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4806B1 - 전기 접속기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806B1
KR960004806B1 KR1019920021366A KR920021366A KR960004806B1 KR 960004806 B1 KR960004806 B1 KR 960004806B1 KR 1019920021366 A KR1019920021366 A KR 1019920021366A KR 920021366 A KR920021366 A KR 920021366A KR 960004806 B1 KR960004806 B1 KR 96000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reces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331A (ko
Inventor
린 첸 초우
후치시
몬신창
쿠엔 왕 딘
Original Assignee
이.아이.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아이.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filed Critical 이.아이.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93001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접속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속기 및 2개의 기판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 - II선을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하우징의 확대 사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래치 부재의 확대 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속기 및 2개의 기판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속기 및 1개의 기판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접속기의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속기 및 1개의 기판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접속기 및 1개의 기판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5 : 전기접속기 10 : 모 기판(mother board)
11 : 하우징 20 : 자 기판(daughter board)
24 : 납땜 패드 30 : 슬롯, 리세스
32 : 접촉부, 접촉단자 36 : 돌출부
40 : 지지 부재 50 : 포켓 부재
60 : 포켓 70 : 래치 부재
74 : 리테이닝 탭 76 : 지지 비임
78 : 스프링 비임 80 : 고정부
84,122 : 과도 응력 방지 탭, 멈춤 장치
90: 자유 말단 단부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여러개의 연장 기판 혹은 기판(daughter board)들이 시스템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모 기판(mother board)에 접속된다.
전기 접속기는 모 기판 상에 장착되고 자 기판의 한 연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을 가진다.
자 기판이 모 기판에 접속될 때, 자 기판의 연부는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모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삽입된다. 이때 자 기판은 모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정상적 자세를 취하기 위하여 회전한다. 연직 자세를 취하는 자 기판의 연부는 리세스 내의 접촉부 사이에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고정되어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자 기판을 수직 자세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래치 부재가 하우징의 양 단부에 일체로서 형성된다. 각 래치 부재는 자 기판의 회전 운동 동안에 자 기판에 의하여 구부러지도록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자 기판이 연직 자세를 취할 때에, 래치 부재는 자 기판이 그 측면 연부에 고정되도록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동시에 자 기판의 표면은 래치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고, 자 기판은 연직 자세를 취하도록 고정된다. 고정된 자 기판을 접속기 장치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한쌍의 래치 부재는 외측으로 구부러진다.
그러나 래치 부재는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금이 가거나 깨지거나 파괴되기 쉬워 접속기의 내구성이 떨어진다. 하우징의 일체로 연결된 자 기판의 결합, 분리가 반복될 때, 래치 부재는 탄성변형 한도를 초과하여 만곡되기 쉽고 래치 부재의 만곡부에 피로가 발생하여 점차 래치 부재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자 기판의 고정력이 약해지고 자 기판을 접속 단자에 접속하는 것이 곤란 해 진다. 때로는 래치 부재가 파괴되거나 절단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내구성을 가진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 접속기가 PC, 래치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에 사용될 경우 접속기는 높이가 낮고 크기가 작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적 목적은 낮은 높이와 소형화된 프로파일을 가진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제 1 회로 기판을 제 2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속기에 있어서, 제 1 회로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제 1 표면 및 리세스가 마련된 제 2 표면을 가지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리세스가 제 2 회로 기판의 한 연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 2 표면이 제 2 회록 기판을 제 1 회로 기판에 대하여 예정된 자세를 취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가지고, 상기 리세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제공된 지주를 포함하고, 제 2 회로 기판과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한 다수의 접촉부, 하우징의 제 2 표면에 제공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제 2 회로 기판을 래칭시키거나 래칭을 풀기 위한 한쌍의 래치 수단, 하우징의 제 2 표면에 제공되고 상기 래칭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래칭 부재의 구부러짐을 제한하는 한쌍의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래칭 수단은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여러 회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적절한 탄성 특성을 가지는 금속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한 수단은 금속 부재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탄성 중합 재료로 모울드 될 수 있다. 탄성 중합 재료는 고온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래칭 수단 및 제한 수단은 하우징의 제 2 표면 상에 일체로 모울드 성형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하우징을 제 1 회로 기판상에 장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대향 장착 레그를 가지는데, 상기 장착 레그는 하우징의 제 1 표면 상에 일체로 모울드 성형된다. 이때 장착 레그는 제 1 회로 기판의 두께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또는 장착 레그는 제 1 회로 기판의 한 연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질 수도 있다.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장착 레그의 수용부에 수용된 제 1 회로 기판의 한 연부와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의 한 연부는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있다. 하우징의 제 1 표면은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제 2 표면에 대향하여 있을 수도 있다. 하우징의 제 1 표면은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제 2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다. 하우징의 리세스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은 제 1 회로 기판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예각, 둔각 혹은 직각을 이룬다.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은 제 1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 1 회로 기판은 제 2 회로 기판을 면할 수 있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을 눌러서 소정의 자세를 취하도록 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는 제한 수단이 래치 수단의 과도한 변형을 제한하기 때문에 높은 내구성을 가진 래치 수단을 가진다. 2개의 장착 표면의 배열과 장착레그의 형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접속기의 낮은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표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경우, 제 1 회로 기판의 연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장착 레그를 사용하면 제 1 및 제 2 기판이 두께의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아서 접속기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습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도에서 전기 접속기(1)이 자 기판(20)과 함께 제공된 모 기판(10) 상에 장착되고 자 기판(20)은 접속기(1)에 의하여 모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들어, 모 기판(10)은 메모리 제어 기판이고 자 기판(20)은 단 인입선 메모리 모듈(SIMM)이다.
모 기판(10)에는 접속기(1)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구멍(16; 제 1 도에서는 단지 하나만 도시됨) 및 접촉부(32)의 납땜 꼬리(제 1 도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17)이 형성된다. 모 기판(10)의 표면은 18로 표시된다.
자 기판(20)의 양 단부에는 개구(22)가 형성되고 그 기부 측면에는 자 기판(20)의 폭의 방향으로 일련으로 배열된 납땜 패드(24)가 제공된다. 자 기판(20)의 외부 및 후방 표면은 각각 25 및 26으로 표시된다.
접속기(1)은 절연성의 탄성 중합 재료로 모울드 된 하우징(11)을 가지는데 이는 적외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이나 증기상(vapor-phase)의 납땜 공정시에 발생하는 열을 견디는 고온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은 모 기판(10) 상에 장착되는 제 1 표면(6)이 자 기판(20)이 장착되는 제 2 표면(7)을 면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11)의 제 1 표면(6)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혹은 리세스(30)이 형성된다. 다수의 접촉부(32)가 슬롯(30)을 따라 하우징(11) 상에 일련으로 배열된다. 자 기판(20) 상에 배열된 납땜 패드(24)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단자(32)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예를들어, 접촉부(32)는 제 2 도에 도시된 통상의 탄성 접촉부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1) 상의 각 접촉부(32)는 그 납땜 꼬리(34)가 제 2 도의 모 기판(10)의 구멍(17) 내에 삽입되거나 기타의 방법에 의하여 모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롯(30)의 양 단부에는 슬롯(30)내로 삽입되는 자 기판(20)의 후방 표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독출부(30)이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자 기판(20)이 후술하는 바와같이 래치 부재(70)에 의하여 고정될 때 자 기판(20)의 변형 및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우징(11)의 슬롯(30)의 양 단부에 가까운 부분에는 지지 부재(40)이 제공되고, 하우징의 양 단부(10)에는 포켓 부재(50)이 제공된다. 지지 부재(40) 및 포켓 부재(50)은 하우징(11)과 일체로 모울드 성형된다.
지지 부재(40)은 상술한 바와같이 자 기판이 연결 자세를 취할 때 모 기판(10)에 연결된 자 기판(20)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각각의 지지 부재는 지주(42)와 지주(42)의 상단에서 그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돌기(boss ; 44)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44)는 자 기판(20)의 개구(22)와 결합하여 자 기판(20)을 접속기(1)에 대하여 설치 위치에 고정시킨다.
각 포켓 부재(50)은 제 1 벽면(52), 제 2 벽면(54), 제 3 벽면(56) 및 제 4 벽면(54)에 의하여 정해지는 포켓(60)을 가지고 하우징(11)상에 대칭적으로 제공된 한 쌍의 래치 부재(70)중 하나를 수용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래치 부재(70)은 인청동 등의 금속판을 압단하는 등의 방법으로 일체의 부재로 형성된다. 래치 부재(70)은 대응하는 포켓(60)의 제 1 벽면(52)를 면하는 고정된 기부 단부(72)와 자유 말단 단부(90)을 가진다. 래치 부재(70)의 기부 단부(72)에 의하여 구성되는 리테이임 비임은 그 양단부에 리테이닝 탭(74)를 가진다. 지지 비임(26)은 리테이닝 비임(72)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스프링 비임(79)은 지지 비임(76)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고정부(80)은 스프링 비임(78)의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자 기판(20)의 외부 표면(25)에 접촉하는 고정 플레이트(82)를 가진다. 과도 응력 방지탭 혹은 멈춤 장치(84)는 스프링 비임(78)의 다른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스프링 비임(78)의 자유 말단 단부(90)은 래칭 풀림 탭을 형성한다.
래치 부재(70)은 포켓 부재(50) 내로 삽입되어 리테이닝 탭(74)가 포켓(60) 내에 장착되어 래치 부재(70)이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쌍을 이룬 래치 부재(70)은 제 1 도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우징(11)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자 기판(20)이 슬롯(30) 내로 삽입되어 접촉 단자(32)와 전기접속을 이루면, 쌍을 이룬 스프링 비임(78)은 탄성적으로 자 기판(20)의 양 측면 연부(21)을 고정한다. 자 기판(20)을 고정하기 위하여 쌍을 이룬 스프링 비임(78)의 대향 면(86)은 자 기판(20)의 폭 ND보다 약간 작은 폭 ND'를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각 래치 부재(70)의 스프링 비임(78)은 대응하는 지지 비임(76)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로 만곡하여, 쌍을 이루는 스프링 비임의 대향 표면(86) 간의 거리가 원하는 고정력을 얻기 위하여 짧아지게 된다.
돌출부(88)은 각각의 래치 부재(70)이 포켓 부재(50)의 제 1 벽면(52)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제 1 벽면(52)의 내부 표면과 돌출부(88) 간의 마찰로 인하여 래치 부재(70)이 하우징(11)에 보다 강하게 결합된다.
래치 부재(70)의 스프링 비임(78)은 포켓 벽면(54)의 제 2 벽면의 내부 표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비임(78) 및 제 2 벽면(54)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래치 부재(70)과 하우징(11)간에 강한 종 방향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자 기판(20)이 슬롯(30) 내로 삽입되어 쌍을 이룬 래치 부재(7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슬롯(30) 내에서 접촉부(32)의 탄성력이 자 기판(20)을 그 두께의 방향으로 누른다. 자 기판(20)은 이 탄성력에 버티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정의 목적으로 각각의 래치 부재(70)상에는 고정부(80)이 마련되어 있다.
쌍을 이룬 래치 부재(70)은 그 고정부(80)이 제 1 도와 같이 한 평면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각 래치 부재(70)의 스프링 비임(78)의 측면(78a) 및 래치 부재(70)에 대응하는 지지 비임(76)의 측면(76a)는 동일 평면 상에 놓이고, 각각의 스프링 비임(78)의 측면(78a)는 래치 부재(70)의 고정면(82)가 접촉부(32)의 탄성력에 대하여 자 기판(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포켓 부재(50)의 제 3 벽면(56)의 내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하우징(11)에 고정된 자 기판(20)은 그 두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각 래치 부재(70)의 고정부(80)은 자 기판(20)을 대응하는 결합 부재(40)로 유도하는 가이드 면(80a)를 가진다. 고정부는 쌍을 이룬 가이드 면(80a)의 외부 단부 사이의 간극이 그 내부 단부 사이의 간극보다 좁아지도록 만곡되고 경사져 있다. 자 기판(20)의 측면 연부와 접촉하는 각각의 가이드 면(80a)는 래치 부재(70)이 자 기판(20)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 변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도를 다시 참조하면, 접속기(1)은 하우징(11)과 일체로 모울드 성형되고 모 기판(10)의 구멍(22) 내로 삽입되는 레그(38)에 의하여 모 기판(10)에 장착된다.
자 기판(20)을 모 기판(10) 상에 제공된 접속기에 장착함에 있어서, 자 기판(20)의 기부 단부(23)은 하우징(11)의 슬롯(30) 내에 기울어져 삽입된다. 자 기판(20)이 그 기부 단부(23)이 슬롯(30) 내에 삽입되도록 회전할 때, 그 측면 연부(21)은 래치 부재(70)의 가이드 면(80b) 상을 활강하고 래치 부재(70)의 스프링 비임(78)은 밖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측면 연부(21)이 가이드 면(80a)를 통과한 후, 쌍을 이룬 스프링 비임(78)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자 기판(20) 측면 연부를 고정한다. 이 경우에 자 기판(20)의 측면 연부(21)에 대하여 작용하는 스프링 비임(78)의 탄성력은 방지 장치가 없는 경우 자 기판(20)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변형하거나 굽힐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롯(30) 내의 돌출부(36)이 자 기판(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자 기판의 후방 표면(26)에 접하여 자 기판(20)이 변형되거나 굽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비임(78)에 의하여 고정되는 자 기판(29)의 개구(22)는 지지 부재(40)의 돌기(44)와 결합하고, 자기판(20)의 외부 표면은 자 기판이 연직 자세를 취하도록 래치 부재(70)의 고정면(82)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자 기판(20)이 접속기(1) 상에 장착되고 모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자 기판을 접속기(1)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래치 부재(70)의 래칭 풀림 탭(90)을 하우징(11)의 바깥쪽으로 민다. 그러면 스프링 비임(78)은 지지 비임(76)의 접속부를 중심으로 하우징(11)의 밖으로 회전한다. 자 기판(20)은 래칭이 풀어져서 접촉 단자(32)에 의하여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자 기판(20)이 슬롯(30)내로 삽입되기 이전의 위치로 밀려 나온다. 래칭 풀림 탭(90)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Z자 형상을 가져서 밀어서 개방시킬 수 있다.
과도 응력 방지 탭(84)는 래치 부재(70)을 여러 회에 걸쳐 양호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탄성특성을 제공한다.
스프링 비임(78)이 연장되도록 밀렸을 때, 과도 응력 방지 탭(84)는 포켓 부재(50)의 제 4 벽면(58)에 접촉하여 스프링 비임(78)이 과도하게 구부러지거나 피로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탭(84)의 길이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선택된다.
래치 부재(70)을 포켓(60)에 부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자 기판(20)을 하우징(11)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본 실시예에서, 모 기판(10)과 자 기판(20) 사이의 각도가 직각이나, 이는 예각이나 둔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5 도에는 제 2 의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제 1 실시예의 요소와 동일한 제 2 실시예의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졌다. 접속기(2)의 하우징(12) 내에서 자 기판(20)은 모 기판(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어 모 기판(10)에 장착된 접속기(2)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자 기판(20)은 모 기판(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에서, 두 기판(10 및 20)은 접속기(2)와 두 기판(10 및 20)이 결합한 구조의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도록 상호 면하게 끔 지지될 수 있다.
제 2 의 실시예에서 포켓 부재(50)의 제 3 벽면(56)이 생략되었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요소와 동일한 제 3 실시예의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졌다. 접속기(3)은 모 기판(10)의 연부(100)에 장착된다.
노치(102)는 모 기판(10)의 양 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다. 다수의 납 땜 패드(106)은 어깨부(104)상에 배열되는데 상기 어깨부는 접속기(2)가 주 기판(10) 상에 장착될 때 상기 패드(106)이 접속기 장치(2)의 접촉부(32)에 접촉하도록 두 노치(102) 사이에 정해진다. 모 기판(10)의 연부(100)의 중앙부에는 구멍(108)이 형성된다.
접속기(3)의 하우징(13)은 제 1 표면(6) 및 제 1 표면(6)을 면하는 제 2 표면(7)을 가진다.
장착 부재(130)은 하우징(13)의 제 1 표면(6)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각각의 장착 부재(130)의 내부면에는 모 기판(10)의 어깨부(104)의 측면 연부(104)를 수용하기 위한 홈(132)가 형성된다.
상부 리테이닝 부재(110) 및 하부 리테이닝 부재(112)가 하우징(13)의 제 1 표면의 중심부로부터 연장한다. 하부 리테이닝 부재(112)의 내측 면 상에 모 기판(10)의 중심 개구(108)과 결합될 수 있는 돌기(114)가 형성된다.
장착 부재(103), 상부 리테이닝 부재(110) 및 하부 리테이닝 부재(112)는 하우징(13)과 함께 일체로 성형 형성된다.
접속기(3)을 모 기판(10) 상에 장착하기 위해서, 모 기판(10)의 어깨부(104)의 측면 연부(104a)는 한 쌍의 장착 부재(130)의 홈(132)에 끼워지고 하부 리테이닝 부재(112)의 돌기(114)가 모 기판(10)의 중심 개구(108)에 삽입된다. 상부 래테이닝 부재(110)은 모 기판(10)의 표면에 맞닿아 밀착되어 돌기(114)가 중심 개구(108)과 결합하도록 만든다. 상부 리테이닝 부재(110)은 또한 접촉 단자(32)의 납땜 꼬리와 모 기판(10)의 납땜 패드(106) 사이의 거리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작용한다.
하우징(13)의 제 2 표면(7)의 구조는 한 쌍의 래치 부재(120) 및 한쌍의 멈춤 장치(122)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래치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하우징(13)과 일체로 성형 형성된다.
래치 부재(120)은 그들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결합 부재(40)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자 기판(20)의 연부(21)과 맞닿아 접촉될 벽면(124)로 형성된다. 자 기판(20)의 측면 연부(21)를 지지하는 한 쌍의 돌출부(126 및 128)이 각 벽면상에 형성된다. 돌출부(126 및 128)들 사이의 거리는 자 기판(20)의 두께에 해당한다.
자 기판(20)의 삽입 측에 배치된 돌출부(128)의 표면(128a)는 자 기판(20)을 한 쌍의 돌출부(126 및 128)로 유도하기 위한 테이퍼된 가이드부를 구성한다.
래치 부재(120)은 슬롯 내에 삽입되어 세워진 자 기판(20)이 자 기판(2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도록 대향 벽면들(124) 사이의 거리가 자 기판(20)의 폭 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한쌍의 멈춤 장치(122)가 한쌍의 래치 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하우징(13)과 함께 제 2 표면(7)의 양 단부 상에 일체로 성형 형성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멈춤 부재(122)가 하우징(13)으로부터 돌출하는 막대이다. 래치 부재(120)이 하우징(13)의 외측 방향, 즉, 래치 부재(11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면, 멈춤 장치(122)는 래치 부재(120)이 과도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래치 부재(120)과 접촉한다.
자 기판(20)을 모 기판(10)에 장착된 접속기(3) 상에 장착하기 위해, 자 기판(20)의 기부 단부(23)이 래치 부재(120)의 돌출부(126)의 측면에서 경사지게 슬롯(30) 내에 삽입된다. 자 기판(20)의 기부 단부(23)이 슬롯(30) 내에 삽입된 후 자 기판(20)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된다. 자 기판(20)의 측면 연부(21)은 가이드 면(128a) 상에서 활강하여 래치 부재(120)을 밖으로 휘게 한다. 자 기판(20)의 측면 연부(21)이 돌출부(126 및 128) 사이의 공간에 도달하면, 래치 부재(120)은 탄성적으로 본래 형상을 되찾아 자 기판(20)이 연직 자세를 취하도록 자신의 양 측면 단부에서 자 기판(20)을 지지한다. 이런 방식으로, 자 기판(20)은 접속기(3) 상에 장착되어 모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기(3)으로부터 자 기판(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쌍의 래치 부재가 그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기 위해 밀린다. 벽면(124)는 하우징(13)의 길이 방향으로 밖으로 휘어져 자 기판(20)이 지지력으로부터 자유로와진다. 자 기판(20)은 접촉부(32)의 탄성 압력에 의해 자 기판(20)이 삽입 전에 배치된 본래 위치로 밀려 나온다.
자 기판(20)의 부착 및 분리 과정 중에 래치 부재(120)이 구부러질 때 래치 부재(120)의 과도한 구부러짐이 멈춤 장치(122)에 의해 방지되므로 래치 부재(120)의 내구성이 증가된다.
제 4 실시예가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제2 및 제 3 실시예의 요소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전기 접속기(4)는 한 쌍의 장착 부재(140)이 제 3 실시예의 것과 다른 형태를 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각 장착 부재(140)은 모 기판(10)의 연부(14)를 지지하기 위한 포크(fork)를 구성한다. 이들 장착 부재(140)으로 인해 접속기 장치(4)는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 기판(10) 상에 형성된 어깨부(104)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모 기판(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가 제 9 도에 도시되고 있다. 제1,제2,제3 및 제 4 실시예의 요소와 동일한 요소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 접속기(5)에 있어서 제 4 실시예의 플라스틱 래치 부재(120)은 제1 및 제 2 실시예의 금속 래치 부재(70)으로 대체된다. 다시 말하면, 포켓 부재(50)이 하우징(15)의 제 2 장착표면(7)의 양 단부 상에 하우징(15)와 일체로 성형 형성된다. 금속 래치 부재(70)은 해당 포켓 부재(50)에 삽입된다. 커넥터(5)는 또한 높이가 낮게, 즉 낮은 프로필을 갖도록 제작된다. 자 기판(20)은 제1및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과정으로 접속기 장치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전기 접속기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3 실시예의 플라스틱 래치 부재(120)은 제1 및 제 2 실시예의 금속 래치 부재(7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역으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금속 래치 부재는 제3 및 제 4 실시예의 플라스틱 래치 부재(12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제3 및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돌출부(36)과 동일한 것들이 자 기판(20)의 변형 및 만곡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3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 2개 이상의 슬롯(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자 기판(20)이 한 쌍의 래치 부재 등을 각 슬롯(30)에 삽입함으로써 단일 접속기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래치 부재의 구부러짐이 정지 부재에 의해 제한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는 래치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회로 기판의 접속기에의 결합 및 그로부터의 분리가 반복되더라도 안정되고 강한 지지력이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 2 회로 기판과 마주보는 하우징의 표면이 제 1 회로 기판의 단부 상에 장착되므로, 접속기의 조립체 및 2개의 회로기판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바와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0)

  1. 제 1 회로 기판을 제 2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기에 있어서, 제 1 면과 제 2 면의 양면을 가지는 제 1 회로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제 1 표면과 리세스가 형성된 제 2 표면을 가지는 절연 하우징 ; 상기 제 2 회로 기판과 접속을 이루도록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된 다수의 접촉부 ; 하우징의 상기 제 2 표면 상에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 1 회로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래치시키거나 래칭을 풀기 위한 한쌍의 래치 부재 ; 및 상기 래치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표면 상에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래치 부재의 만곡을 제한하는 한쌍의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제 1 표면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 1 회로 기판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하나의 연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두개 이상의 장착 레그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제 1 표면이 상기 두개 이상의 장착 레그들 사이의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상기 제 1 회로 기판의 하나의 연부의 하나 이상의 면과 결합하는 리테이닝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제 2 표면에 형성된 상기 리세스가 상기 제 2 회로 기판의 한 연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리세스 내로 수용된 상기 제 2 회로 기판이 제 1 회로 기판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제 2 표면이 상기 제 2 회로 기판을 상기 제 1 회로 기판에 대하여 예정된 자세를 취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세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제공된 한쌍의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이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이 여러 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탄성 특성을 가지는 금속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수단이 상기 금속 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탄성 중합체 재료로 모울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재료가 고온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이 하우징의 제 2 표면 상에 일체로 모울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가 하우징의 제 2 표면 상에 일체로 모울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하우징을 제 1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대향 장착 레그를 가지고, 상기 장착 레그가 하우징의 제 1 표면상에 일체로 모울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레그가 제 1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레그가 제 1 회로 기판의 한 연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장착 레그의 장착부에 수용된 제 1 회로 기판의 한 연부와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의 한 연부가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 1 표면이 하우징의 제 2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 1 표면이 하우징의 제 2 표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이 제 1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이 제 1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 제 1 회로 기판이 제 1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이 제 1 회로 기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제 1 회로 기판이 제 2 회로 기판을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제 2 회로 기판을 소정의 자세를 취하도록 눌러주는 2개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KR1019920021366A 1991-11-14 1992-11-13 전기 접속기 KR960004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3544U JPH0587859U (ja) 1991-11-14 1991-11-14 コネクタ装置
JP91-93544 1991-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331A KR930011331A (ko) 1993-06-24
KR960004806B1 true KR960004806B1 (ko) 1996-04-13

Family

ID=1408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366A KR960004806B1 (ko) 1991-11-14 1992-11-13 전기 접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78247A (ko)
JP (1) JPH0587859U (ko)
KR (1) KR960004806B1 (ko)
GB (1) GB2261559B (ko)
HK (1) HK1000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580Y2 (ja) * 1993-05-31 1999-05-31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SG48362A1 (en) * 1996-06-25 1998-04-17 Thomas & Betts Corp Single-sided straddle moun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FI20001693L (fi) * 1999-11-01 2001-05-02 Smk Kk Liitin
US6790052B2 (en) 2000-02-14 2004-09-14 Molex Incorporated Circuit board straddle mounted connector
TW545722U (en) * 2002-09-25 2003-08-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234960B2 (en) * 2004-06-21 2007-06-26 Computer Network Technology Corporation Guide pin with transverse protrusions for properly positioning a guide pin for attachment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7416452B1 (en) 2007-03-15 2008-08-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9212002A (ja) * 2008-03-05 2009-09-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CN103199366A (zh) * 2012-01-05 2013-07-10 艾恩特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及使用该电连接器的电子装置
TWI614944B (zh) * 2013-01-17 2018-02-11 星電股份有限公司 基板邊緣連接器
JP7324486B2 (ja) * 2019-05-20 2023-08-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7833A (en) * 1971-05-12 1973-06-05 Honeywell Inf Systems Ribbon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feed thru connector
US4832617A (en) * 1988-03-31 1989-05-23 Foxx Conn International, Inc. Circuit board socket,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850891A (en) * 1988-04-04 1989-07-25 Augat Inc. Memory module socket
US4826446A (en) * 1988-05-04 1989-05-02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pins and assemblies
US4946403A (en) * 1989-08-24 1990-08-07 Amp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circuit panel socket
JP2704553B2 (ja) * 1989-09-22 1998-01-2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エッジ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用基板係止装置
US5046955A (en) * 1990-01-09 1991-09-10 Amp Incorporated Active connector assembly
US4995825A (en) * 1990-03-19 1991-02-26 Amp Incorporated Electronic module socket with resilient latch
US5013257A (en) * 1990-06-27 1991-05-07 Amp Incorporated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 system
EP0469324B1 (en) * 1990-07-16 1996-09-11 Molex Incorporated Metal latch for SIMM socket
US5094624A (en) * 1990-12-18 1992-03-10 Molex Incorporated Metal latch for SIMM socket
JPH04149974A (ja) * 1990-09-28 1992-05-22 Taiwan Toho Kofun Yugenkoshi コネクタ装置
US5100337A (en) * 1991-01-22 1992-03-31 Lee Chao Kuei L Electrical connector for exerting multiple elastic forces
US5041005A (en) * 1991-02-10 1991-08-20 Amp Incorporated Low profile cam-in SIMM socket
US5061201A (en) * 1991-04-08 1991-10-29 Kenny Tuan Contact element of electrical connector having high clamping force
US5286217A (en) * 1991-08-15 1994-02-15 Foxconn International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 mechanism
US5145396A (en) * 1991-11-13 1992-09-08 Amphenol Corporation Combo SIMM connector
US5154627A (en) * 1991-11-20 1992-10-13 Lee Chih Ta Electrical connector insertably fixed with simplified metal latches
JPH0587861U (ja) * 1992-01-16 1993-11-26 デュポン・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109284B2 (ja) * 1992-09-24 2000-11-13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水性マスキング用ラテ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78247A (en) 1995-12-26
HK1000391A1 (en) 1998-03-20
GB9223644D0 (en) 1992-12-23
KR930011331A (ko) 1993-06-24
JPH0587859U (ja) 1993-11-26
GB2261559A (en) 1993-05-19
GB2261559B (en)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309Y1 (ko) 래치 클립이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커넥터
US5971809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960002140B1 (ko) 인쇄 회로 기판의 차폐 전기 커넥터
KR970000291Y1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JP2685287B2 (ja) 多接点組立体および可撓接点部材
US6955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board hold down
JPH10511212A (ja)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のための改良されたラッチ及び固定用部材
US6086418A (en) Electrical connector
US616499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atching device
US5660557A (en) Shroud latch for electrical connectors
KR960004806B1 (ko) 전기 접속기
CN111370887A (zh) 板端连接器
JPH04229965A (ja) ラッチ装置付き回路板用コネクタ
KR930009173A (ko) 전기 소켓
US6466452B2 (en) Socket
EP0478364B1 (en) Connector device
JP3359979B2 (ja)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KR950004987B1 (ko) 전기 커넥터
US6024592A (en) Card connector
US5860825A (en)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
US5938463A (en)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73061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pring metal latch mechanism
US4968259A (en) High density chip carrier socket
US5669782A (en) Electrical connector
CN211605459U (zh) 板端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1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5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60705

Appeal identifier: 1995201002441

Request date: 19951023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10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507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32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6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6030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