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5083B1 -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083B1
KR960005083B1 KR1019920017765A KR920017765A KR960005083B1 KR 960005083 B1 KR960005083 B1 KR 960005083B1 KR 1019920017765 A KR1019920017765 A KR 1019920017765A KR 920017765 A KR920017765 A KR 920017765A KR 960005083 B1 KR960005083 B1 KR 96000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ized
epdm rubber
weight
epdm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106A (ko
Inventor
주넬르 모페트 안드라
엠마누엘 조하네스 데커스 매리너스
존 쉬아 티모시
로버트 캠프벨 존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아더 엠. 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아더 엠. 킹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93000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2Ziegler natta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관능화 EPDM 고무의 상용성 혼합물을 동적가황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에폭사이드 관능기로 관능화된 EPDM 고무 및 용융 압출 조건하에 에폭시 반응성 산기를 생성할 수 있는 에스테르기로 관능화된 EPDM 고무의 용융 압출 동적 가황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이전에는, 열가소제로서 가공될 수 있고 크게 변형되지 않는 성능을 갖는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개발되어 있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종종 관련되는 용어는 "동적 가황화"이며, 문헌[A. Y. Coran et al., Rubber-Thermoplastic Compositions, Rubber Chem. Technology 55(1982) 116]에 기재되어 있다. 동적 가황화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코란(Coran)에 의한 문헌[Thermoplastic Elastomers, Comprehensive Review, Legge et al. 편집, pages 135-156,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87]에 나타나 있다. 동적 가황화에 있어서, EPDM 고무, 즉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는 그의 용융된 가소제와 함께 용융-혼합되면서 가황화된다. 동작 가황화는 그의 성능면에서 탄성이 큰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지만, EPDM 고무가 열가소성 재료와 용융 혼합하는 동안 동적 가황화되는 경우, EPDM과 열가소성 재료의 미세하게 분산된 혼합물을 목적하는 혼합 비율로 제조하는 것이 종종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폴리부티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와 EPDM 고무 사이의 상용성은 유럽 특허 출원 제0,274,744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콕시 부분상에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갖는 α,β-불포화산의 에트레스로 EPDM 고무를 개빌시킴으로써 향상된다. α,β-불포화산의 에폭시 관능성 에스테르로 개질된 EPDM 고무는 추가로 유럽 특허 제0,309,800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충격 개질제로서 사용된다.
EPDM 고무 및 소성 성분의 비율은 인장(psi) 및 파단점 신장율(%)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져 있지만, 방향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및 EPDM 고무의 용융 혼합물로부터 인장 강도(psi) 및 파단점 신장률(%)과 같은 유익한 물리적 특성 뿐만 아니라 이하에 정의되는 감소된 인장 잔류 신장율(%) 또는 대응하는 향상된 탄성 회복율(%)을 갖는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조성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사용되는 용어 "탄성 회복율(%)"은 100에서 인장 잔류 신장율(%)을 감한 %값을 의미한다. 인장 잔류 신장률(%)은 실온에서 ASTM D638 타입 Ⅰ, 스크류 구동화 인스트론 시험 기계상에서 인장된 대형 인장 시험편상에서 측정한다.
인장 잔류 신장율(%)은 대형 ASTM D638 인장 시험편을 50.8cm/분(20in/분)의 크로스헤드(cross-head) 속도로 6.35cm(2.5in)인장하고, 이 시험편을 10분간 상기 신장율로 유지시킴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시험편을 인스트론시험 기계에서 꺼내고, 115℃의 오븐에 넣고 45분간 이 온도로 유지시킨다. 이 시험편을 꺼내어 10분간 냉각시킨 후, 하기 식을 사용하여 인장 잔류 신장율로 측정하였다.
식중, L최초는 시험편 상의 게이지 마크 사이의 최초 길이이고(이 경우 6.35cm), L전은 시험편이 맞물려진 상태로 완전한 신장율(100 또는 200%)로 인장된 경우의 게이지 마크간의 길이이며, L후는 시험편을 오븐에서 꺼내고 10분간 냉각시킨 후의 게이지 마크간의 길이이다.
1990년 6월 18일에 출원되고 현재 포기된 함께 계류중인 미합중국 출원 제540,031호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 관능화 EPDM 고무의 상용화 혼합물을 동작 가황화시켜서 얻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유효량의 유리 라디칼 개시제 또는 유기 디아민과 같은 가교제의 용융 압출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에 대한 각종 동적 가황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부가적 방법도 동일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치환 EPDM 고무와 같은 에폭사이드 관능기로 관능한 EPDM 고무 및 용융 압출 조건하에 에폭시 반응성 산 기를 생성할 수 있는 에스테르기로 관능화된 EPDM 고무의 혼합물과 함께 용융 압출시킴으로써 동적 가황화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A)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45 내지 70중량% 및 (B) (a) 탄소 원자 1000개 당 약 0.1 내지 약 16개의 에폭시기로 관능화되고, 약 0.01 내지 약 20중량%의 에폭시 함유 그라프트화 물질을 함유하는 EPDM 고무 1 내지 99중량% 및 (b) 탄소원자 1000개 당 약 0.1 내지 약 16개의 열에 불안정한 카르복실산 생성 에스테르기로 관능화되며, 0.1 내지 20중량%의 에스테르 함유 그라프트화 물질을 함유하는 EPDM 고무 99 내지 1중량%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관능화 EPDM 고무 30 내지 55중량%로 이루어진 용융 압출된 혼합물의 압출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행에 사용될 수 있는 EPDM 고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기재된 미합중국 특허 제2,933,480호, 동 제3,093,621호, 동 제3,211,709호, 제3,646,168호, 동 제3,790,519호, 동 제3,884,993호, 동 제3,894,999호, 동 제4,059,654호 등의 특허에 충분히 기재되어 있는 주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EPDM 고무의 대표적 제조 방법은 촉매 및 용매 매질 존재하에 다수의 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한 다양한 양의 에틸렌, 프로필렌, 및 폴리엔 단량체를 반응시키는 것이다. 폴리엔 단량체는 EPDM 삼원공중합체의 제조시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제3성분으로서 사용되어, 에틸렌, 모노-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및 폴리엔의 삼원공중합체를 형성하며, 1, 4-헥사디엔, 모노시클릭 폴리엔 및 폴리시클릭폴리엔과 같은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개방 사슬 다중불포화 탄화수소와 같은 폴리엔 단량체를 포함한다. 다중 불포화 가교된 고리 탄화수소 또는 할로겐화 가교된 고리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된 고리 탄화수소의 예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비시클로(2, 2, 1)헵타-2, 5-디엔, 알킬리덴 노르보르넨, 특히 5-알킬리덴-2-노르보르넨(여기서, 알킬리덴 기는 1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 알케닐 노르보르넨, 특히 5-알케닐-2-노르보르넨(여기서, 알케닐 기는 약 3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과 같은, 가교된 고리 중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이 존재하는 비시클로(2, 2, 1)-헵타-2, 5-디엔의 다중불포화 유도체를 포함한다. 기타 가교된 고리 탄화수소는 비시클로(3, 3, 1)노난의 다중불포화 유도체 및 비시클로(3, 3, 1)노난의 다중불포화 유도체로 나타내는 비시클로(2, 2, 2)옥탄의 다중불포화 유도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가교된 고리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5-메틸리덴-2-노르보르넨,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n-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5-이소부틸리덴-2-노르보르넨, 5-n-부틸리덴-2-노르보르넨, 5-이소부틸리덴-2-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5-(2-메틸-2-부테닐)-2-노르보르넨 또는 5-(3-메틸-2-부테닐)-노르보르넨과 같은 메틸 부테닐 노르보르넨 및 5-(3-디메틸-4-헥세닐)-2-노르보르넨을 포함한다.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으로부터 제조된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EPDM 골격 고무는 예를 들면, 95 내지 10의 에틸렌 및 5 내지 90의 프로필렌,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0의 에틸렌 및 30 내지 70의 프로필렌과 같이 다양한 에틸렌 대 프로필렌 또는 기타모노올레핀과의 화학적으로 결합된 몰비를 함유할 수 있다. 폴리엔 또는 치환된 폴리엔은 0.1 내지 10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몰%의 양으로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무 골격 중의 불포화도는 중합체 사슬의 탄소 원자 1000개 당 이중 결합 0 내지 20개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EPDM 제조를 위한 중합화 반응은 용매 매질 중에서 촉매 존재하에 수행한다. 중합화 용매는 반응 조건하에서 액상인 임의의 적당한 불활성 유기 용매일 수 있다. 만족할만한 탄화수소 용매의 예는 헥산을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결과를 확실하게 초래하는 5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파라핀, 방향족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벤젠, 톨루엔 등과 같은 단일 벤젠 핵을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 및 상기 기재된 직쇄 파라핀 탄화수소 및 방향족 탄화수소, 특히 고리 핵내에 5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시클릭 탄화수소이다. 선택되는 용매는 1종 이상의 상기 탄화수소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헥산과 대략 동일한 비등점을 갖는 지방족 및 나프탈렌계 탄화수소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것은 건조되고 중합화반응에 사용되는 지글러형 촉매를 방해하는 물질을 제거한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화는 당 업계에 주지되어 있는 유형의 지글러 촉매 존재하에 수행한다. 이러한 지글러형 촉매는 미합중국 특허 제2,993,480호, 동 제3,093,620호, 제3,093, 621호, 동 제3,211,709호, 동 제3,113,115호 등의 많은 특허에 기재되어 있다. 지글러 촉매의 예는 티타늄, 바나듐 및 크롬 할라이드와 같은 원소 주기율표의 IV-a족, V-a족, VI-a족 및 VII-a족의 중금속의 화합물을 트리알킬 알루미늄 및 알킬 알루미늄 할라이드(여기서, 알킬기는 1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함)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금속 결합을 함유한 원소 주기율표의 I족, II족 또는 III족의 금속의 유기 금속 화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된 금속 유기 배위 촉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지글러 촉매는 바나듐 화합물 및 알킬 알루미늄 할라이드로부터 제조된다. 적당한 바나듐 화합물의 예는 삼염화바나듐, 사염화바나듐, 옥시염화바나듐, 아세틸아세톤바나듐 등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활성화제는 촉매계 중에 R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이소부틸인 일반식 R-AlCl 및 R2AlCl을 갖는 미합중국 특허 제3,113,115호의 알킬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및 일반식 R3Al2Cl3를 갖는 대응하는 세스키클로라이드를 포함하며, 알루미늄 및 바나듐 화합물의 알루미늄 대 바나듐 몰비는 5 : 1 내지 200 : 1, 바람직하게는 15 : 1 내지 60 : 1이고, 알루미늄 40대 바나듐 1의 비율일 때 가장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비율을 바나듐 화합물에 대해 중금속 치환된 다른 것에 대응하는 화합물 및 알루미늄 화합물에 대한 I족, II족 및 III족의 유기 금속 화합물에 대하여 적용한다. 메틸 또는 에틸 알루미늄 세스키클로라이드와 같은 알킬 알루미늄 세스키클로라이드 및 옥시염화 바나듐으로부터 제조죈 촉매는 알루미늄 5 내지 300몰당 옥시염화 바나듐 1몰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나듐 1몰당 알루미늄 15 내지 60몰이 보다 바람직하고, 바나듐 1몰당 알루미늄 40몰일 때 가장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중합화는 교반기 냉각수단 및 단량체 촉매 및 가속화제를 포함한 반응물 성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도관 수단 및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용액을 연속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도관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에 대해 독립된 반응 용기 중의 연속적 기재 원료 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촉매는 촉매 불활성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불활성화된다.
최적 탄성 회복율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얻기 위해서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시 화합물로 개질된 EPDM 고무 및 에스테르가 용융 압출 조건하에 열에 불안정한 에스테르화 산 관능기로 개질된 EPDM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밝혀졌다. 하기 식을 갖는 에폭시 화합물을 EPDM 고무를 개질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식중, R2는 에폭사이드 관능성을 갖는 유기 기이고, R 및 R1은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C4-8알킬, 아르알킬, 시클릭 또는 C6-13방향족 유기 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가 라디칼이다.
적당한 에폭시 관능성 그라프트 단량체는 불포화 알코올의 글리시딜 에테르(즉,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메탈릴-글리시딜 에테르) ; 불포화 카르복실산이 글리시딜 에스테르(즉, 글리시딜-2-에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2-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 알케닐페놀의 글리시딜 에테르(즉, 이소프로펜일페닐-글리시딜 에테르) ; 에폭시 카르복실산의 비닐 및 알릴 에스테르 ; 에폭사이드화올레산의 비닐에스테르 등이다. 여기에서 바람직한 그라프트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이다. 에폭시 관능성 단량체로 EPDM 고무를 개질시키는 것은 에폭시 단량체를 유리 라디칼 개시제와 예비 혼합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EPDM 고무와 혼합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약 100 내지 약 350℃의 온도에서 압출시킬 수 있다. 그라프트화 반응에서는 EPDM 고무 100중량부 당 에폭시 화합물을 0.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원한다면, 그라프트화 반응을 용매 용액중에서 약 10 내지 30중량%의 범위에서 가변적인 농도로 존재하는 불포화 EPDM 고무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적당한 유기 용매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및 옥타인과 같은 C5-10지방족 탄화수소이다.
반응을 125 내지 200℃의 승온에서 1/2 내지 2시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한 EPDM의 관능화는 2, 5-디메틸-2, 5-비스(t-부틸페록시)헥산과 같은 라디칼 개시제 존재하에 용융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함유 그라프트화 물질"이라는 표현은 EPDM 분자 사슬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에폭시기 또는 라디칼을 의미한다.
에스테르화 산 기를 사용한 EPDM 고무의 용융 관능화는 에폭시 관능성 단량체를 사용하여 EPDM 고무를 개질시키는데 사용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프트화 반응에서는 EPDM 고무 100부 당 약 0.1 내지 20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부의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MA), 디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라프트화는 에스테르 단량체를 유리 라디칼 개시제와 혼합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EPDM 고무와 혼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약 100 내지 약 250℃의 온도에서 압출시킬 수 있다. "에스테르기 함유 그라프트화 물질"이란 표현은 EPDM 분자 사슬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에스테르기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폴리에스테르는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는 1, 4-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지환족 글리콜을 포함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 4-부탄디올 등과 같은 알킬렌 글리콜 및 임의의 상기 글리콜과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직쇄 포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의 에스테르 단독 또는 테레프탈산의 에스테르 및 이소프탈산의 혼합물을 글리콜 또는 글리콜의 혼합물로 트랜스에스테르화 및 그에 이은 글리콜 및 유리 산 또는 그의 할라이드 유도체의 가열에 의한 중합화와 같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제조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당한 방법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기재된 미합중국 특허 제2,465,319호 및 동 제3,045,539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1종 이상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폴리(1, 4-부티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로부터 상표명 VALOX315하에 시판이용가능하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주지되어 있고 시판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몇몇 또는 모든 EPDM 고무로부터 출발하여 에폭시기로 관능시킨 후, 용융 압출 조건하에 엘에 불안정한 에스테르기로 개질된 EPDM 고무를 혼합함으로써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한다. 온도 범위는 150 내지 350℃일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출발하여 적어도 몇가지의 에폭시 개질된 EPDM 고무를 사용한 후 에스테르 개질된 EPDM 고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 단계에서 세가지 성분을 모두 혼합함으로써 유익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종 혼합물을 상기 중요한 3가지 성분이 포함되는 한, 용융 압출 조건하에서 상용화 동적 가황화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얻게 된다.
당 업계에서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잘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비제한적으로 설명하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이하 모든 부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중량부이다.
[실시예 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발록스(Valox) 수지)와 EPDM 고무의 몇가지 혼합물을 252 내지 27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시켰다. 구체적인 예로서, EPDM 고무를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개질화 및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개질화없이 사용하였다. 하기 결과를 얻었으며, 여기서 mephr은 고무 100부당 몰 당량이고, GMA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이며, TBMA는 3급 부틸메타크릴레이트이다 :
동적 가황화 PBT/EPDM 혼합물
상기 결과에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혼합 조성물 I, II 및 III은 최고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면서 최저의 인장 잔류 신장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이 결과는 두 단계 동안 에폭시 개질된 EPDM 고무를 혼입시킨 조성물에서 얻어졌다. 물리적 특성의 실질적 감소는 1차 통과시 에폭시 개질된 EPDM 및 에스테르 개질된 EPDM이 사용된 사용된 II의 경우에서 나타났다. 조성물 B 및 C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 중에 두 EPDM 성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아서 EPDM 고무의 에폭시 관능기 및 산 관능기의 상호 작용이 없게 되어 동적 가황화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각 변수 중 일부에 국한된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개질된 EPDM 고무 및 에스테르 개질된 EPDM 고무의 변형에 의해 얻어진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동적 가황화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관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8)

  1. (A)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45내지 70중량% 및 (B) (a) 탄소 원자 1000개 당 0.1 내지 16개의 에폭시기로 관능화되고, 0.01 내지 20중량%의 에폭시 함유 그라프트화 물질을 함유하는 EPDM 고무 1 내지 99중량% 및 (b) 탄소 원자 1000개당 0.1 내지 16개의 열에 불안정한 카르복실산 생성 에스테르기로 관능화되고, 0.1 내지 20중량%의 에스테르 함유 그라프트화 물질을 함유하는 EPDM 고무 99 내지 1중량%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EPDM 고무 30 내지 55중량%로 이루어진 용융 압출된 혼합물의 압출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3. 제1항에 있어서, EPDM 고무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기로 관능화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4. 제1항에 있어서, EPDM 고무가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기로 관능화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5. 방향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소 원자 1000개 당 0.1 내지 16개의 에폭시 기로 관능화되고 0.01 내지 20중량%의 에폭시기 함유 그라프트화 물질을 함유하는 EPDM 고무 및 탄소 원자 1000개 당 0.1 내지 16개의 열에 불안정한 카르복실산 생성 에스테르 기로 관능화된 EPDM 고무의 혼합물을 15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가황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방향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에폭시 기로 관능화된 EPDM 고무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기로 관능화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EPDM 고무가 열에 불안정한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기로 관능화된 방법.
KR1019920017765A 1991-09-30 1992-09-29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그의 제조 방법 KR960005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770191A 1991-09-30 1991-09-30
US767,701 1991-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106A KR930006106A (ko) 1993-04-20
KR960005083B1 true KR960005083B1 (ko) 1996-04-20

Family

ID=2508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765A KR960005083B1 (ko) 1991-09-30 1992-09-29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22893A (ko)
EP (1) EP0535849A3 (ko)
JP (1) JPH0768440B2 (ko)
KR (1) KR960005083B1 (ko)
CA (1) CA2076116A1 (ko)
TW (1) TW2154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43586A1 (de) * 1993-12-21 1995-06-22 Huels Chemische Werke Ag Haftvermittlerfreie Verbunde zwischen thermoplastischen Polyesterelastomeren und thermoplastischen Polyesterformmassen
GB9617507D0 (en) 1996-08-21 1996-10-02 Exxon Chemical Patents Inc Chemically modified elastomeres and blends thereof
US5733628A (en) 1996-10-10 1998-03-31 Tredegar Industries, Inc. Breathable elastic polymeric film laminates
US6277905B1 (en) 1999-09-23 2001-08-21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improving the toughness of PCT formulations by adding rubber impact modifiers
US6855738B2 (en) * 2003-06-06 2005-02-1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Nanoporous laminates
CN109721863A (zh) * 2019-01-23 2019-05-07 保定华月胶带有限公司 阻燃再生胶在阻燃输送带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2468A1 (de) * 1979-01-23 1980-07-31 Bayer Ag Thermoplastische polyesterformmassen mit hoher zaehigkeit
KR960014563B1 (ko) * 1987-10-01 1996-10-16 코폴리머 루버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숀 개량된 충격 강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제조방법
EP0340566B1 (en) * 1988-05-02 1994-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Reactive graft polymers
US5208287A (en) * 1990-06-18 1993-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method for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106A (ko) 1993-04-20
TW215449B (ko) 1993-11-01
JPH0768440B2 (ja) 1995-07-26
CA2076116A1 (en) 1993-03-31
US5322893A (en) 1994-06-21
EP0535849A2 (en) 1993-04-07
EP0535849A3 (en) 1993-05-19
JPH05239327A (ja) 199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324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elastomers
CN1026239C (zh) 乙丙橡胶/聚烯烃热塑性弹性体及制备方法
US4948842A (en) Polyester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CA2325785C (fr) Compositions de polyesters thermoplastiques a proprietes choc ameliorees
JPS63215710A (ja) 熱可塑性樹脂用のエポキシ基含有耐衝撃性向上剤
JPH0892441A (ja) 樹脂組成物
KR960005083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그의 제조 방법
EP0274273A2 (en) Carboxyl modified olefinic copolymer composition
CN1130195A (zh) 环烯烃聚合物
FR2801598A1 (fr) Compositions de polyesters thermoplastiques a proprietes choc ameliorees
EP0279502B1 (en) Single step bulk process for high impact polyester or polyamide master batches, products thereof and blends with polyesters or polyamides
KR100197457B1 (ko)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4956501A (en) Polyester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U605248B2 (en) Impact modified polyester resin
US5244972A (en) Single step bulk process for high impact polyester masterbatches, products thereof and blends with polyesters
JP2723552B2 (ja) 改善された衝撃強さをもつポリエステル
US5151466A (en) Single step bulk process for high impact polyester masterbatches, products thereof and blends with polyesters
EP0467958A1 (en) Polypropylene-polyester graft copolym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4977217A (en) Polyester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US5306771A (en) High rubber graft thermoplas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prepared by melt blending
EP0299486A2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CA1339171C (en) Polyester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KR0147359B1 (ko) 성형된 열가소성 물질의 외관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열가소성 개질제 조성물
US4022961A (en) Fulvene-silane adduct and ethylene interpolymers embodying same
KR0148260B1 (ko) 내충격성 폴리에스테르 마스터배치를 위한 일단계 벌크 공정, 이의 생성물 및 폴리에스테르와의 배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3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05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