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1564B1 - 의류 - Google Patents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564B1
KR960011564B1 KR1019930024869A KR930024869A KR960011564B1 KR 960011564 B1 KR960011564 B1 KR 960011564B1 KR 1019930024869 A KR1019930024869 A KR 1019930024869A KR 930024869 A KR930024869 A KR 930024869A KR 960011564 B1 KR960011564 B1 KR 96001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fabric
cloth
circumference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400A (ko
Inventor
쥰코 쿠마이
케어 오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와코루
쯔까모토 요시타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와코루, 쯔까모토 요시타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와코루
Publication of KR94001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4Knickers for ladies,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의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거들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거들의 배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거들의 배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거들의 배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거들의 배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거들의 배면도.
제7도는 종래의 거들의 일례의 정면도.
제8도는 종래의 거들의 일례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들본체 2 : 앞부분중앙부천
3 : 복부누르개 4 : 양옆부분천
5 : 옷단둘레부분 5a : 긴박력이 보다 강한 부분
5b : 5a보다 긴박력이 약해지고 있는 부분
6 : 앞부분옷단층당부조각 7 : 절환부분
8 : 이음선 10 : 뒷부분의 중앙부천
11 : 개더 30 : 뒷부분의 중앙부천
31 : 뒷부분의 중앙부천 32 : 합체부
40 : 뒷부분의 중앙부천 50 : 제1뒷부분의 중앙부천
51 : 제2뒷부분의 중앙부천 60 : 뒷부분의 중앙부천
61 : 봉제부 70 : 거들본체
71 : 옷단둘레 72 : 복부누르개
73 : 엉덩이부 이음선
본 발명은 거들, 쇼츠, 바디슈트, 리어타드, 수영복 등의 둔부하부로부터 대퇴부근처에 옷단선이 있고 가랑이부를 가진 의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힙업기능 등의 조형기능을 유지하고, 착용감이 양호하며, 또한 운동추종성이 좋고, 엉덩이부 외관을 미려하게 입체적으로 조형할 수 있고, 옷단부의 실루엣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거들, 쇼츠, 바디슈트, 리어타드, 수영복 등의 둔부하부로부터 대퇴부근처에 옷단선이 있고 가랑이부를 가진 의류는, 여성의 적어도 하반신의 체형을 아릅답게 보정하는 기능을 부여한 것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일례로서, 이하, 거들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종래 거들의 대표적인 일례를 제7도, 제8도에 표시한다.
제7도는 종래 거들의 앞쪽에서 본 정면도이고, 제8도는 그 뒤쪽에서 본 배면도이다. (70)이 거들본체, (71)은 옷단둘레, (72)는 복부누르개, (73)은 엉덩이부 이음선(봉제라인)을 표시한다.
거들본체(70)의 옷단둘레(71)는 긴박력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옷단둘레의 천을 반전해서 되접고, 신축성 테이프를 안에 대서 이중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힙업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거들본체의 엉덩이부 이음선(73)의 아래쪽의 둔부주위를 안감을 대서 이중구성으로 하고, 둔부의 산의 정점부근을 통과하는 엉덩이부이음선(73)에 의해서 변화시킴으로써 둔부의 산의 불룩해짐을 출현시키고 있다.
그러나, 거들 등의 이러한 의류 본체의 옷단둘레부분에 고무테이프 등의 신축성 테이프를 안감으로 대고, 옷단둘레의 천을 반전해서 되접어 이중구성으로 하면, 옷단선이 두껍게 되고, 신체면의 접촉이 선형상으로 압박되어 죄어들고, 고통감과 혈행장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단차가 있는 옷단선이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되는 타이트스커트, 슬램팬츠, 좁고 긴 스커트 등의 피복에 라인형상으로 반영되어 보기 싫게 되고, 외관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옷단둘레부분이 신체에 죄어들기 때문에 그 부분에 단이 생기고, 엉덩이부터 넓적다리에 걸친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유지할 수 없다. 또, 의류본체천과 상기 신축성 테이프와의 긴박력의 차가 크기 때문에, 착용시의 운동추종성이 나쁘고, 운동시에 옷단이 기어오른 경우에 용이하게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 엉덩이부 이음선(73)이 둔부의 산의 정점부 부근을 통과하므로 이음선(73)도 피복에 라인형상으로 반영되어, 마찬가지로 외관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착용감이 뛰어나고, 필요한 신체보정기능을 유지하고, 옷단의 기어오름 등의 문제가 없고, 운동추종성이 뛰어나고, 엉덩이부터 넓적다리에 걸친 자연스러운 힙라인과, 엉덩이의 2개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유지하고, 이음부(이음선) 등이 겉옷에 반영되는 등의 문제가 없고 외관의 저하가 없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는 다음의 구성을 가진 것이다.
① 둔부하부로부터 대퇴부근처에 옷단선이 있고 가랑이부를 가진 의류본체의 하반신부를 구성하는 양옆부분천의 옷단둘레부분을, 상대적으로 긴박력이 큰 신축성의 천으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옷단둘레부분은 그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천조직으로 하고, 또 의류본체의 뒤쪽에 있어서, 하반신부에 중앙부천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천은 적어도 둔부의 산의 정점부를 피하도록 뒤중심선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고 있고 아래쪽으로 향해서 형성된 천으로서, 또한 가로방향의 신장이 큰 천이거나 또는 신장이 적은 천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옆부분천이 적어도 둔부근처부분에서 개더를 넣어서 상기 중앙부천에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② 상기 ①에 있어서, 의류본체의 복부부분에 신장이 비교적 작은 복부누르개천을 가진다.
③ 상기 ① 또는 ②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부둘레부분의 천조직이, 2단계 이상의 긴박력의 변화를 가진 천조직이다.
④ 상기 ①∼③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탄성섬유의 혼입비율을 옷단둘레부분의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적게한 조직이다.
⑤ 상기 ①∼③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사용되는 탄성섬유의 굵기를 옷단둘레부분의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가능케 한 천조직이다.
⑥ 상기 ①∼⑤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의류본체의 양옆부분천이, 세로, 가로 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편물이다.
⑦ 상기 ⑥에 있어서, 세로, 가로 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편물이 투웨이러셀편물이다.
⑧ 상기 ①∼⑦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뒤쪽의 중앙부천이 1방향으로만 신장하거나, 또는 신장이 적은 폴리우레탄 교직물이다.
⑨ 상기 ①∼⑧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의류가 하반신보정기능을 가지고 있는 속옷류이다.
본 발명의 의류는 둔하부로부터 대퇴부근처에 옷단선이 있고, 가랑이부를 가진 의류본체에 하반신부를 구성하는 양옆부분천의 옷단둘레부분을, 상대적으로 긴박력이 큰 신축성의 천으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옷단 둘레부분은 그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천조직으로 하므로써, 엉덩이의 곡선을 잃지 않고, 단계적으로 원만하게 하면서 힙업할 수 있는 등의 신체보정기능은 유지하고, 옷단둘레의 천을 반전해서 되접어 이중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옷단선의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외관을 저하시킬 염려가 없고, 또 신축성 테이프 등을 안에 댈 필요가 없으므로, 신체면에의 접촉이 면형상이 되고 신체를 강하게 압박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뛰어나고, 또 옷단둘레가 선형상으로 죄어드는 일이 없으므로, 그 부분에서 단이 생기는 실루엣의 저하가 없고, 엉덩이부터 넓적다리에 걸친 보다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옷단둘레를 신체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옷단둘레부분의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므로, 긴박력이 약해지고 있는 부분의 신장에 의해 운동추종성이 발휘되고, 옷단의 기어오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 의류본체의 뒤쪽에 있어서, 하반신부에 중앙부천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천은 적어도 둔부의 산의 정점부를 피하도록 뒤중심선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고 있고 아래쪽으로 향해서 형성된 천으로서, 또한 가로방향의 신장이 큰 천이거나 또는 신장이 적은 천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옆부분천이 적어도 둔부근처부분에서 개더를 넣어서 상기 중앙부천에 봉제되어 있으므로 이음선이 둔부의 산의 정점부를 통과하지 않고, 따라서, 겉옷에 보기 흉한 이음선의 반영이 발생하지 않고, 양옆부분천이 둔부근처부분에서 개더를 넣어서 상기 뒷부분의 중앙부천이 봉제되어 있고, 둔부의 산부분에 볼록해짐을 가지게 해서 봉제되므로 자연스러운 곡선의 힙라인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신체의 운동에 무리없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천은 가로방향의 신장이 큰 천이거나 또는 신장이 적은 천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서 의류의 엉덩이부가 세로방향으로 지나치게 늘어나서 엉덩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긴박력이 순차 변화하는 옷단둘레부분의 작용과 더불어서 힙업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부천으로서, 가로방향의 신장이 큰 천을 사용할 경우에는, 의류를 폭방향으로 벌리기 쉬워져서 착용하기 쉽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②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의류본체에 복부부분에 신장이 비교적 작은 복부누르개천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복부의 불룩나옴을 억제하고, 복부의 아름다운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②에 기재한 바와 같이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2단계 이상의 긴박력의 변화를 가진 천조직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보다 원만하게 하면서 힙업할 수 있고, 엉덩이의 아름다운 곡선을 유지하면서 힙업할 수 있다. 또, 신체에의 옷단둘레의 긴박력의 작용이 면형상이 되고 있고, 고무테이프와 같은 신축성 테이프의 안감대기 등에 의한 신체부분에의 죄어들기가 없고, 또한 확실하게 옷단부둘레부분을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2단계 이상의 긴박력의 변화를 가진 천조직으로 했으므로, 보다 긴박력이 약한 단계의 부분에서 신장도를 낼 수 있으므로 운동추종성이 좋고, 옷단의 기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④에 기재한 바와 같이,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탄성섬유의 혼입비율을 옷단둘레부분의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적게한 천조직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용이하게 소정의 긴박력의 그러데이션(긴박력이 순차 변화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⑤에 기재한 바와 같이,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사용되는 탄성섬유의 굵기를 옷단둘레부분의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가늘게한 천조직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용이하게 소정의 긴박력의 그러데이션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⑥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의류본체에 양옆부분천이, 세로,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편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개더와의 입체패턴에 의한 작용과 더불어서 엉덩이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아름답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운동추종성이 뛰어나므로, 옷단의 기어오름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⑦에 기재한 바와 같이, 세로,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편물이 투웨이러셀편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투웨이러셀편물은 의류의 엉덩이부를 적당한 긴축력에 의해서 감싸주는 동시에, 개더와의 입체패턴에 의한 작용과 더불어서 엉덩이의 자연스로운 곡선을 아름답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운동추종성이 뛰어나므로, 옷단의 기어오름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⑧에 기재한 바와 같이, 뒤쪽의 중앙부천이 1방향으로만 신장하거나 또는 신장이 적은 폴리우레탄 교직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의류의 엉덩이부가 세로방향으로 지나치게 늘어나서 엉덩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엉덩이의 형상을 모양좋게 유지하는 동시에, 긴박력이 순차 변화하는 옷단둘레부분의 작용과 더불어서 힙업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부천으로서 1방향(가로방향)으로만 신장하는 폴리우레탄계 교직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용과 더불어 의류를 폭방향으로 벌리기 쉽게 되어, 더욱 착용하기 쉬운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⑨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의류가 하반신보정기능을 가지고 있는 속옷류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상기의 작용이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거들의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거들, 쇼츠, 바디슈트, 리어타드, 수영복 등의 둔부하부로부터 대퇴부근처에 옷단선이 있고, 가랑이부를 가진 의류 등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특히, 거들, 쇼츠, 바디슈트등, 하반신보정기능을 가지고 있는 속옷류에 적용하면, 그 기능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되므로 바람직하다.
제1도는 쇼트타입의 거들본체(1)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그 배면도를 표시한 것이나. 본 실시예는 쇼트 타입의 거들뿐만 아니라, 다리부를 구비한 더욱 긴 표준길이의 거들 등에도 전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의상, 쇼트타입의 거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거들본체(1)는 복부로부터 가랑이부에 걸쳐서 충당되는 앞부분중앙부천(2)과 복부누르개(3), 거들본체(1)의 상변양옆부분근처로부터 가랑이부방향으로 향해서 둔부의 산부분의 불룩해짐을 회피해서 뒤중심선방향으로 급격하게 폭이 좁아지고 또한 가로방향의 신장이 큰 천으로 구성되는 뒷부분의 중앙부천(10), 상기 앞부분중앙부천(2)과 뒷부분의 중앙부천(10)에 걸쳐서 양옆부분과 엉덩이부분 및 옷단둘레부분을 형성하는 양옆부분천(4)과 앞부분옷단층당부조각(6)의 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랑이부근처는, 앞부분중앙부천(2)과 뒷부분의 중앙부천(10)의 각각의 선단부가 이음선(8)에 의해서 봉재되어 마주 잇대어져 있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부재를 바꾸어서 봉합하거나, 혹은 앞부분중앙부천(2)과 뒷부분의 중앙부천(10)이 일체인 연속된 천으로 구성하거나는 임의로 선택된다.
양옆부분천(4)은 앞부분에 있어서는, 앞부분중앙부천(2)과 봉합되고, 또 뒷부분에 있어서는 뒷부분의 중앙부천(10)과 적어도 둔부근처부분에서 개더(11)를 넣어서 봉합되어 둔부산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불룩해짐을 가지게 하고 있고, 인체의 둔부의 산을 부드럽게 감싸듯이 하고 있다. 개더(11)는 필요에 따라서, 양옆부분천(4)과 뒷부분의 중앙부천(10)의 봉합부 전체에 걸쳐서 형성해도 된다. 또 도면중, (7)은 대략 서해선을 따른 절환부분이나, 이 절환에 구애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뒷부분의 중앙부천(10)은 가로방향의 신장이 큰 천으로 구성되고, 세로방향으로는 거의 신장이 없거나, 양방향 모두 신장이 작은 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섬유 등의 탄성섬유를 포함한 교직물, 예를 들면 새틴조파워넷편물이 바람직한 소재의 대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80 데니어의 교직세로편물인 스판덱스 사용 새틴조파워넷편물(폴리우레탄섬유의 함유량 17중량%)을 사용했다.
또, 양옆부분천(4)의 옷단둘레부분(5)은 그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천조직으로 하고,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도록 긴박력에 그러데이션이 부여되는 조직으로 한다. 이 긴박력의 그러데이션은 단계적으로 부여해도 되고, 연속적으로 긴박력이 약해지도록 해도 되나, 제조의 면에서는 단계적으로 하는 편이 제조하기 쉽고, 코스트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긴박력의 그러데이션을 단계적으로 부여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 제2도에 표시한 예에서는 옷단둘레부분(5)을 (5a)가 긴박력이 보다 강한 부분, (5b)가 (5a)보다 긴박력이 약해지고 있는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또 그 위의 양옆부분천(4)의 부분은 보다 긴박력이 약하고, 보다 약한 힘에 의해서 신장하기 쉬운 소재를 사용하는 구성이 되고 있다. 또한, 이 양옆부분천(4)은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5)((5a),(5b)도 포함)도 포함해서 연속된 1매의 천으로 구성되어 있고, (5a), (5b)부분이 별도의 천조각으로 구성되어 마주 잇대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긴박력을 순차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공지의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되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섬유 등의 탄성섬유의 혼입비율을 옷단둘레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적게 하는 구성으로해서 편성한다든지, 혹은 사용하는 폴리우레탄섬유 등의 굵기를 옷단둘레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가늘게 하는 구성으로 해서 편성하는 등의 방법을 바람직한 방법으로 들 수 있다.
양옆부분천(4)으로서는 세로,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편물을 사용하는 것이 엉덩이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연출하거나, 옷단의 기어오름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도 바람직하고, 특히, 세로, 가로방향으로 매우 잘 늘어나는 유연한 신축성 편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표적으로는 투웨이러셀편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옆부분천(4)을 투웨이러셀편물(210 데니어)로 하고, 긴박력이 보다 강한 부분(5a)의 폭을 4cm, (5a)보다 긴박력이 약해지고 있는 부분(5b)의 폭을 3cm로 했다. 이 긴박력에 그러데이션을 부여하는 폭에 대해서는 의류의 종류나 그러데이션을 부여하는 목적에 따라서도 다르고, 또 동일한 종류의 의류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거들의 경우에 있어서, 쇼트거들이라든가, 표준거들이라든가, 롱거들 등, 거들의 타입에 따라, 또, 동일타입의 거들에 있어서도, 사이즈, 그러데이션의 단계수나, 소재 등에 따라서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으나, 예를 들면 1.5∼20cm, 바람직하게는 4∼15cm 등의 범위로부터 적당히 상기 조건에 따라서 선정하면 된다. 단계적으로 긴박력을 부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각 단계의 폭은, 상기 조건, 단계의 수에 따라서 다르나 0.5∼10cm 정도, 바람직하게는 1∼6cm 정도의 범위로부터 적당히 선정된다.
앞부분중앙부천(2)과 복부누르개(3)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거들에 있어서 이 부분에 적용되고 있는 천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당연히 복부누르개(3)에는 신장이 거의 없거나, 긴박력이 강한 신축성 소재가 사용된다. 앞부분중앙부천(2)의 소재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세로방향의 신장이 가로방향에 비해서 크고, 가로방향으로는 거의 신장이 없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복부누르개(3)도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그 반대로 가로방향의 신장이 세로방향에 비해서 크고, 세로방향으로는 거의 신장이 없는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6)은 앞부분옷단층당부조각이고, 이 부분은 옷단둘레(5)와 마찬가지의 소재를 사용해서 긴박력에 그러데이션을 부여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옷단둘레(5)의 긴박력이 보다 강산 부분(5a)이나 그보다 긴박력이 약한 (5b)의 부분과 마찬가지의 소재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지장없고, 그밖에 마찬가지의 긴박력을 가진 스트레치레이스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 앞부분옷단충당부조각(6)이나 상기한 옷단둘레부분(5)은 제7도, 제8도에 표시한 종래의 거들의 옷단둘레(71)에 비해서 일반적으로 광폭면형상이고, 일체물의 평평한 외관을 나타내므로, 옷단둘레의 조임에 의한 고통감이나 죄어들기, 혹은 종래의 거들에서 볼 수 있었던 옷단둘레(71)에 의한 단차가 없고, 단차에 의한 겉옷에의 반영이 없다.
제3도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거들의 배면도를 표시했다. 제2도의 뒷부분의 중앙부천(10)에 상당하는 뒷부분의 중앙부천이, (30), (31)로서 둔부하부근처에서 2개로 나누어져 있고, 양옆부분천(4)이 둔부하부근처의 합체부(32)에서 서로 접하고 있는 타입이나, 앞부분이나 그밖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1도, 제2도에 표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태양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이 달성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 뒷부분의 중앙부천의 패턴은, 적어도 둔부의 산의 정점부를 피하도록 뒤중심선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고 있고 아래쪽으로 향해서 형성된 천이면 임의이고, 상기한 제2도나 제3도에 표시된 패턴이외의 예로서, 예를 들면 제4도, 제5도,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것도 예시된다.
제4도, 제5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거들의 다른 태양의 배면도이다.
제4도의 거들의 뒷부분의 중앙부천(40)은 거들상변부로부터 가랑이부에 걸쳐서 폭이 좁아지고 있는 타입의 중앙부천이고, 제5도의 거들의 뒷부분의 중앙부천은 거들상변부로부터 대략 역삼각형상으로 구성된 제1중앙부천(50)과, 제1중앙부천(50)의 역삼각형상의 대략 선단부에 봉합되어, 가랑이부까지 뻗은 폭좁은 제2중앙부천(51)으로 이루어져 있는 타입이다. 제6도에 표시한 것은 양옆부분천(4)이 거들의 뒷부분의 뒤중심부의 상부에서 직접 서로 봉제되어 봉제부(61)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폭좁은 가늘고 긴 대략 삼각형상의 중앙부천(60)이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또한, 제4도, 제5도, 제6도에 있어서는 그밖의 부분은 제2도와 마찬가지이므로, 제2도와 동일한 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으므로,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감이 뛰어나고, 필요한 신체보정기능은 유지하고, 옷단둘레부분의 신체에의 죄어들기가 없고, 엉덩이로부터 넓적다리에 걸친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유지하고, 면형상으로 확실히 고정하여, 옷단둘레의 기어오름 등의 문제가 없고, 운동추종성이 뛰어나고, 또한 엉덩이의 2개의 산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유지하고 이음부(이음선) 등의 겉옷에 반영되지 않아 외관의 저하가 없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의류본체의 복부부분에 신장이 비교적 작은 복부누르개천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복부의 불록나옴을 억제하고, 복부의 아름다운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2단계 이상의 긴박력이 변화를 가진 천조직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보다 완만하게 하면서 힙업할 수 있고, 엉덩이로부터 넓적다리에 걸친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유지하고, 또한 면형상으로서 신체에 확실히 고정하고, 또한 엉덩이의 아름다운 곡선을 유지하면서 힙업할 수 있고, 또 운동추종성이 좋고, 옷단의 기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탄성섬유의 혼입비율을 옷단둘레부분의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행해서 순차 적게한 천조직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용이하게 소정의 긴바격의 그러데이션을 달성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사용되는 탄성섬유의 굵기를 옷단둘레부분의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가늘게 한 천조직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용이하게 소정의 긴박력의 그러데이션을 달성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의류본체의 양옆부분천이, 세로,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편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개더와의 입체패턴에 의한 작용과 더불어서 엉덩이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아름답게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운동추종성이 뛰어나므로, 옷단의 기어오름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세로,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폄물이 투웨이러셀편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투웨이러셀편물인 의류의 엉덩이부를 적당한 긴축력에 의해서 감싸주는 동시에, 개더와의 입체패턴에 의한 작용과 더불어서 엉덩이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보다 아름답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운동추종성이 뛰어나므로, 옷단의 기어오름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뒤쪽의 중앙부천이 1방향으로만 신장하거나, 또는 신장이 적은 폴리우레탄 교직물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의류의 엉덩이부가 세로방향으로 지나치게 늘어나는 일이 없고, 모양이 좋은 엉덩이의 형상을 실현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부천으로서 1방향(가로방향)으로만 신장하는 폴리우레탄 교직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또 더욱 착용이 용이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의류가 하반신보정기능을 가지고 있는 속옷류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상기 본 발명의 작용효과가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둔부하부로부터 대퇴부근처에 옷단선이 있고 가랑이부를 가진 의류본체의, 하반신부를 구성하는 양옆부분천의 옷단둘레부분을, 상대적으로 긴박력이 큰 신축성의 천으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옷단둘레부분은 그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천조직으로 하고, 또 의류본체의 뒤쪽에 있어서, 하반신부에 중앙부천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천은 적어도 둔부의 산의 정점부를 피하도록 뒤중심선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고 있고, 아래쪽으로 향해서 형성된 천으로서, 또한 가로방향의 신장이 큰 천이거나 또는 신장이 적은 천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옆부분천이 적어도 둔부근처부분에서 개더를 넣어서 상기 중앙부천에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의류본체의 복부부분에 신장이 비교적 작은 복부누르개천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2단계 이상의 긴박력의 변화를 가진 천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탄성섬유의 혼입비율을 옷단둘레부분의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적게한 천조직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의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그 긴박력이 순차 약해지는 옷단둘레부분의 천조직이, 사용되는 탄성섬유의 굵기를 옷단둘레부분의 아래쪽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순차 가늘게한 천조직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의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류본체의 양옆부분천이, 세로,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편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7. 제6항에 있어서, 세로,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투웨이편물이 투웨이러셀편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뒤쪽의 중앙부천이 1방향으로만 신장하거나 또는 신장이 적은 폴리우레탄 교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류가 하반신보정기능을 가지고 있는 속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KR1019930024869A 1992-12-24 1993-11-22 의류 KR960011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88465 1992-12-24
JP1992088465U JP2550951Y2 (ja) 1992-12-24 1992-12-24 衣 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400A KR940013400A (ko) 1994-07-15
KR960011564B1 true KR960011564B1 (ko) 1996-08-24

Family

ID=1394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869A KR960011564B1 (ko) 1992-12-24 1993-11-22 의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550951Y2 (ko)
KR (1) KR960011564B1 (ko)
GB (1) GB2273646B (ko)
HK (1) HK211796A (ko)
TW (1) TW3004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722A (en) * 1995-02-03 1997-03-18 Alba-Waldensian, Inc. Panty having knit-in buttock lift and separation
WO1997018785A1 (en) * 1995-11-22 1997-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garment-like appearance
JP3088950B2 (ja) * 1996-03-04 2000-09-18 株式会社ワコール ヒップアップ機能を有する衣類
JP3582685B2 (ja) * 1997-01-23 2004-10-27 株式会社ワコール ヒップ形状を整える衣類
US6142983A (en) * 1997-09-26 2000-1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upport system
JP3870227B2 (ja) * 2000-10-30 2007-01-17 株式会社ワコール 産前用ガードル
FR2886818B1 (fr) * 2005-06-14 2007-11-23 Francoise Troplent Vetements de sport pour personnes obeses et en surpoids
GB0603824D0 (en) * 2006-02-25 2006-04-05 Rochester Mary Undergarments
GB2444804B (en) 2006-12-15 2009-04-01 Speedo Int Ltd Elasticated sports garments
GB2444803B (en) 2006-12-15 2009-08-05 Speedo Int Ltd Garments
JP4786566B2 (ja) * 2007-02-13 2011-10-05 株式会社ワコール 男性用ボクサーパンツ
US8549763B2 (en) 2010-12-15 2013-10-08 Tamara KRAWCHUK System and method for garment fitting and fabrication
GB2482995A (en) * 2011-09-20 2012-02-22 Speedo Int Ltd Garments having hems
AT511956B1 (de) * 2012-02-07 2013-04-15 Catrin Aschenwald-Eybl Damenhose, die während der sportausübung das gesäss stützt
GB2520764A (en) * 2013-12-02 2015-06-03 Montfort Services Sdn Bhd A pair of brief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502A (ja) * 1984-01-12 1985-08-07 Kuraray Co Ltd インド−ル系農園芸用殺菌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73646B (en) 1996-07-24
JP2550951Y2 (ja) 1997-10-15
HK211796A (en) 1996-12-06
KR940013400A (ko) 1994-07-15
GB9325671D0 (en) 1994-02-16
JPH0651204U (ja) 1994-07-12
GB2273646A (en) 1994-06-29
TW300401U (en) 199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2535A (en) Garment having the function of keeping an upward profile for the hip and buttock line
KR960011564B1 (ko) 의류
US20040111781A1 (en) Clothing
JPH06158402A (ja) 衣 服
JP4938566B2 (ja) 衣料
US3466667A (en) Bifurcated hosiery with suspension means
JP2007186829A (ja) 衣料および衣料の製造方法
JPH06166901A (ja) パンティーアンダーガーメント
KR20040007481A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갖는 의료
JP3582685B2 (ja) ヒップ形状を整える衣類
JP3038140B2 (ja) 衣 類
JP3115670U (ja) バスト補整機能を備えた成型編みインナー
JP2000096309A (ja) 腹部形状補整機能を具備した股部を有する衣類
JPH03260102A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4032100B2 (ja) インナー・ウェア
JP3063342U (ja) 下半身用衣類
JP3155508U (ja) 成形衣料
JP2005068609A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JP4311595B2 (ja) 臀部裏打ち布を有する衣料
GB2189375A (en) A garment
JP3961054B2 (ja) ヒップアップ機能を備えた衣料
JP3012019U (ja) 股部を有するフィットタイプの衣類
JP5473315B2 (ja) 下半身用衣類
JPH07268702A (ja) 女性用下着
JPH02268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7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