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9522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522Y1
KR960009522Y1 KR2019940014973U KR19940014973U KR960009522Y1 KR 960009522 Y1 KR960009522 Y1 KR 960009522Y1 KR 2019940014973 U KR2019940014973 U KR 2019940014973U KR 19940014973 U KR19940014973 U KR 19940014973U KR 960009522 Y1 KR960009522 Y1 KR 960009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grinding plate
grinding
filter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131U (ko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2019940014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522Y1/ko
Publication of KR960000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즙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조립 종단면도.
제2도는 회전분쇄판을 일부 졀결하여 보인 평면도.
제3도는 회전스크류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구동수단
30 : 회전분쇄판 40 : 고정분쇄판
50 : 여과체 60 : 유도판
70 : 압축스크류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맷돌과 같은 비벼 가는 효과에 의해 영양소 파괴가 발생되지않을 뿐만 아니라, 찌꺼기와 착즙액의 분리 효과가 우수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착즙기는 야채나 과일등에서 즙을 얻어지도록 하는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착즙기는 맞물리는 한쌍의 스크류의 사이에서 압착되는 것에 의해 즙을 얻어지게 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금속재로 가공되는 스크류를 이용한 착즙기의경우 맞물려 희동하는 착즙 과정에서 금속가루가 분리되며 즙에 포함되는 결과로 건강을 해칠 염려가 있다.
또한,착즙과정에서 배출되는 찌꺼기의 분리가 자연 이송방식에 의해 이루어 지는 결과로 정상적인 배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착즙액 속에 찌꺼기가 포함되는 원인이 되어 즙액의 질과 약효과를 지는 결과로 정상적인 배출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착즙기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고안인 선출원(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31942호)한바와 같이 고정분쇄판과 회전분쇄판으로 구성된 한쌍의 분쇄판들 사이에서 재료를 파쇄시켜, 이를 여과체에서찌꺼기와 즙액이 분리되도록 한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재료가 자연방식으로 분쇄되어 각종 영양소등의 파괴를 방지함과 아울러, 약채를 포함한 곡물류등도 가공하여 그 사용용도가 다양하고 건강이 증대되는 등이 효과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선고안에 의하여 찌꺼기의 배출능력이 저하되어 보다 전체적으로 가공시간이 지체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연 분쇄방식으로 착즙토록 하여 즙액의 약성분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찌꺼기와 즙액을 보다 완벽하게 분리제거하여 순수즙액만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그 착즙률이 증대되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재료 투입용 호퍼(13)가 구비되고, 상하 케이스(11)(12)들이 그 내부로 설치되는 구조물의 외부를 감싸지게 보호하는 하우징(10)과;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전기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22)를감속기(23)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감속하여 회전축(21)이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과;상기 회전축(21)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부면에는 분쇄요철편(31)들이 반복 성형되고, 그 상부를 통과하는 분쇄 내용물로 부터 즙액을 분리토록하는 회전분쇄판(30)과; 이 회전분쇄판(30)의 상부로 미소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부하우징(10)의내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분쇄요철편(31)과 대향되게 분쇄돌기편(41)이 반복 성형되어,상기 호퍼(11)로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회전분쇄판(30)의 사이에서 파쇄토록 하는 고정분쇄판(40)과; 상기 고정분쇄판(40)과 회전분쇄판(30)의 사이에서 파쇄되는 재료로 부터 찌꺼기와 즙액을 분리시키도록 설치되는 여과제(50)와;상기 여과체(50)의 하단을 받쳐지게 위치되어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체(50)에 의해 걸러진 즙액 수거용 즙수거홈(61)이원주를 따라 성형되어 수거공(62)의 위치에서 배출토록 하고, 여과체(50)의 내측위치에서 걸러진 찌꺼기를 수거하기 위한 수집홈(63)이 여과체(50)의 끝단 내측으로 성형되어, 외부로 경사지게 연통된배출관(64)으로 배출토록 하는 유도판(60)과;상기 회전분쇄판(30)의 하부면으로 고정분쇄판(40)의 사이에서 파쇄된 재료를 강제 압출이송시키기 위한 압출스크류(70) 가 구비되어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와 하부를 향해 각각 트여진 상하 케이스(11)(12)가 마주보게 결합되어 그 내부로 상기한 각 구조물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를 미려하게 감싸는 구조체이다.
이 상부 케이스(11)에는 상부를 향해 호퍼(13)가 구비되어 재료 투입이 이루어 지게 하는데, 이 호퍼(13)는 상부 케이스(11)로 부터 착탈 가능하게 성형하여, 사용차 않는 보관시에는 호퍼(13)가 분해된 상태로 포장이나 이등이 가능토록 하고, 사용시에만 호퍼(13)를 장착토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 호퍼(13)는 상부로 부터 하단 출구의 위치까지 그 크기가 점차 작게 되는 형상으로 재료의 공급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20)은 하우징(10)의 내부, 즉 주로 하부 케이스(12)의 내부로 상기 회전분쇄판(30)을 회동토록그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 구동수단(20)은 모터(22)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접점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전원이 공급되며 회전축(21)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 회전축(21)은 모터축으로 부터 감속기(23)에 의해 소정의 비교적 저속도로 감속된 상태로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 감속기(23)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점차 그 직경이 확대되는 상태로 회전축(2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과, 유성기어와 같이 이미 알려진 어떠한 구조의 기어를 이용한 감속수단을 설치하여도 동일한 감속 효과를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분쇄판(30)은 회전축(21)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며 그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분쇄판(40)과의 사이에서 투입된 재료를 분쇄, 또는 마쇄(磨碎)토록 하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분쇄요철편(31)이 반복 성형된다.
이 분쇄요철편(31)은 회전될 때 적어도 고정분쇄판(40)의 분쇄돌기편(41)와 1개 이상 교차되며 접하는 상태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중심으로부터 스파이어럴 곡선을 가지게 성형하는 것이 마쇄효과 및 소음방지 효과면에서 좋다. 그리고, 이 분쇄요철편(31) 및 분쇄돌기편(41)들은 반복되어 장구히 사용할 경우 마모의 염려가 있으므로, 고정분쇄판(40)과 회전분쇄판(30)으로부터 별도로 분리 가능하게 제작하여 그 상부면에 고정토록 하느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그 고정방법으로는 착탈이 용이한 볼트에 의한 체결이 적합할 것이다.
또, 상기 회전분쇄판(30)의 하부에는 상부측 입구가 회전분쇄판(30)의 직경보다 넓은 상태로 여과체(50)가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분쇄판(40)과 회전분쇄판(30)의 경계에서 잘게 파쇄 및 분쇄된 재료가 유입된 상태에서 유입된후, 그 주위로 뚫어지는 여과공에 의해 즙액은 통과되고, 찌꺼기는 걸러져 하부로 낙하된다.
이 여과체(50)는 부식의 염려가 없는 스텐레스계열의 금속판재에 미소크기의 투과구멍들을 성형하고, 상단 주연부와 주위에 일정간격 형성된 후레임(51)으로 지지토록 성형하게 되는데, 그 형상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의 대략 깔데기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여과체(50)의 하단부는 유도판(60)의 상부에 받쳐진 상태로 정위치에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유도판(60)은 여과체(50)를 받쳐지게 함과 아울러 얻어진 즙애과 찌꺼기를 분리 유도하고, 각각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여과체(50)의 하단 주연부을 기준하여 외측으로는 즙수거홈(61)이 파여져, 이 즙수거홈(61)의 위치로 대략 수직하게 뚫어진 수거공(62)을 통해 낙하된 즙액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그 내측에는 여과체(50)에 의해 걸러진 찌꺼기를 수거하기 위한 수집홈(63)과, 이 수집홈(63)으로부터 대략 경사지게 하단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관(64)을 통해 찌꺼기를 배출토록 한다.
그리고, 이 유도판(60)의 중앙에는 구동수단(20)에 의한 동력이 회전축(21)을 통해 전달되도록 조립공이 뚫어져 회전축(21)이 관통된다.
본 고안에서 가장 주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회전분쇄판(30)의 하부로 분쇄되어 낙하된 재료를 강제 압축시키며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스크류(70)를 형성하여 보다 즙액의 수거 효율을 증대시키고 찌꺼기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가공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이 압축스크류(70)가 설치되는 것을 일부 절결하여 보이고 있다.
이 도면에 의하여 상기 여과체(50)가 대략 깔데기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경사각도로 그 직경이 점차 적어지는 역삼각의 뿔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 압출스크류(70)는 그 상단으로부터 직경이 점차 줄어들며 경사지게 성형하느 것에 의해 제3도의 저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나선 형상은 스파이어럴 곡선으로 성형될 것이다. 이와 같이 여과체(50)의 내측 형상을 따라 압출스크류(70)의 나선부가 형성되고, 이 나선부가 전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분쇄판(30)과 함께 회전되는 것에 의해 여과체(50)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파쇄 재료는 강제적으로 하부를 향해 압축 이송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을 것이다. 이때, 이 압축 이송력에 의해 경사지게 위치되는 여과체(50)에서 즙액은 외부로 배출되어 하부의 즙수거홈(61)으로 낙하되는 것이고, 가장 하단의 위치까지 이송되며 강제 압축되어진 재료는 완전하게 즙액이 걸러진 후 수집홈(63)의 위치에서 외부로 트여진 배출관(64)을 따라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다 그 찌꺼기의 배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출스크류(70)의 가장 하단에는 대략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 회전판(71)을 구비하여 수집홈(63)으로 낙하되어진 찌꺼기를 외부를 향해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경우에 있어서는, 제2도에서 일부절결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홈(63)과 배출관(64)이 일치되는 경계 위치에 걸림턱부(65)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판(71)의 회동에 의해 가장 하부측에 찌꺼기가 회전될 때 이 걸림턱부(65)의 위치에서 걸린 후 배출관(64)으로 배출토록 하므로써, 그 배출효과가 우수하게 작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즙액과 찌꺼기가 완전히 분리시킨 것을 각각 분리 수거하기 위하여 하부 케이스(12)에는 수거공(62)의 하단 위치로는 즙액용기(15)를, 그리고 배출관(64)의 끝단 위치에는 찌꺼기용기(16)를 각각 외부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즙액용기(15)로 자동 낙하되는 즙액만을 간단히 섭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회전분쇄판(30)이 회전되며 재료를 분쇄시키는 과정과 동시에 압출스크류(70)에 의해 재료를 압축, 이송시켜 보다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즙액분리와, 찌꺼기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착즙효율이 증대된과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으며, 작업 과정에서 금속가루등의 분순 입자가 탈락되어 즙에 포함될 염려가 없어 안신하고 보다 건강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재료 투입용 호퍼(13)가 구비되고, 상하 케이스(11)(12)들이 그 내부로 설치되는 구조물의 외부를 감싸지게 보호하는 하우징(10)과 ;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전기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22)를 감속기(23)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감속하여 회저축(21)이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과 ; 상기 회전축(21)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며 상부면에는 분쇄요철편(31)들이 반복 성형되고, 그 상부를 통과하는 분쇄 내용물로부터 즙액을 분리토록 하는 회전분쇄판(60)과 ; 이 회전분쇄판(30)의 상부로 미소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부하우징(10)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분쇄요철편(31)과 대향되게 분쇄돌기편(41)이 반복 성형되어, 상기 호퍼(11)로부터 공급되는 재료를 회전 분쇄판(30)의 사이에서 파쇄토록 하느 고정분쇄판(40)과 ; 상기 고정분쇄판(40)과 회전분쇄판(30)의 사이에서 파쇄되는 재료로부터 찌꺼기와 즙액을 분리시키도록 설치되는 여과체(50) ; 상기 여과체(50)의 하단을 받쳐지게 위치되어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체(50)에 의해 걸러진 즙액 수거용 즙수거홈(61)이 원주를 따라 성형되어 수거공(62)의 위치에서 배출토록 하고, 여과체(50)의 내측위치에서 걸러진 찌꺼기를 수거하기 위한 수집홈(63)이 여과체(50)의 끝단 내측으로 성형되어, 외부로 경사지게 연통된 배출관(64)으로 배출토록 하는 유도판(60)과 ; 상기 회전분쇄판(30)의 하부면으로 고정분쇄판(40)의 사이에서 파쇄된 재료를 강제 압출 이송시키기 위한 압출스크류(70)가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체(50)와 압출스크류(70)는 하부를 그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경사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스크류(70)의 하단에는 타원형상을 갖는 회전판(71)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홈(63)에는 배출관(64)으로 찌꺼기를 유동하기 위한 걸림턱부(6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느 착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 케이스(12)에는 수거공(62)위치로 즙액용기(15)를, 배출관(64)의 위치로는 찌꺼기용기(16)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19940014973U 1994-06-23 1994-06-23 착즙기 KR960009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973U KR960009522Y1 (ko) 1994-06-23 1994-06-23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973U KR960009522Y1 (ko) 1994-06-23 1994-06-23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31U KR960000131U (ko) 1996-01-17
KR960009522Y1 true KR960009522Y1 (ko) 1996-10-22

Family

ID=1938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973U KR960009522Y1 (ko) 1994-06-23 1994-06-23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5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126B1 (ko) * 2014-01-02 2014-06-2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녹즙기의 안전 장치
KR200476022Y1 (ko) * 2008-11-18 2015-01-22 세브 에스.아. 압착 잔류물의 제어 배출 수단이 장착된 주스 제조용 가전 기구
KR20160067416A (ko) * 2014-12-04 2016-06-14 박제화 녹즙 및 천연 마스크 팩 제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822B1 (ko) * 2012-07-18 2013-09-25 (주) 우성정공 착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22Y1 (ko) * 2008-11-18 2015-01-22 세브 에스.아. 압착 잔류물의 제어 배출 수단이 장착된 주스 제조용 가전 기구
KR101412126B1 (ko) * 2014-01-02 2014-06-2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녹즙기의 안전 장치
WO2015102187A1 (ko) * 2014-01-02 2015-07-09 (주)엔유씨전자 녹즙기의 안전 장치
KR20160067416A (ko) * 2014-12-04 2016-06-14 박제화 녹즙 및 천연 마스크 팩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31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992A (en) Screw press for mechanically separating liquids from mixtures of liquids and solids
CN104382471B (zh) 一种易清洗挤压式榨汁机
KR101565240B1 (ko)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KR10063837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6125777U (zh) 一种中药粉碎机
KR960009522Y1 (ko) 착즙기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CN212493164U (zh) 一种淀粉生产用原料粉碎装置
KR100308413B1 (ko) 다용도 액즙(液汁) 추출기
CN209438746U (zh) 一种用于消除飞尘溢粉的立式辣椒粉碎机
CN220258225U (zh) 一种可分级过滤药渣的防飞溅式药物研磨机
KR200262463Y1 (ko)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분리장치
KR960005745Y1 (ko) 착즙기
KR1002496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097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970005239Y1 (ko) 착즙기
CN112138784A (zh) 一种红薯粉生产用磨粉装置
KR20200001641U (ko) 착즙 주스기
KR101778490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210048038A (ko) 협잡물 처리를 위한 스크류 프레스 장치
KR200143334Y1 (ko) 사료분쇄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20405878U (zh) 一种高纯净度的肉制品绞制设备
CN111926905B (zh) 一种地下污水疏导处理设备
CN220386766U (zh) 一种酊剂生产用原料粉碎机
KR200251357Y1 (ko) 음식물 찌꺼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6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4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4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2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