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2389B1 -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 Google Patents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389B1
KR960012389B1 KR1019920011528A KR920011528A KR960012389B1 KR 960012389 B1 KR960012389 B1 KR 960012389B1 KR 1019920011528 A KR1019920011528 A KR 1019920011528A KR 920011528 A KR920011528 A KR 920011528A KR 960012389 B1 KR960012389 B1 KR 96001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uel
fuel gas
gas supply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728A (ko
Inventor
다쯔야 스가와라
다까오 다까기
기미오 모찌즈끼
시게도시 다끼야마
Original Assignee
안자이 구니오
도오꾜오 가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기 가즈미
다까기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10332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6135B2/ja
Application filed by 안자이 구니오, 도오꾜오 가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기 가즈미, 다까기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안자이 구니오
Publication of KR93000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3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제1도는 본 발명 버너의 불구멍부(炎孔部) 구성의 1실시예를 나타낸 설명적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버너의 전체구성의 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계통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 버너의 불구멍부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설명적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예시한 버너의 연소상태를 설명하는 설명적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버너 불구멍부의 또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설명적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버너 불구멍부의 또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설명적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 버너에 의한 NOx 발생량을 종래의 분젠(Bunsen) 버너와 비교해서 나타낸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 버너에 있어서 연료 희박한 혼합기를 공급하는 버너부 또는 불구멍군(群)의 화염 리프트 한계의 1예를 다른것과 비교하여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1불구멍군 A, B : 제2불구멍군
B, a, b : 불구멍 1a : 제1버너부
1b : 제2버너부 2 : 제1연료가스공급계통
3, 3', 3 : 제2연료가스 공급계통 4, 4', 4 : 개폐밸브
5 : 연료혼합수단 5a : 연료농후혼합수단
5b : 연료희박혼합수단 6 : 노즐
7 : 혼합관 8a, 8b : 화염
9 : 선단분출부 10 : 측벽
11, 13 : 리본 12 : 날개화염공
14 : 날개불 15 : 세라믹판
16 : 비례제어밸브 17 : 원밸브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가정용이나 소형업무용등의 소형연소장치에 사용되는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각종 연소장치에 있어서의 버너연소가스중의 질소산화물(NOx)은, 그 자체에 독성이 있을뿐더러 산성비나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에 연소장치에 사용되는 버너에는 이 NOx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가지 대책이 개발, 강구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 이들 대책은 법적인 규제가 있는 산업용 등의 대형 연소장치에 대하여 주로 이루어져 있고, 가정용 소형 업무용등 소형연소장치는 소음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충분한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즉, 대형 연소장치에서는 연소용 팬의 정압(靜壓)을 크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연소용 가스나 공기 흐름의 제어가 용이한 점, 버너의 레이아웃에 자유도가 높은 점, 소음대책도 용이한점 등의 이점에 의해 소음에 대한 대책조건이 엄격하지 않으며, 또 연소실을 크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소위 완만연소에 의해 NOx를 줄이는 대책을 시행하여도 완전연소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는데 비해, 소형 연소장치에서는 이들 이점이 없고, 따라서 소형의 연소장치에서는 대형 연소장치와 비교하여 NOx를 줄이는 대책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른바 농담(濃淡) 연소를 소형의 연소장치에 합리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연소량의 조절범위확대를 도모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는 복수 열로 설치된 불구멍(a, b)으로 이루어지는 각각 제1, 제2의 불구멍군(A, B)의 여러개를 교대로 인접시키고, 양끝쪽에 제1불구멍군(A)이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불구멍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그 불구멍부에는 여러개의 연료가스 공급계통(2, 2, 3', 3)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으로해서 각 연료가스 공급계통(2, 3, 3', 3)에서는 제1불구멍군(A)에 대응하는 연료농후혼합수단(5a)과, 제2불구멍군(B)에 대응하는 연료희박 혼합수단(5b)를 구성하고, 상기 여러개의 연료가스 공급계통(2, 3, 3', 3)은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불구멍부범위의 양단측에 항상 제1불구멍군(A)이 위치하도록 제어된 구성으로한 것이다.
그리고, 연료가스 공급계통(2, 3)을 2계통 설치한 구성으로하여 본 발명의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는 여러개의 열로 설치한 불구멍(a, b)으로 이루어지는 각각 제1, 제2의 불구멍군(A, B)의 여러개를 교대로 인접시켜 양단측에 제1의 불구멍군(A)이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불구멍부를 구성하고, 한쪽끝의 제1불구멍군(A)에서 중간의 제1불구멍군(A)까지의 불구멍군에 대응하는 제1연료가스 공급계통(2)과, 나머지 불구멍군에 대응하는 제2연료가스 공급계통(3)을 구성함과 동시에 각 연료가스 공급계통(2, 3)에는 각 제1불구멍군(A)에 대응하는 연료 농후 혼합수단(5a)과 제2불구멍군(B)에 대응하는 연료희박 혼합수단(5b)을 설치하고, 상기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은 독립적으로 차단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작용]
우선, 연료가스 공급계통(2, 3)을 2계통 설치한 구성에 있어서, 제1과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2, 3) 양자에서 연료가스를 공급하면 불구멍부를 구성하는 제1불구멍군(A)에는 각 연료가스 공급계통(2, 3)에서 연료농후 혼합수단(5a)을 거쳐 연료 농후한 혼합기체가 공급되고, 각 불구멍(a)에서 분출하여 연소된다. 한편, 제2의 불구멍군(B)에는 각 연료가스 공급계통(2, 3)에서 연료희박혼합수단(5b)을 거쳐 연료 희박한 혼합기체가 공급되고, 각 불구멍(b)에서 분출하여 연소된다.
제2불구멍군(B)에 있어서의 연료 희박한 혼합기체에 의한 과잉공기 연소는 단독으로는 화염(8b)의 안정성이 나쁘지만, 이들 화염(8b) 양측에 인접한 제1의 불구멍군(A)에 있어서의 연료농후한 혼합기체에 의한 안정된 화염(8a)이 반드시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들 안정된 화염(8a)이 불씨로서의 작용을 하여 과잉공기의 화염(8b)을 안정화한다. 따라서 화염(8b)의 리프트나 진동 연소를 일으키지 않아,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연료농후한 혼합기체의 화염(8a)에 의해 안정화되는 연료 희박한 혼합기체의 연소는 과잉공기의 연소이기 때문에, 과잉공기의 냉각작용에 의해 화염(8b)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되어 NOx의 발생을 줄인다.
다음으로, 연료가스는 원밸브(17), 비례제어밸브(16)를 거쳐 제1연료가스 공급계통(2)과 제2연료가스 공급계통(3)으로 분기되고 제1연료공급계통(2)과 제2연료가스 공급계통(3)에서 각각 제1버너부(1a)와 제2버너부(1b)로 연료가스가 공급된다.
제2연료가스 공급계통(3)에는 개폐밸브(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폐밸브(4)를 개폐함으로써 제2연료가스 공급계통(3)에서 버너로의 연료가스의 공급, 차단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개폐밸브(4)를 닫으면 제2연료가스 공급계통(3)의 연료가스가 버너에 공급되어 제1연료가스 공급계통(2)의 버너의 화염에 의해 착화하여 연소함에 있어서 불구멍 면적이 단계적으로 증대되고 개폐밸브(4)를 닫으면 제2연료가스 공급계통(3)으로부터의 연료가스가 차단되어 버너가 꺼져서 단계적으로 연소함에 있어서 불구멍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도의 경우에 개폐밸브(4, 4', 4)를 순서대로 개폐시키면 4계통의 연료가스 공급계통에 의한 단계적인 불구멍 면적의 증감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량의 조절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연소상태에 있어서도 제2의 불구멍군(B)의 화염(8b)양측에 인접하여 반드시 제1의 불구멍군(A)의 화염(8a)이 존재하므로, 상기 과잉공기 연소의 화염(8b)의 안정화 작용이 저해되지 않고, 안정된 과잉공기의 연소에 의해 NOx 발생이 줄어든다.
이와같은 제1의 불구멍군(A)의 화염(8a)에 의한 제2의 불구멍군(B)의 화염(8b)의 안정화는 연료가스 공급계통이 3계통 이상인 경우에도 행할 수 있다.
즉, 3계통 이상의 연료가스 공급계통(2, 3, 3', 3)의 경우에도 이들은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불구멍부 범위의 양단측에는 항상 제1의 불구멍군(A)이 위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의 불구멍군(A)의 화염(8a)에 의한 제2의 불구멍군(B)의 화염(8b)의 안정화 작용을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버너의 불구멍부 구성의 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부호 1a, 1b는 각각 상측에 슬릿상의 불구멍(a, b)를 일렬로 설치한 종형으로 편평한 제1, 제2의 버너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제1, 제2의 버너부(1a, 1b) 각각의 여러개를 교대로 인접 설치하여 버너를 구성하고 있다.
이 버너 양단은 제1의 버너부(1a)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버너부(1a, 1b)의 슬릿상 불구멍(a, b)이 각각 제1, 제2의 불구멍군(A, B)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 제1, 제2의 불구멍군(A, B)에 의해 불구멍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도는 상기 불구멍부에 의해 구성한 본 발명 버너의 전체구성의 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 연료가스 공급계통은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은 제1연료가스 공급계통(2)과, 개폐밸브(4, 4', 4)를 설치한 세개의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 3'. 3)의 4계통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이들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 3', 3)은 개폐밸브(4, 4', 4)에 의해 독립적으로 연료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1의 연료가스 공급계통(2)의 대응하는 불구멍부의 범위에서는 그 양단에 제1의 버너부(1a)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불구멍부 범위의 도면중 우측에 인접한 상기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대응하는 불구멍부 범위에서는 좌단부에 제2의 버너부(1b), 우단부에 제1의 버너부(1a)가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불구멍부 범위의 도면중 좌측에 인접하여 상기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대응하는 불구멍부범위에서는 우단부에 제2의 버너부(1b), 좌단부에 제1의 버너부(1a)가 위치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 불구멍부 범위의 도면중 좌측에 인접한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대응하는 불구멍부 범위에서는 우단부에 제1의 버너부(1b), 좌단부에 제1의 버너부(1a)가 위치하고 있다.
각 연료가스 공급계통(2, 3)은 연료혼합수단(5)을 거쳐 각 버너부(1a, 1b)에 연료가스와 공기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들 연료혼합수단(5)은 제1의 버너부(1a)에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연료농후 혼합수단(5a)과, 제2의 버너부(1b)에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연료희박 혼합수단(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연료혼합수단(5)은 분젠버너, 기타의 예비혼합버너에 사용되는 적절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노즐(6)에서 혼합관(7)안으로 연료가스를 분출하여, 그 분출 에너지 또는 송풍기에 의해 혼합관(7)내에 흡인되는 공기와 혼합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 노즐(6)의 분출구멍등을 조절한 연료가스와 공기의 혼합비율을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연료혼합수단(5)에 이와같은 조절을 행함으로써 제1의 버너부(1a)에 대응하는 연료농후혼합수단(5a)과 제2의 버너부(1b)에 대응하는 연료희박 혼합수단(5b)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개폐밸브(4, 4', 4)가 열려진 경우에는 제1 및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2, 3, 3', 3) 쌍방에서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각 연료혼합수단(5)을 거쳐 모든 버너부(1a, 1b)에 연료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공급되어 연소에 제공된다.
즉, 제1의 연료가스 공급계통(2)을 흐르는 연료가스는 이 계통(2)의 버너부(1a, 1b)에 대응하는 상기 연료혼합수단(5a, 5b)을 구성하는 노즐(6)에서 각 버너부의 혼합관(7)안으로 분출하여 동시에 흡인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불구멍군(A, B)에 이르고, 각 불구멍(a, b)에서 분출되어 연소에 제공된다.
이때, 각 제1의 버너부(1a)에 대응하는 연료혼합수단(5a)은 상기 조절에 의해 연료농후한 혼합기체를 생성하고, 또 각 제2의 버너부(1b)에 대응하는 연료혼합수단(5b)은 연료희박한 혼합기체를 생성한다.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대응하는 버너부(1b)에 관하여도, 상기와 같이 제1버너부(1a)에는 연료농후한 혼합기체, 제2버너부(1b)에는 연료희박한 혼합기체가 공급된다.
예컨대, 이들 혼합기체의 공기비는 이론 공기량을 λ=1로 하면, 연료 농후한 혼합기체에서는 λ≒0.4, 연료 희박한 혼합기체에서는 λ≒1.2∼1.5가 되게 한다.
또, 제1, 제2의 버너부(1a, 1b)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량의 비는 예컨대 제1버너부 1a : 제2버너부 1b=3 : 7 정도로 제2의 버너부(1b)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량 쪽을 제1의 버너부(1a)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보다 많게 한다.
이상과 같은 혼합기체 공급에 의해 제2도의 실선 및 2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버너를 구성하는 모든 제1버너부(1a)의 불구멍군(A)위에, 연료 농후한 혼합기체의 연소에 의한 화염(8a), 그리고 제2의 버너부(1b)의 불구멍군(B) 상에는 연료희박한 혼합기체의 연소에 의한 화염(8b)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버너부(1a)는 제2의 버너부(1b)와 교대로 인접하고, 그리고 버너 양단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버너부(1b)의 화염(8b) 양측에 반드시 제1의 버너부(1a) 화염(8a)이 존재한다.
제2버너부(1b)의 화염(8b)은 과잉 공기의 연소에 의한 화염이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안정성이 나쁘지만 이들 화염(8b) 양측에 반드시 존재하는 제1버너부(1a)의 화염(8a)은 안정적인 화염이기 때문에 이것이 불씨로서의 작용을 하고, 이에 의해 과잉공기의 화염(8b)이 안정화된다.
따라서 제2버너부(1b)의 화염(8b)은 단독으로는 발생해버리는 리프트나 진동 연소가 일어나지 않고, 소음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연료농후한 혼합기체의 화염(8a)에 의해 안정화되는 연료 희박한 혼합기체의 연소는 과잉공기의 연소이기 때문에 이 과잉공기의 냉각 작용에 의해 화염(8b)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되어 NOx 발생이 줄어든다.
다음에, 개폐밸브(4)를 닫아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의한 연료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면 이 계통(3)의 버너부(1a, 1b)가 소화되어 제2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화염에 대응하는 버너부의 연소만이 계속된다.
이어서,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의한 연료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면 이 계통(3)에 대응하는 좌단측의 두 버너부(1a, 1b)가 소화된다.
그리고 다시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의한 연료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면 이 계통(3')에 대응하는 네개의 버너부(1a, 1b)가 소화된다.
이와같이 어떤 연소상태에 있어서도 제2버너부(1b)의 화염(8b) 양측에는 반드시 제1버너부(1a)의 화염(8a)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2의 버너부(1b)의 화염(8b)이 제1버너부(1a)의 화염(8a)에 의해 안정화된다.
이와같은 안정화 작용을 적용하기 위하여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대응하는 버너부(1a, 1b)가 연소상태에 있어서, 연료가스 공급계통(3')에 대응하는 버너부(1a, 1b)를 소화시킬수는 없다.
이와같이하여 제1버너부(1a)의 화염(8a)에 의한 제2의 버너부(1b)의 화염(8b)의 안정화 작용을 저해하지 않고 연소시키는 불구멍면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비례제어등 주지의 연소량의 제어수법을 병용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친 연소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불구멍면적을 4단으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이 이상의 단수로 단계적으로 변화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최소단수의 구성으로하여 2단으로만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가스 공급계통(2, 3') 및 이들에 대응하는 버너부(1a, 1b) 또는 연료가스 공급계통(2, 3') 및 이들에 대응하는 버너부(1a, 1b)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3도, 제4도는 본 발명 버너의 불구멍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실시예의 버너에서는 제1버너부(1a)는 상측에 슬릿모양의 불구멍(a)을 설치한 선단분출부(9)를 가늘게 만들고, 측벽(10)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또 제2버너부(1b)는 선단부에 리본(11)을 설치하여 다수의 불구멍(b)을 형성하고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버너부(1a)의 선단분출부(9) 옆쪽에는 필요에 따라 날개화염공(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제5도는 본 발명버너의 불구멍부 구성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의 버너는 제3도, 제4도의 구성에 있어서의 제1버너부(1a)의 슬릿모양 불구멍(a) 내신 제2버너(1b)와 마찬가지로 선단부에 리본(13)을 설치하여 다수의 불구멍(a)을 형성함과 동시에 날개화염공(12), 그리고 외측에 간격을 두고 날개를 형성용 측벽(7)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버너에 있어서, 제1도, 제2도의 구성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작용에 더하여 리본(11, 13)으로 구성한 불구멍(a, b)에 있어서의 혼합기체의 정류작용에 의해 소음발생을 더욱 줄일 수 있고, 또 제1버너(1a)에 낱개불(14)을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제1버너(1a)의 화염(8a)자체, 그리고 제2버너(1b)의 화염(8b)의 안정화를 다시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제6도는 본 발명 버너의 불구멍부 구성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의 버너는 다수의 불구멍이 세라믹판(15)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세라믹판(15)에는 다수의 불구멍을 직선모양으로 열로 설치하여 제1, 제2의 불구멍군(A, B)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 제1, 제2의 불구멍군(A, B)을 교대로 열로 설치하고 있다. 제2불구멍군(B)의 불구멍(b)은 제1불구멍군(A)의 불구멍(a) 보다 지름을 작게하고, 게다가 수를 많게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2불구멍군(B)은 2열로 배열시킨 작은 직경으로된 다수의 불구멍(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2불구멍군(B)의 불구멍(b)에 의한 연소는 상기한 과잉공기의 연소임과 동시에 작은 직경으로된 다수의 불구멍(b)에 의해 세분화된 연소이기 때문에 화염(8b)의 온도가 더욱 저온으로 유지되어 NOx 발생이 더욱 줄어든다. 또, 이 화염(8b)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의 불구멍군(A)의 불구멍(a)에 의한 연료 농후한 혼합기체의 화염(8a)에 의해 안정화되어 리프트나 진동연소가 발생되기 어렵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버너에 있어서의 NOx 배출특성의 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버너에 있어서, 연료 농후한 혼합기체의 혼합비를 λ=0.4∼0.7로 설치함과 동시에 전체의 공기비가 도면중 횡축으로 표시된 값이 되도록 연료희박한 혼합기체의 공기비를 조절하여 연소시킬 경우의 NOx의 발생량을 표시한 것이다.
또한, 표시하는 공기비는 버너 외측으로 냉각용 공기를 유출시킬 경우에 있어서는, 이 냉각용 공기를 포함한 값이고, ( )내의 공기비는 이 냉각용 공기를 포함하지 않는 값이다. 또, 연료희박한 혼합기체에 의한 연소량과 연료 농후한 혼합기체에 의한 연소량의 비는 7.5 : 2.5로 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버너에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분젠버너와 비교하여 NOx 발생량이 대폭 줄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8도는 본 발명의 버너에 있어서, 연료희박한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버너부 또는 불구멍군의 불꽃 리프트 한계의 1예를 다룬 것과 비교하여 예시한 것이다.
우선 A는 본 발명의 버너에 있어서, 제2의 버너부(1b) 또는 불구멍군(B)의 불구멍(b)에만 연료희박한 혼합기체를 공급하고, 제1의 버너부(1a) 또는 불구멍군(A)의 연료농후한 혼합기체의 화염(8a)에 의한 보염(保炎)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1의 버너부(1a)의 리프트 한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한계는 λ=0.7 정도이다.
이에 비해 B는 보염기구를 갖는 종래의 일반적인 분젠버너에 있어서의 리프트 한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한계는 λ=1.3 정도이다.
그리고 C는 본 발명의 버너에 있어서, 제1, 제2의 버너부(1a, 1b) 또는 불구멍군(A, B)의 연소를 행하게 할 경우에 있어서의 제2의 버너부(1b)의 리프트한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λ=3.0 정도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버너에서는 종래의 일반적 분젠버너와 비교하여 더욱 많은 과잉공기의 연소를 안정적으로 행하고, 이리하여 많은 과잉공기의 연소에 의한 NOx를 줄일 수 있다.
또, 제2도중, 부호 16은 비례제어밸브, 17은 윈밸브이고, 본 발명의 버너는 이와같이 상기한 단계적인 연소량의 제어와 비례제어를 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단독으로는 화염의 안정성이 나쁜 연료희박한 혼합기체에 의한 과잉공기의 연소를 연료 농후한 혼합기체의 연소에 의한 안정된 화염으로 보염하도록 했기 때문에 과잉공기의 연소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이같은 과잉공기의 연소에 의해 NOx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과잉공기의 연소를 안정적으로 행하는 사실로 인하여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소음에 대한 대책이 엄격한 소형연소장치에 있어서, 소음을 증대시키지 않고 NOx 발생량을 줄이는 대책을 시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과잉 공기 연소의 안정화를 저해하지 않고도 전체로서의 불구멍 면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리하여 연소량의 조절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여러개의 열로 설치한 불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각각 제1, 제2의 불구멍군의 여러개를 교대로 인접시키고, 양단측에 제1의 불구멍군이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불구멍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그 불구멍부에는 여러개의 연료가스 공급계통에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각 연료가스 공급계통에는 제1의 불구멍군에 대응하는 연료농후 수단과, 제2의 불구멍군에 대응하는 연료희박 혼합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여러개의 연료가스 공급계통은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불구멍부 범위의 양단측에 항상 제1의 불구멍군이 위치하도록 제어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2. 여러개의 열로 설치한 불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각각 제1, 제2의 불구멍군의 여러개를 교대로 인접시키고, 양단측에 제1의 불구멍군이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불구멍부를 구성하고, 한쪽끝의 제1불구멍군에서 중간의 제1불구멍까지의 불구멍군에 대응하는 제1의 연료가스 공급계통과, 나머지 불구멍군에 대응하는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을 구성함과 동시에, 각 연료가스 공급계통에는 각 제1의 불구멍군에 대응하는 연료 농후 혼합수단과, 제2의 불구멍군에 대응하는 연료희박 혼합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제2의 연료가스 공급계통은 독립적으로 차단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농후혼합수단과 연료희박혼합수단은 노즐에서 혼합관 안으로 연료가스를 분출하여 이 혼합관 안으로 흡인되는 공기와 혼합시키는 연료혼합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KR1019920011528A 1991-07-05 1992-06-30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Expired - Fee Related KR960012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091991 1991-07-05
JP91-190919 1991-07-05
JP04103325A JP3046135B2 (ja) 1991-07-05 1992-04-23 バーナ装置
JP92-103325 1992-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728A KR930002728A (ko) 1993-02-23
KR960012389B1 true KR960012389B1 (ko) 1996-09-20

Family

ID=6730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528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2389B1 (ko) 1991-07-05 1992-06-30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77B1 (ko) * 2008-06-26 2010-06-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해물질 저감 및 보염 특성을 갖는 과농-희박연소 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77B1 (ko) * 2008-06-26 2010-06-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해물질 저감 및 보염 특성을 갖는 과농-희박연소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728A (ko)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636B1 (ko) 저 함량 질소산화물의 예비혼합 버너 장치 및 방법
KR960012390B1 (ko)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EP0521568B1 (en) A low-nox gas burner
KR960012389B1 (ko) 질소산화물 저발생 버너
JP3177595B2 (ja) 燃焼装置
JP3107214B2 (ja) 燃焼用空気供給装置
JP3046135B2 (ja) バーナ装置
JP3093688B2 (ja) 燃焼装置
JP2793723B2 (ja) 燃焼装置
JP3151761B2 (ja) 燃焼装置
JP3426816B2 (ja) 低NOxガス燃焼装置
JP2793030B2 (ja) 窒素酸化物低発生バーナ
JP3369107B2 (ja) 燃焼装置
JP3322582B2 (ja) ガス燃料焚きバーナ
JP2839049B2 (ja) バーナユニット
JP3242366B2 (ja) 燃焼装置
JPH06159628A (ja) 燃焼器
JP3317371B2 (ja) 低NOxバーナ及び該低NOxバーナを用いた燃焼装置
JPH05296418A (ja) 窒素酸化物低発生バーナ
JP3402928B2 (ja) 低NOxガス燃焼装置
JP3116007B2 (ja) 濃淡燃焼装置
JP2768391B2 (ja) 窒素酸化物低発生バーナ
JP2793029B2 (ja) 窒素酸化物低発生バーナ
JP2966372B2 (ja) 燃焼装置
JP2916958B2 (ja) ガス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9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92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