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6179B1 - 파형관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관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179B1
KR960006179B1 KR1019910010159A KR910010159A KR960006179B1 KR 960006179 B1 KR960006179 B1 KR 960006179B1 KR 1019910010159 A KR1019910010159 A KR 1019910010159A KR 910010159 A KR910010159 A KR 910010159A KR 960006179 B1 KR960006179 B1 KR 96000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ly
housing
corrugated
corrugated member
radial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118A (ko
Inventor
그루버 언스트
뱀버그 알프레드
Original Assignee
푸렉사 게엠베하 컴패니 프로덕션 운트 페트립 케이지
헬무트 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렉사 게엠베하 컴패니 프로덕션 운트 페트립 케이지, 헬무트 랑 filed Critical 푸렉사 게엠베하 컴패니 프로덕션 운트 페트립 케이지
Publication of KR92000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on or detail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16L13/00 - F16L23/00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45Joints for corrugated pipe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3Corrug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형판 결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로서 도면의 좌측반은 단면도로 우측반은 측면도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로서 걸림쇠가 비걸림상태에 있지만 걸림장치내에 삽입된 파형부재와 맞물려 있는 결합장치를나타내는 확대설명도.
제2도는 걸림상태에 있는 걸림쇠를 나타내는 제1도와 유사한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와 유사하지만 파형부재가 제거되어 있는 설명도.
본 발명은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파형 마무를 가지는 파이프 또는 호스와 같은 파형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파이프 또는 호스의 파형 마루는 파이프 또는 호스 주위에서 서로 평행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파형 마루는 나선상으로 호스 또는 파이프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파형관이나 호스의 벽에 파형 마루를 가지고 있는 파형관이나 호스용 결합장치는 1989년 9읠 6일자 공개된 유럽특허공개 EP-0,331,116(패럴)이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된 결합장치는 주요부가 거의 원통형으로 되어있는 결합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결합기 하우징은 일단에 삽입부와 타단에 결합부를 가지고 있다. 삽입부는 각각 결합용 걸림쇠가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윈도우형 개구를 가진다. 상기 결합용 걸림쇠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핑거를 지니는 걸림링의 일부를 형성하고, 각 핑거는 파형부재가 적소에 걸려지게 하기 위해 그 자유단에 커플링 또는 걸림쇠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기 하우징의 연결부는 적당한 구성요소, 예를들면 결합용 박스 등에 결합되게 하는 외부나사를 갖는다. 걸림링의 멈춤플랜지는 걸림링과 결합기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쇠의 축방향 내측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결합기 하우징의 단부에 놓여, 윈도우형 개구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결합장치의 파형부재의 단부를 영구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 결합을 완성하기 위해, 파형부재의 자유단은 원하는 깊이로 걸림링내에 삽입된다. 이 걸림링은 결합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여기에서 결합용 걸림쇠가 근접하는 파형 마루 사이의 홈내로 스냅되고, 이에 의해 파형부재는 축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되지만, 걸림쇠가 걸림상태에서 더이상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장치는 구성상 다소 간단하기는 하지만, 영구히 걸려져 버리는 결점을 가진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볼 때, 본 발명은 다음의 목적 : 결합장치내의 파형부재의 반복적인 착탈을 쉽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상술한 형태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목적과; 구성요소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반복적인 착탈을 성취할 수 있게 하는 목적과; 상술한 형태의 걸림장치를, 조작슬리브의 간단한 축방향 이동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쇠가 자유로히 걸림상태에서 비걸림상태로 또한 그 반대로 되게하여 상술한 형태의 걸림장치를 구성하는 목적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성취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결합장치는, 걸림쇠를 가지는 걸림링이 일단에 멈춤플랜지(14)와 멈춤플랜지(14)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된 타단에 내부링(17)을 가지는 조작슬리브(5)로서 구성되고, 상기 멈춤플랜지(14)는 연결수단인 랜드(16)에 의해 상기 내부링(17)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링(17)에 연결된 웨브(19)는 그 자유단에 상기 멈춤플랜지(14)를 향해 연장된 걸림쇠체(20)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슬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형 개구가 각 걸림쇠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내에 삽입된다. 결합장치가 조립되고 파형관이나 호스같은 파형부재가 결합장치에서 이탈될 때의 양 경우에, 웨브를 이동시킨 다음에 걸림쇠를 이동시키는 내부링을 가지는 조작슬리브(5)의 구조는, 각 개구내로 걸림쇠가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조작슬리브가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실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걸림쇠가 방사상 외측으로 나오게 한다.
반대로, 상술한 종래의 결합장치에 따르면, 파형부재의 축방향 이동으로 내측에 가해지는 힘성분을 걸림쇠에 가하게 되므로, 걸림 기구의 해제는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걸림쇠의 방사상 외측방향 인출은 걸림장치의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 해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슬리브의 구조로 인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점은 걸림쇠와 이 걸림쇠를 이동시키는 웨브가 부재의 해제시 종래기술의 경우에서와 같이 압축력 보다는 인장력에 먼저 노출되게 되는 사실로 성취될 수 있다. 이 걸림쇠와 힌지로 기능하는 걸림쇠의 장착용 웨브의 인장력부하는, 부재의 해제시에 걸림쇠가 걸림장치의 외부 하우징의 윈도우형 개구내로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2,3도에 관련하여, 파형관 또는 호스와 같은 파형부재(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장치(1)는 두개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기본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는 결합기 하우징(la)이고, 다른 구성요소는 결합기 하우징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작슬리브(5)이고, 제3의 구성요소는 탄성의 시일링(10)이다. 파형부재(2)는 파형홈(26)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원주상 파형마루(3)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la)은 거의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결합기부(6)와 삽입부(4)를 가지고있다. 외부 나사산(6a)를 가지는 결합기부(6)는 결합기 하우징(l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4)는 하우징(la)의 타단에 마련되어 있다. 삽입부(4)와 결합기부(6)는 파형부재(2)가 조작슬리브(5)내로 이동하게 되는 삽입방향의 반대인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향하는 링면(9a)를 형성하는 쇼율더(9)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la)의 삽입부(4)는 쇼울더(9)의 반대측 단부에 단부링(15)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강화링(15a)(15b)를 가지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형 개구(8)는 링(15)와 (15a) 사이에서 삽입부(4)의 벽(7)에 마련된다. 하나의 개구(8)에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각 걸림쇠체(20)가 설치된다.
탄성의 시일링(10)은 원통형부(12)와 쇼울더(9)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링면(9a)상에 놓이는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한 플랜지(11)를 가지고 있다. 링(10)은 플랜지(11)의 대향측에 축방향으로 향하는 탄성의 팽출림(33)을 가지고 있다. 시일링(10)의 플랜지(11)는, 파형부재(2) 가 조작슬리브(5)내와 시일링(10)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에 파형부재(2)의 자유만(13)이 플랜지(11)의 축방향의 표면상에 놓일 수 있도록 크기가 되어있다. 더욱이, 시일링(10)의 원통부(12)의 내측 크기는 파형부재(2)의 외측크기가 시일링(10)내에 자유로히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결합기 하우징의 삽입부(4)내의 제한된 축방향 미끄럼 이동을 위해 수용되는 조작슬리브(5)는 파형부재(2)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축방향 보어를 가지고 있다. 조작슬리브(5)는 결합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멈춤플랜지(14)를 포함하고 있다. 멈춤플랜지(14)는 하우징부(4)의 입구단부에서 단부링(15)과 상호작용한다. 조작슬리브(5)는 또한 결합기 하우징(la)의 삽입부(4)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내부링부(17)을 포함하고 있다. 축방향으로 연장된 랜드(16)는 내부링부(17)과 멈춤플랜지(14) 사이의 축방향 공간을 브리지하여 내부링부(17)을 멈춤플랜지(14)와 결합시킨다. 랜드(16)는 개구(8) 다음에 또는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멈춤플랜지(14)의 내경 주위에 원주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내부링(17)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자유단부(18)는 시일링(10)의 탄성의 팽출 림(33)에 놓인다. 탄성 힌지를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연장한 웨브(19)는 내부링(17)으로부터 랜드(16) 사이의 멈춤플랜지(14)에 걸쳐 있다. 웨브 또는 힌지(19)의 각 자유단은 걸림쇠(24)를 가지고 있는 걸림쇠체(20)를 이동시킨다. 걸림쇠체(20)는 조작슬리브(5) 내측에 파형부재(2)가 걸려지고 또한 작동슬리브(5)가 삽입 하우징부(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걸려지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웨브(19)의 내부링(17) 다음의 웨브부는 걸림쇠체(20)가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지게 되도록 유연성 베어링 또는 조인트를 형성하고 있어 걸림장치 내측에 파형부재(2)가 걸리게 하거나 파형부재(2)가 해제되게 한다. 웨브(19)의 힌지 기능은 링(17)과 걸림쇠체(20) 사이의 웨브(19)의 단면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성취되게 된다. 감소된 웨브(19)의 단면부는 내부링(17)에 가능한 한 밀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걸림쇠체(20)는 두개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경사면(22)(23)에 의해 형성된 자유단(2l)을 가진다. 경사면(22)는 거의 방사상 내측으로 향하는 반면, 경사면(23)은 거의 방사상 외측으로 향해 있다. 상술한 걸림쇠(24)는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진 면(22)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쇠(24)는 파형부재(2)의 이탈 방향에 반대인 삽입방향으로 방사상 향해 있다. 제1도에서, 예를 들어 이탈방향은 축방향 상측이고, 삽입방향은 축방향 하측이다. 걸림쇠(24)는 파형부재(2)의 다음 홈(26)내에 이르게 된다. 이 상태에 있기 위해서는 멈춤플랜지(4)가 하우징부(4)의 단부링(15)에 위치되게 하여 조작슬리브(5)가 제1도에서 나타낸 상태에 있게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걸림쇠체(20)는 방사상 내측으로 또는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체(20)는 걸림쇠체(20)의 자유단(21)이 하우징 단부링(l5)의 내측 모서리(31)를 통과할 수있기 때문에 비걸림 상태에 있게 된다. 파형부재(2)가 조작슬리브(5)내로 삽입될때 파형부재(2)의 자유단(13)은 걸림쇠체(20)의 내측 경사면(22)에 맞물리게 되어 걸림쇠체(20)를 개구(8)내로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지게 한다. 따라서, 파형부재(2)는 그 자유단(13)이 시일링(10)의 플랜지(11)의 방사상 상측으로 향하는 표면상에 놓일때 까지 걸림쇠(24)를 지나 방사상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진 표면(23)이 걸림쇠체(20)의 방사상 상측으로 향하는 멈춤면(28)으로 합쳐져 조작슬리브(5)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4)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걸링방지부(30)를 형성하게 된다.
걸림쇠를 가지는 걸림쇠체(20)의 걸림상태를 설명하는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스프링 탄성의 시일링(10)은 축방향 길이가, 조작슬리브(5)를 각 윈도우형 개구(8)의 내측 모서리(31)에 대해 걸림쇠체(20)의 외측 경사면(23)으로 편향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슬러브(5)의 멈춤플랜지(14)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표면(32)은 하우징(la)의 삽입부(4)의 하우징 단부링(15)으로부터 축방항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2도에서 나타낸 상태에서도, 링(10)의 원통부(12)의 상측 단부는 방사상 내측으로 약간 압축된 벌지(33)를 형성한다.
작동시, 파형부재(2)의 자유단(13)이 멈춤플랜지(14)를 통해 조작슬리브(5)내로 가압될 때에, 멈춤플랜지(14)는 최초에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단부링(15)에 대해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걸림쇠체(20)의 내측 경사면(22)에 맞물리는 자유단(13)은 걸림쇠체(20)가 개구(8)내로 가압될 때까지 파형부재가 스프링 탄성링(10)의 편향력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지게 되어 파형 마루(3)와 홈(26)은 자유단(13)이 시일링(10)의 플랜지(11)상에 놓일 때까지 걸림쇠(24)를 지날 수 있게 된다. 삽입력이 해제되어 더 이상 걸림쇠체(20)에 힘이 유효하지 않게 되자마자, 걸림쇠(24)는 파형부재(2)의 마루(3)상에서 축방향 하측으로 향하는 표면(25)를 가지는 홈(26)에 맞물리게 되어, 걸림쇠(24)와 부재(2) 사이의 맞물림을 제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부재(2)는 외력없이 결합장치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또한, 시일링(10)의 탄성의 편향력은 조작슬리브(5)를 제2도 및 제3도에서 나타낸 상태에서 축방향 상측으로 가압되게 하여. 표면(23)이 모서리(31)에 대해 놓이게 되기 때문에 걸림쇠체(2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할수 있다. 이때에, 멈춤플랜지(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1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걸림쇠(24)와 부재(2) 사이의 결합을 다시 해제하기 위해서는, 조작슬리브(5)는 걸림쇠체(20)의 자유단(21)이 제1도에 나타낸 비걸림상태에 있게 하기 위해 개구(8)의 모서리(31)를 통과할 때까지 슬리브(10)의 편향력에 대해 축방향 내측으로 가압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파형부재(2)를 이탈방향으로의 가압력으로 간단히 이탈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파형부재(2)의 마루(3)의 경사면이 걸림쇠체(20)를 개구(8)내로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지게 한다. 따라서, 삽입 및 이탈을 위해서 슬리브(5)는 비걸림상태에 관련한 제1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는 반면에, 걸림상태에서는 슬리브가 방사상 외측으로 가압되어 탄성의 시일링(10)의 편향력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하우징의 하우징부(4)는 도구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링(15a)와 (15b) 사이에 평평한 면(27)이 제공되어 있다.
걸림쇠체(20)의 돌출부(30)의 멈춤면(28)은 부재(2)가 장치에서 이탈되게 될때 조작슬리브(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표면(28)은 링(15)의 모서리(31)에 맞물리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게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8)

  1.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파형 마루를 내부에 가지고 있는 파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결합기 하우징과, 상기 결합기 하우징의 일단에 위치된 결합기부(6)와, 상기 결합기 하우징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되며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8)를 가지는 삽입부(4)와, 상기 결합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에 축방향 미끄럼 이동되게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파형부재의 단부를 고정하는 축방향 보어를 가지며, 상기 결합기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된 멈춤플랜지(14)를 포함하는 조작슬리브(5)와, 상기 결합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멈춤플랜지(14)로부터 축방향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부링(17)과, 상기 축방향 이격된 공간에 브리지되어 상기 내부링(17)과 상기 멈춤플랜지(14)를 연결시키며 서로 원주상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축방향 연장 랜드(16)와, 상기 파형부재의 단부가 상기 조작 슬리브의 상기 축방향 보어에 수용될때 상기 파형 마루중 하나상에 걸려지게 되는 걸림쇠체(20)와, 상기 원주상 간격된 상기 축방향 연장 랜드(16) 사이에서 상기 걸림쇠체(20)를 상기 내부링(17)에 연결시켜, 상기걸림쇠가 비걸림상태에 있을때 상기 걸림쇠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작동가능하게 하는 힌지수단(19)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슬리브(5)의 축방향 이동으로 상기 걸림쇠체(20)가 걸림상태와 비걸림상태에있게 하고, 이에 의해 상기 걸림쇠체는 상기 비걸림상태에 있을때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걸림상태에 있을 때에는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 이동되지 않게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19)은 상기 걸림쇠체(20)의 일단을 상기 내부링(l7)에 연결시키고, 상기 걸림쇠체(20)는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자유단(21)을 가지고, 상기 자유단(21)은 제1의 방사상 내측으로 향하는 경사면(22)과 걸림면(25)을 가지는 걸림쇠(24)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쇠체(20)는 제2의 방사상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면(23)을 가지고, 상기 제1의 경사면(22)은 상기 파형부재가 상기 조작슬리브(5)의 상기 축방향 보어내로 삽입될때 상기 파형부재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걸림쇠체(20)를 방사상 외측으로 가압되게 하고, 상기 제2의 경사면(23)은 상기 하우징 삽입부(4)에서 상기 개구(8)의 모서리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걸림쇠체가 상기 걸림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체(20)는 상기 내부링이 상기 삽입부(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축방향으로 향하는 멈춤면(28)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2의 경사면(23)은 상기 방사상 향하는 멈춤면(28)으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24)는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면(25)은 상기 삽입방향에 반대인 이탈방향으로 상기 파형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파형 마루중 하나에 맞물리게 하기 위해 상기 걸림쇠체(20)의 측방향 삽입방향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 하우징의 상기 결합기부(6)와 상기 삽입부(4)는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 쇼울더(9)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쇼울더(9)는 축방향으로 향하는 링면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축방향으로 향하는 링면상의 일단에 놓이는 스프링 탄성의 시일링(10)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조작슬리브(5)의 상기 내부링(17)은 상기 내부링(17)를 이에 따라 상기 조작슬리브(5)를 축방향 외측방향으로 상기 걸림상태가 되게 하는 상기 스프링 탄성의 시일링(10)에 대해 내측 단부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24)는 방사상 내측으로 방향되어 있고, 상기 힌지수단(19)은, 상기 걸림쇠(24)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 상기 멈춤플랜지(14)가 상기 결합기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단부에 접촉하게 되는 상기 비걸림상태에 있을때 상기 파형부재가 상기 조작슬리브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힘에 반응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7. 제l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19)은 상기 멈춤플랜지(14)에서 떨어져 상기 개구(8)의 내측 모서리에 밀접하게 상기 걸림쇠체(20)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8.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파형 마루를 내부에 가지고 있는 파형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개구를 내부에 가지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단부와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연장한 멈춤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조작슬리브(5)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슬리브(5)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 개구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쇠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조작슬리브가 일 위치에 있을때 상기 파형부재가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고 상기 조작슬리브가 상기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있을때 상기 파형부재를 해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KR1019910010159A 1990-06-25 1991-06-19 파형관 결합장치 Expired - Lifetime KR960006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20171.6 1990-06-25
DE4020171A DE4020171C1 (ko) 1990-06-25 1990-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118A KR920001118A (ko) 1992-01-30
KR960006179B1 true KR960006179B1 (ko) 1996-05-09

Family

ID=640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159A Expired - Lifetime KR960006179B1 (ko) 1990-06-25 1991-06-19 파형관 결합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12086A (ko)
EP (1) EP0465896B1 (ko)
JP (1) JPH0781661B2 (ko)
KR (1) KR960006179B1 (ko)
AT (1) ATE100545T1 (ko)
CA (1) CA2045268C (ko)
DE (2) DE4020171C1 (ko)
ES (1) ES2049063T3 (ko)
HK (1) HK911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143B1 (ko) * 2013-12-27 2015-03-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KR101507146B1 (ko) * 2013-12-27 2015-03-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플렉시블 주름관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2270A (en) * 1987-04-09 1994-07-26 Elconnex Pty Limited Corrugated pipe connector and method of molding
US5626371A (en) * 1990-01-16 1997-05-06 Bartholomew; Donald D. Quick connector with one-piece retainer
DE69208833T2 (de) * 1991-11-29 1996-09-19 Tokai Rubber Ind Ltd Schnellkupplung
DE4334529C2 (de) * 1992-10-15 1996-06-13 Furukawa Electric Co Ltd 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 flexibles Wellrohr
US5462311A (en) * 1992-11-13 1995-10-31 Royal Appliance Mfg. Co. Telescoping wand for vacuum cleaners
ATE152503T1 (de) * 1993-07-15 1997-05-15 Pma Elektro Ag Verbindungs- und anschlussstück für wellrohre
FR2715454B1 (fr) * 1994-01-26 1996-04-12 Caillau Ets Connexion rapide.
DE4413346C1 (de) * 1994-04-18 1995-08-17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EP0728977B1 (en) * 1995-02-27 1999-12-08 Interflex, S.A. Connection device for corrugated pipes
US5803511A (en) * 1995-05-30 1998-09-08 Titeflex Corporation Adaptors and method of attaching metal braid reinforced convoluted metal hoses to such adaptors
DE19523298A1 (de) * 1995-06-27 1997-01-02 Voss Armaturen Steckverbindung für Druckmittelleitungen
DE19540279A1 (de) * 1995-10-28 1997-04-30 Balfo Verwaltungs Anstalt Anschlußstück für Profilrohre, Profilstutzen, Wellschläuche oder dergleichen Stränge
DE19540280C1 (de) * 1995-10-28 1997-03-20 Balfo Verwaltungs Anstalt Anschlußstück für Profilstutzen, Wellschläuche oder dergleichen Profilrohre
DE29606620U1 (de) * 1996-04-12 1996-08-08 Lancomp Ag, Gommiswald Profilrohr, Wellschlauch o.dgl. Strang mit zueinander parallelen Umfangsnuten
DE29607470U1 (de) * 1996-04-24 1996-08-29 Reiku GmbH, 51674 Wiehl Kupplungselement für Wellrohre
ID22855A (id) * 1997-03-07 1999-12-09 Pma Ag Elemen penyambung dan penghubung untuk pipa berombak
DE19735491C1 (de) * 1997-08-16 1998-07-1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GB9724521D0 (en) * 1997-11-20 1998-01-21 Munster Simms Engineering Limi Pipe connections
DE19831897C2 (de) * 1998-07-16 2000-07-0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SE512411C2 (sv) * 1998-08-11 2000-03-13 Aba Sweden Ab Anordning för hopkoppling av två styva rörformiga föremål
GB2350656B (en) * 1999-04-07 2003-04-23 Polypipe Plc Conduits
JP3468289B2 (ja) * 2000-01-18 2003-11-17 東拓工業株式会社 管の接続構造
CN100373085C (zh) * 2001-10-04 2008-03-05 东京瓦斯株式会社 插入式管接头
GB0200455D0 (en) * 2002-01-10 2002-02-27 Smiths Group Plc Pipe couplings
GB0202303D0 (en) * 2002-02-01 2002-03-20 Smiths Group Plc Pipe couplings
GB0202305D0 (en) * 2002-02-01 2002-03-20 Smiths Group Plc Pipe couplings
US6733046B1 (en) * 2002-10-24 2004-05-11 Pollvergnuegen Hose swivel connection apparatus
DE10322972B4 (de) * 2003-05-21 2013-12-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bindungselement
FR2855589B1 (fr) * 2003-05-28 2006-12-01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instantane
US7387288B2 (en) * 2003-12-05 2008-06-17 The Lamson & Sessions Co. Fitting for ENT tubing
NO20040441L (no) * 2004-01-30 2005-08-01 Raufoss United As Koblingsdel til bruk i et system med strommende fluid, med i det minste þn koppformet hunndel.
DE102005026576B4 (de) * 2005-06-08 2010-12-02 Flexa Gmbh Verbindungs- und Anschlussstück für einen Wellenschlauch
DE102005030457A1 (de) * 2005-06-28 2007-01-04 Mahle International Gmbh Kupplungssystem
EP1931904B1 (de) * 2005-10-03 2010-03-31 Pma Ag Verbindungs- und anschlussstück für wellrohre
US20070252389A1 (en) * 2006-04-27 2007-11-01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Duct Coupling Assembly
US20080093843A1 (en) * 2006-10-23 2008-04-24 Noroozi Homauon H Collar for flexible hose attachment for vehicle hvac air distribution
WO2008064110A1 (en) * 2006-11-21 2008-05-29 Titeflex Corporation Quick actuating fitting for corrugated stainless steel tubing
DE102007040745B3 (de) * 2007-08-28 2008-11-27 Flexa Gmbh & Co. Produktion Und Vertrieb Kg Verbindungs- und Anschlussstück für einen Wellenschlauch
US7614664B1 (en) * 2008-04-16 2009-11-10 Yea Der Lih Enterprise Co., Ltd. Fast-connecting joint for corrugated pipes
DE102008060679A1 (de) 2008-12-08 2010-06-17 Flexa Gmbh & Co. Produktion Und Vertrieb Kg Kupplungsstück für Wellenschlauch-Anschlussteile
DE202009002925U1 (de) 2009-02-23 2009-05-20 Hidde, Axel R., Dr. Schutzschlauch-/-rohr-Schnellverschraubung
US8056938B2 (en) * 2009-04-16 2011-11-15 Royal Group Inc. Fitting for corrugated conduit
DE202009007099U1 (de) 2009-05-11 2009-08-06 Hidde, Axel R., Dr. Ing. Schutzschlauch-/-rohr-Schnellverschraubung mit Frontöffner
DE102009033943A1 (de) * 2009-07-14 2011-01-20 Aft Inh. Dirk Kramer E.K. Steckkupplung
CN102593768A (zh) * 2011-01-13 2012-07-18 上海华伟塑胶有限公司 一种电线浪管接头
DE102011085398A1 (de) 2011-10-28 2013-05-02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einheit
GB201319795D0 (en) * 2013-11-08 2013-12-25 Eden Ltd Pipe Connector
EP3509173A1 (en) * 2014-06-24 2019-07-10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Corrugated tube for protecting a cable, fastener for coupling a housing on the corrugated tube and seal element for sealing the corrugated tube against the housing
DE102014219076A1 (de) 2014-09-22 2016-03-24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CH710601A1 (de) * 2015-01-08 2016-07-15 Morach Christoph Dichtungsmuffe.
DE102016206915A1 (de) * 2016-04-22 2017-10-26 Deere & Company Baugruppe zum Anschluss einer Leitung
CN105782612A (zh) * 2016-05-18 2016-07-20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管道连接装置
KR102636742B1 (ko) * 2016-12-27 2024-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유압튜브 커넥터
ES2702615A1 (es) * 2017-09-04 2019-03-04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de union y campo de coccion a gas
DE102018121293A1 (de) * 2018-08-31 2020-03-05 Schlemmer Holding GmbH Kupplungsvorrichtung und wellschlauchanordnung
DE102019131219B3 (de) * 2019-11-19 2021-02-11 Schlemmer Holding GmbH Anschlussvorrichtung und Wellschlauchanordnung
IT202100024254A1 (it) * 2021-09-21 2023-03-21 Bonomini S R L Kit per lo scolo di liquido contenuto in un lavello, lavabo o simila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315U (de) * 1968-08-22 Electrostar Gm b H 7313 Reichenbach Vorrichtung zur Verbindung von Well oder Spiral schlauchenden mit innen glatten Rohr enden
US3826523A (en) * 1972-11-22 1974-07-30 Parker Hannifin Corp Quick connect tube coupling joint
US4247136A (en) * 1978-12-22 1981-01-27 Hancor, Inc. Internal coupling structure and joint for pipe or tubing
DE2908337C2 (de) * 1979-03-03 1982-11-18 PMA Elektro AG, 8623 Wetzikon Anschlußarmatur für flexible Wellschläuche
CH655561B (ko) * 1982-02-05 1986-04-30
NZ219163A (en) * 1986-02-05 1989-09-27 Elconnex Pty Ltd Connector for corrugated pipes
JPH055794Y2 (ko) * 1986-03-20 1993-02-16
DE3626403A1 (de) * 1986-08-04 1988-02-11 Pma Elektro Ag Anschlussarmatur
US4836580A (en) * 1988-03-01 1989-06-06 Scepte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Conduit connector
US4893845A (en) * 1988-04-18 1990-01-16 Proprietary Technology, Inc. Firewall heater line adapter
JP2514706B2 (ja) * 1988-12-29 1996-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US4989905A (en) * 1990-02-05 1991-02-05 Lamson & Sessions Co. Fitting for corrugated tub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143B1 (ko) * 2013-12-27 2015-03-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KR101507146B1 (ko) * 2013-12-27 2015-03-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플렉시블 주름관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118A (ko) 1992-01-30
US5112086A (en) 1992-05-12
JPH04231788A (ja) 1992-08-20
CA2045268A1 (en) 1991-12-26
EP0465896B1 (de) 1994-01-19
JPH0781661B2 (ja) 1995-09-06
ATE100545T1 (de) 1994-02-15
DE4020171C1 (ko) 1991-12-05
ES2049063T3 (es) 1994-04-01
DE59100882D1 (de) 1994-03-03
HK91194A (en) 1994-09-09
EP0465896A1 (de) 1992-01-15
CA2045268C (en)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179B1 (ko) 파형관 결합장치
ITTO990627A1 (it) Dispositivo di accoppiamento per l'unione di condotti per fluido doppi.
KR940009569A (ko) 파형의 가요성 관용 조인트
US7195286B2 (en) Tube joint
EP0460791B1 (en) Pipe joint with pipe slipout prevention means
KR20000075842A (ko)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
US5215339A (en) Conduit coupling
US4951975A (en) Coupling for conduits
WO2020135553A1 (zh) 快速连接器
EP0829671A2 (en) Collets for coupling devices
US5102170A (en) Pipe joint
EA003684B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арматура с упругим кольцом в качестве упора
CN109477604A (zh) 连接器
JPH0745916B2 (ja) 2本の高圧流体管結合用クイック継ぎ手
CA2493446C (en)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a fluid conduit to a pipe
JP3922309B2 (ja) 改良された連接構成
JP2007514108A5 (ko)
JP2592358B2 (ja) 管継手
JP7146936B2 (ja) 媒体導管用の接続装置
EP0703397A1 (en) Fastening coupling for a ringed tube
CA2423658A1 (en) Handle and exhaust duct coupling assemblies for floor care machines
JP2008527273A (ja) 接合具部品
JPH0356793A (ja) 解除可能な迅速接続管継手
JPH0319437B2 (ko)
JP7141985B2 (ja) 波形管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6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6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4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