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0477B1 -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477B1
KR960010477B1 KR1019930008990A KR930008990A KR960010477B1 KR 960010477 B1 KR960010477 B1 KR 960010477B1 KR 1019930008990 A KR1019930008990 A KR 1019930008990A KR 930008990 A KR930008990 A KR 930008990A KR 960010477 B1 KR960010477 B1 KR 96001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toner box
reference value
state
photo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477B1/ko
Priority to US08/249,130 priority patent/US55305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폐토너 박스의 상태를 판별하는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광드럼 12 : 크리닝 브레이드
14 : 오거 16 : 폐토너 박스
18 : 통로 20 : 포토센서
22 : CPU 24 : 표시부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 상태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폐토너량 및 폐토너 박스의 장착유무를 감지하는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에는 감광드럼에 현상되어 종이에 전사된 후 남은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박스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폐토너 박스에 폐토너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폐토너 박스의 장착 유무와 폐토너량을 감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폐토너 박스에 폐토너가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이를 수거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폐토너 박스의 장착 유무상태와 폐토너량을 감지하는 동작을 보면, 상기 폐토너 박스에 저장되어 잇는 폐토너량의 감지는 폐토너 박스에 토너가 쌓여 하중에 의해 압력센서가 동작하여 감지하거나,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상기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동작은 발광부에 빛을 발하여 폐토너가 없으면 수광부에 빛이 전달되고, 폐토너 있으면 수광부에 빛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폐토너 박스의 장착유무를 콘택트 센서(Contact Sensor)를 이용하여 폐토너 박스를 넣으면 콘택트 레버가 움직여 동작하는 것으로 감지하거나 포토센서를 이용하되 기구적인 액추에이터 레버를 이용하여 폐토너 박스를 넣으면 레버가 움직여서 발광부의 빛이 수광부에 전달되어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토너 박스의 장착유무와 폐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포토센서와 콘택트센서 2가지 모두 필요하게 되어 원가가 상승되고, 또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시스템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엇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폐토너의 장착 유무상태와 폐토너량을 동시에 감지하는 토너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클시 폐토너 풀상태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설정된 제2기준값(n)보다 작을시에 폐토너 박스에 없음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설정된 제2기준값(n)보다 클시에 정상상태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로서, 감광드럼(12)과, 상기 감광드럼(10)의 잔류토너를 수거하는 크리닝 브레이드(Cleaning Brade)(12)와, 상기 크리닝 브레이드(12)에 의해 수거된 토너를 운반하는 오거(14)와, 반투명체로 이루어져 폐토너를 적재하는 폐토너 박스(16)와, 상기 오거(14)에 의해 운반된 토너의 자중에 의해 상기 수거된 폐토너를 상기 폐토너 박스(16)에 적재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18)와, 상기 폐토너 풀상태를 센싱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20a)와 수광트랜지스터(20b)가 상기 폐토너 박스(16)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토너 박스(16)에 적제된 폐토너의 풀상태가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장착유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20)와, 상기 포토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상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22)와 상기 CPU(22)의 출력인 상태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장착상태, 폐토너 풀상태, 폐토너 정상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중 표시부(24)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LC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폐토너 박스의 상태를 판별하는 제어 흐름도로서,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클시 폐토너 풀상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설정된 제2기준값(n)보다 작을시에 폐토너 박스 없음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설정된 제2기준값(n)보다 클시에 정상상태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1-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름 포토센서(20)는 폐토너 박스(16)에 적제된 페토너 레벨(량)과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장착 유무를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포토센서(20)의 발광부(20a)와 수광부(20b)에 공급전원(Vcc)인 5V가 각각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폐토너 풀(Full)상태와 상기 폐토너 박스의 장착유무 감지는 제1기준값(n)이 의해 감지하며, 상기 제1기준값(m)은 제2기준값(n)보다 크다.
이때 만약 폐토너 박스(16)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페토너가 풀상태로 채워질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20a)의 빛이 수광트랜지스터(20b)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수광트랜지스터(20b)는 오프된다. 상기 수광트랜지스터(20b)가 오프되면 노드(A)의 전압은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큰 5V레벨이 되어 CPU(22)로 인가된다. 이때 CPU(22)는 내장된 D/A변환기에 의해 입력전압 5V를 디지탈 변환하여 폐토너 풀 상태로 인식한다. 그런후 상기 CPU(22)는 표시부(2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폐토너 풀상태를 표시한다.
그러나 폐토너 박스(16)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다이오드(20a)의 빛이 폐토너 박스(16)(장애물)를 통과하지 않고 그대로 수광트랜지스터(20b)로 전달되어 수광트랜지스터(20b)가 온된다. 여기서 수광트랜지스터(20b)의 전압강하는 1V이므로 노드(A)의 전압은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제2기준값(n)보다 작은 최소레벨인 1V가 되어 CPU(22)로 인가된다. 이때 CPU(22)는 내장된 D/A변환기에 의해 입력전압 1V를 디지탈 변환하여 폐토너 박스(16)에 장착되지 않았음을 인식한다. 그런후 상기 CPU(22)는 표시부(2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폐토너 박스(16)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폐토너 풀상태와 폐토너 박스(16)의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에러메세지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때 필요에 따라 CPU(22)는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폐토너 박스(16)가 장착되고 폐토너가 풀상태로 채워져 있지 않으면 상기 포토센서(20)의 발광다이오드(20a)로부터 발생된 빛이 반투명체인 폐토너 박스(16)를 투과하여 수광트랜지스터(20b)로 전달된다. 이때 수광트랜지스터(20b)에 흐르는 전류는 폐토너 박스(16)에 장착되지 않을시보다 미약하게 흐르게 되며, 노드(A)의 전압은 1VVA5V이므로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제2기준값(n)보다 큰 중간 레벨이 되어 CPU(22)로 인가된다. 상기 CPU(22)는 내장된 D/A변환기에 의해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제2기준값(n)보다 큰 전압을 디지탈 변환하여 폐토너 박스(16)가 장착되어 있고, 폐토너가 정상상태임을 인식한다. 이 경우 상기 CPU(22)는 별도로 메세지를 표시하지 않고 정상적인 인쇄를 진행한다. 그러나 특별히 메세지 표시를 하여야할 경우 상기 CPU(22)는 표시부(2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정상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영향으로 노드(A)의 전압이 약간의 편차가 있게 되어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제1기준값(m)을 4V, 제2기준값(n)을 1.5V 등으로 여유를 준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포토센서(2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입력하는 CPU(22)는 상기 전압 입력에 따라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상태를 판별한 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24)에 폐토너 풀상태, 폐토너 정상상태, 폐토너 박스(16)이 장착유무를 표시하거나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CPU(22)에서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상태를 판별한 후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제2도의 흐름도에서 설명하면, 먼저 (2a)단계에서 상기 CPU(22)는 상기 포토센서(2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입력하고 (2b)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b)단계에서 CPU(22)는 상기 포토센서(20)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설정된 제1기준값(m)인 4V레벨보다 작은가 검사하여 상기 제1기준값(m)보다 작지 않으면 (2c)단계로 진행하여 폐토너의 풀상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표시부(24)에 폐토너가 풀상태로 채워져 있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2b)단계에서 상기 포토센서(20)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설정된 제1기준값(m)인 4V보다 작으면 (2d)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포토센서(20)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설정된 제2기준값(n)인 1.5V보다 작은가 검사하여 작지 않으면 (2f)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f)단계에서 CPU(22)는 정상상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표시부(24)에 정상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서 폐토너 박스(16)는 반투명체이므로 폐토너가 채워지지 않은 정상상태일시 포토센서(20)의 출력전압가 상기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제2기준값(n)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상기(2d)단계에서 상기 포토센서(20)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이 설정된 제2기준값(n)인 중간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폐토너 박스(16)가 없는 투명상태가 되므로 (2e)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e)단계에서 CPU(22)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표시부(24)에 상기 폐토너 박스(16)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폐토너 풀상태와 폐토너 박스의 장축유무상태 및 폐토너가 장착된 상태에서 폐토너가 풀상태로 채워지지 않은 정상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폐토너 박스의 장착상태와 폐토너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폐토너량과 폐토너 박스의 장착유무를 한 개의 센서로 감지하므로서 시스템의 콤팩트와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에 있어서, 크리닝 브레이드로부터 수거되는 폐토너를 적재하는 폐토너 박스(16)와,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폐토너 풀상태를 센싱할 수 있도록 발광부와 수광부가 상기 폐토너 박스(16)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토너 박스(16)에 적제된 폐토너의 풀상태와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장착 유무를 도시에 감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일의 포토센서(20)와, 상기 포토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장착유무와 폐토너 풀상태를 판별하여 상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22)와, 상기 CPU(22)의 출력인 상태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폐토너 박스(16)의 장착상태, 폐토너 풀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폐토너박스의 장착 유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를 구비한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클시 폐토너 풀상태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설정된 제2기준값(n)보다 작을시에 폐토너 박스 없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센싱된 전압값을 읽어들여 설정된 제1기준값(m)보다 작고 설정된 제2기준값(n)보다 클시에 정상상태 제어신호를 출력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22)는, 상기 폐토너 박스(16)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와 폐토너 풀상태로 판별시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값(m)은 제2기준값(n)보다 크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30008990A 1993-05-24 1993-05-24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KR96001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990A KR960010477B1 (ko) 1993-05-24 1993-05-24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US08/249,130 US5530521A (en) 1993-05-24 1994-05-24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state of a waste toner box of system in an electrophotographic reprodu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990A KR960010477B1 (ko) 1993-05-24 1993-05-24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77B1 true KR960010477B1 (ko) 1996-08-01

Family

ID=1935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990A KR960010477B1 (ko) 1993-05-24 1993-05-24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530521A (ko)
KR (1) KR960010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4999B2 (en) 2008-09-19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5490B1 (en) * 2000-10-02 2003-02-25 Patricia Ann Bailey Power saving circuitry
KR100457540B1 (ko) * 2002-12-30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413729B2 (ja) * 2009-01-30 2014-02-12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19219B2 (ja) * 2013-04-24 2016-05-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289023B1 (en) * 2018-01-25 2019-05-14 Kabushiki Kaisha Toshiba Capture of developer leaking from developing device
JP7388209B2 (ja) * 2020-01-27 2023-11-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2159091A1 (en) 2021-01-22 2022-07-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hysical indicators of print material refill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3781A (en) * 1963-05-08 1966-02-08 Savin Business Machines Corp Toner control system
US3804512A (en) * 1971-06-03 1974-04-16 Canon Kk Copying apparatus for sheet originals and thicker originals
US3949234A (en) * 1974-08-26 1976-04-06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Smoke detector device
US4099861A (en) * 1976-11-10 1978-07-11 Eastman Kodak Company Contamination sensor
US4501484A (en) * 1981-08-19 1985-02-26 Ricoh Company, Ltd. Photoconductive element cleaning apparatus and residual toner collecting apparatus
JPS58142348A (ja) * 1982-02-17 1983-08-24 Canon Inc 画像形成に於ける制御方法
DE3431164A1 (de) * 1984-02-08 1985-08-14 Gerhard 7262 Althengstett Kurz Staubsauger
JPS60184077U (ja) * 1984-05-17 1985-12-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トナ−回収装置
JPS6255686A (ja) * 1985-09-05 1987-03-11 Mita Ind Co Ltd トナ−回収装置
JPH0658584B2 (ja) * 1985-10-21 1994-08-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回収トナ−の満杯検知装置
US4868599A (en) * 1986-06-02 1989-09-19 Seiko Epson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toner waste
US4768055A (en) * 1986-06-17 1988-08-30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machine having a toner recycling unit
US4801980A (en) * 1986-10-29 1989-01-31 Konica Corporation Toner density control apparatus
US5260755A (en) * 1987-06-23 1993-11-0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Toner collecting apparatus
JPH0222688A (ja) * 1988-07-08 1990-01-25 Minolta Camera Co Ltd 廃棄トナー回収装置
KR960004510Y1 (ko) * 1990-10-23 199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사기기용 현상기의 마그네트 로울러 장착장치
JP3023009B2 (ja) * 1991-05-14 2000-03-21 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式トナー濃度検出方法におけるトラブル検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4999B2 (en) 2008-09-19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0136B1 (ko) * 2008-09-19 2014-1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30521A (en) 1996-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269B1 (ko) 광센서 조정용 장치
KR960010477B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폐토너 박스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US5572271A (en) Computer output microfilm canister
EP0633510B1 (en) Document detection device and a copy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a device
US5665950A (en) Fat bit bar code reader
JP2000075749A (ja) 画像形成装置
JPH0836064A (ja) 光学センサ制御方法
KR200207976Y1 (ko) 기기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수증 프린터
JPS56164353A (en) Image density detector of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KR910005610Y1 (ko) 폐토너량 검지장치
KR100577713B1 (ko) 하나의 광센서를 이용하여 여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감지방법
JPS63313145A (ja) 原稿サイズ検知装置
KR870003636Y1 (ko) 보통용지 사용 복사기의 복사용지크기 검지장치
KR0154700B1 (ko) 화상형성장치에서 토너 보유량 표시방법
JPS5889541A (ja) シ−ト搬送装置における光学式シ−ト検出方法
JP3586937B2 (ja) 物体検出装置
KR200243139Y1 (ko) 현상기감지장치
KR960012534B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감지 장치 및 잔량표시 방법
KR20000004268U (ko) 토너 잔량 감지장치
KR910014759A (ko) 복사기의 토너보급 제어방법
JPH04197947A (ja) 紙葉等搬送装置
KR970003390B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 감지장치
JPH0895363A (ja) 電子写真式プリンタ装置
JPS5859475A (ja) 感性体ドラム巻き付きジヤム検知装置
JP2003224295A (ja) フォトセンサ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6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7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