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8616Y1 -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 Google Patents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616Y1
KR960008616Y1 KR2019930014620U KR930014620U KR960008616Y1 KR 960008616 Y1 KR960008616 Y1 KR 960008616Y1 KR 2019930014620 U KR2019930014620 U KR 2019930014620U KR 930014620 U KR930014620 U KR 930014620U KR 960008616 Y1 KR960008616 Y1 KR 960008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ischarge
circuit
transistor
state
re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910U (ko
Inventor
이종억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4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616Y1/ko
Publication of KR950004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02J7/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disconnection of loads if battery is not under charge, e.g. in vehicle if engine is not 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도를 도시한다.
제2도는 OR 게이트의 논리표를 도시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5 : 저항 REG : 정전압 조정기
TR : 트랜지스터 SW1, 2 : 스위치
OR : OR 게이트 RY : 릴레이
a, b : 릴레이 접점 10 : 전조등
20 : 라디오 D : 다이오드
C : 캐패시터
본 고안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방심으로 자동차의 전조등, 카세트 라디오, 실내등 등을 켠 상태로 자동차를 방지하였을 경우, 이들 전조등, 카세트 라디오, 실내등의 온상태로 인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는 자동차의 전조등이 켜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키를 뽑았을 때 워닝을 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는 운전자가 그러한 워닝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계속해서 전조등이 켜지고 워닝이 발생하여 자동차의 배터리가 반전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운전자가 워닝을 감지하더라도 운전자는 번거롭게 다시 전조등을 꺼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 하드웨어 구성에 있어서도 전조등 온/오프 감지회로 이외에도 워닝을 위한 회로가 추가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제작비도 비싸고, 또한 부품의 수도 많아져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전조등 온/오프 감지회로 및 워닝회로를 포함하는 복잡한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대신에 간단하게 운전자가 차량을 떠난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전원이 인가되는 장치와 전원 자체를 차단하는 값싸고 경제적인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압 조정기(REG)와, 상기 정전압 조정기(REG)와는 직렬로, 그리고 그들 상호간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1, SW2)와, 상기 스위치(SW1, SW2)로부터 입력되는 수위칭 상태에 따라 출력을 내보내는 OR 게이트(OR)와, 상기 OR 게이트(OR) 및 상기 스위치(SW1, SW2) 사이에서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되느 저항(R2, R3)과, 상기 OR 게이트(OR)의 출력상태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TR)와,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와 인가전압(Vcc) 사이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TR)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따라 구동되는 릴레이(RY)와 상기 릴레이(RY)의 접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릴레이(RY)의 구동여부에 따라 그 전원이 공급되거나 절체되는 전조등(10), 또는 카세트 라디오(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입력단에 입력전압(Vcc)을 인가받아 그 출력으로 일정한 전압을 내보내는 정전압 조정기(REG)와 맥동전압을 평활시키는 평활용 캐패시터(C)에 의해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면 이 정전압은 점화키 스위치(SW1) 또는 도어 스위치(SW2)를 통하여 OR 게이트(OR)의 입력단 1, 2번에 전달된다. 점화키 스위치(SW1)은 점화키가 점화장치에 삽입되어 있으면 접점 온상태이고, 점화키가 점화장치에서 이탈시에는 접점 오프상태가 된다. 도어 스위치(SW2)는 도어가 잠길 때 접점 오프이고, 도어가 풀린 상태일 때는 접점 온상태이다.
만약 운전자가 정상적으로 운전중에 있다면 스위치(SW1, SW2) 모두 접점 온상태이므로, 제2도의 OR 게이트 논리표에 도시된 것처럼 OR 게이트(OR)의 출력단자(Y)가 하이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이러한 하이상태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이 턴온된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TR)이 턴온되면 릴레이(RY)가 구동하여 릴레이(RY)의 접점(a)와 연결되어 전조등(10)이나 카세트 라디오(20) 등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릴레이 코일 양단에 있는 다이오드(D)는 릴레이 오프시 역전류를 방치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만약 운전자가 주행중이 아닌 주차중인 차에서 음악을 들으면서 휴식을 취하거나 차량근방에 있으면서 차량의 전조등을 켜야 하고 점화키만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라면, 제1도의 회로도에서 점화키 스위치(SW1)은 접점 오프상태이고 도어 스위치(SW2)만 접점 온상태이므로 제2도의 OR 게이트 논리표에 도시된 것처럼 OR 게이트(OR)의 출력단자(Y)가 하이상태이므로 상기 주행중인 예와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TR)는 여전히 턴온 상태이고,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TR)이 턴온상태이므로 릴레이(RY)가 구동상태이므로 계속해서 전조등(10)이나 카세트 라디오(20)등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그러나, 만약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시킨 후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차량을 한동안 방치하기 위하여 점화키를 이탈시키고 도어 스위치를 잠그면, 도어스위치(SW2), 점화키 스위치(SW1)이 모두 접점 오프상태가 되므로 제2도의 OR 게이트 논리표에 도시된 것처럼 OR 게이트(OR)의 출력단자(Y)가 로우상태가 되므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로우상태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가 턴오프된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TR)가 턴오프되면 릴레이(RY)가 구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릴레이(RY)의 접점은 접점(b) 상태가 되어 전조등(10), 카세트 라디오(20) 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저항(R2, R3)은 자동차 정지시 스위치(SW1, SW2)가 접점 오프상태일 때 OR 게이트(OR)의 입력단이 플로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오동작을 방지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에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에서는 정전압 조정기(REG) 대신 인가전압(Vcc)로 부터의 전압을 저항(R4) 및 저항(R5)을 이용하여 분배하므로서 저항(R4)과 저항(R5) 사이에서 논리 게이트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을 얻는다. 상기 저항(R4) 및 저항(R5)은 인가전압에 따라 그 저항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나머지 동작상태는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화키 스위치(SW1) 및 도어키 스위치(SW2)를 이용한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는 아주 간단하게 회로를 구성하므로써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별도로 자동차의 다른 작동키를 작동키를 조작하게 하여 번거롭게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뢰성이 높은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에 있어서, 정전압 조정기(REG)와, 상기 정전압 조정기(REG)와 직렬로 그리고 그들 상호간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1, SW2)와, 상기 스위치(SW1, SW2)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상태에 따라 출력을 내보내는 OR 게이트(OR)의 출력상태에 따라 턴온 또느 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와 인가전압(Vcc)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RY)와, 상기 트랜지스터(TR)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따라 구동되어 그 접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조등(10), 또는 카세트 라디오(20) 등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정전압 조정기(REG) 대신 전압분배용 저항(R4, R5)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KR2019930014620U 1993-07-31 1993-07-31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60008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620U KR960008616Y1 (ko) 1993-07-31 1993-07-31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620U KR960008616Y1 (ko) 1993-07-31 1993-07-31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910U KR950004910U (ko) 1995-02-18
KR960008616Y1 true KR960008616Y1 (ko) 1996-10-04

Family

ID=1936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620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8616Y1 (ko) 1993-07-31 1993-07-31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6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910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146A (en) Programmable vehicle light controller
US3391302A (en) Warning circuit for headlamps that remain connected after the ignition circuit is disconnected
KR960008616Y1 (ko) 배터리 방전방지용 회로
US4194175A (en) Automobile headlight alarm system
KR0140203Y1 (ko) 암전류 제한 및 배터리방전 제한장치
US4461975A (en) Concealed type head lamp device
KR0137457Y1 (ko) 차량 바테리 과방전 방지 회로
KR0140204Y1 (ko) 배터리방전제어장치
KR0182471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KR200152207Y1 (ko) 차량용 윈도우 자동조정회로
KR200188723Y1 (ko) 자동차 룸램프소등 지연장치
KR970004737B1 (ko) 차량의 미등 자동점멸회로
KR970005165Y1 (ko) 자동차의 램프류 자동 오프장치
KR970003141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방전 경보 회로
KR0184363B1 (ko) 차량의 등화장치점등시 도어로크방지시스템
KR200317504Y1 (ko) 차량용 과전압 보호회로
KR0131757Y1 (ko) 자동차 키 링 램프 점등 회로
KR960012903B1 (ko) 자동차용 밧데리의 완전방전예방회로
KR100222248B1 (ko) 도어 잠금장치를 이용한 밧데리 방전방지 회로
KR960005546B1 (ko) 자동차용 코너라이트 시스템(corner-light system)
JPH0224684Y2 (ko)
KR19990030703U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백업전류 방전방지장치
KR0115900Y1 (ko) 자동차용 미등 및 전조등 제어회로
KR20030017855A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200148335Y1 (ko) 자동차용 집적회로의 공급전원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7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7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12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12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