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2661B1 - 종이계수기 - Google Patents

종이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661B1
KR960012661B1 KR1019920017710A KR920017710A KR960012661B1 KR 960012661 B1 KR960012661 B1 KR 960012661B1 KR 1019920017710 A KR1019920017710 A KR 1019920017710A KR 920017710 A KR920017710 A KR 920017710A KR 960012661 B1 KR960012661 B1 KR 96001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attery case
lid member
count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570A (ko
Inventor
다까오 아끼오까
아끼오 후나또
Original Assignee
로오렐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렐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filed Critical 로오렐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종이계수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지폐계수기의 개략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작동중인 종이계수기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지폐계수기의 개략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지지부재의 개략측면도이다.
제4도는 지지부재에 의해 본체에 취부된 제1뚜껑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부분 측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의 A-A선을 따라 잘라본 개략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1뚜껑부재의 개략측면도이다.
제7도는 작동준비중인 지폐계수기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
제8도는 제2뚜껑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9도는 동작중인 지폐계수기의 개략종단면도.
제10도는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의 개략측단면도.
제11도는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의 개략종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개략우측면도.
제13도는 홀더의 개략측단면도.
제14도는 밧데리 케이스가 홀더에 어떻게 착탈되는지를 보여주는 종이계수기의 개략평면도.
본 발명은 종이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떠한 장소에서든 종이를 셀 수 있는 소형의 휴대가능한 종이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보 제55-6975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종이가 놓여지는 종이위치부와, 종이위치부에 놓여진 종이를 하나씩 인출하여 안쪽으로 이송하는 종이이송수단, 종이이송수단으로 부터 이송된 종이수를 세는 계수수단, 종이계수수단에 의해 세어진 종이를 집적하는 집적수단, 조작자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수단, 그리고 여러종류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종이계수기가 나와있다.
이런 종이계수기는, 종이위치부, 종이이송수단, 집적수단, 작동수단, 그리고 표시수단이 종이계수기의 본체에 고정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불가피하게 부피가 크게되어 휴대하기가 곤란하다. 기기를 옮길경우, 작동수단의 작동스위치, 표시수단의 표시패널 및/또는 집적수단이 외부의 물체와 부딪쳐 손상되기 쉽고 따라서 매우 제한된 장소에서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종이계수기는, 종이이송수단을 구동하는 전원과 계수수단이 전기코드를 거쳐 외부전원에서 공급되므로, 외부전원이 없는 장소 또는 전기코드를 외부전원에 연결하기 어려운 장소에서는 작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장소에서든 종이를 셀 수 있는 소형의 휴대가능한 종이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종이계수기는, 종이들이 놓여지는 종이위치부, 종이위치부에 놓여진 종이들을 하나씩 꺼내 안쪽으로 이송시키는 종이이송수단, 종이이송수단에서 이송된 종이수를 세는 계수수단, 종이계수수단에 의해 세어진 종이를 집적하는 집적수단, 조작자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수단, 그리고 여러종류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종이계수기는 또한, 개폐가능한 제1뚜껑부재와 개폐가능한 제2뚜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1뚜껑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뚜껑부재가 닫혔을때 상기 작동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종이위치부는 상기 제1뚜껑수단이 닫혀졌을때 상기 작동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집적수단은 상기 제2뚜껑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적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형태는, 상기 제1뚜껑부재, 상기 제2뚜껑부재 그리고 종이계수기의 본체가, 상기 제1뚜껑부재와 상기 제2뚜껑부재가 닫혀졌을때 종이계수기의 외면상에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형태는, 상기 제1뚜껑부재, 상기 제2뚜껑부재, 그리고 종이계수기의 본체의 외면들은, 제1뚜껑부재가 닫혀졌을때 상기 제1뚜껑부재의 외면이 종이계수기의 본체외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뚜껑부재가 닫혀졌을때 상기 제2뚜껑부재의 외면이 종이계수기의 본체외면과 완만하게 배열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제2뚜껑부재가 종이집적판부재와 종이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종이집적판부재는, 제2뚜껑부재가 개방되었을때 종이 배출방향에 거의 평행한 집적면을 가지고 그 면상에 종이들이 집적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종이안내부재는 상기 종이집적판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상기 종이집적판부재의 상기 집적면에 거의 수직한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는, 종이계수기에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 착탈가능하게 내장하는 홀더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 홀더 수단에 내장될때 상기 종이위치부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기 상면이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여, 트레이수단이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기 상면의 바깥단부의 공동에 지지되어 개폐가능하게 하고, 상기 트레이수단은 닫혀질때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어 상기 종이위치부에 놓여진 종이의 뒷쪽모서리부분을 지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외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 홀더수단에 수용될때 상기 종이계수기의 본체외면과 같은 높이를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형태 및 다른 특징은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지폐계수기는, 본체(1), 개폐가능한 제1뚜껑부재(2), 그리고 개폐가능한 제2뚜껑부재(3)를 포함한다. 은행권계수기를 작동하고자 할때 제1뚜껑부재(2)와 제2뚜껑부재(3)는 개방된다.
제1뚜껑부재(2)의 내면(4)은 작동부(도시생략)와 표시부(도시생략)로 이루어져, 지폐계수기를 작동하기 위해 제1뚜껑부재(2)를 개방할때 조작자에 의해 작동부가 작동되면 조작자는 표시부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폐계수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2뚜껑부재(3)를 개방하면, 지폐집적부(5)는 제2뚜껑부재(3)의 내면에 형성된다. 본체(1)는 예로써, 소정두께의 판부재를 가공 및 연결하는 방법에 의해 모서리를 따낸 직사각형의 평행한 파이프모양을 갖도록 한다.
제1도에서, 지폐집적부(6)는 제1뚜껑부재(2) 아래에 형성됨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리고 제2도에서 보듯이, 종이계수기를 작동하기 위해 제1뚜껑부재(2)를 개방하면, 지폐위치부는 바깥으로 개방되어 지폐(B)를 지폐위치부(6)에 위치시킬 수 있다. 지폐위치부(6) 아래에 지폐계수기는 홀더(8)를 형성하고 있어 전원인 밧데리를 수용하는 밧데리 케이스(7)를 부착할 수 있으며, 홀더(8)의 상부는 하부판(9)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위치된다. 하부판(9)과 밧데리 케이스(7)의 상면은 함께 지폐위치부(6)의 하면을 이룬다. 지폐위치부(6)의 폭, 즉 하부판(9)과 밧데리 케이스(7)의 상면의 평균폭은, 계수할 지폐(B) 가운데 가장 큰폭을 갖는 지폐(B)의 폭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지폐(B)가 통과하는 틈(11)은 지폐위치부(6)의 하면을 이루는 하부판과 전면판(10) 사이에 형성된다. 하부판(9)은 지폐계수기의 안쪽으로 신장되며 틈(1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긴 개구(도시생략)를 형성한다. 한쌍의 풀리(12,13) 주위에 감긴 무단밸브(14)는 개구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지폐이송수단을 형성한다.
큰 직경을 갖는 풀리(13)는 구동풀리이고, 작은 직경을 갖는 풀리(12)는 피동풀리이다. 한쌍의 풀리(12,13)가 회전되면, 지폐위치부(6)안에 놓여진 지폐(B) 가운데 가장아래쪽 지폐(B)의 하면과 무단밸브(14)의 표면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폐(B)는 틈(11)을 경유하여 지폐계수기내의 지폐통로(15)속으로 인출된다. 지폐(B)가 지폐통로(15)속으로 이송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한쌍의 풀리(12,13) 직경과 위치는, 무단밸브(14)가 아래쪽으로 약간 하향경사지도록 설정한다. 분리롤러(16)는 틈(1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풀리(13) 맞은편에 위치시킨다. 불리롤러(16)는 그의 외부에 마찰부를 가지고 고정유지되어, 비록 둘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틈(11)을 통해 이송되더라도 지폐계수기내의 지폐통로(15)속에 지폐(B)가 하나씩 이송되도록 한다.
발광체(17)와 수광체(18)를 포함하는 광센서(19)는 지폐통로(15)를 가로질러 풀리(13)의 아래쪽에 설치한다. 지폐(B)가 광센서(19)가 위치하는 부분을 통과할때, 발광체(17)에서 방사되는 빛이 지폐(B)에 의해 간섭되어 수광체(18)에 받아지지 않으므로 그에 따라 지폐(B)의 수를 셀 수 없다.
하부판(9)은, 세어진 지폐(B)가 쌓여지는 지폐집적부(5)로 개방되는 지폐인출개구(20)로 더욱 신장하여, 광센서(19)의 바로 아래에서 지폐인출개구(20)로 신장하는 개구(도시생략)를 이룬다. 한쌍의 풀리(21,22) 주위에 감긴 무단벨트(23)는 개구에서 위쪽으로 돌출하게 설치하여, 광센서(19)에 의해 세어진 각각의 지폐(B)가 무단벨트(23)에 의해 지폐인출개구(20)로 이송되도록 한다. 큰 직경을 갖는 풀리(21)는 구동풀리이고 작은 직경을 갖는 풀리(22)는 피동풀리이다. 한쌍의 풀리(21,22)의 직경과 위치는 무단벨트(23)가 아래쪽방향에서 약간위로 경사지게 설정하여 둔다.
피동풀리(22)와 함께 동일축으로 고정되는 저장휠(24)은 지폐인출개구(20)에 설치되어, 구동풀리(21)과 회전함에 따라 무단벨트(23)에 의해 회전된다. 저장휠(24)은 피동풀리(22)와 동일축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고무 또는 다른 탄성물질의 블레이드(blade)로 이루어진다.
지폐인출개구(20)의 측면상의 본체(1) 표면은 개구(25)를 형성되며, 그의 폭은 세어질 지폐(B) 가운데 가장 큰 폭을 갖는 지폐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그리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뚜껑부재(3)가 개방되어 기기가 작동될때, 저장휠(24)에 의해 지폐인출개구(20)를 경유하여 지폐통로(15)에서 배출되는 지폐(B)는 지폐집적부(5)에 집적된다.
한쌍의 지지부재(26,26)는 지폐통로(15) 위에 본체(1)에 취부되어 제1뚜껑부재(2)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도는 지지부재(26)의 개략도이고, 제4도는 지지부재(26)에 의해 본체에 취부되는 제1뚜껑부재(2)의 개략요부 측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6)는 가요성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부(27)와 길이부(27)의 한단부에 형성되는 원형부(28)를 갖는다. 길이부(27)는 원형부(28)의 타단공동에 구멍(29)을 형성한다. 본체(1)의 측부(30)는, 구멍(29)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멍(31)을 형성하며, 지지부재(26)는, 구멍(29)과 구멍(31) 속으로 스크류를 삽입하여 본체의 측부(30)에 고정가능하다. 구멍(29)에 대한 원형부(28)의 측부에 길이부(27)는 길이부(27)의 전체폭으로 신장하는 돌출부(33)를 형성한다. 한편, 본체(1)는, 돌출부(33)의 해당위치에 돌출부(33)의 형상에 해당하는 직사각형을 갖는 구멍(34)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돌출부(33)를 본체(1)에 형성된 구멍(34)속으로 고정시켜, 지지부재(26)가 스크류(32) 주위를 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33)에 대한 원형부(28)의 측부에의 지지부재(26) 부분을 구멍(29)의 측면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측부(30)와 지지부재(26)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지지부재(26)의 원형부(28)의 중앙부분에 제1뚜껑부재(2)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35)을 형성하여 돌출부(33)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지지축(35) 주위의 원형부(28)는 그의 중심이 지지부재(26)의 축에 위치하는 제1오목부(36)를 형성하고 그리고, 제1오목부(36)에서 원형부(28) 중심주위에 120도 각도로 간격진 한쌍의 제2오목부(37,38)를 형성한다. 제3도 및 제3도의 A-A선을 따라 잘라본 개략단면도인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둥근호형상을 갖는 홈(39)은 제1오목부(36)와 한쌍의 제2오목부(37,38) 사이에 형성하며, 제1오목부(36)에서 제2오목부(37,38)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그들의 폭은 점점 커지고 그들의 깊이는 점점 깊어진다.
제6도는 제1뚜껑부재(2)의 개략측면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뚜껑부재(2)의 측부의 한단부는, 지지부재(26)의 원형부(28)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설치부(40)를 형성하며, 설치부(40)의 중앙부부에는 지지부재(26)의 지지축(35)이 끼워지도록 지지구멍(41)을 형성한다. 또한 설치부(40)는 제1오목부(36)와 제2오목부(37,38)로 끼워지도록한 블록부를 형성한다. 제1뚜껑부재(2)의 다른측부도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뚜껑부재(2)가 본체(1)에 취부될때, 지지부재(26,26)의 각각의 지지축(35,35)은 제1뚜껑부재(2)의 반대쪽부분에 형성되는 지지구멍(41,41)에 고정되도록 하고, 블록부(42,42)는 지지부재(26,26)의 제1오목부(36,36)에 고정되도록 하여 제1뚜껑부재(2)와 지지부재(26,26)가 본체(1)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1뚜껑부재(2)가 닫혀지면, 작동부(도시생략)와 제1뚜껑부재(2)의 내면에 형성된 표시부(도시생략)는 지폐위치부(6)에 수용된다. 따라서, 작동부와 표시부를 손상시킴없이 지폐계수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지폐계수기를 작동하기 위해 제1뚜껑부재가 개방되면 돌출부(33)에 대한 원형부(28)의 측부에의 각 지지부재(26) 부분이 구멍(29)의 측부상에의 것보다 얇게 형성하여 그의 강도가 구멍(29)의 측부상보다 작게하고 그리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6)와 본체(1)의 측부(3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지지부재(26)가 본체(1)에 취부되고, 제1뚜껑부재(2)의 볼록부(42)는 제1오목부(36)에서 나와, 지지부재(26)를 본체(1)의 측부(30)쪽으로 변형시키면서 원형의 호형상을 갖는 홈(39)을 따라 제2블록부(37,38)쪽으로 이동한다. 그리하여 제1뚜껑부재가 지지부재(26,26)의 지지축(35,35)주위를 선회하여 개방된다. 제1뚜껑부재(1)의 각 볼록부(42,42)가 제2오목부(37,38)의 하나속으로 끼워질때 제1뚜껑부재(2)는 그 위치에 고정되고 제지폐계수기의 지폐위치부(6)가 개방됨으로써, 지폐계수기는 작동준비 완료된다. 두개의 오목부(37,38)가 각 지지부재(26)에 형성되는 이유는, 지지부재(26,26)를 위한 유사형상의 부재가 본체(1)의 대향측부에 취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7도는 개방된 제1뚜껑부재(2)를 갖는 지폐계수기의 개략 정면도로써 지폐계수기가 작동 준비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뚜껑부재(2)가 개방될때, 제1뚜껑부재(2)의 내면에 형성된 표시부(44)와 작동부(43)는 외부에 노출되어 작동부(43)는 조작자에 의해 작동위치에 위치하여, 조작자는 표시부(44)상에 표시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제7도에서, 도면부호(45)는 지폐계수기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핸들이다.
한편 지폐계수기를 휴대하기 위해 제1뚜껑부재(2)를 닫으면, 제1뚜껑부재(2)의 볼록부(42)는 제2오목부(37,38)의 하나에서 빠져나와, 지지부재(26)를 본체(1)의 측부(30)쪽으로 변형시키면서 원형의 호형상을 한 홈(39)을 따라 제1오목부(36)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뚜껑부재는 지지부재(26,26)의 지지축(35,35)주위를 선회하여 닫혀진다. 제1뚜껑부재(2)의 각각의 볼록부(42,42)는 제1오목부(36)의 하나속으로 고정되어, 제1뚜껑부재(2)는 그 위치에 고정된다. 원형의 호형상을 갖는 홈(39)은 제1오목부(36)와 한쌍의 오목부(37,38) 사이에 형성되어 그들의 폭과 길이가 제1오목부(36)에서 제2오목부(37,38)쪽으로 갈수록 크고 깊어져 제1뚜껑부재를 닫고자 할 경우, 볼록부(42)는 지지부재(26)에 약간의 변형을 주면서 제2오목부(37 또는 38)에서 빠져나온다. 그리하여, 작은 힘으로 제1뚜껑부재(2)를 닫으므로써 지폐계수기를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제1도의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뚜껑부재(2)의 외면은 지폐계수기의 본체(1) 외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계수기를 이동시킬때 제1뚜껑부재(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되며, 또 작동부(43)와 표시부(44)는 제1뚜껑부재(2)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어, 지폐계수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폐위치부(6)에 수용되므로 지폐계수기를 극히 소형으로 할 수 있고 그러므로써 원하는 어떤장소에든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뚜껑부재(6)는 또한 지폐계수기가 작동할때에는 개방되고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대향측부(30,60)의 내면은 각각 제1핀(51)이 형성되며, 제1핀아래의 대향측부(30,60)의 내면에는 제2핀(52)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뚜껑부재(3)는, 제2뚜껑부재(3)가 개방될때 지폐(B)가 지폐인출개구(20)를 통해 나오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표면을 갖는 지폐집적판(53)과, 제2뚜껑부재(3)가 개방될때 지폐집적판(53)의 표면에 수직인 면과 역 L자 형상을 가지고 지폐집적판(53)에 대해 미끄럼가능한 지폐안내판(54)을 포함한다. 힌지판(50,50)은 지폐집적판(53)의 표면에 수직하게 지폐집적판(53)의 대향단부에 고정하며, 각각의 힌지판(50,50)은 제1핀(51)이 삽입가능한 제1안내슬롯(55)과 제2핀(52)이 삽입가능한 제2안내슬롯(56)을 형성한다. 제2핀(52)이 삽입되는 제2안내슬롯(56)은 직선으로 길게 이루어지고, 제1핀(51)이 삽입되는 제1안내슬롯(55)은, 제2안내슬롯(56)과 평행한 직선의 긴단면과 뾰족한 긴단면을 가지고 직선의 긴단면의 하단과 연결된다. 제1안내슬롯(55)의 직선의 긴단면길이는 제2안내슬롯(56)의 직선의 긴단면보다 약간 짧게 이루어진다. 지폐집적판(53)과 지폐안내판(54)의 폭은 세어질 지폐(B) 가운데 가장 큰 폭을 갖는 지폐(B)의 폭보다 크게 만든다.
제2뚜껑부재(3)는 지폐계수기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8도의 개략평면도에서는 단지 제2뚜껑부재(3)의 오른쪽 반만 나타내었으며 왼쪽의 반은 생략했다. 제1도, 2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57)는 힌지판(50,50)의 내부에 고정되어, 계수된후 지폐인출개구(20)를 통과하여 이송되어진 상면의 지폐(B)를 그 위에 받아들인다.
제8도에 있어, 트레이는 이점괘선으로 나타내었다. 트레이(57)는 4개의 상호평행한 비임(58,58,58,58)과 두세트의 안내레일을 거쳐 지폐집적판(53)의 표면에 연결되며, 하나는 지폐계수기의 중심축에 대해 오른쪽 반쪽에 설치되는 두개의 비임(58,58) 안쪽의 지폐집적판(53)의 표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안내레일(59,59)로 구성되고, 다른하나는 왼쪽반쪽에 설치하는 두개의 비임(58,58) 안쪽에 한쌍의 안내레일(59,59)로 구성된다.
미끄럼부재(60)는 안내레일(59,59)의 각 세트에 지지되고, 지폐집적판(53)의 표면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지폐안내판(54)의 신장부는 미끄럼 부재(60)의 하면에 고정되어 안내레일(59,59)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각각의 미끄럼부재(60)는, 본체부(62)와, 밴드를 가지고 본체부(62)에서 각각 갈라져 나오는 한쌍의 분기부(63,63) 포함한다. 각각의 본기부(63)는 가요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자체의 가요성에 의해 본체부(62)에 대해 그의 바깥쪽에 위치한 안내레일(59)에 대해 편기되어 있다.
안내레일(59,59)의 측부에의 비임(58,58)세트의 표면은, 일정하게 간격진 반실린더형 오목부(64,64,64)를 형성하고 한편, 비임(58)에 가장 가까운 미끄럼부재(60)의 각 분기부(63)의 굽힘부는 반실린더형 오목부(64,64,64)에 고정되도록 한 반실린더형 볼록부(65)를 형성한다. 미끄럼부재(60)의 각 분기부(63,63)는 그의 가요성에 의해, 본체부(62)에 대해 그의 외측에 위치하는 비임(59)에 대해 편기되어 있어, 반실린더형 볼록부(65,65)가 소정의 반실린더형 오목부(64,64)에 끼워질때 지폐안내부재(54)는 해당위치에 고정되고, 안내레일(59,59)와 평행한 힘이 미끄럼부재(60)에 작용할때, 분기부(63,63)가 변형되어 반실린더형 볼록부(65,65)는 비임(59,59)의 반실린더형 오목부(64,64)에서 빠져나와, 반실린더형 볼록부(65,65)가 제위치에 고정되도록 미끄럼부재(60)가 다른 반실린더형 오목부(64,64)속으로 끼워질때까지 안내레일(59,59)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하여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집적판(53)의 트레이(57)에 집적될 지폐(B)의 크기에 따라 지폐집적부(5)의 크기를 조절하여 지폐(B)를 소정의 방법으로 지폐집적부(5)에 집적할 수 있다.
만약 지폐계수기의 제2뚜껑부재(3)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혀진 상태에서, 지폐계수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2뚜껑부재(3) 들어 열게되면, 제1핀(51)이 제1안내슬롯(55)의 직선의 긴단면에 의해 안내되고 제2핀(22)이 직선의 긴단면을 갖는 제2안내슬롯(56)에 의해 안내될 것이다.
그러면 제2뚜껑부재(3)가 제1도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제1안내슬롯(55)의 직선의 긴단면길이는 제2안내슬롯(56)의 직선의 긴단면보다 약간 짧기때문에 제2핀(52)이 제2안내슬롯(56)의 하단부에 도달할때 제1핀(55)은 제1안내슬롯(55)의 뾰족하고 긴 단면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2뚜껑부재(3)가 더욱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면, 제1핀(51)이 제1안내슬롯(55) 뾰족하고 긴 단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2뚜껑부재(3)는, 제1핀(51)이 제1안내슬롯(55)의 뾰족하고 긴 단면의 하단부에 도달할때까지 제2안내슬롯(56)의 하단부에 위치한 제2핀(52)의 주위를 선회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반실린더형 볼록부(65,65)가 제8도의 최하부의 오목부(64,64)속으로 들어가 지폐집적부(5)의 길이가 가장 짧아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집적부(5)의 길이는 3단계(L1,L2,L3)로 바꿀 수 있으며, 지폐집적부(5)의 길이를 미끄럼부재(60)를 이동하여 반실린더형 볼록부(65,65)를 소정의 오목부(64,64)속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계수하는 지폐가운데 가장 큰 길이를 갖는 지폐(B)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한 후에 지폐(B)의 계수가 시작되도록 지폐계수기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지폐(B)의 계수가 시작될때, 지폐집적판(53)에 수직인 지폐안내판(54)은, 계수할 지폐가운데 가장 큰 길이를 갖는 지폐(B)의 길이보다 더 큰 거리로 지폐인출개구(20)에서 간격진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계수되어 지폐인출개구(20)를 통해 배출되는 지폐(B)가 지폐집적부(5)에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지폐집적부(5)에 확실히 집적되게 할 수 있다.
지폐(B)의 계수 및 집적이 이와 같이 완료된 후에 지폐(B)를 지폐집적부(5)에서 제거하고, 이때 만약 지폐계수기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고자 할때에는 미끄럼부재(60)의 반실린더형 볼록부(65,65)를 제8도의 가장 아래쪽의 오목부(64,64)속으로 끼워, 지폐집적부(5)를 그의 가장 짧은 길이에 고정시켜 제2뚜껑부재(3)를 개방동작역으로 동작시켜 닫는다. 본체(1)에는 스텝(66)이 형성되어, 제2뚜껑부재(3)가 닫혀질때 지폐안내판(54)이 하부에 수용되고 지폐계수기의 외면이 평평하게 된다.
제10도는 밧데리(70)를 수용하는 밧데리 케이스(7)의 개략도이고, 제11도는 그의 개략입면도이고, 그리고 제12도는 그의 우측면도이다.
제10도, 11도 및 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70)을 수용하는 밧데리 케이스(7)는 홀더(8)안에 고정 가능하고, 그의 외면은 밧데리 케이스(7)가 홀더(8)속에 고정될때 지폐계수기의 외면과 동일 높이를 이룬다. 또한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트레이(71,71)는 핀등에 의해, 그의 바깥부의 공동내에서 밧데리 케이스(7)의외면에 고정되어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트레이(71,71)가 닫혀지면, 트레이는 밧데리 케이스(7)의 상면(72)에 형성된 한쌍의 홈(73,73)에 수용되어, 밧데리 케이스(7)의 상면과 동일한 상면높이로써 밧데리 케이스(7)의 상면(2)과 함께 지폐위치부(6)의 하부를 형성한다. 밧데리 케이스(7)의 상면(72)은 지폐(B)의 이송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지폐(B)가 무단벨트(14)에 의해 틈(11)에서 지폐통로(15)로 이송되도록 한다. 트레이(71,71)가 닫히고 제1뚜껑부재(2)가 닫히면, 제1뚜껑부재(2)는 밧데리 케이스(7)의 상면(72)에 대해 지지하고, 제1뚜껑부재(2)의 외면은 밧데리 케이스(7)의 외면(74)과 동일 높이로 된다.
한쌍의 트레이(71,71)는 제11도에서 약 170도 내지 180도 정도 시계 반대방향으로 선회가능하며, 트레이(71,71)가 선회하여 개방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으로 돌출하여 지폐위치부(6)의 하부를 형성한다.
긴 지폐(B)의 모서리의 후단지지에 의해 지폐(B)는 확실하게 지폐계수기속으로 이송된다.
제10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 케이스(7)의 내측부(80)는 한쌍의 직사각형 연결구멍(75,75)을 형성하여 지폐계수기가 밧데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밧데리(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미널(76,76)은 연결구멍(75,75)의 공동내에의 밧데리 케이스(7)내면에 형성한다.
밧데리(70)와 터미널(76,76)사이의 전기적연결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7)의 대향측면은 결합홈(77,78)을 형성하여 밧데리(7)와 홀더(8)를 결합한다.
제13도는 홀더(8)의 개략측단면도이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8)의 내측부(80)에는 밧데리 케이스(7)의 연결구멍(75,75)에 터미널(76,76)과 전기적 접속토록한 접촉터미널(81,81)을 설치한다. 홀더(8)의 한측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82)는 홀더(8)로 돌출하여 결합홈(78)과 결합가능하다. 타측에는 결합구(83)를 설치하여, 밧데리 케이스(7)로 착탈가능하게 유지시킨다.
결합구(83)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단부에 지폐계수기의 바깥에서 작동가능한 작동부재(84)를 설치하고, 그리고 지지축(85)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86)를 설치한다. 레버(86)는 코일스프링(87)에 의해 제13도의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레버(86)는, 홀더(8)의 내측부(80)에 점차 인접하면서 홀더(8)속으로 깊이 돌출하는 경사면(89)을 갖는 걸이(8)와 일체로 형성된다. 걸이(88)는 홀더(8)로 수직으로 돌출하여 밧데리 케이스(7)의 결합홈(77)과 결합한다.
조작자가 작동부재(84)를 제13도의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레버(86)는 코일스프링(87)의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지지축(85)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한다. 그리하여 걸이(8) 또한 홀더(8)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그 자체와 결합홈(77)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밧데리 케이스(7)를 홀더(8)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밧데리 케이스(7)를 홀더(8)에 취부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합홈(78)이 일차로 홀더(8)의 결합부재(82)와 결합하고 밧데리 케이스(7)는 홀더(8)속으로 들어간다. 그리하여 걸이(88)의 경사면(89)이 밧데리 케이스(7)에 의해 눌려져 레버(86)는 코일스프링(87)의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지지축(85)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된다. 밧데리 케이스(7)의 결합홈(77)이 걸이(8)와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밧데리 케이스(7)의 결합홈(77)과 걸이(88)는 상호결합되어 밧데리 케이스(7)내의 터미널(76,76)이 홀더의 접촉터미널(81,81)과 접촉하여 밧데리(70)가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지폐계수기를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제14도는 밧데리 케이스(7)가 홀더(8)에 착탈되는 것을 보여주는 지폐계수기의 개략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계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개방될때 지폐위치부(6)를 형성하는 제1뚜껑부재(2)와 개방될때 지폐집적부(5)를 형성하는 제2뚜껑부재(3)가 닫혀지고, 그리고 지폐위치부(6)와 지폐집적부(5)가 지폐계수기에서 소통되기 때문에 지폐계수기는 극히 소형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1), 제1뚜껑부재(2), 제2뚜껑부재(3), 그리고 홀더(8)의 외면들이 상호동일높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폐계수기가 손상될 염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지폐계수기를 원하는 어떤 장소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밧데리(70)를 수용하는 밧데리 케이스(7)를 지폐계수기에서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이 없는 외부장소 또는 외부전원과 전기코드를 연결할 수 없는 어떤 장소에서도 지폐계수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의거 상술하였지만 이는 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로써, 상기한 실시예에서, 비록, 본체(1), 제1뚜껑부재(2), 제2뚜껑부재(3) 그리고 홀더(8)의 외면이 상호동일한 높이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지폐계수기가 손상될 염려가 없다면 본 실시예의 형태는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폐계수기의 외면상에 돌출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형태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비록 가이드레일(59,59)의 측부에 각각의 비임(58,58) 세트외면이 거의 동일하게 간격진 3개의 반실린더형 오목부(64,64,64)로 형성되어, 지폐집적부(5)의 길이를 L1, L2 및 L3의 3단계로 변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반실린더형 오목부(64,64,64)의 수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 반실린더형 오목부(64,64,64)를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필연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비록 제2오목부(37,38)가 원형부(28)의 중심주위에 형성되어 제1오목부(36)에서 120도 각도로 간격지고, 그리고 개방될때 제1뚜껑부(2)의 부분이 단지 하나의 제2오목부(37,38)의 사용에 의해 이루어져 두개의 제2오목부(37,38)를 형성하는 것은 불필요하지만 두개 이상의 제2오목부를 형성하여 개방될때 제1뚜껑부재(2)가 여러단계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우기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폐를 세기위한 지폐계수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지폐 외의 다른 종이를 세기위한 종이계수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종이가 놓여지는 종이위치부와, 종이위치부에 놓여진 종이를 하나씩 인출하여 안쪽으로 보내는 종이이송수단, 종이이송수단에서 이송된 종이의 수를 세는 계수수단, 종이계수수단에 의해 세어진 종이를 집적하는 집적수단, 조작자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수단, 그리고 여러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또한 개폐가능한 제1뚜껑부재와 개폐가능한 제2뚜껑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1뚜껑부재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뚜껑부재가 닫혀질때 상기 작동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종이위치부는, 상기 제1뚜껑부재가 닫혀질때 상기 작동수단과 상기 표시수단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집적수단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뚜껑부재의 내면에 형성한 종이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부재, 상기 제2뚜껑부재, 그리고 종이계수기의 본체는, 상기 제1뚜껑부재와 상기 제2뚜껑부재가 닫혀질때 종이계수기의 외면에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형성한 종이계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부재, 제2뚜껑부재, 그리고 종이계수기의 본체의 외면들이 상기 제1뚜껑부재가 닫힐때 상기 제1뚜껑부재의 외면이 종이계수기의 본체외면과 동일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뚜껑부재가 닫힐때에는 상기 제2뚜껑부재의 외면이 종이계수기의 본체외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시킨 종이계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뚜껑부재는, 종이집적판부재와 종이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종이집적판은, 제2뚜껑이 개방될때 종이를 집적할 수 있도록 종이배출방향과 평행한 집적면을 가지며, 상기 종이안내부재는, 상기 종이지적판부재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상기 종이집적판부재의 상기 집적면에 대해 수직한 부분을 갖는 종이계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 홀더수단내에 수용될때 상기 종이위치부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종이계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기 상면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기 상면의 바깥단부의 공동에는 개폐가능한 트레이수단이 지지되고, 상기 트레이수단은 닫혀질때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홈내에 수용되어 상기 종이위치부에 놓여진 종이의 뒤쪽모서리부를 지지하는 종이계수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외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한 홀더수단에 수용될때 종이계수기의 상기 본체외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한 종이계수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뚜껑부재는, 종이집적판부재와 종이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종이집적판은, 제2뚜껑이 개방될때 종이를 집적할 수 있도록 종이배출방향과 평행한 집적면을 가지며, 상기 종이안내부재는, 상기 종이지적판부재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상기 종이집적판부재의 상기 집적면에 대해 수직한 부분을 갖는 종이계수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뚜껑부재는, 종이집적판부재와 종이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종이집적판은, 제2뚜껑이 개방될때 종이를 집적할 수 있도록 종이배출방향과 평행한 집적면을 가지며, 상기 종이안내부재는, 상기 종이지적판부재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상기 종이집적판부재의 상기 집적면에 대해 수직한 부분을 갖는 종이계수기.
  10. 제2항에 있어서,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 홀더수단내에 수용될때 상기 종이위치부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종이계수기.
  11. 제3항에 있어서,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 홀더수단내에 수용될때 상기 종이위치부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종이계수기.
  12. 제4항에 있어서,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 홀더수단내에 수용될때 상기 종이위치부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종이계수기.
  13. 제8항에 있어서,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 홀더수단내에 수용될때 상기 종이위치부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종이계수기.
  14. 제9항에 있어서, 밧데리를 내장하는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밧데리 케이스가 상기 홀더수단내에 수용될때 상기 종이위치부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종이계수기.
KR1019920017710A 1991-09-27 1992-09-28 종이계수기 KR960012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49875 1991-09-27
JP24987591 1991-09-27
JP4250077A JP2860622B2 (ja) 1991-09-27 1992-09-18 シート計数機
JP92-250077 1992-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570A KR930006570A (ko) 1993-04-21
KR960012661B1 true KR960012661B1 (ko) 1996-09-23

Family

ID=1719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710A KR960012661B1 (ko) 1991-09-27 1992-09-28 종이계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860622B2 (ko)
KR (1) KR960012661B1 (ko)
TW (1) TW226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872B1 (ja) * 1997-06-02 1999-02-24 有限会社スガイ総業 紙葉類計数装置
CN113807485B (zh) * 2021-09-01 2024-11-15 深圳市联兴内衣实业有限公司 一种货运数据辅助计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26456B (ko) 1994-07-11
JP2860622B2 (ja) 1999-02-24
KR930006570A (ko) 1993-04-21
JPH05298506A (ja) 199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2446C (en) Stacker apparatus
KR970001909B1 (ko) 종이계수기
JPS62215461A (ja) 紙幣収納装置
RU2005131182A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ачи денег в банкомате
EP0419108A2 (en)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veying a paper money and a magnetic card
US7252284B2 (en) Banknote moving unit for a banknote storing unit
KR960012661B1 (ko) 종이계수기
KR20060132482A (ko) 지폐 처리 장치
KR100600417B1 (ko)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US5321236A (en) Sheet counting machine
EP1415281B1 (en) Handling banknotes
EP0812790A1 (en) Apparatus for paying out a sheet body
US7891553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EP0960846B1 (en) Sheet material guide
JP4114997B2 (ja) 多種紙葉類の搬入、分納、排出装置
JPH0229055Y2 (ko)
JPH0542712B2 (ko)
JP2859836B2 (ja) 薄板状体繰り出し装置
JPS634045Y2 (ko)
KR880002153B1 (ko) 지폐 선별기
JP3100299B2 (ja) 硬貨選別装置
JPH0622695Y2 (ja) 紙幣処理機における紙幣集積搬送装置
JP2533254Y2 (ja) メダル貸機等における紙幣送り出し装置
JPH07157108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63202562A (ja) 貨幣交換機における紙幣収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8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