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7791B1 - 전기 광학 소자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791B1
KR960007791B1 KR1019880016308A KR880016308A KR960007791B1 KR 960007791 B1 KR960007791 B1 KR 960007791B1 KR 1019880016308 A KR1019880016308 A KR 1019880016308A KR 880016308 A KR880016308 A KR 880016308A KR 960007791 B1 KR960007791 B1 KR 960007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liquid crystal
electro
layer thickness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599A (ko
Inventor
히로시 와다
지요아끼 이이지마
히로시 오햐라
요이찌 모모제
Original Assignee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무라 가쯔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130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57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53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25922A/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무라 가쯔미 filed Critical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7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6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twisted orientation, e.g. comprising helically oriented LC-molecules or a plurality of twisted birefringent sub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G02F1/13471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in which all the liquid crystal cells or layers remain transparent, e.g. FLC, ECB, DAP, HAN, TN, STN, SBE-LC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liquid crystal being selectively controlled between a twisted state and a non-twisted state, e.g. TN-LC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liquid crystal being selectively controlled between a twisted state and a non-twisted state, e.g. TN-LC cell
    • G02F1/139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liquid crystal being selectively controlled between a twisted state and a non-twisted state, e.g. TN-LC cell the twist being substantially higher than 90°, e.g. STN-, SBE-, OMI-LC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광학 소자
제1도는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소자를 설명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소자의 각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원리를 가단하게 설명한 도면.
제4도, 제8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α, △n(590)d와 T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5도, 제9도, 제13도 내지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α와 Tmin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6도, 제10도는 스팩트럼의 비교도.
제7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팩트럼도.
제17도, 제18도는 A셀의 비틀림 각을 바꿨을 때의 최적의 전기 광학 소자로 되는 α, △n(590)d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9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색도도.
제20도, 제22도는 비교예의 색도도.
제23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전압·투과율 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본 발명의 반사형의 전기 광학 소자를 설명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A셀 3 : B셀
13 : 투명 전극
[발명의 목적 ]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소자, 더 자세하게는 전계효과형 액정의 전기 광학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초 비틀림 네마틱(super twisted nematic)(이하 STN이라 한다) 모드를 이용한 전기 광학 소자는 파장에 대한 투과율 특성이 평탄하지 않고, 그 때문에, 황색이나 녹생의 착색을 피할 수 없었다. 그래서, 표시용 STN 액정 패널의 복굴절로 발생한 착색을 색소거용의 광학이방체(보상 셀)를 통과시킴으로서 보상하고, 착색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원리를 상세히 기술한다. 제3도는 종래의 STN을 이용한 전기 광학 소자에 다시 보상 셀을 구비한 전기 광학 소자이다. (1)은 검광자(출사측의 편광판)이며, 그 편광축은 방향(19), (2)는 보상 셀, (3)은 표시 셀로서 STN 모드를 이용한 전기 광학 소자이고, (4)는 편광자(입사측의 편광판)이며 그 편광축은 방향(18)이다. 입사광(백색; 25)에는 편광은 없고 진행 방향의 직각 방향(251)의 모두에 대해서 균일하다.
이것이 편광자(4)를 통과하면 각 파장의 빛(예컨대 청; 261, 녹; 262, 적; 263)도 직선편광(261,262,263)이 되며 그 편광 방향은 방향(18)과 같은 방향이 된다. 그리고, 직선편광(26)이 표시 셀(3)을 지날 때, 표시 셀(3)에는 복굴절성이 있으므로 직선 편광(261,262,263)은 어느것이나 모두 타원편광(271,272,273)으로 변하며 타원편광의 상태는 파장(색)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타원편광(27)이 그대로 검광자(1)을 지난다고 하면 파장(색)에 의해서 투과 광량에 차가 생기며 투과광(29)은 착색되어 보이게 된다. 이와같은 착색의 발생을 없애기 위해 타원편광(27)을 보상 셀(2)에 통과시킴으로서 각 파장에 대해 원래의 직선편광(281,282,283)으로 되돌릴 수 있다. 검광자(1)의 편광 방향(19)이 직선편광(28)의 편광 방향(281,282,283)과 서로 직교되어 있으면 빛은 거의 통과하지 않으며, 즉 흑색 표시가 얻어지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상기 종래의 전기 광학 소자에 있어서 착색이 없는 완전한 흑백 표시를 얻기 위해서는 보상 셀은 표시 셀과 같은 액정 재료, 같은 층두께(셀 갭), 같은 비틀림 각(비틀림 배향각이 동일하며 또한 비틀림 방향이 역방향)인 액정이어야 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액정 재료의 굴절율 이방성 △n과 층두께 d의 곱인 복굴절의 광경로 길이 △nd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동일 액정 재료인 경우(△n가 동등하다)는 층두께 d가 동일해야 된다.
한편, 표시 셀에 사용되는 액정은 양호한 응답 스피드 성능 및 양호한 온도 특성의 요구로 고가의 첨가제등의 첨가로 액정 재료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재료비의 상승, 제조 공정의 복잡화, 제조 시간의 증대 등을 초래하며 표시 셀의 액정 재료의 원가는 높다. 상기 종래의 전기 광학 소자에 있어선 보상 셀의 액정을 표시 셀의 액정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므로 재료 원가가 상승될 뿐 아니라 보상 셀과 표시 셀의 각 층두께(d)를 같게 하기 위한 제조 공정이 불가결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 보상 셀의 액정 재료의 선택의 범위를 확대하고, 다시 셀 갭 조정에 관계하는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착색이 없는 흑백 표시가 가능한 전기 광학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액정층과 이 액정층의 적어도 일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가지는 액정 셀과 적어도 1층의 광학적 이방체를 갖추며, 상기 액정 셀과 상기 광학적 이방체의 굴절율 분산 α, 굴절율 이방성 △n, 층두께 d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소자이다.
액정 재료는 굴절율 이방성 △n은 일반적으로 파장 λ(nm)에 대해 의존성이 있으며, 그 특성은 일반적으로는 파장 λ에 대해서 부의 경향을 가진다. 파장 λ=450nm 및 λ=590nm에서의 각각의 굴절율 이방성(이하「△n(450)」,「△n(590)」라고 표시한다)의 비를 굴절율 분산 α
Figure kpo00001
로 정의한다. α는 액정 재료가 완전히 동일하면 동일하지만 다른 액정 재료로도 동일해지는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소자로선 종래부터 주지인 액정 표시 장치외에 광학 셔터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쓰이고 있는 액정 조성물은 주지의 배향 처리로 비틀림 배향되는 것뿐 아니라 기판과 평행으로 배향(비틀려져 있지 않다)하는 것에서도 적용되므로 이하에 말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틀림 배향시키는 경우에는 그 비틀림 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콘트라스트나 표시 특성 또는 제조상으로 90°내지 360°가 바람직한 범위이다. 그러나, 90°미만이나 360°를 넘어서는 비틀림 배향에 있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이다.(이상의 것은 보상 셀과 표시 셀의 양쪽에 적용된다).
다음에 광학적 이방체의 배치에 관해서는 제1도에선 표시 셀의 위쪽에 배치했으나 표시 셀의 아래쪽에 배치해도 되며, 표시 셀의 윗쪽 및 아래쪽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광학적 이방체를 적층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1도에선 투과형인 전기 광학 소자를 도시하고 있으나 예컨대 아랫측 편광판(4)의 아래쪽에 종래부터 주지의 반사판을 설치해서 반사형인 전기 광학 소자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소자의 1실시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은 상측 편광판, (2)는 광학적 이방체(an optically anisotropic substance)로서의 액정 셀(이하 「A셀」이라 한다). (3)은 표시를 행하는 액정 셀(이하 「B셀」이라 한다. (4)는 하측 편광판, (5)는 A셀의 액정, (6)은 B셀의 액정, (7),(8)은 각각 A셀 2)의 상기판과 하기판, (9)는 배향막, (10)은 스페이서(spacer), (11),(12)는 각각 B셀(3)의 상기판과 하기판, (13)은 투명 전극이다. 배향막(9)는 A셀(2)와 B셀(3)의 각각의 상기판(7),(11)과 각각의 하기판(8),(12)이 대향하는 면상에 형성되며, 각각 러빙(rubbing) 처리(배향 처리)되어 있다. A셀(2)과 B셀(3)의 각각의 층두께(셀갭)는 스페이서(10)에 의해서 일정 간격으로 되며, 스페이서(10)는 상기판(7,11)과 하기판(8,12)에 접착되어 있다. 투명 전극(13)은 B셀(3)의 상기판(11)과 하기판(12)의 대향하는 면상에 형성되며, B셀(3)의 배향막(9)은 투명 전극(13)상에 형성되어 있다. A셀(2)에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선 형성하지 않았다.
A셀(2)의 액정(5)은 페닐시크로헥산계(phenyl cyclohexane species) 또는 비페닐계(biphenyl species)의 액정 조성물에 BDH 사제품 CB-15가 적량 첨가되며, 우 비틀림(A셀(2)에서 B셀(3)로 향해서의 회전을 도시한다. 이하 같음)이 나선 구조로 되어 있다. 액정(5)는 스메틱형(smectic structure) 또는 콜렉스테릭형(cholesteric structure)인 액정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선 네마틱형(a nematic structure)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선 네마틱형 액정 조성물에 광학 활성제 또는 콜렉스테릭형 액정등이 첨가 혼합된 것을 총칭헤서 네마틱 액정이라고 부르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선 이 네마틱 액정뿐 아니라, 복수의 네마틱 액정이 혼합된 것이나 네마틱 액정에 다른 물질을 첨가한 것이어도 된다. B셀(3)의 액정(6)은 페닐시크로헥산계의 액정 조성물에 멜크사(Merck Corporation) 제품인 광학 활성제 S-811이 적량 첨가되며, 좌 비틀림인 나선 구조로 되어 있다. 편광판(1,4)는 산리쓰(三立) 전기사제품 LLC2-81-18을 사용하며, 편광축(흡수축)은 각각 인접하는 기판(7,12)의 러빙 방향(the rubbing directions)(배향막(9)의 러빙 방향)과 45°의 각도를 가진다. 또한, 이 45°의 배치 방법, 즉 기판의 러빙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우측인가 좌측인가는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소자를 네가티브 상태로 실험하고 있으므로 늘 네가티브 상태가 되는 측으로 선택해서 배치했다. A셀(2)의 하기판(8)에 있어서의 러빙 방향과 B셀(3)의 상기판(11)에서의 러빙 방향과는 직교되어 있다. 단, 이 하기판(8)에 있어서의 러빙 방향과 상기판(11)에서의 러빙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70°내지 11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직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선 90°로 하였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소자의 각축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14)는 B셀의 하기판의 러빙 방향, (15)는 B셀의 상기판의 러빙 방향, (16)는 A셀의 하기판의 러빙 방향, (17)는 A셀의 상기판의 러빙 방향, (18)은 하측 편광판의 편광축의 방향, (19)는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의 방향, (20)은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의 방향과 A셀의 상기판의 러빙 방향과 이루는 각도, (21)은 A셀인 액정의 비틀림 각의 크기, (22)는 A셀의 하기판의 러빙 방향과 B셀의 상기 판의 러빙 방향과 이루는 각도, (23)은 B셀의 액정의 비틀림 각의 크기, (24)는 B셀의 하기판의 러빙 방향과 하측 편광판의 편광축과 이루는 각도를 도시한다.
전기 광학 소자로서의 전계 효과형 액정은 네가티브 타입(전압무인가 상태로서 빛이 투과하지 않는 흑색, 전압 인가상태로서 광이 투과해서 백색의 표시를 하는 것 즉 표시 문자가 백, 배경이 흑)과 역의 관계인 포지티브 타입이 있으며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타입에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에에 있어선 네가티브 타입인 것이다).
(1) B셀은 액정의 비틀림각이 좌 비틀림인 240°, α=1.10, △n(590)d=0.9μ인 것을 쓰며, A셀은 액정의 비틀림 각이 우 비틀림인 240°인 액정이다. △n(590)d는 파장 λ=590nm에서의 굴절율 이방성 △n(590)과 층두께 d와의 곱인 광경로 길이를 표시한다. 제4도는 A셀의 α와 △n(590)d의 시감 투과율(T)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α는 주성분 또는 주성분 이외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또는 첨가물등의 첨가로 적절히 조정했다. 시감 투과율(T)은 빛이 B셀 및 A셀을 투과할때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각 파장에서의 투과율에 시감도 보정을 한 것이다. 이 값이 작을수록 흑색의 양호한 상태 즉 A셀에 의해서 착색 보정이 양호하게 행해졌음을 도시한다. 예컨대 α=1.16의 액정의 A셀은 △n(590)d=0.89μ에 이서서 시감 투과율 T는 최소가 되며 그 값 T=0.14%로 된다.
시감 투과율(T)이 최소(그때의 값을 Tmin로 한다)가 되는 점은,
Figure kpo00002
이다. 제5도는 α에 대한 Tmin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α=1.10의 경우가 Tmin가 최소로 되며 가장 양호한 상태임을 알게된다. 본 실시예는 A셀과 B셀의 액정 비틀림 각의 크기가 같고 방향이 다른(우 비틀림과 좌 비틀림) 경우, A셀과 B셀의 α를 같은 값으로 하면을 같은 값으로 하면(이 경우 A셀과 B셀의 광경로 길이는 △n(590)d=0.90μ로서 같다)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가 얻어짐을 도시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상기(i),(ii)의 각 상태의 전기 광학 소자에 대한 광투과율의 스팩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파장(횡축)에 대한 투과율(종축)의 변화가 평탄 또는 낮은 값일수록 착색이 없는 양호한 흑색 표시가 된다. A셀이 (ii)일 경우(제7도), 즉 Tmin의 값이 가장 작은 경우가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임을 윗받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가 되는 A셀과 B셀의 각 액정의 특성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아래 표에서 △n( )d는 △n(590)d를 의미한다).
Figure kpo00003
(2) 제8도는 B셀이 상기(1)과 같다고 보고, A셀이 비틀림각 160°(우)의 액정을 쓴 경우, A셀이 α, △n(590)d와 T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T가 최소로 되는 점은,
Figure kpo00004
이다. 제9도는 α에 대한 Tmin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0도, 제11도는 상기 (i),(ii),(iii)의 각 스팩트럼을 나타낸 것이며, Tmin의 값이 가장 작은 (iii)의 상태가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임을 알 수 있다. 상기 (1)과 마찬가지로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인 A셀과 B셀의 각 액정의 특성을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Figure kpo00005
(3) 제12도는 상기 (2)의 실시예에 대해, △n(590)d가 한층 높은 번위의 전기 광학 소자의 예에 대해서 A셀의 α, △n(590)d와 T와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T가 최소로 되는 점을 예시하면,
Figure kpo00006
이다. 제13도는 α에 대한 Tmin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가 얻어지는 경우를 도시하면 표 3과 같다.
Figure kpo00007
(4) 상기 (1) 내지 (3)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비틀림각 300°(우)의 A셀에 대해서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를 얻은 결과를 도시한다. Tmin이 얻어지는 점은,
Figure kpo00008
였다. 제14도는 α에 대한 Tmin의 관계를 도시한다.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가 얻어지는 경우는 표 4와 같다.
Figure kpo00009
(5) 상기 (4)의 실시예에 대해 △n(590)d가 더욱 높은 범위에 대한 상기 광학 소자의 예를 도시한다. Tmin가 얻어지는 점은,
Figure kpo00010
였다. 제15도는 α에 대한 Tmin의 관계를 도시한다.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가 얻어지는 경우는 표 5와 같다.
Figure kpo00011
(6) B셀은 액정의 비틀림 각이 좌 비틀림인 270°, α=1.20, △n(590)d=0.8μ, A셀은 액정 비틀림 각이우 비틀림인 140°로 하고, A셀의 α, △n(590)d와 T와의 과게를 측정한 결과, T가 최소로 되는 점은,
Figure kpo00012
였다. 제16도는 α에 대한 Tmin의 관계를 도시한다.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가 얻어지는 경우는 표 6와 같다.
Figure kpo00013
(7) 제17도는 (1) 내지 (5)의 실시예에서 쓰인 B셀에 대해서 A셀의 비틀림 각을 변화시키며, (1) 내지 (5)와 마찬가지로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를 얻었을 경우의 A셀의 비틀림 각, α, △n(590)d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한 도면이다. 각 점에 기재된 수치는 최적의 α의 값이다. A,B각점은 각각 상기 (1),(2)의 각 실시예의 것이다.
(8) 제18도는 (6)의 실시예에서 쓰인 B셀에 대해서 A셀의 비틀림 각을 변화시키며, 가장 양호한 전기 광학 소자를 얻었을 경우의 A셀의 비틀림각, α, △n(590)d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7도, 제18도에 의하면, A셀의 비틀림 각(단, 회전 방향은 반대), α, △n(590)d가 모두 B셀과 서로 동등할 경우 최적한 전기 광학 소자로 되는데(제17도 A점, 제18도 C점), A셀의 비틀림 각이 B셀과 다르다고 해도 α와 △n(590)d를 적절히 선택하면 최적한 전기 광학 소자가 얻어짐을 도시한다.
또, 제17도, 제18도의 각점 이외의 영역에 관해선 흑백 표시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며, 각 점을 중심으로 하여 어떤 범위에서 실용상 지장이 없는 조건으로서 존재한다. 그 범위는 흑백으로서 요구되는 레벨(예컨대 검은색 농도 정도)에 의해서 전기 광학 소자의 용도나 사용자측의 기준으로 허용 범위가 넓게 되므로서 변동된다.
(9) B셀의 층두께 d를 6.3㎛로 하고, 액정의 △n(590)은 0.13, 액정의 비틀림 각은 200°이다. 한편, A셀의 액정의 △n(590)은 0.11, 액정의 비틀림 각이 200°이고 비틀림 방향은 B셀의 액정의 비틀림 방향과는 역방향이다. 그때, A셀의 층두께 d는 약 7.4㎛로 했다. 이때의 외관의 색 얼룩을 제19도에 CIE 색도도로 도시한다. 제19도에서 A셀내의 가장 두터운 층인곳과, 가장 얇은 층인곳을 (I)(II)로서 도시하고, 그 중간의 층두께 부분을 2점 측정한 값을 도시했다.
비교예로서, 본 실시예의 A셀의 액정의 △n(590)을 0.13, 층두께 d를 약 6.3㎛로 바꿨다. 즉, B셀과 마찬가지로 했다. 이때의 외관의 색 얼룩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측정하고 제20도에 CIE 색도도로 도시했다.
제19도, 제20도로 분명하듯이 A셀의 층두께를 B셀의 층두께 d보다 크게 함으로서 색 얼룩이 저감되었다.
(10) 상기 실시예(9)에 있어서 A셀의 액정의 △n(590)을 0.086, 층두께 d를 약 10.0㎛로 바꾼 이외는 실시예(9)와 마찬가지로 했다. 그 결과, 실시예(9)에 비교해서 더욱 색 얼룩이 적어졌고 실용상 거의 문제가 되지 않았다.
(11) 상기 실시예(9)에 있어서 B셀의 액정의 비틀림 각을 260°로 바꿨다. 외관색은 청색이 되었으나 색 얼룩이 적은 액정 표시 장치가 얻어졌다.
(12) A셀, B셀을 실시예(1)의 표 1로 했을 때, B셀의 액정의 △n(590)을 0.15, 층두께 d는 6.0μ로 A셀의 액정의 △n(590)을 0.10, 층두께 d를 9.0μ로 했다. 일반적으로 액정의 층두꼐는 셀내에서 균일하지 않다. 이때 A셀과 B셀의 층두께 d의 불균일은 외관의 색 얼룩으로서 나타난다. 이때의 A셀의 층두께 d의 불균일에 의한 색얼룩을 제21도에 도시한다. 제21도에 있어서 (I)는 A셀의 층두꼐가 가장 두터운 부분, (II)은 가장 얇은 부분이다. 또, 그 중간의 충두꼐 부분을 2점 측정했다.
비교예로서 상기의 A,B셀을 사용하여, A셀의 액정의 △n(590)을 0.15, 층두께 d를 60.μ로 해서 △n(590) 및 d를 B셀과 마찬가지로 하고, 또, 액정의 비틀림 각도 우 비틀림인 240°로 했다. 이 경우의 A셀의 층두께 d의 불균일에 의한 외관의 색얼룩을 본 실시에와 마찬가지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22도에 도시한다. 제22도에 있어서 (I)는 A셀의 층두께 d의 가장 두터운 부분, (II)는 가장 얇은 부분이다. 제21도, 제22도로 분명하듯이 A셀과 B셀의 △n(590)d는 동일하더라고 A셀의 층두께 f를 B셀보다 크게 함으로서 색 얼룩을 저감할 수 있었다.
(13) 실시예(12)와 마찬가지의 B셀을 쓰며, A셀의 액정의 △n(590)과 층두께 d만을 바꾸고 △n(590)을 0.075, 층두께 d를 12.0μ로 해서 △n(590)d=0.9μ가 되도록 했다. 이 경우에는 실시예(12)보다 한층 더 색얼룩이 저감되었다.
(14) 제1도에 있어서 A셀의 상기판(7) 및 하기판(8)에 투명전극을 대향토록 갖추었다. 실시예(12)에서 사용한 B셀에 대해서 A셀의 액정의 비틀림 각을 우 비틀림인 240°, α=1.10, △n(590)=0.13, 층두께 d를 10μ, 액정의 투전율 이방성(permittivity anisotropy) △ε를 정(positive)으로 했다. 이때, A셀의 전극간에 적당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외관의 밝기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15) B셀에서 액정의 비틀림 각이 좌 비틀림인 240°, α=1.10, △n(590) d=0.9μ인 것을 쓰며, A셀에서 액정의 비틀림 각이 우 비틀림인 240°, α=1.10, △n(590)d=0.9μ로 하면 초기(인가의 전압 0V)의 투과율이 최소로 된다.
상기의 A셀, B셀에 대해서 A셀의 △n(590)d를0.87μ로 하면, A셀의 △n(590)d를 0.9μ로 했을 때 보다 초기의 투과율은 높아진다. 이것들의 셀에 대해서 주지의 멀티플렉스 구동을 했을때의 전압·투과율 특성을 도시한다.
A셀의 △n(590)d가 0.87μ일때를 제23도에, △n(590)d가 0.9μ일때는 제24도에 도시한다. 제23도, 제24도에 있어서 각각 초기의 투과율을 T,T', 인가 전압 V,V일 때의 투과율을 T,T,T',T'로서 도시했다.
이때 V/V는 일정하다. 또, 콘트라스트는 T/T, T'/T'로 나타내어진다. 그러면 이 경우엔 T/T이 T'/T'보다 켜져 있다. 즉 초기의 투과율이 최소가 되는 A셀의 △n(590)d보다 작은 △n(590)d를 쓴 쪽이 높은 콘트라스트가 얻어진다.
(16) B셀에 액정이 비틀림 각이 좌 비틀림인 240°, α=1.14, △n(590)=0.9μ인 것을 쓰며, A셀에서 액정의 비틀림 각이 우 비틀림인 150°, α=1.10인 것을 썼을 경우, △n(590)d를 0.76μ로 하면 초기(인가 전압0V)의 투과율이 최소가 된다. 그러나, A셀의 △n(590)d를 0.76μ에서 0.74μ로 작게한 쪽이 멀티플렉스 구동시에는 콘트라스트가 양호해졌다. △n(590)d를 0.76μ에서 0.74μ로 작개할때는 △n(590)과 층두께 d중의 어느쪽을 작게해도 마찬가지 결과로 되었다. 또, 양쪽을 작게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 결과가 얻어졌다.
(17) 제2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반사형인 전기 광학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내지 13)은 제1도와 마찬가지며, (30)은 반사판이다. 본 실시에에 있어선 상측 편향판(1)에서 입사하며 하측 편향판(4)을 통과한 빛은 반사판(30)에 의해서 반사된 상측 편향판(1)에서 출사된다. 반사판(30)에 대해서 편광 기능을 가지는 반사판을 쓰면 반사판이 편광 기능과 반사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하측 편광판(4)은 불필요해지며, 과일층 간소화된 구조의 전기 광학 소자로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소되며 또한 전기 광학 소자의 외관이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흑색에 가까운 색, 전압인가 상태에서 백색에 가까운색으로 되며,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흑백 표시가 가능한 전기 광학 소자가 얻어진다.

Claims (4)

  1. 굴절율 분산 α와, 굴절율 이방성 △n 및 층두께 d의 곱인 △n·d, 및 비틀림 각도를 갖는 다수의 파라메타에 의해서 특징지워지는 비틀림 네마틱 액정 재료를 구비한 액정 셀수단과; 상기 액정 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표시색을 보상하며, 굴절율 분산 α가 상기 액정 셀의 굴절율 분산 α와 △n·d의 값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보상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액정 셀로의 직선 편광된 입사광은 상기 액정셀을 통과한 후 타원형으로 편광된 광으로 변환되고, 상기 타원형으로 편광된 광은 상기 표시색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보상 수단을 통과한 후 직선 편광된 광으로 다시 변환되며, 그로써 가장 적합한 흑색과 백색 표시가 얻어지며, 상기 굴절율 분산α는 제1스팩트럼 파장에서의 △n과 제2스팩트럼 파장에서의 △n과의 비이고, 상기 액정셀 수단의 액정 재료는 약 90°내지 360°의 비틀림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은 0°내지 400°의 비틀림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의 층두께 d는 상기 액정 셀 수단의 층두께 d 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의 △n·d의 값은 상기 액정 수단의 △n·d의 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소자.
KR1019880016308A 1987-12-10 1988-12-08 전기 광학 소자 Expired - Lifetime KR960007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13076A JP2615715B2 (ja) 1987-12-10 1987-12-10 電気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313076 1987-12-10
JP53005 1988-03-07
JP63053005A JPH01225922A (ja) 1988-03-07 1988-03-07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99A KR890010599A (ko) 1989-12-08
KR960007791B1 true KR960007791B1 (ko) 1996-06-12

Family

ID=2639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308A Expired - Lifetime KR960007791B1 (ko) 1987-12-10 1988-12-08 전기 광학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19216A (ko)
EP (1) EP0320283B1 (ko)
KR (1) KR960007791B1 (ko)
DE (1) DE3889720T2 (ko)
HK (1) HK1083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529A (ja) * 1988-07-19 1990-05-11 Sharp Corp 二層型液晶表示装置
JPH02149822A (ja) * 1988-11-30 1990-06-0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EP0394570A1 (en) * 1989-04-24 1990-10-31 Seiko Epson Corporation An electro-optical device
DE3925382A1 (de) * 1989-06-14 1991-01-03 Merck Patent Gmbh Elektrooptisches system mit kompensationsfilm
JPH03103824A (ja) * 1989-09-19 1991-04-3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
NL9001142A (nl) * 1990-05-16 1991-12-16 Philips Nv Weergeefinrichting.
US5329387A (en) * 1990-11-27 1994-07-12 Casio Computer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display and compensation cells separated by distance larger than depth of focus of optical enlarger
TW200604B (ko) * 1991-09-17 1993-02-21 Philips Nv
TW229279B (ko) * 1992-06-18 1994-09-01 Casio Computer Co Ltd
US5426009A (en) * 1992-09-19 1995-06-20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Polymeric composite material
US5550660A (en) * 1993-11-22 1996-08-27 Tektronix, Inc. STN displays having high contrast, with purple polarizer and residual birefringence causing greenish-gold or purplish-blue coloring
JPH07244284A (ja) * 1994-03-02 1995-09-19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US5587827A (en) * 1995-02-01 1996-12-24 Hakimi; Hosain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romatic and polarization dispersion and frequency chirp in fiber optics and for pulse compression in laser systems
TW330986B (en) * 1995-07-25 1998-05-01 Toshiba Co Ltd LCD element and optically anisotropic element
US6137560A (en) * 1995-10-23 2000-10-24 Hitachi, Ltd.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light source color compensation
KR100297508B1 (ko) * 1996-05-10 2001-10-25 하루타 히로시 액정셔터및그구동방법
JP3452755B2 (ja) * 1997-04-07 2003-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01059513A1 (fr) * 2000-02-07 2001-08-16 Nippon Mitsubishi Oil Corporation Element graphique a cristaux liquides en reflexion
WO2002041072A1 (fr) * 2000-11-15 2002-05-23 Nippon Oil Corporation Dispositif d'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semi-transparent
JP4285350B2 (ja) * 2004-02-26 2009-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視角制御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
JP6733869B2 (ja) * 2015-10-05 2020-08-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フィルム
CN105974697A (zh) * 2016-07-20 2016-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816816B2 (en) * 2018-09-04 2020-10-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unable film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9638A (en) * 1973-07-18 1977-04-06 Secr Defen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S5647535B2 (ko) * 1973-07-30 1981-11-10
GB1562391A (en) * 1975-10-04 1980-03-12 Marconi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ments
JPS5451858A (en) * 1977-09-30 1979-04-24 Nitto Electric Ind Co Photoopermeable and reflection type polarizing body
DE2915847C2 (de) * 1978-09-29 1986-01-16 Nitto Electric Industrial Co., Ltd., Ibaraki, Osaka Elektrooptisch aktivierbare Anzeige
JPS5670524A (en) * 1979-11-13 1981-06-12 Sharp Corp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4443065A (en) * 1980-12-09 1984-04-17 Sharp Kabushiki Kaisha Interference color compensation double layered twisted nematic display
JPS59174819A (ja) * 1983-03-24 1984-10-03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
US4548479A (en) * 1983-04-01 1985-10-2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Isophase birefringent filters
JPS6050511A (ja) * 1983-08-31 1985-03-20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
US4715686A (en) * 1984-11-16 1987-12-29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passiv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S61210324A (ja) * 1985-03-15 1986-09-18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
EP0795773B1 (en) * 1986-05-19 2001-10-31 Seiko Epson Corpora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S63234225A (ja) * 1987-03-23 1988-09-2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0134974B1 (ko) * 1987-07-29 1998-04-22 미다 가쓰시게 트위스트 나선구조를 가지는 네마틱 액정표시장치
DE3887436T2 (de) * 1987-10-13 1994-05-11 Fujitsu Ltd Flüssigkristall-Anzeigetafel.
JPH07117664B2 (ja) * 1987-12-03 1995-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0283B1 (en) 1994-05-25
EP0320283A2 (en) 1989-06-14
EP0320283A3 (en) 1990-03-14
KR890010599A (ko) 1989-12-08
HK108397A (en) 1997-08-22
DE3889720D1 (de) 1994-06-30
US5119216A (en) 1992-06-02
DE3889720T2 (de) 199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791B1 (ko) 전기 광학 소자
KR100267156B1 (ko) 액정표시장치
KR940009075B1 (ko) 시각특성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EP037627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349412B2 (ko)
EP0498614B1 (e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4904058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635129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S6237374B2 (ko)
EP0368554B1 (en)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05899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de with a twisted alignment state
JP2615715B2 (ja) 電気光学素子の製造方法
US5071228A (en) Black-white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n insulation layer for blocking the diffusion of sodium ions from the glass of the cell plate to the polyphenylene of the orientation layer
KR19980033499A (ko) 비틀린 네마틱 혼성 배향구조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3289385B2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2982800B2 (ja) 電気光学素子
JP2943062B2 (ja) 電気光学素子
JPH03111823A (ja) 二層型stn液晶表示素子
KR100671518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JP2819670B2 (ja) 液晶表示素子
KR100488962B1 (ko) 디에스티엔형 액정표시장치
JP2615715C (ko)
JP3093894B2 (ja) 液晶表示装置
JP3188427B2 (ja) 液晶装置
JPH0476520A (ja) 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8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4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4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1993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408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310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60911

Appeal identifier: 1995201000478

Request date: 19950324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517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609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32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