)의 당접점을 축으로 해서 감기쪽 보우트(15) 전체를 Q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감기쪽 보우트(15)의 후단부가 기준면으로부터 들떠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는, F방향으로 부세력이 가해지도록 판스프링 등을 섀시(1)에 배설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으나, 그러기 위한 스페이스나 조립공정수 등이 증가하는 등,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하는데 방해가 되므로 반드시 최적의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감기쪽 보우트(15)의 삽입구멍(15c)의 앞쪽 하단부에 돌출부(15d)를 형성하는 동시에, 고정아암(54)과 당접하는 부분에 감기쪽 보우트(15f)를 형성하고, 또 감기쪽 구동축(55)이 심어 설치된 고정아암(54)의 일단부에 경사부(54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삽입구멍(15c)은 대략 원통형상의 것이나, 구멍의 형상, 깊이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보우트 두께의 구멍이라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에 의해, 감기쪽 구동축(55)이 감기쪽 링기어(39)의 회동에 따라서 구동하면, 로우딩완료위치까지는 상기와 같이 감기쪽 구동축(55)은 삽입구멍(15c)의 바닥단부에 P방향의 구동력이 가해져서 감기쪽 보우트(15)가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를 따라서 안내되나, 로우딩완료위치가 가까워짐에 따라서, 감기쪽 보우트(15)는 감기쪽 구동축(55)의 아래쪽으로 강하해가기 때문에, 감기쪽 보우트(15)의 돌출부(15d)와 고정아암(54)의 경사부(54a)가 당접하게 된다.
이때, 경사부(54a)는 감기쪽 보우트 경사부(15f)의 경사를 따라서 타고 올라가게 되고, 감기쪽 보우트(15)의 위치결정시에는 감기쪽 구동축(55)의 P'방향의 구동력은 돌출부(15d)의 하방부(스토퍼(87)와 V홈(15a)의 당접점보다도 하방부)에 가해지게 되고, 스토퍼(87)와 V홈(15a)의 당접점을 축으로 해서, 감기쪽 보우트(15) 전체를 R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감기쪽 보우트(15)의 뒷부분의 기준면(15b)과 섀시(1)의 기준면(1a)이 확실히 당접하여,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감기쪽 구동축(55)의 P방향의 구동력을 위치결정시에 삽입구멍(15c)의 바닥부로부터 돌출부(15d)의 하방부로 이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감기쪽 보우트(15) 전체를 섀시(1)쪽에 압압하는 힘이 발생하여, 확실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캠기어(34)의 캠부(37)에 의해 핀치로울러(12)가 캡스턴(20)에 압접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2도, 제13도에 있어서 캠기어(34)의 캠부(37)는 원주방향의 캠홈(37a)과 로우딩완료후에 핀치로울러(12)를 캡스턴(20)쪽에 압압동작시키기 위한 중심을 향해서 절곡된 절곡캠홈(37b)으로 구성되어 있다. (60)은 캠기어(34)의 캠부(37)에 연동해서 동작하는 핀치로드이며,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긴 구멍(61)과 캠부(37)에 형성된 캠홈(37a),(37b)에 걸어맞추는 캠종동자(62)를 가지고, 긴 구멍(61)은 캠기어(34)의 축(63)에 끼워맞추고 있다.
핀치로드(60)의 타단부는 섀시(1)에 심어 설치된 축(64)에 피벗지지된 제1핀치차아지아암(65)의 일단부에 핀(66)을 개재해서 연결되고, 제1핀치차아지아암(65)의 타단부에는 핀(67)을 개재해서 중간이 피벗지지된 제2핀치차아지아암(68)이 설치되고, 제1핀치차아지아암(65)의 일단부와 제2핀치차아지아암(68)의 일단부의 사이에 스프링(69)이 개재되어 있다. 제2핀치차아지아암(68)의 타단부에 배설된 핀(70)은 핀(71)을 개재해서 섀시(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핀치아암(72)의 일단부의 긴 구멍(73)에 끼워맞추고, 핀치로울러(12)는 핀치아암(72)의 타단부에 캡스턴(20)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고 배설되어 있다.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암(74)은 섀시(1)에 심어 설치된 축(75)에 일단부가 피벗지지되고, 타단부에 캡스턴(20)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고 배설된 보조가이드포우스트(23)가 심어 설치되어 있다.
또, 아암(74)은 링크(76)를 개재해서 핀치아암(72)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더욱 상세한 로우딩동작을 설명한다. 제9도(a) 및 제10도는 로우딩동작과정에 있어서의 기어군의 상태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제1도 및 제9도(a)는 로우딩동작개시전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공급쪽 보우트(14)와 감기쪽 보우트(15)는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와 감기쪽 로우딩가이드(18)의 시단부의 언로우딩포지션에 위치하고,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텐션포우스트(9),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 경사포우스트(16)는 테이프카세트(2)의 잘린 부분(5)내에 삽입되고, 제1 및 제2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0),(11)는 잘린 부분(6)내에 삽입되고, 또 핀치로드(60)는 캠종동자(62)에 의해 화살표(다)방향으로 밀려나옴으로써, 제1 및 제2핀치차아지아암(65),(68), 핀치아암(72)을 개재해서 핀치로울러(12)는 캡스턴(20)에 대해서 가장 후퇴하고, 또한 이것에 연동해서 동작하는 아암(74)에 의해 경사가이드포우스트(23)도 핀치로울러(12)와 마찬가지로 후퇴하고,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들 핀치로울러(12)와 경사로울러포우스트(23)는 함께 테이프카세트(2)의 잘린 부분(7)내에 삽입된다.
로우딩동작개시와 함께 캠기어(3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9도에 표시한 상태가 되고 제2간헐기어부(36)는 그 기어단부(36a)가 감기쪽 링기어(39)의 제1이가 빠진 부분(40a)에 들어감으로써 확실히 기어부(40)와 맞물린다.
또한 이때의 걸어맞춤상태를 확대해서 표시한 것이 제9도(b)이다. 제9도(b)에 있어서, 만약 감기쪽 링기어(39)에 이가 빠진 부분(40a)이 없고, (40f)로 표시한 톱니가 존재한 경우, 캠기어(34)의 (36a)로 표시한 톱니는 (40f)가 방해가 되어서, 캠기어(34)의 화살표 A방향 혹은 B방향의 회전에 대해서 감기쪽 링기어(39)와 캠기어(34)의 걸어맞춤·이탈이 불확실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제9도(a)로 돌아와서, 다시 제2간헐기어부(36)의 회전에 의해 감기쪽링기어(39)는 화살표(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는 진자기어(43), 중간기어(42)를 개재해서 공급쪽 링기어(38)는 화살표(나)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쪽 링기어(38)의 고정아암(52)에 설치된 구동축(53)에 의해 공급쪽 보우트(14)는 로우딩방향으로 구동되나, 이때 구동축(53)은 공급쪽 링기어(38)에 의해 원호운동을 하고, 공급쪽 보우트(14)의 유지부(57)는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의 시단부의 직선부분을 따라서 직선운동을 하므로, 공급쪽 보우트(14)는 이동과 동시에 점차 가이드쪽에 가까워지고, 유지부(57)가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의 원호부분으로 이행한 시점에서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쪽 보우트(14)의 전단부(56)는 공급쪽 로우딩가이드(17)의 외주를 따라서 이동하고, 이후의 공급쪽 보우트(14)의 이동은 구동축(53)과 유지부(57)의 지지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행해지고,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에 의한 자기테이프(13)의 인출과 회전헤드실린더(19)에의 감기는 안정되고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감기쪽 보우트(15)의 경우도 공급쪽 보우트(14)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공급쪽 및 감기쪽 보우트(14),(15)가 제5도의 스토퍼(86),(87)에 당접하는 로우딩동작완료직전에서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기어(34)의 제2간헐기어부(36)는 그 기어단부(36b)가 감기쪽 링기어(39)의 제2이가 빠진 부분(40b)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기어부(40)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이가 빠진 부분(40b)의 역할은 제9도(b)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인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데, 이때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부세된 차아지아암(49)은 링크(51)를 개재해서 진자기어(43)를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이 힘에 의해, 감기쪽 링기어(41)는 화살표(가)방향으로 회전이 강제되고, 그 결과 감기쪽 구동축(55)을 개재해서, 감기쪽 보우트(15)는 스토퍼(87)에 압압위치결정된다. 또 진자기어(43)의 화살표 C방향의 회전부세력은 중간기어(42)를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므로, 이 힘에 의해 공급쪽 링기어(38)는 화살표(나)방향으로 회전이 강제되고, 그 결과 공급쪽 구동축(53)을 개재해서, 공급쪽 보우트(14)는 스토퍼(86)에 압압위치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로우딩동작은 완료하나, 공급쪽 보우트(14)의 스토퍼(86)에의 압압타이밍과 감기쪽 보우트(15)의 스토퍼(87)에의 압압타이밍이 약간 어긋났다고 해도 요동판(45)이 축(44)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방향으로 약간 흔들림으로써, 조정이 도모되고, 공급쪽 보우트(14), 감기쪽 보우트(15)의 쌍방 모두 각각 스토퍼(86),(87)에 확실히 압압된다.
로우딩동작완료후, 또 캠기어(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도 및 제12도,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핀치로드(60)에 배설된 캠종동자(62)가 캠부(37)의 절곡캠홈(37b)에 들어가, 핀치드로(60)를 화살표(라)방향으로 끌어넣고, 제1핀치차아지암(65)을 축(6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제2핀치차아지아암(68)을 화살표(사)방향으로 밀어내고, 스프링(69)의 힘을 빌어서 핀(70)에 의해 핀치아암(72)을 핀(7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핀치로울러(12)를 캡스턴(20)에 압접한다.
동시에, 제1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링크(76)를 밀어서 아암(74)을 축(7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아암(74)의 일단부에 배설된 보조가이드포우스트(23)를 캡스턴(20)과 경사포우스트의 사이에 끌어 넣는다. 이에 의해 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1)로부터 캡스턴(20)에 이르는 원만한 자기테이프(13)의 사향패스를 유지한다.
다음에, 언로우딩동작에서는, 제10도에 있어서, 캠기어(3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핀치로울러(12)의 압접동작을 해제하고, 캠기어(34)의 제2간헐기어부(36)는 그 기어단부(36b)가 감기쪽 링기어(39)의 제2이가 빠진 부분(40b)에 들어감으로써 확실히 기어부(40)와 맞물리고, 감기쪽 링기어(39)를 언로우딩시 회전방향인 화살표(마)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 진자기어(43), 중간기어(42)를 개재해서 공급쪽 링기어(38)를 언로우딩시 회전방향인 화살표(바)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공급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8)와 감기쪽 로우딩로울러포우스트(10),(11)가 각각 테이프카세트(2)의 잘린 부분(5),(6)에 수용되는 제9도(a)의 시점에서 캠기어(34)의 제2간헐기어부(36)는 그 기어단부(36a)가 공급쪽 링기어(39)의 제1이가 빠진 부분(40a)에 위치해서 기어부(40)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9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아지아암(49)은 비틀림코일스프링(50)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부세되고 있으며, 이 힘은 링크(51)를 개재해서 진자기어(43)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따라서, 감기쪽 링기어(39)는, 화살표(마)방향으로 회전이 강제되고, 섀시(1)에 고정된 스토퍼(91)에 압압위치결정된다. 또 진자기어(43)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력은, 중간기어(42)를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부세하므로, 이결과 공급쪽 링기어(38)는 화살표(바)방향으로 회전이 강제되고 섀시(1)에 고정된 스토퍼(92)에 압압위치결정된다.
캠기어(34)가 제9도의 상태로부터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약 30°회전해서, 테이프카세트(2)는 이젝트되나(구체구성 도시생략), 이때에는 공급쪽 링기어(38) 및 감기쪽 링기어(39)의 쌍방 모두 제9도의 상태로부터는 회전하지 않고, 각각 스토퍼(91),(92)에 압압위치결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구성이며 또한 고정밀도의 로우딩보우트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고, 안정된 테이프주행계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로우딩기구의 소형, 경량, 박형화를 대폭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의 로우딩기어를 구성하는 감기쪽 링기어에, 진자기어, 중간기어를 차례로 맞물리게 해서, 이 중간기어에 다른쪽의 로우딩기어를 구성하는 공급쪽 링기어를 맞물리게 하고, 또 진자기어 및 중간기어를 피벗장착한 요동판이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와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와의 압착타이밍의 어긋남을 흡수하도록 작용하므로, 로우딩완료위치 및 로우딩개시전의 쌍방의 위치에 있어서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 및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의 쌍방의 압착위치결정을 단 1개의 부세수단에 의해서 확실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종래와 같이 2개의 스프링부착 2중기어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간단한 기어구성으로 확실하게 로우딩포우스트의 구동, 압착위치결정을 달성할 수 있고, 소형, 경량, 박형화, 부품점수삭감에 매우 큰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로우딩기어를 구성하는 감기쪽 링기어에 이가 빠진 부분을 형성하고, 이 이가 빠진 부분을 개재해서 걸어맞춤·이탈가능한 간헐기어부를 가진 캠기어를 모우터에 의해 정역회전구동하는 동시에 감기쪽 링기어가 로우딩완료위치에서는 로우딩방향으로, 언로우딩위치에서는 언로우딩방향으로 회전이 강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우딩동작이외의 상태 예를 들면 기록재생동작, 빨리감기, 정지, 되감기, 카세트의 이젝트 등의 동작시에는 감기쪽 링기어 및 공급쪽 링기어는 압착위치결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캠기어는 회전가능하며 소위 간헐운동을 실현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캠기어는 2층구조로 소형 경량,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와 같은 제네바기어도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점수의 삭감에도 크게 공헌할 수 있다.

Claims (11)

  1. 섀시와 ; 자기테이프를 테이프카세트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로우딩포우스트를 각각 지니고, 선단의 상단부에는 V홈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로우딩보우트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각 인출완료위치까지 상기 로우딩보우트를 상기 회전헤드실린더의 주위를 따라서 안내하기 위한 1쌍의 로우딩가이드와;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를 상기 각 로우딩가이드를 따라서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자기테이프의 인출완료위치에서 상기 로우딩보우트의 각 V홈과 맞닿아 해당 로우딩보우트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V홈이 상기 스토퍼와 맞닿은 후에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를 상기 자기테이프의 인출방향을 향해 부세시키는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회전헤드를 내장하는 회전헤드실린더에, 자기테이프를 테이프카세트로부터 인출해서 소정각도 두루 감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는 위치결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의 바닥면에만 기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의 기준면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V홈에 인가된 반동력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면에 대향해서 부세됨으로써,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 및 그의 로우딩포우스트의 경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2. 섀시와; 자기테이프를 테이프카세트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로우딩포우스트를 각각 지니고, 또 선단의 상단부에는 V홈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로우딩보우트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각 인출완료위치까지 상기 로우딩보우트를 회전헤드실린더의 주위를 따라서 안내하기 위한 1쌍의 로우딩가이드와;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를 상기 각 로우딩가이드를 따라서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자기테이프의 인출완료위치에서 상기 로우딩보우트의 각 V홈과 맞닿아 해당 로우딩보우트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V홈이 상기 스토퍼와 맞닿은 후에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를 상기 자기테이프의 인출방향을 향해 부세시키는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회전헤드를 내장하는 회전헤드실린더에, 자기테이프를 테이프카세트로부터 인출해서 소정각도 두루 감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는 위치결정면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의 바닥면에는 기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의 기준면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V홈에 인가된 반동력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면에 대항해서 부세됨으로써,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 및 그의 로우딩포우스트의 경사를 결정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로우딩보우트를 각각 구동하는 1쌍의 구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각 구동축은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의 중앙부 근처에 형성된 관통구멍부에 삽입되고, 해당 구동축이 삽입되는 상기 각 관통구멍부의 앞쪽 내부 단면을 압압하여 상기 자기테이프의 각 인출완료위치를 향해서 상기 각 로우딩포우스트를 따라 상기 로우딩보우트를 구동시키며,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에는, 한쪽의 관통구멍부의 앞쪽 바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돌출부를 형성하고, 한쪽의 로우딩보우트가 상기 자기테이프의 인출완료위치에 접근한 경우, 상기 한쪽 로우딩보우트를 대응하는 상기 한쪽 구동축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시프트해서, 상기 구멍부의 앞쪽 내부 단면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한쪽 구동축의 하부를 상기 돌출부에 접촉·압압함으로써, 동시에 상기 앞쪽 내부 단면으로부터 상기 한쪽 구동축을 분리하여 상기 한쪽 구동축의 하부에 의해서만 상기 돌출부에 상기 한쪽 로우딩보우트를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우딩보우트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각 구멍부의 내부 단면쪽에 제1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구동축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의 상기 제1경사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4.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 및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2개의 로우딩기어와; 한쪽의 로우딩기어에 맞물리는 진자기어와; 상기 진자기어와 다른쪽의 로우딩기어의 사이에 삽입되어서 상기 2개의 로우딩기어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하기 위한 중간기어와; 상기 진자기어와 상기 중간기어가 피벗장착되어서 상기 진자기어를 이것에 맞물리는 한쪽의 로우딩기어의 대략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범위만큼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중간기어를 이것에 맞물리는 다른쪽의 로우딩기어의 대략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범위만큼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동판과; 상기 진자기어 혹은 상기 중간기어에 회전부세를 가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2개의 로우딩기어중 어느 하나에 맞물려서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에 있어서, 로우딩완료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이 상기 진자기어 및 상기 중간기어를 개재해서 상기 2개의 로우딩기어를 회전부세시키고, 이에 의해 공급쪽 로우딩 포우스트 및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를 압착위치결정하여, 상기 진자기어 및 중간기어를 상기 요동판상에 피벗지지하는 제1축과; 섀시와; 상기 섀시에 고정된 제2축을 또 구비하고, 상기 요동판은 상기 제2축에 의해 피벗지지되어 상기 섀시에 대해 요동회전하고, 이에 의해, 해당 요동판이 상기 섀시에 대해 선회할 때 상기 섀시에 대해 상기 제1축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판에 부세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기어의 일단부에 장력을 가하고, 이 장력이 상기 진자기어의 소정범위의 회전각에 있어서는 시계방향으로, 그밖의 회전각 범위에 있어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해당 진자기어에 회전부세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급쪽 로우딩포우스트 및 감기쪽 로우딩포우스트가 로우딩개시전에 있어서는, 로우딩완료상태와는 반대방향으로 부세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판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아암과, 상기 아암을 상기 요동판에 대해서 회전부세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아암의 일단부와 상기 진자기어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링크를 또 구비하고, 상기 링크에 의해 상기 진자기어에 회전부세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8. 테이프의 로우딩을 행하는 제1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동시에 이가 빠진 부분을 가진 제1로우딩기어와; 상기 이가 빠진 부분을 개재해서 상기 로우딩기어와 걸어맞춤·이탈가능한 간헐기어부를 지니고, 상기 걸어맞춤시에는 상기 로우딩기어를 구동하는 구동기어와; 테이프카세트의 장전직후의 상기 로우딩포우스트의 위치인 언로우딩위치로부터 테이프상에 기록·재생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로우딩포우스트를 테이프로부터 완전히 인출한 위치인 로우딩완료위치를 향해서 상기 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우딩기어를 회전부세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테이프의 로우딩을 행하는 제2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제2로우딩기어와; 상기 제1로우딩기어와 제2로우딩기어중 한쪽에 맞물리는 진자기어와; 상기 진자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로우딩기어중 한쪽사이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우딩기어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하기 위한 중간기어와; 상기 진자기어와 상기 중간기어가 피벗장착되어서 상기 진자기어를 이것에 맞물리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딩기어의 한쪽의 대략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범위내에서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중간기어를 상기 진자기어에 맞물리지 않는 상기 제1 및 제2로우딩기어의 한쪽의 대략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범위내에서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동판을 구비한 로우딩 포우스트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자기어 및 중간기어를 상기 요동판에 피벗지지하는 제1축과; 섀시와; 상기 섀시에 고정된 제2축을 또 구비하고, 상기 부세수단은 상기 테이프의 로우딩동작시, 상기 진자기어 및 상기 중간기어중 한쪽을 부세해서, 해당 진자기어 및 중간기어를 개재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우딩기어를 부세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로우딩포우스트를 압착위치결정하며, 상기 요동판은 상기 제2축에 의해 피벗지지되어 상기 섀시에 대해 요동회전하고, 이에 의해 해당 요동판이 상기 섀시에 대해 선회할 때 상기 섀시에 대해 상기 제1축이 이동하고, 상기 로우딩완료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로우딩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간헐기어부와 걸어맞춤·이탈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이가 빠진 부분의 위치를 상기 제1로우딩기어에 설정하며,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제1로우딩기어로부터 이탈시키고, 이어서, 상기 로우딩포우스트를 상기 언로우딩위치로부터 상기 로우딩완료위치를 향하여 구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부세수단에 의해 상기 제1로우딩기어를 더욱 회전부세할 때, 상기 구동기어와 제1로우딩기어사이에 힘의 전달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수단을 또 구비하고, 상기 제1로우딩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에 걸어맞춤·이탈하는 제2이가 없는 부분을 지니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력전달수단에 걸어맞춤·이탈하는 제2간헐기어부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은 상기 테이프의 로우딩전에, 상기 제1로우딩포우스트를 상기 로우딩완료위치로부터 상기 언로우딩위치로 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11. 테이프의 로우딩을 행하는 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동시에 제1이가 빠진 부분을 지닌 로우딩기어와; 상기 이가 빠진 부분을 개재해서 상기 로우딩기어와 걸어맞춤·이탈가능한 제1간헐기어부를 지니고, 상기 걸어맞춤시에는 상기 로우딩기어를 구동하는 구동기어와; 테이프카세트의 장전직후의 상기 로우딩포우스트의 위치인 언로우딩위치로부터 테이프상에 기록·재생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로우딩포우스트를 테이프로부터 완전히 빼낸 위치인 로우딩완료위치를 향해서 상기 로우딩포우스트를 구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우딩기어를 회전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한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우딩완료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우딩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제1간헐기어부와 걸어맞춤·이탈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제1이가 빠진 부분의 위치를 상기 로우딩기어에 설정하며,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로우딩기어로부터 이탈시키고, 이어서, 상기 로우딩포우스트를 상기 언로우딩위치로부터 상기 로우딩완료위치를 향하여 구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부세수단에 의해 상기 로우딩기어를 더욱 회전부세할 때, 상기 구동기어와 로우딩기어사이에 힘의 전달이 없도록 하고, 또한, 상기 구동기어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력수단을 또 구비하고, 상기 로우딩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걸어맞춤·이탈하기 위한 제2이가 없는 부분을 지니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력공급수단과 걸어맞춤·이탈하기 위한 제2간헐기어부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KR1019920006363A 1991-04-17 1992-04-16 자기기록재생장치와 그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13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85057A JP2701575B2 (ja) 1991-04-17 1991-04-17 磁気記録再生装置
JP91-85057 1991-04-17
JP3085066A JP2626296B2 (ja) 1991-04-17 1991-04-17 ローディングポスト駆動装置
JP91-85058 1991-04-17
JP91-85066 1991-04-17
JP3085058A JP2626295B2 (ja) 1991-04-17 1991-04-17 ローディングポスト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439A KR920020439A (ko) 1992-11-21
KR960013425B1 true KR960013425B1 (ko) 1996-10-05

Family

ID=2730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363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3425B1 (ko) 1991-04-17 1992-04-16 자기기록재생장치와 그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369536A (ko)
EP (1) EP0514011B1 (ko)
KR (1) KR960013425B1 (ko)
DE (1) DE6922455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357B1 (ko) * 1993-02-26 1998-05-15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리뷰아암 압착장치
JP3460261B2 (ja) * 1993-09-20 2003-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ープ装架装置および磁気変換装置
JP2965456B2 (ja) * 1994-03-23 1999-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EP0678864A3 (en) * 1994-04-20 1999-08-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949609A (en) * 1994-07-28 1999-09-07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device
KR200141228Y1 (ko) * 1995-03-28 1999-04-15 구자홍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걸림방지 및 진동흡수장치
JPH09180314A (ja) * 1995-12-26 1997-07-11 Mitsumi Electric Co Ltd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3541556B2 (ja) * 1996-04-09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6147833A (en) * 1997-01-29 2000-11-14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for magnetic tape
JP2002203346A (ja) * 2000-12-28 2002-07-19 Canon Inc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走行方向規制方法
JP2003006957A (ja) * 2001-06-25 2003-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ガイドポスト装置
JP2003248989A (ja) * 2002-02-20 2003-09-05 Orion Denki Kk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引出し部材
JP3918651B2 (ja) * 2002-06-19 2007-05-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装置
JP2004019849A (ja) * 2002-06-19 2004-01-22 Mitsumi Electric Co Ltd 間欠ギヤ部材、間欠ギヤ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磁気記録装置
US7766968B2 (en) * 2003-12-08 2010-08-03 Sweeney Patrick J Modular cannulated total joint prosthesis
GB2413685A (en) 2004-04-30 2005-11-0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ape guid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4411A (en) * 1976-05-04 1977-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tary head type magnetic record/reproduce device
JPS5723334A (en) * 1980-07-17 1982-02-06 Clarion Co Ltd Tuning circuit equipped with vco
JPS5786162A (en) * 1980-11-17 1982-05-29 Sony Corp Tape loading device
US4556922A (en) * 1981-09-08 1985-12-03 U.S. Philips Corporation VCR With improved tape threading and guiding
AU538357B2 (en) * 1982-02-25 1984-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t.r. tape loading and mode changing
JPS592254A (ja) * 1982-06-28 1984-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テ−プ装置
US4658310A (en) * 1983-05-26 1987-04-14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moving a pinch roller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085753U (ja) * 1983-11-18 1985-06-1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テ−プ記録再生装置
KR860000856B1 (ko) * 1984-06-30 1986-07-09 주식회사 금성사 테이프 로우딩장치
US4697214A (en) * 1984-12-18 1987-09-29 Casio Computer Co., Ltd. Tape loading device
KR870001821B1 (ko) * 1984-12-28 1987-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조송(早送)장치
US4797758A (en) * 1986-01-14 1989-01-10 Clarion Co., Ltd. Pinch roller driving mechanism
JPS6348643A (ja) * 1986-08-14 1988-03-01 Clarion Co Ltd 駆動力分岐ギヤ機構
US4975793A (en) * 1987-02-26 1990-12-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ape loading mechanism for causing a length of tape to travel along a rotary head drum
JPH0261853A (ja) * 1988-08-26 1990-03-01 Toshiba Corp テープレコーダ装置
US5041928A (en) * 1988-10-21 1991-08-20 Hitachi, Ltd. Apparatus for loading a tape on a magnetic head drum of a helical scanning type video tape recorder
JPH0792960B2 (ja) * 1989-10-13 1995-10-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4553D1 (de) 1998-04-09
US5469309A (en) 1995-11-21
EP0514011B1 (en) 1998-03-04
US5369536A (en) 1994-11-29
EP0514011A2 (en) 1992-11-19
DE69224553T2 (de) 1998-08-27
KR920020439A (ko) 1992-11-21
EP0514011A3 (en) 1993-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425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와 그 로우딩포우스트구동장치
KR900009174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US5546249A (en) Tape loading apparatus with loading post driving device
KR930008272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세트테이프 이완방지장치
US5285332A (en) Tape loading device with reduced tape running load and simplified construction for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P0944065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0859360B1 (en) Magnetic recording/playback apparatus
EP094406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5691858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master gear and slide member
EP0944060A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094406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H0348585B2 (ko)
KR860000918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270157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5328125A (en) VCR deck tape loading mechanism
JP2626296B2 (ja) ローディングポスト駆動装置
US617284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rotary head cylinder and both vertical and inclined guides for winding a magnetic tape about the rotary head cylinder
JP2626295B2 (ja) ローディングポスト駆動装置
KR860001126Y1 (ko) Vtr의 프리 로오딩장치
JPH0255861B2 (ko)
JPH0792957B2 (ja) 磁気テ−プ装置
JPH0431835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17624B2 (ko)
JPH04245056A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2232756A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10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10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