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3378B1 - 백신 제제 - Google Patents

백신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378B1
KR960003378B1 KR1019890004640A KR890004640A KR960003378B1 KR 960003378 B1 KR960003378 B1 KR 960003378B1 KR 1019890004640 A KR1019890004640 A KR 1019890004640A KR 890004640 A KR890004640 A KR 890004640A KR 960003378 B1 KR960003378 B1 KR 96000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cine
ctb
ltb
mice
anti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476A (ko
Inventor
신이찌 다무라
다께시 구라따
찌가라 아이자와
다까시 나가미네
Original Assignee
고꾸리쯔 요보 에이세이긴뀨쇼
오오야 아끼라
기다사또 겐꾸쇼(샤단호우진)
미즈노에 기미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꾸리쯔 요보 에이세이긴뀨쇼, 오오야 아끼라, 기다사또 겐꾸쇼(샤단호우진), 미즈노에 기미후사 filed Critical 고꾸리쯔 요보 에이세이긴뀨쇼
Publication of KR90001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3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2Mucosal route oral/gastrointes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3Mucosal route intranas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44Bacterial tox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백신 제제
제1a~1d도 본 발명의 백신을 투여 후, 1차 항체 생산을 나타내고,
제2도 본 발명의 백신 제제 투여에 의한 폐내 바이러스 감염수의 변동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백신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 성분으로서 독소나 그의 서브유니트를 함유하는 백신 제제에 관한 것이다.
백신은 각종 질병의 예방에 사용되어졌고, 좋은 결과를 제공해 왔다. 그러나, 때때로 부작용이나 불충분한 효과가 관찰되어 백신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생기게 되었다. 백신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보다 정제된 백신을 제조하거나, 백신의 투여량을 줄이는 시도를 해왔으나, 이러한 시도는 백신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현재 사람에 대한 여러 가지 백신은 병원체나 병원체의 일부를 취출하여 재료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병원체를 구성하는 성분이나 병원체를 증식시키는 배지의 성분이 백신에 혼입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이것이 백신 접종시 부작용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증가된 면역력을 가지며,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백신의 접종량을 감소하거나, 접종경로를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여러 종류의 개선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백신을 박테리아 독소, 특히 콜레라 독소, 스타필로코쿠스 α-용혈소, 스타필로코쿠스 δ-용혈소, 비브리오균 내열성 용혈 독소, 백일해 독소나 대장균 열 불안정성 독소 또는 그의 서브유니트와 함께 투여함으로써 백신의 면역력을 증강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백신의 사용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면역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오히려 면역력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한 백신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독소 또는 그의 서브유니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박테리아 독소를 함유하는 백신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콜레라 독소, 스타필로코쿠스 α-용혈소, 스타필로코쿠스 δ-용혈소, 비브리오균 내열성 용혈 독소, 백일해 독소 또는 대장균 열 불안정성 독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박테리아 독소를 함유하는 백신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독소의 서브유니트가 B 서브유니트인 백신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인플루엔자 백신, 백일해 백신, 백일해 백신과 배합된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의 톡소이드, 일본 뇌염백신, B형 간염 백신, 로타 백신, 마진백신, 풍진백신, 유행성 이하선염백신, 마진, 풍진, 유행성 이하선염의 혼합백신 또는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백신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목적은 백신과 독소 또는 그의 서브유니트의 혼합비가 1 : 0.0001~1 : 10,000(w/v%)로 구성되는 백신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목적은 점비(点鼻) 백신을 함유하는 백신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목적은 주사제, 분무제 또는 경구투여형태인 백신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백신으로서 인플루엔자 백신을 박테리아 독소로서 콜레라 독소(이하, CT라 함) 및 콜레라 독소 B서브유니트(이하, CTB라 함)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비강내 접종된 백신에 대한 국부적인 면역조절제로서, 비브리오 콜레라에 의해 생산되는 단백질 내 독소인 콜레라 독소에 대해 주목해 왔다. 콜레라 독소는 소장의 점막에 작용하여 콜레라 설사를 일으킨다. 또한, 이 독소는 IgA항체 생산을 유도하는 강한 면역원일 뿐만 아니라, 독소와 동시에 투여된 타의 단백질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증강하는 면역 조절제로서 알려져 있다.
이들 CT의 효과는 CT가 장관세포에 대하여 세포내 cAMP 레벨을 증가시키는 작용으로서 한정된다. 그 작용은 CT를 구성하는 A, B 2개의 서브유니트 중 CTB가 세포막의 CM1강글리오시드와 결합하여 콜레라 독소A 서브유니트가 세포내에 들어가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작용 메카니즘은 명백하지 않으나, CT의 면역 증강작용은 그 자신에 독성이 없다고 고려되는 CTB와 타의 단백질 항원을 장내에 동시에 투여한 때에도 일어나는 것이 나타나고 있으며, 유망한 국부면역 반응의 증강제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사실은 CT 및 CTB가 장점막에서 뿐만 아니라, 호흡점막에서도 보다 독성이 적은 형태로 공존하는 항원에 대한 국소 면역반응을 증강하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마우스에 있어서, 비강내 접종한 인플루엔자 HA백신(이하, HA백신이라 함)에 대한 국부 및 혈중 항체 생산에 미치는 CT와 CTB의 증강효과를 검토했다. 또한 백신효과의 증강제로서 CT와 CTB의 유용성에 대해 검토했다.
비강내 접종된 HA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의 CTB에 의한 증강 :
마우스의 비강에 접종된 HA백신(A/Yamagata)에 대한 항체생산과 여기에 미치는 CTB의 영향을 검토했다. 동시에 비강내 접종의 결과를 타의 경로에서의 결과와 비교했다.
항체생산은 HA백신(2㎍) 단독 또는 CTV(5㎍)과 함께 마우스 비강내(또는 복강내 또는 피하)에 적하 후, 4주째의 마우스의 혈청 및 비강 세척액중의 각각 혈구응집소억제(이하, HI라 함) 및 인플루엔자 특이 IgA항체(이하, HA-IgA항체라 함) 및 CTB 특이성 IgA항체(이하, 항 CTB-IgA항체라 함)를 측정함으로서 결정하였다.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A백신을 단독으로 비강내에 접종한 때에는 낮은 레벨의 HI항체밖에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CTB와 함께 투여하면 혈중의 HI항체가 단독의 경우보다 64배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코 세척액중에도 HA-IgA, 항 CTB-IgA가 검출되었다. 한편, 복강이나 피하접종시 백신만의 접종군에서도 혈중에 높은 HI항체가 검출되며, CTB 공존하에서는 4~8배 높은 생산이 보여졌다. 그러나, 코 세척액중에는 항 HA-IgA가 항 CTB-IgA 모두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그 결과, 비강 경로에서 HA백신을 CTB와 함께 접종한 때에만 국소의 항 HA-IgA가 증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 2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혈청중에는 항 HA-IgA는 검출되지 않았다.
HA백신과 CTB의 비강내 접종후의 1차 항체생성의 경과 :
비강 경로에서 HA백신 2㎍(A/Yamagata)과 CTB 5㎍을 접종하고, 마우스에서 항체 생성과정을 검토하였다.
제1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TB 존재하에서 혈중의 백신에 대한 HI항체생산은 1~2주 동안 급격히 증가하고, 그 후 4주까지는 서서히 증가했다. 코세척액에서 IgA의 총량은 접종 1~2주 후 대조군보다 거의 6배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여 최대 레벨에 도달하였다. 또한 여기에 함유된 항 HA-IgA는 1주째부터 4주째까지 서서히 계속 증가했다.
코 세척액에서 항 HA항체는 CTB와 백신을 모두 투여한 후, 거의 2주경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였다.
HA백신에 대한 1차 및 2차 항체 반응상 CTB의 영향 :
항 HA항체 반응상 CTB(5㎍)와 각종 양의 HA백신(A/Yamagata)의 영향을 검토했다. CTB와 함께 여러 종류의 HA백신 투여량의 1차 마우스의 비내 접종 4주후 1차 항체 생산을 검사한 다음, HA백신(2㎍)을 단독으로 마우스의 비강내 접종 후 2주째 2차 항체 생산을 검토하였다.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A백신 8㎍을 단독으로 접종하여도 낮은 수준의 1차 항체생산이 관찰되었다. 한편, CTB와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는 접종량이 0.03㎍에서도 항체생산이 인식되었으며, 그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혈중의 HI항체, 국부의 HI-IgA는 함께 증가하였다. 더욱이 1차 접종 후 HA백신만을 2차 접종한 마우스에서, 항 HI 및 항 HA-IgA항체 생산수준이 대폭 증가되었으며, CTB와 함께 접종된 1차 HA백신 투여와는 무관하였다. CTB 및 HA백신 1차 접종을 받은 마우스는 극히 높은 수준의 항 HI와 HA-IgA항체생산을 보여주었으며, 1차 HA백신 접종량과는 무관하였다. 특히, 코의 항 HA-IgA항체의 레벨은 1차 접종후보다 약 50~100배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1차 접종된 CTB가 2차 접종시 HA백신량과는 상관없이 항체 생산을 강하게 자극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CTB는 공존하는 비교적 낮은 농도의 백신에 대해서도 HA백신에 대한 코의 IgA항체 생산을 위한 면역학적 메모리 효과를 강하게 유도하는 작용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마우스 면역반응 증강 작용과 감염 저항성상의 CTB의 영향 :
CTB에 의해 HA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은 증강되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는 지를 마우스 순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PR8주를 사용하여 검토했다. PR8주 바이러스 HA백신(1.5㎍)과 CTB(5㎍)을 마우스의 비강내에 접종하고, 4주째에 PR8주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감염 3일 후, 마우스폐내의 바이러스 양을 감염 저항성의 지표로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신과 CTB를 함께 접종하고, 접종후 4주째에 높은 혈중 HI항체와 코의 항 HA-IgA항체를 생산하고 있는 마우스에서는 폐중에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전혀 침범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바이러스 감염 후, 3일째 폐내 바이러스 양이 감염 저항성의 지표로 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HA백신을 CTB와 함께 마우스에 접종하고, 4주째 PR8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감염 후의 마우스 폐내 바이러스 양의 변동을 검토하였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염 3일 후 폐내 바이러스가 <100.5의 마우스는 감염 1일째에서 이미 폐내에 검출되지 않았고, 그 후 적어도 8일 후까지 그 상태가 계속하여 생존하였다. 한편, 백신에 대한 항체생산이 거의 보이지 않는 대조군에서는 1일째에 폐내의 바이러스양의 증가가 보여지며, 3일째에 최대 바이러스양에 달하였다. 이들 대조군의 마우스에서는 감염 6일째부터 사망, 비면역 마우스에서는 8일째 마우스 9마리중 마우스 6마리가 사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존한 마우스 3마리도 폐내의 병이 심하여 수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CTB만 또는 HA백신만을 접종한 마우스의 그룹에서도 비면역 마우스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 3일 후의 폐내 바이러스 양이 감염저항성의 지표로 되는 것이 명백하다.
CTB 또는 CT의 HA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의 증강과 감염 저항성 :
PR8주 바이러스 HA백신(1.5㎍)을 여러 가지의 농도의 CT 또는 CTB와 함께 비강내 접종하고, 4주 후의 항체생산과 PR8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검토했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CTB가 0.05㎍에서도 다소의 감염저항성을 나타내나, 5㎍을 첨가한 때 완전한 방어를 나타냈다. 또한, 감염저항성의 증대는 백신과 CTB 접종 4주째의 코 세척제의 항 HA-IgA의 증가나 혈중의 HI항체 생산의 증가와 평행하여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CT는 0.05㎍이상의 어떤 농도에서도 완전한 감염 방어를 하고, 이들 조건하에서는 CT의 농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혈중의 HI항체나 코 세척제의 IgA항체의 증가가 인식되었다. 이것은 CT는 CTB의 1/10 농도에서도 완전한 감염방어에 필요한 혈중의 HI항체나 코 세척액의 HA-IgA의 생산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부작용이 없다면 CTB 보다도 CT 쪽이 저농도에서 유효한 어쥬번트(adjuvant)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R8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완전한 방어를 위해서는, 마우스 혈중에 HI항체가 항체가로 32배 이상, 국부항체가 항 HA-IgA로서 2단위 이상 존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표 1에서, 여러 가지 박테리아 독소의 어쥬번트 작용을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2
[표 2]
CTB에 의한 인플루엔자 HA백신(A/Yamagata)에 대한 항체반응의 증강과 접종 경로에 의한 증강효과의 비교
Figure kpo00003
[표 3]
CTB에 의한 HA백신에 대한 1차 및 2차 항체반응의 증강과 HA백신 접종물의 영향
Figure kpo00004
[표 4]
CTB에 의한 HA백신(PR8)에 대한 항체반응의 증강과 감염저항성
Figure kpo00005
[표 5]
CTB 또는 CT에 의한 HA백신(PR8주)에 대한 항체반응의 증강과 감염 저항성
Figure kpo00006
상기 설명으로부터, 다음 사실들을 발견했다.
(1) CT 및 CTB는 공존하는 인플루엔자 HA백신에 대한 항체생산을 증강한다.
(2) 백신을 CTB와 함께 비강 경로로 접종하면 혈중의 HI항체생산과 함께 국부 비강내의 항 HA-IgA 생산도 증강되었다. 한편, 복강이나 피하 경로로 접종한 경우에는 국부의 HA-IgA 생산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혈중에는 높은 HI항체생산이 출현된다. 즉, CTB는 접종경로에 관계없이 항체생산 증강작용이 있다. 이 사실은 후술하는 CT, CTB, 스타필로코쿠스 α-용혈소, 스타필로코쿠스 δ-용혈소, 비브리오균 내열성 용혈독소, 백일해 독소 또는 백일해 독소 함유 대장균 열안정 독소, 백일해 독소와 조합된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 B형간염 백신, 일본뇌염 백신, 마진백신, 풍진백신,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 혼합백신, 로타 백신 또는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의 혼합 투여는 백신 단독 투여에 비해 높은 항체가를 나타낸다.
즉, 독소 및 그의 서브유니트를 함께 투여함으로써 백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백신과 CTB를 비강 경로로 접종하면 코의 국부의 항 HA-IgA는 2주에서 4주째까지 그의 생산량이 계속 증가한다.
(4) 백신과 CTB를 비강 경로로 접종한 때 4주째의 항체생산은 접종에 사용하는 백신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5) 백신과 CTB를 마우스 비강 경로로 1차 접종한 후, 4주째 백신만을 동일경로로 2차 접종하면 그 2주후의 항체 생산은 1차 접종에 사용한 백신의 양에 관계없이 대단히 높게 된다. 따라서 CTB는 강한 메모리 효과를 나타낸다.
(6) 백신과 CTB를 비강 경로로 접종 다량의 혈청항체나 국부 HA-IgA를 생산하고 있는 접종 후 4주째에는 인플루엔자에 대한 감염이 성립하지 않는다.
본 실험조건에서, 혈중 HI가가 32배 이상, 국부 항체가가 2단위(unit) 이상을 갖는 마우스에서는 PR8주 마우스 감염에 대한 방어가 성립했다.
(7) 백신과 함께 비강경로로 접종될 때 완전한 바이러스 감염방어에 요하는 항체 생산을 위하여 필요한 CTB의 양도 ㎍의 차수이었다. 한편 CT의 경우, CTB의 1/10이하의 농도에서도 완전한 감염 방어에 필요한 항체 생산을 유도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독소나 그의 서브유니트 예컨대 CT나 CTB는 공지의 조제법에 의해 조제될 수 있으나, 모두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를 사용할 수 있다. CT는 대량 투여될 때 유독하나, 소량이면 비강내 또는 복강내 투여될 때는 독성이 없다. CTB는 보다 덜 유독하고, 비강내투여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다. 그외 독소의 예로는 스타필로코쿠스 α-용혈소, 스타필로코쿠스 δ-용혈소, 비브리오균 내열성 용혈 독소, 백일해 독소 및 대장균 열불안정성 독소를 들 수 있다.
백신의 예로는 인플루엔자 백신, 백일해 백신, 백일해와 조합된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의 톡소이드, B형 간염 백신, 일본 뇌염 백신, 마진 백신, 풍진백신,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마진, 풍진, 유행성 이하선염의 혼합백신, 로타백신과 마이코플라즈마 백신 등이다. 이것들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각종 백신의 제조법, 성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플루엔자 백신 : 수정란에서 증식된 바이러스를 에테르 및 세제로 정제하거나, 유전공학 기술 또는 화학적 합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혈구응집소(HA), 뉴라미니다제(NA), 헥단백질(NA) 및 기질 단백질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백신
백일해 백신 : 보르데텔라 백일해(Bordetella Pertusis) 박테리아 세포 또는 배양액을 염석 또는 초원심분리, 유전공학 기술 또는 화학적 합성으로 추출한 포르말린으로 무독화한 것에서 얻어지는 백일해 독소(PT), 혈구 응집소(FHA) 및 K-응집소 또는 그의 일부 등을 함유하는 백신.
백일해 백신 배합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 : 백일해 백신,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로 혼합된 백신.
일본 뇌염 백신 : 마우스 내에서 증식한 바이러스를 원심분리 또는 에틸알코올로 바이러스 입자를 정제하고, 불활화시키거나, 유전공학 기술 또는 화학적 합성으로 얻어진 항원성 단백질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백신.
B형 간염 백신 : B형 간염 보균 혈액을 원재료로 하여 염석 또는 초원심을 이용하여 HBs 항원을 분리, 정제한 것 또는 유전공학 기술 또는 화학적 합성으로 얻은 항원성 단백질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백신.
마진 백신 : 배양된 병아리 태아세포나 수정란에서 증식된 바이러스 또는 유전공학 기술이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얻어진 감염 방어 항원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성되는 백신.
풍진 백신 : 배양된 병아리 태아세포나 수정란에서 증식된 바이러스 또는 유전공학 기술이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얻어진 감염 방어 항원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백신.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 배양된 병아리 태아세포나 수정란에서 증식된 바이러스 또는 유전공학 기술이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얻은 감염 방어 항원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백신.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 혼합백신 :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을 혼합하여 구성한 백신.
로타 백신 : 배양 MA 104 세포에서 자라거나, 환자의 변에서 분리한 바이러스 또는 유전공학 기술이나 화학적 합성으로 얻은 감염 방어 항원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백신.
마이코플라즈마 백신 : 마이코플라즈마를 위한 액상 배지에서 자란 마이코플라즈마 세포 또는 유전공학 기술이나 화학적 합성으로 얻은 감염 방어 항원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는 백신.
상기 백신들은 액상이나 분말형태로 제공된다.
독소 또는 그의 서브유니트와 함께 비강내 분무, 적하, 연고 또는 주사 같은 비강내 투여를 위해서는 액상백신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강내 분무 분말도 이용될 수 있다. 마우스에서 비강내 투여량은 5㎕~50㎕, 사람의 비강내 또는 주사투여량은 0.1~0.5㎖가 적당하다. 또 이런 투여량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백신 및 독소 또는 그의 서브유니트 혼합비는 1 : 0.0001~1 : 10,000(w/v%)이고, 투여량에 좌우된다.
본 발명의 백신은 상기 백신에 독소 또는 그의 서브유니트를 소정의 비로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조제는 철저히 무균된 상태로 시행되어야하고, 각 원재료도 무균되어야 한다. 물론, 백신작용외에 필요없는 파이로젠이나 알레르기원이 되는 단백은 가능한 한 완전 제거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백신 제제는 백신 자체 및 독소 또는 그의 서브유니트를 각각 조제, 제거하여 사용시에 혼합하거나 또는 별도로 동시에 투여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참고예는 인플루엔자 백신 및 CT 또는 CTB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백신 및 백신의 효과를 설명하는 것이다.
[참고예]
동물 : 암컷 Bal b/c 마우스, 6~8주령
HA 백신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에테르 처리하여 지질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HA백신을 제조한다. 이 HA백신중에는 HA성분이 약 30% 함유되어 있다. 표 2~5에서의 접종량은 HA양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CT 및 CTB : 콜레라 독소(CT) 및 그의 서브유니트(CTB)는 시그마 화학회사(Sigma Chemical Co.,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되는 CTB에는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에서 A 서브유니트의 혼입은 검출되지 않았다.
[면역화]
백신 제제는 HA백신 또는 어쥬번트를 인산염 완충액(PBS)으로 희석하여 제조한다. 마우스는 아모바르비탈 나트륨을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한 후, 백신제제 20㎕를 비강내 적하 접종으로 면역화되었다. 또는 백신 100㎕의 피하 또는 복강내 투여로 마우스를 면역화할 수 있다.
혈청 및 세척제 시료 : 혈청시료는 마우스 심장에서 피를 완전히 뽑아내어 채취하였다. 코 세척제시료는 비강을 총 PBS 1㎖로 각각 2회 세척하여 얻었다.
적혈구 응집 억제(HI) 시험 : HI값 측정을 위해 혈청을 수용체 파괴효소(RED)에 의해 혈청중 비특이적 혈구응집억제 물질을 제거한 후 제조된다. 혈청을 U자형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2배 시리즈로 희석하고, 16HA 유니트의 바이러스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그후, 병아리 적혈구 세포를 가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결정하였다.
항 HA-IgA, 항 CTB-IgA 및 IgA의 측정 : 코 세척제 및 혈청에서 항 바이러스성 IgA, 항 CTB항체 및 총 IgA를 ELIS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96-웰 EIA 플레이트(half-area, Costar, Cambridge, MA)의 웰을 5㎍/㎖ HA백신 또는 CTB 50㎕로 코팅하였다. 이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TBS-트윈으로 3회 세척하였다. 1% 소혈청 알부민(BAS) 및 0.1% NaN3을 함유한 PBS용액(100㎕)을 웰에 가해 코팅하고, 4℃에서 밤새 동안 반응시켰다. PBS-트윈으로 세척한 후, 혈청 또는 코 세척제 시료의 각 샘플을 웰에 가했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PBS-트윈으로 세척하였다.
알칼리-포스파타제-결합 고우트 항마우스 IgA(α-고리 특이성, 1 : 000, Zymed연구소, Inc., U.S.A) 50㎕를 각 웰에 가했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방치시킨 후 PBS-트윈으로 세척하였다. 끝으로, pH 9.8의 10% 디에탄올 아민 완충액에 현탁한 p-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 1mg/㎖(Sigma Co.)를 각 웰에 가했다.
20~30분 후, 플레이트의 흡광도를 SJeia 자동 판독기(모델 ER-8000, Sanko Junyaku Co., Tokyo)로 410nm(0D410)에서 쟀다. 검량선은 플레이트별로 만들고 각 시료의 값은 SJeia 자동판독기에 내장되어 있는 2차의 로지트-로그식에 의해 희귀한 검량선에 기초로 하여 결정했다.
항HA-IgA 정량의 표준액으로서는 HA백신을 비강내에 2주 간격으로 5회 접종한 마우스의 코 시료를 8유니트로 결정하여 사용했다. 총 IgA의 정량에는 우선 1㎍/㎖의 고우트 항 마우스 IgA를 각 웰에 50㎕씩 가하는 조작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조작하였다. 총 IgA 정량의 표준액으로서는 마우스의 정제 IgA 미에로마(Miles Labs. U.S.A)를 사용하였다.
PR8 바이러스에 의한 마우스의 감염 : 마우스를 마취시킨 다음, 0.01% BSA함유 바이러스 현탁액을 마우스 좌측 비강내에 20㎕ 적하하여 감염시켰다. PR8 바이러스는 흰족제비에 148대, 마우스에 596대, 부화계란에 72대 계대한 감염값 108.5EID50인 윈 바이러스 풀의 1/5,000~10,000 현탁액으로 제조하였다. 이 감염조건에서, 비면역 마우스의 90% 이상이 14일 이내에 사망하거나, 폐 경화를 형성했다.
폐에서의 바이러스량의 측정 : 감염 3일 후, 마우스 폐를 적출하고, 분쇄하여 PBS로 10% 현탁액을 만든다음, 2500rpm에서 원심분리한 상층을 10배 시리즈로 희석한 후, 각 희석액을 5개의 부화계란에 투여하였다. 난(卵)내에서의 바이러스의 증식은 장뇨액의 적혈구 응집능력으로 결정하고 감염을 나타낸 난에 접종한 폐 현탁액의 최저 희석의 값을 EDI50에 의해 결정하고 마우스의 폐 바이러스가로 했다.
폐 바이러스가는 평균치 ±SD로 나타내었다.
몇 가지 실험에서, 한 군 5마리 마우스의 폐를 합하여 폐 현탁액을 만들었다.
감염율 : 감염율 값은 바이러스가 실험 마우스 5마리당, 호모게네이트(10%) 중에 >101에서 존재하는 감염 마우스의 수로 나타낸다.
통계 : 확률 값은 스튜던트(Student's) t-시험으로 계산하였다. 다음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플류엔자 NA 백신-CTB제제(점비제)의 조제 : 인플루엔자 HA백신(1mg HA/㎖)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CTB를 혼합하여 인플루엔자 HA백신(1.5~2㎍) 및 CTB(3.5~250㎍)를 함유하도록 하여 인플루엔자 HA백신-CTB 점비 제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
인플루엔자 HA백신-CTB(주사제) : PBS에 용해, 무균 여과한 인플루엔자 HA백신(1㎖ HA/㎖)과 CTB를 혼합하여 인플루엔자 HA백신(1.5~2㎍) 및 CTB(2.5~250㎍)을 함유하도록 조제하고 적당한 방부제 및 안정제를 가하여 유리병에 채워 인플루엔자 HA백신-CTB주사제를 조제했다. 백신 제제는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백신 제제의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3]
B형 간염 백신-CTB(주사제) : B형 간염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CTB를 무균 여과한 후, 혼합하여 HBs항원(40㎍ 단백질) 및 CTB(2.5~250㎍)를 함유하도록 조제하고 적당한 방부제 및 안정제를 가해 유리병에 채워 B형 간염 백신-CTB 주사제를 조제했다.
이 백신제제를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이렇게 조제한 B형 간염 백신 및 CT를 마우스에 접종하고 3주후 혈중 항체 생산을 조사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B형 간염 백신만을 접종된 마우스에서는 수신 적혈구 응집(PHA)역가 25.6유니트를 나타냈고, CT를 첨가하여 투여한 마우스는(PHA) 역가 26.6유니트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항체 생산이 증가된 것이다.
[표 6]
CT에 B형 간염 백신 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증가
Figure kpo00007
항체가를 수신 혈구 응집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항체가는 마우스 5마리의 평균치
[실시예 4]
백일해 백신-CTB(점비제) : PBS에 용해, 무균 여과한 백일해 백신 및 CTB를 혼합하여 20㎕중에 백신(14㎕ 단백 질소)과 CTB(25~250㎍)를 함유하도록 조제하고 적당한 방부제 및 안정제를 가해 병에 채워 백일해 백신-CTB의 코에 넣는 투여제제를 조제한다.
본 제품은 10℃이하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 또는 CT를 백일해 백신 20㎕(13㎍ 단백 질소)에 가하고, 마우스의 비강내에 투여하였다. 4주후 동량의 백신 접종물을 마우스에 비강내 투여하고,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일해 백신만 투여한 쥐는 4.1 유니트 이하의 항PT항체를 나타냈고, 백일해 백신에 CTB 또는 CT를 함께 투여한 마우스는 각각 140.3 유니트 또는 232.5 유니트의 항 PT항체를 나타냈다. 백신 단독, CTB 또는 CT 부가 투여 쥐의 항 FHA항체는 각각 2.6 유니트 이하, 32.0 유니트 이하 및 43.9 유니트였다. 항체 생산은 백신 및 CTB 또는 CT를 접종했을 때 마우스에서 증가하였다.
[표 7]
CT 또는 CTB 함유 백일해 백신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08
항체가 : 마우스 5마리의 평균치
항체가 : ELISA 국제 단위
[실시예 5]
백일해 백신-CTB가 배합된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점비제) : PBS에 용해한 백일해 백신과 배합된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를 혼합하고, 무균 여과하여 혼합 백신(50㎍ 단백질소)과 CTB(2.5~250㎍)의 혼합물(20㎕)을 얻어 여기에 방부제 및 안정제를 첨가한 후, 병에 채워 백일해 백신-CTB가 혼합된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백신을 제조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를 혼합 백신에 첨가하고, 마우스내 비강내 접종 4주후, 동량의 접종물을 투여한 다음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혼합 백신을 단독 투여한 마우스는 2.0 유니트 이하의 항 백일해 독소(PT)항체, 항 디프테리아(DT)항체 1.5 유니트 이하 및 항 파상풍 톡소이드(TT) 1.5 유니트 이하를 나타냈다. 항체 생산은 상기에서와 같이 CTB를 부가함으로써 각각 150.0, 110.5 및 120 유니트로 증가하였다.
[표 8]
배합 백신에 CTB를 부가함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09
항체가 : 마우스 5마리의 평균치
항체가 : ELISA 국제단위
[실시예 6]
일본 뇌염 백신-CTB(주사제) : 일본 뇌염 백신을 PBS에 용해, 무균 여과한 CTB와 혼합하여 제조하는데, 1㎖중에 일본 뇌염 107.0CFU에 해당되는 불활화 바이러스 입자 및 CTB 10.0~0㎍를 함유하도록 한 후, 방부제 및 안정제를 첨가하고, 유리병에 채워 일본뇌염백신-CTB 주사제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은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나 CT 함유 또는 단독 일본 뇌염 백신을 1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접종하고, 혈중의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CTB나 CT함유 또는 단독 일본 뇌염 백신의 중화 항체가는 각각 101.88, 102.5이하 및 103.20이며, 항체 생산은 백신에 CTB 또는 CT를 첨가함으로써 증가하였다.
[표 9]
일본 뇌염 백신에 CT나 CTB 부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0
마우스 10마리의 풀(pool) 혈청의 항체가
[실시예 7]
마진 백신-CTB(점비제) : 마진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CTB와 혼합하여, 마진 백신 20㎕에 상당하는 바이러스 입자와 CTB(5㎍)의 혼합물(20㎕)을 만들고, 방부제 및 안정제를 첨가하고 병에 채워 마진 백신-점비제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 함유 또는 단독 마진 백신을 3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투여하고, 혈청 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마진 백신만 투여한 ELISA항체가는 0.144였고, CTB 첨가 백신은 0.209 이하였다. 항체 생산 증가는 CTB 함유 백신을 접종했을 때 관찰하였다.
[표 10]
마진 백신에서의 CTB 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1
[실시예 8]
풍진 백신-CTB(점비제) : 풍진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CTB를 혼합하여 풍진 백신(20㎕)에 상당하는 바이러스 입자와 CTB 5㎍의 혼합물(20㎕)을 만들고, 방부제 및 안정제를 첨가하고, 병에 채워 풍진백신-CTB 점비제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함유 또는 단독 풍진 백신을 3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접종하고, 혈청의 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풍진 백신만 단독 투여한 ELISA항체가는 0.095였고, CTB 첨가 백신은 0.920 이하이었다. 항체 생산 증가는 CTB 함유 백신 투여시 관찰되었다.
[표 11]
풍진 백신에서의 CTB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2
[실시예 9]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CTB(점비제) :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CTB를 혼합하여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20㎕)에 상당하는 바이러스 입자 20㎕와 CTB(5㎍)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방부제와 안정제를 첨가하여 병에 채웠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함유 또는 단독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을 3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투여하고, 혈청의 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을 단독 투여한 ELISA항체가는 0.028, CTB 부가 백신의 ELISA항체 역가는 0.045 이하이었다. 항체 생산 증가는 CTB 함유 백신 투여시 관찰되었다.
[표 12]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에 CTB 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3
[실시예 10]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CTB 혼합백신(점비제) :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 조제는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CTB와 백신을 혼합하여 마진 백신(7㎍), 풍진 백신(1㎍) 및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7㎍)에 상당하는 바이러스 입자와 CTB(5㎍)의 혼합물 20㎕를 제조하고, 여기에 방부제 및 안정제를 첨가하고, 병에 채워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 혼합백신-CTB 점비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함유 또는 단독 백신을 3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접종하고, 혈청의 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백신만 단독 투여한 ELISA항체가는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해 각각 0.14, 0.09 및 0.15이고, CTB부가 백신은 각각 0.29, 0.30 및 0.24였다. 항체 생산 증가는 CTB 함유 백신 투여시 관찰되었다.
[표 13]
풍진, 마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에 CTB 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4
[실시예 11]
로타 백신-CTB(경구 및 점비제) : 로타 백신을 PBS에 CTB를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CTB를 혼합하여 로타 백신 3.3㎕에 상당되는 바이러스 입자와 CTB 5㎍의 혼합물 20㎕를 제조하고, 안정제를 첨가하여, 병에 채워 로타백신-CTB 경구 및 점비제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 함유 또는 로타 백신 단독을 3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접종하고, 혈청의 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백신 단독 투여의 ELISA항체가는 비내 투여에 대해 0.089였고, CTB 첨가백신은 0.281, 구강 투여에 대해 0.018 및 CTB부가 백신에 대해서는 0.277 이었다.
항체 생산 증가는 CTB 함유 백신이 투여될 때 관찰되었다.
[표 14]
로타 백신에 CTB 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5
[실시예 12]
마이코플라즈마 백신-CTB(주사제) :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CTB를 혼합하여 백신 2.0×1010CFU(colony forming unit)에 해당되는 마이코플라즈마와 CTB 10㎍의 혼합물을 조제한 후 안정제를 첨가하고, 유리병에 채워 마이코플라즈마 백신-CTB 주사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CTB 함유 또는 비함유 백신을 2주 간격으로 3회 닭에 접종하고, 마이코플라즈마 감염 공격 후 병변의 수를 관찰했다.
CTB 첨가 백신은 단독 투여에 비해 뚜렷한 방어 효과를 나타냈다.
[표 15]
마이크로플라즈마 감염 공격에 대한 CTB함유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이 투여된 후 병변의 감소
Figure kpo00016
* : 병변 나타난 동물 수 / 시험 동물 수
** : 병변 평균치
*** : CFU
[실시예 13]
백일해 백신-LTB(대장균 열불안정성 독소의 B서브유니트)(점비제) :
백일해 백신을 PBS에 용해, 무균 여과한 LTB와 백일해 백신을 혼합하여 백일해 백신(14㎍ 단백질소)과 LTB 2.5~250㎍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방부제와 안정제를 첨가하고, 병에 채워 백일해백신-LTB 점비제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LTB 또는 LT를 백일해 백신(13㎍ 단백질소) 20㎕에 첨가하고, 마우스에 비내 접종하였다. 4주후, 같은 양의 접종물 백신을 마우스에 비내 투여하고,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일해 백신 단독을 받은 마우스는 <4.2 유니트의 항 PT항체를 나타냈고, LTB 또는 LT 함유 백신은 각각 150.3 유니트 또는 230.5 유니트의 항 PT항체를 나타냈다. 백신 단독, LTB 또는 LT부가 접종 마우스의 항 FHA항체는 각각 <2.3 유니트, <30.0 유니트와 <40.5 유니트였다. 항체 생산은 백신 및 LTB 및 LT를 투여할 때 마우스에서 증가하였다.
[표 16]
LT 또는 LTB 첨가 백일해 백신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7
항체가 : 5마리 마우스의 평균치
항체가 : ELISA 국제 단위
[실시예 14]
백일해 백신 혼합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LTB(점비제) : 백일해 백신 혼합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를 PBS에 용해하고, 무균여과한 LTB와 혼합하고, 혼합 백신(50㎍ 단백질소)과 LTB(2.5~250㎍)의 혼합물 20㎕를 조제하고, 방부제와 안정제를 첨가한 후 병에 채워 백일해 백신 혼합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LTB 점비제제를 조제하였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LTB를 혼합 백신에 첨가하고, 마우스내 비강내 접종 4주후, 동량의 접종물을 투여하고,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 백신의 단독 투여를 받은 마우스는 항 백일해 독소(PT)항체가 <1.8 유니트, 항 디프테리아(DT)항체가 <1.4 유니트 및 항 파상풍 톡소이드(TT)가 1.2 유니트로 나타났다. 항체 생산은 LTB 0.3 유니트 부가에 의해 각각 140.0, 80.5 및 100.5 I.U.로 증가하였다.
[표 17]
혼합 백신상 LTB부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8
항체가 : 5 마우스의 평균치
항체가 : ELISA 국제 단위
[실시예 15]
풍진 백신-LTB(점비제) :
풍진 백신을 PBS에 용해, 무균 여과된 LTB를 혼합하여 풍진 백신 3㎍에 해당되는 바이러스 입자와 LTB 5㎍의 혼합물을 20㎕를 조제하고, 안정제를 첨가한 후 병에 채워 풍진백신-LTB 점비제제를 조제하였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LTB 함유 또는 단독 풍진 백신이 3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접종되고, 혈청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풍진 백신 단독 투여의 ELISA항체가는 0.133 유니트이고, LTB 역가 백신은 >0.854 유니트였다. 항체 생산 증가는 LTB 함유 백신을 투여할 때 관찰되었다.
[표 18]
풍진 백신에 LTB 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19
[실시예 16]
마진 백신-LTB(점비제) :
마진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LTB를 혼합하여 마진 백신 20㎍에 해당되는 바이러스 입자와 LTB 5㎍의 혼합물 20㎕를 조제하고, 안정제를 부가하여 병에 채워 마진 백신-LTB 점비제제를 조제하였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LTB함유 또는 단독 마진 백신을 3주 간격, 2회 마우스에 접종하고, 혈청 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마진 백신 단독 투여된 ELISA항체가는 0.182이고, LTB 부가 백신은 >0.332였다. 항체 생산 증가는 LTB 함유 백신이 투여될 때 관찰되었다.
[표 19]
마진 백신에 LTB 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20
[실시예 17]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LTB(점비제) :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LTB와 혼합하여 제조된다.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20㎍에 상당하는 바이러스 입자와 LTB 5㎍의 혼합물 20㎕를 조제하고, 안정제를 첨가한 다음 병에 채워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LTB 점비제제를 조제하였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LTB 함유 또는 단독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을 2주 간격, 2회 마우스에 접종하고, 혈청 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단독 투여의 ELISA항체가는 0.023, LTB 함유 백신은 >0.074였다. 항체 생산 증가는 LTB 함유 백신을 투여할 때 관찰되었다.
[표 20]
유행성 이하선염에 LTB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21
[실시예 18]
풍진, 마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 혼합 백신-LTB(점비제) : 풍진, 마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 혼합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LTB를 혼합하여 마진 백신 7㎍, 풍진 백신 1㎍ 및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7㎍에 상당하는 바이러스 입자와 LTB 5㎍의 혼합물을 20㎕를 조제하고, 안정제를 부가한 다음, 병에 채워 백신-LTB 점비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LTB함유 또는 단독 백신을 3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접종하고, 혈청 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백신 단독 투여의 ELISA항체가는 마진, 풍진 및 이하선염에 대해 각각 0.18, 0.07 및 0.13이었고, LTB 함유 백신은 각각 0.34, 0.27 및 0.28이었다. 항체 생산증가는 LTB함유 백신을 투여할 때 관찰되었다.
[표 21]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상 LTB 함유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22
[실시예 19]
로타 백신-LTB(경구 및 점비제) : 로타 백신을 PBS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한 LTB와 혼합하여 로타 백신(3.3㎍)에 상당하는 바이러스 입자와 LTB(5㎍)의 혼합물을 조제하고, 안정제를 부가한 다음, 병에 채워 로타 백신-LTB 경구 및 점비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LTB 함유 또는 단독 로타 백신을 3주 간격으로 2회 마우스에 접종하고, 혈청항체 생산을 측정하였다.
백신 단독 투여한 ELISA항체가는 비내 투여에는 0.063이고, LTB 부가 백신 0.348이며, 경구 투여에는 0.024 및 LTB 부가 백신은 0.177 이었다.
항체 생산 증가가 LTB 함유 백신이 투여될 때 관찰되었다.
[표 22]
로타 백신에 LTB 첨가에 의한 항체 생산 증가
Figure kpo00023
[실시예 20]
마이코플라즈마 백신-LTB(주사제) :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을 PBS에 용해, 무균 여과한 LTB를 마이코플라즈마 백신과 혼합하여 백신(2.0×1010CFU)(colony forming unit)에 상당하는 마이코플라즈마와 LTB(10㎍)의 혼합물 1㎖를 조제하고, 안정제를 첨가한 다음, 유리병에 채워 마이코플라즈마 백신-LTB 주사제를 조제했다.
이 제품을 10℃이하 냉암소에 보관한다.
LTB 함유 또는 백신 단독이 2주 간격으로 닭에 3회 접종되었고, 마이코플라즈마 공격 감염 후 병변의 수를 관찰하였다.
LTB 첨가 백신은 백신 단독 투여에 비하여 현저한 방어 효과를 나타냈다.
[표 23]
마이코플라즈마 공격 감염의 LTB 함유 마이코플라즈마 백신 투여후 병변의 감소
Figure kpo00024
* : 병변을 보인 동물 수 / 사용된 동물 수
** : 병변 평균 / 군
*** : CFU

Claims (5)

  1. 백신과 콜레라 독소, 스타필로코쿠스 α-용혈소, 스타필로코쿠스 δ-용혈소, 비브리오균 내열성 용혈 독소, 백일해 독소 또는 대장균 열불안정성 독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박테리아 독소 또는 그의 서브유니트의 혼합비가 1 : 0.0001~1 : 10,000(w/v)의 비율로 함유하는 백신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독소의 서브유니트가 B 서브유니트 또는 B 서브유니트의 일부인 백신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백신이 인플루엔자 백신, 백일해 백신, 일본뇌염 백신, 백일해,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의 혼합백신, B형 간염 백신, 로타 백신, 마진 백신, 풍진 백신,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마진, 풍진 및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의 혼합백신 또는 마이코플라즈마 백신인 백신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점비 백신인 백신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주사제, 분무제 또는 경구투여 형태의 백신제제.
KR1019890004640A 1988-04-08 1989-04-08 백신 제제 Expired - Fee Related KR960003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693/1988 1988-04-08
JP8669388 1988-04-08
JP1006759A JP2849632B2 (ja) 1988-04-08 1989-01-13 ワクチン製剤
JP6759/1989 1989-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476A KR900011476A (ko) 1990-08-01
KR960003378B1 true KR960003378B1 (ko) 1996-03-09

Family

ID=2634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640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3378B1 (ko) 1988-04-08 1989-04-08 백신 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82109C1 (ko)
JP (1) JP2849632B2 (ko)
KR (1) KR960003378B1 (ko)
CA (1) CA1335571C (ko)
DE (1) DE3911442C2 (ko)
FR (1) FR2629717B1 (ko)
GB (1) GB22176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3057A (en) * 1988-09-16 2000-03-28 Vitec Aktiebolag Recombinant systems for expression of the cholera B-sub-unit with the aid of foreign promoters and/or leader peptides
NZ230747A (en) * 1988-09-30 1992-05-26 Bror Morein Immunomodulating matrix comprising a complex of at least one lipid and at least one saponin; certain glycosylated triterpenoid saponins derived from quillaja saponaria molina
US7118757B1 (en) 1988-12-19 2006-10-10 Wyeth Holdings Corporation Meningococcal class 1 outer-membrane protein vaccine
US6413523B1 (en) * 1989-06-02 2002-07-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escherichia coli heat-labile enterotoxin adjuvant and methods of use
ES2075900T3 (es) * 1989-07-14 1995-10-16 American Cyanamid Co Composiciones estables de vacuna que contienen interleucinas.
US5462734A (en) * 1990-11-02 1995-10-3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Bovine herpesvirus vaccin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232116B1 (en) * 1991-02-15 2001-05-15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Research Foundation Oral administration of pneumococcal antigens
US6231870B1 (en) * 1995-06-02 2001-05-15 Uab Research Foundation Oral administration of pneumoccal antigens
US6042838A (en) * 1991-02-15 2000-03-28 Uab Research Foundation immunogenic compositions for mucosal administration of pneumococcal surface protein A (PspA)
US6027734A (en) * 1991-02-15 2000-02-22 Uab Research Foundation Mucosal administration of pneumococcal antigens
US5506129A (en) * 1991-05-24 1996-04-09 Evans Medical Limited Virus production
GB9513371D0 (en) * 1995-06-30 1995-09-06 Biocine Spa Immunogenic detoxified mutant toxins
DE69331437T2 (de) * 1992-09-16 2002-09-05 The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 Knoxville Antigene des hybriden m-proteins und träger für gruppe a streptokokkenimpfstoff
DK17093D0 (da) * 1993-02-15 1993-02-15 Lyfjathroun H F Farmaceutisk praeparat til topisk administrering af antigener og/eller vacciner til pattedyr via slimhinder
US5527770A (en) * 1993-08-06 1996-06-18 International Gene Group, Inc. Immunotherapeutic agent derived from bacteria
DK0725653T3 (da) * 1993-10-05 2004-10-11 Celltech Pharmaceuticals Ltd Vaccinepræparater
GB9326174D0 (en) * 1993-12-22 1994-02-23 Biocine Sclavo Mucosal adjuvant
US20030072774A1 (en) 1994-06-10 2003-04-17 Diane M. Gajewczyk Proteinaceous adjuvants
AU2816095A (en) * 1994-06-24 1996-01-19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Escherichia coli o157:h7 epithelial adhesin
US6019982A (en) * 1994-08-26 2000-02-01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Mutant enterotoxin effective as a non-toxic oral adjuvant
US6436407B1 (en) 1994-08-26 2002-08-20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Mutant enterotoxin effective as a non-toxic adjuvant
US5759992A (en) * 1994-08-31 1998-06-02 David Platt Immunotherapeutic agent derived from bacteria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DE19521705C2 (de) * 1995-06-14 1997-10-09 Immuno Ag Immunogenes Konstruk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Vakzine
WO1997002836A1 (en) * 1995-07-07 1997-01-30 Oravax, Inc. Clostridium difficile toxins as mucosal adjuvants
US5919463A (en) * 1995-07-07 1999-07-06 Oravax, Inc. Clostridium difficle toxins as mucosal adjuvants
AU722653B2 (en) * 1995-07-07 2000-08-10 Oravax, Inc Intranasal vaccination against gastrointestinal disease
IL116559A (en) * 1995-11-17 2005-11-20 Yissum Res Dev Co Chimeric protein consisting of a bacterial toxin and a myelin basic protein sequence
GB9622660D0 (en) * 1996-10-31 1997-01-08 Biocine Spa Immunogenic detoxified mutant toxin
US20060002959A1 (en) * 1996-11-14 2006-01-05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Skin-sctive adjuvants for transcutaneous immuization
US20060002949A1 (en) * 1996-11-14 2006-01-05 Army Govt. Of The Usa, As Rep. By Secretary Of The Office Of The Command Judge Advocate, Hq Usamrmc. Transcutaneous immunization without heterologous adjuvant
US5980898A (en) 1996-11-14 1999-11-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S. Army Medical Research & Material Command Adjuvant for transcutaneous immunization
US6797276B1 (en) 1996-11-14 2004-09-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Use of penetration enhancers and barrier disruption agents to enhance the transcutaneous immune response
WO1998032461A1 (en) * 1997-01-29 1998-07-30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Mutant enterotoxin effective as a non-toxic adjuvant for hiv
ATE371463T1 (de) * 1997-02-05 2007-09-15 Jean-Claude Bystryn Ph-sensitive liposomen und andere typen immunomodulatoren enthaltender gekapselter impfstoffe sowie herstellungs- und anwendungsverfahren dafür
US6818222B1 (en) * 1997-03-21 2004-11-16 Chiron Corporation Detoxified mutants of bacterial ADP-ribosylating toxins as parenteral adjuvants
WO1998045324A1 (en) * 1997-04-04 1998-10-15 The Uab Research Foundation Use of cholera toxin mutants as mucosal adjuvants
US20040258703A1 (en) * 1997-11-14 2004-12-23 The Government Of The U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kin-active adjuvants for transcutaneous immunization
EP0919243A1 (en) * 1997-11-25 1999-06-02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Vaccine containing B subunits of heat-labile enterotoxin (LTB) of Escherichia coli as an adjuvant
US20030211122A1 (en) * 1998-02-27 2003-11-13 Innoventus Project Ab Mucosal microparticle conjugate vaccine
US6033673A (en) * 1998-03-18 2000-03-07 The Administrators Of Tulane Educational Fund Double mutant enterotoxin for use as an adjuvant
US7914791B1 (en) * 1998-05-08 2011-03-29 Trident Pharmaceuticals, Inc. Vaccine
CN1323222A (zh) 1998-06-19 2001-11-21 梅里厄奥拉瓦克斯公司 Lt和ct以非肠道免疫法抗螺旋杆菌感染
US6713073B1 (en) 1998-07-24 2004-03-30 Megan Health, Inc. Method of vaccination of newly hatched poultry
AU1227700A (en) * 1998-10-21 2000-05-08 St. Louis University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urified invasin protein and use thereof
AU774649B2 (en) * 1998-10-21 2004-07-01 Kitasato Daiichi Sankyo Vaccine Co.,Ltd. Vaccine preparations containing attenuated toxin
US6589529B1 (en) * 1998-10-30 2003-07-08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Rotavirus subunit vaccine
DE19851282A1 (de) * 1998-11-06 2000-05-11 Schweiz Serum & Impfinst Zusammensetzung einer pharmazeutisch wirksamen Substanz, appliziert in einem spezifischen Delivery-System zur Prävention und Behandlung von Infektions-Krankheiten
US20030180351A1 (en) * 1998-11-06 2003-09-25 Reinhard Gluck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sition and dispensing device
EP1165132B1 (en) * 1999-04-08 2011-10-19 Intercell USA, Inc. Dry formulation for transcutaneous immunization
US7115730B1 (en) 1999-04-27 2006-10-03 Chiron Srl Immunogenic detoxified mutant E. coli LT-A-toxin
GB9919468D0 (en) 1999-08-17 1999-10-20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
GB9923060D0 (en) 1999-09-29 1999-12-01 Chiron Spa Vaccine
US7384640B1 (en) 1999-09-30 2008-06-10 Wyeth Holdings Corporation Mutant cholera holotoxin as an adjuvant
US7527810B1 (en) * 1999-10-13 2009-05-05 Health Research, Inc. Oral immunology using plant product containing hepatitis surface antigen
US7572466B1 (en) * 1999-10-13 2009-08-11 Health Research, Inc. Oral immunology using plant product containing a non-enteric pathogen antigen
ATE279944T1 (de) * 1999-12-15 2004-11-15 Secr Defence Brit Kombinationsimpfstoff zur steigerung der immunität gegen brucellose
CA2394597A1 (en) * 2000-01-05 2001-07-12 Aventis Pasteur Limited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by presensitizing with an inducing agent prior to immunizing with the inducing agent and the antigen
US20060269575A1 (en) * 2000-02-08 2006-11-30 Allergan, Inc. Botulinum tox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mulated with recombinant albumin
US20030118598A1 (en) * 2000-02-08 2003-06-26 Allergan, Inc. Clostridial tox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7780967B2 (en) * 2000-02-08 2010-08-24 Allergan, Inc. Reduced toxicity Clostridial tox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P1253932B1 (en) * 2000-02-08 2005-04-27 Allergan, Inc. Botulinum tox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20030138460A1 (en) * 2000-02-08 2003-07-24 Allergan, Inc Methods of treating animals with botulinum tox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8632785B2 (en) * 2000-02-08 2014-01-21 Allergan, Inc. Clostridial tox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gelatin fragment
WO2001089456A2 (en) 2000-05-19 2001-11-29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Hybrid lt-a/ct-b holotoxin for use as an adjuvant
PT1372708E (pt) * 2001-02-13 2008-09-29 Us Gov Sec Army Vacina para imunização transcutânea
US20040109869A1 (en) * 2001-03-19 2004-06-10 Iomai Corporation Transcutaneous immunostimulation
US20020177614A1 (en) * 2001-03-23 2002-11-28 Merril Carl R. Methods for treating nue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WO2002098368A2 (en) * 2001-06-07 2002-12-12 Wyeth Holdings Corporation Mutant forms of cholera holotoxin as an adjuvant
AU2002322380B2 (en) * 2001-06-07 2006-11-02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Mutant forms of cholera holotoxin as an adjuvant
EP1371374A1 (en) * 2002-06-10 2003-12-17 Stefan Prof. Dr. Endres Immunotherapy of chronic infections and of malignant diseases
GB0223696D0 (en) * 2002-10-14 2002-11-20 Ml Lab Plc Improved immunotherapy
EP1581256A4 (en) * 2002-11-14 2006-06-07 Pfizer Prod Inc USE OF RMLT AS MARKER ANTIGEN FOR VACCINE AND AS SYNERGISTIC ADJUVANS WITH AMPY
US7772188B2 (en) 2003-01-28 2010-08-10 Ironwoo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HRP20130407T1 (en) 2003-09-02 2013-06-30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Rotavirus vaccine
RU2250780C9 (ru) * 2003-11-17 2005-12-10 ГНУ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ушного звероводства и кролиководства им. В.А. Афанасьева Штамм бактерий escherichia coli № рпмб,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защиты пушных зверей от токсикозов, вызванных энтеротоксинами кишечных бактерий
EP1708744A4 (en) * 2003-12-09 2009-07-15 Intercell Usa Inc GM1 Binding Dereficent Exotoxins for Use as Immunoinguarantees
GB0503337D0 (en) 2005-02-17 2005-03-23 Glaxosmithkline Biolog Sa Compositions
US8080645B2 (en) * 2007-10-01 2011-12-20 Longhorn Vaccines & Diagnostics Llc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transport compositions and methods
US9481912B2 (en) 2006-09-12 2016-11-01 Longhorn Vaccines And Diagnostic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nucleic acid sequences in biological samples
US8097419B2 (en) 2006-09-12 2012-01-17 Longhorn Vaccines & Diagnostics Llc Compositions and method for rapid, real-time detection of influenza A virus (H1N1) swine 2009
US8652782B2 (en) 2006-09-12 2014-02-18 Longhorn Vaccines & Diagnostic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identifying and quantitating mycobacterial-specific nucleic acids
US11041215B2 (en) 2007-08-24 2021-06-22 Longhorn Vaccines And Diagnostics, Llc PCR read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nucleic acid sequences
US9683256B2 (en) 2007-10-01 2017-06-20 Longhorn Vaccines And Diagnostics, Llc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and transport system
EP3058954B1 (en) 2007-08-27 2017-03-01 Longhorn Vaccines and Diagnostics, LLC Immunogenic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004799B2 (en) 2007-08-27 2018-06-26 Longhorn Vaccines And Diagnostics, Llc Composite antigenic sequences and vaccines
DK2195466T3 (da) 2007-10-01 2013-01-14 Longhorn Vaccines & Diagnostics Llc Fremgangsmåde til opbevaring af biologiske prøver
US11041216B2 (en) 2007-10-01 2021-06-22 Longhorn Vaccines And Diagnostic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quantifying nucleic acid sequences in blood samples
CN104203272A (zh) 2012-01-26 2014-12-10 长角牛疫苗和诊断有限责任公司 复合抗原序列及疫苗
CA2985652C (en) 2015-05-14 2020-03-10 Gerald W. FISHER Rapid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US10548970B2 (en) 2015-10-05 2020-02-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Human rotavirus G9P[6] strain and use as a vaccine
GB201614799D0 (en) 2016-09-01 2016-10-19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43459A (en) * 1968-12-16 1974-03-12 Abbott Laboratories Chemically modified endotoxin immunizing agent
US4172126A (en) * 1976-11-08 1979-10-23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for the inactivation of microbial toxins and attenuation of vaccines
WO1983000018A1 (en) * 1981-06-22 1983-01-06 Klipstein, Frederick, A. Composition of a novel immunogen for protection against diarrheal disease caused by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US4673574A (en) * 1981-08-31 1987-06-16 Anderson Porter W Immunogenic conjugates
US4440748A (en) * 1982-04-03 1984-04-03 Merck & Co., Inc. Strain of Escherichia coli by bacterial conjugation
US4762713A (en) * 1983-07-05 1988-08-09 The University Of Rochester Boosting of immunogenic conjugate vaccinations by unconjugated bacterial capsular polymers
IL69558A (en) * 1983-08-23 1988-06-30 Yeda Res & Dev Synthetic cholera vaccine
JPS60197628A (ja) * 1984-03-22 1985-10-07 Eisai Co Ltd マイコプラズマ性肺炎予防治療剤
JPS6176422A (ja) * 1984-09-22 1986-04-18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百日ぜきコンポ−ネントワクチンおよび百日ぜき・ジフテリア・破傷風混合ワクチンの製造方法
CA1340372C (en) * 1984-07-09 1999-02-02 John D. Clements Production of e. coli lt-b enterotoxin subunit
WO1986004243A1 (en) * 1985-01-25 1986-07-31 The Population Council, Inc. Method & product for enhancing circulating antibody response
US4762710A (en) * 1986-06-16 1988-08-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ovel method of preparing toxoid by oxidation and metal ions
CA1337859C (en) * 1987-04-24 1996-01-02 Masashi Chazono Method for culturing bordetella pertussis, a pertussis toxoid and a pertussis vacc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29717B1 (fr) 1994-02-18
US5182109A (en) 1993-01-26
US5182109C1 (en) 2001-10-02
DE3911442C2 (de) 2002-09-12
GB2217600B (en) 1992-03-25
KR900011476A (ko) 1990-08-01
GB2217600A (en) 1989-11-01
JPH02243633A (ja) 1990-09-27
FR2629717A1 (fr) 1989-10-13
CA1335571C (en) 1995-05-16
DE3911442A1 (de) 1989-11-02
JP2849632B2 (ja) 1999-01-20
GB8907914D0 (en) 198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378B1 (ko) 백신 제제
US20210338810A1 (en) Novel Adjuvant Compositions
US7052701B2 (en) Inactivated influenza virus vaccine for nasal or oral application
US6372223B1 (en) Influenza virus vaccine composition
ES2273391T3 (es) Composicion de vacuna para administracion a una superficie mucosal.
CA2139756A1 (en) Use of gm-csf as a vaccine adjuvant
JP2004536106A (ja) マイコプラズマ・ボビスワクチンおよび動物の肺炎を減少させる方法
Tamura et al. Protection against influenza virus infection by a two-dose regimen of nasal vaccination using vaccines combined with cholera toxin B subunit
US2013031595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infectious agents
Glück Intranasal immunization against influenza
CN112789056B (zh) 粘膜佐剂
JPH06507420A (ja) 粘膜の病原体に対するワクチンとその製法
US7094391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Borrelia burgdorferi antigens
AU2016297529A1 (en) Liposomal adjuvant compositions
WO2000015257A1 (fr) Preparations vaccinales contenant des saponines
WO2021122928A1 (en) Oral respiratory vaccine
IL100765A (en) Antiviral vaccine with synergistic effect containing as an adjunct to the virus core of influenza
US7674469B2 (en) Feline influenza vaccine and method of use
KR20140046143A (ko) 안약형 백신의 신규 아쥬반트
ES2358900T3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complejos de antígenos,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ón así como precedimientos de utilización de los complejos de antígenos para la vacunaci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3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31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