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1782Y1 - 카세트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782Y1
KR960001782Y1 KR2019930020105U KR930020105U KR960001782Y1 KR 960001782 Y1 KR960001782 Y1 KR 960001782Y1 KR 2019930020105 U KR2019930020105 U KR 2019930020105U KR 930020105 U KR930020105 U KR 930020105U KR 960001782 Y1 KR960001782 Y1 KR 960001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ssette tape
sides
seating
lo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772U (ko
Inventor
김원배
Original Assignee
아남전자 주식회사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남전자 주식회사, 김주연 filed Critical 아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0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782Y1/ko
Publication of KR950009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78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 (a) (b) (c) (d)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누름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레이 13 : V형홈
14 : 장공 15 : 슬라이드 절결부
20 : 보조 트레이 23 : 경사장공
24,25 : 걸림턱 30 : 틀체
33,35 : 전후방 경사공 33a,33b,35c : 수평 걸림홈
40 : 누름구 41 : 본체
42 : 호형판스프링 43 : 돌기
44 : 암 45 : 돌기
본 고안은 프론트로딩 되어 장탈착되는 카세트 테이프가 구동기의 릴에 안착되어 적당하게 상부에서 누를수 있게한 카세트 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는 통상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작동되게 하며, 주름구 또한 복잡한 댐퍼 구조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프론트로딩을 위한 트레이 및 보조트레이의 틀체에서의 슬라이드에 따라 착탈되게한 구조로써 누름구가 작동되게 한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트레이와 보조 트레이가 안내결합공 및 안내공와 훅크 및 안내구으로 결합 분리 안내 또는 일체로 틀체에 삽탈되게 하며 누름구 전후 양측의 돌기가 상기 틀체 전방 양측벽에 각각 삽입하되, 내향 돌설된 후방 돌기가 상기 트레이의 후방 양측벽에 형성된 선단의 V형홈 상부 후방으로 장공이 절결된 슬라이드 절결부에 삽입하되 그내측 보조트레이의 양측벽 상부가 장공의 하단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내향 돌출되며, 이 보조 트레이 전방쪽에는 상기 V형홈 선단측과 반대 방향의 경사홈을 갖되 전방 상부로 걸림턱을 가지며 양측벽 후단에도 걸림턱을 갖게 조립 형성된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이(10)의 전방 양측의 안내결합공(11)과 후방 베이스(B1) 양측의 안내공(12) 각각에 보조 트레이(20)의 훅크(21) 및 후방 베이스(B2) 양측의 안내구(22)를 결합, 그 사이에서 안내 전후진 되게함과 동시에 틀체(30)의 안내레일(31)로 슬라이드 되게 틀체의 모터(NI) 동력에 의해 피니언(P)이 보조 트레이(20)의 래크부(L)를 구동시키게 하는데, 틀체(30)의 일정구간에서는 트레이(10)와 보조트레이(20)가 한 몸체로 이송되고, 트레이(10)가 도시안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기 정 위치에 안착시에는 보조트레이(20)만의 분리 삽입이동이 되게 하되, 본체(41) 양측저부에 호형 판스프링(42)을 일체로 하고 그 양측에는 돌기(43)를 가지며 그 후방에는 하부로 경사 돌출된 암(44)의 단 양측으로 돌기(45)를 형성한 누름구(40)를 구비하여, 상기 틀체(30) 전방 양측벽(32)의 상하로 수평걸림홈(33a, 33b)을 갖는 전방 경사장공(33)과 하부에 수평걸림홈(35a)을 갖는 후방경사장공(35) 각각에 상기 돌기(43, 45)를 삽입 설치하되, 전방경사장공(33)은 후방 경사장공(35)보다 길며 큰 각도로 형성되어 삽입 설치된다.
이때 암(44) 후방의 내향된 돌기(45)는 트레이(10)의 개구부 후방 양측벽에 형성된 선단의 V 형홈(13) 상부 후방으로 장공(14)이 절결된 슬라이드 절결부(15)에 삽입하되 그 내측 보조트레이(20)의 양측벽 상부가 상기 장공(14)의 하단부 높이로 형성되어 이돌기(45)가 내향돌출되며, 그 전방쪽에는 상기 V형홈(13) 선단측과 반대 방향의 경사홈(23)을 갖되 전방 상부로 걸림턱(24)을 가지며 양측벽 후단에도 걸림턱(25)을 갖게 구성된다.
이때 후단의 걸림턱(25)은 일체화된 트레이 및 보조트레이(10, 20)의 틀체(30)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면중 설명부호 T는 카세트 테이프, B는 카세트 테이프 받침대이며 26은 카세트 테이프 받침대의 승강을 위한 경사장공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살펴보면,
제2도(a)에서와 같이 틀체(30)에서 트레이(10)는 보조 트레이(20)가 결합일체화 된 상태로 돌출되어 카세트 테이프(T)를 삽입 카세트 테이프 받침대(B)상에 안착시키는데, 이때 누름구(40)의 돌기(43, 45)는 틀체(30)의 전후 경사장공(33, 35)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누름구의 본체(41)가 상기 메카니즘에 수평한 상태로 있으며, 누름구의 후방돌기(45)의 내향측이 트레이(10)의 장공(14) 위치에 있다.
이후 제2도 (b)에서와 같이 트레이 및 보조트레이(10, 20)가 일체로 삽입되므로써 누름구(40)는 최초위치 그대로 있으면서 슬라이드 절결부(15)의 장공(14)을 따라 후방의 내향 돌기(45)는 고정위치이나 상대적으로 장공(14)이 이동되어 V형홈(13)의 선단에 닿아 트레이(10)가 정지되고, 이후 제2도(c)에서와 같이 정지된 트레이(10)에서 보조 트레이(20)가 후방으로 더 이송되어 보조 크레이(20)의 걸림턱(24)이 V형홈(13) 선단에서 정지된 후방 돌기 (45)에 닿아 제2도 (d)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밀어줌에 따라 이 돌기(45)가 경사홈(23)과 V형홈(13)의 상호 안내 작용으로 하부로 안내 되는데, 이때 V형홈의 전방경사에 따른 수직거리(D)만큼 트레이(10)도 동시 이동 되면서 틀체(30)의 후방 경사장공(35)을 따라 누름구(40)의 암(44) 후단이 안내되고 선단도 같이 안내되면서, 각각의 하부에 수평걸림홈(33a 35a)으로 안내 삽입되면서 누름구(40)가 하강된 카세트 테이프 받침대(B)상에 얹혀진 카세트 테이프(T)를 누른다. 이때 본체(41)가 전방 경사장공(33)과 후방 경사장공(35)의 상호 길이차와 각도차에 의해 전방으로 숙어진 상태로 그 저부 양측의 호형 판스프링(42)이 카세트 테이프(T)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에는 트레이(10)의 V형홈(13) 후방측과 보조 트레이(20)의 경사홈(23)이 일치되는 상태이며, 누름구(40)의 상승동작은 상기의 역순으로 보조 트레이(20)가 전방으로 밀어짐에 따라 누름구(40)의 후방 돌기(45)를 보조 트레이(20)의 경사홈(23)이 트레이(10)의 V형홈(13) 전방측으로 밀어줌에 따라 상승시키기 때문에 이루어지며, 그 이후 작용은 상기 작용의 역순으로 작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누름구를 작용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이 트레이 및 보조 트래이의 일체이동 및 분리 이동에 따른 부가적 기능에 의한 슬라이드 절결부 및 걸림턱을 갖는 경사홈의 간단한 구조로써 작동되게 하며,
특히 이렇게 승강되는 누름구 자체에도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를 탄성압압하는 별도의 스프링을 갖는 복잡한 구조에서 매우 간단한 구조로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트레이(10)과 보조 트레이(20)가 안내결합공(11) 및 안내공(12)와 훅크(21) 및 안내구(22)으로 결합분리 안내 또는 일체로 틀체(30)에 삽탈되게 하며 누름구(40) 전후 양측의 돌기(43, 45)가 상기 틀체(30) 전방 양측벽(32)에 각각 삽입하되 내향 돌설된 후방 돌기(45)가 상기 트레이(10)의 후방 양측벽에 형성된 선단의 V형홈(13) 상부 후방으로 장공(14)이 절결된 슬라이드 절결부(15)에 삽입하되 그 내측 보조 트레이(20)의 양측벽 상부가 장공(14)의 하단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45)가 내향 돌출 되며, 이 보조 트레이 전방쪽에는 상기 V형홈(13) 선단측과 반대 방향의 경사홈(23)을 갖되 전방 상부로 걸림턱(24)을 가지며 양측벽 후단에도 걸림턱(25)을 갖게 조립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누름구(40)는 본체(41) 양측 저부에 호평 판스프링(42)을 일체로 성형하고 그 양측에는 돌기(43)를 가지며 그 후방에는 하부로 경사 돌출된 암(44)의 후단 양측으로 돌기(45)를 형성해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틀체(30) 전후방 양측에 천공설치되는 경사장공은 상하로 수평걸림홈(33a, 33b)을 갖는 전방 경사장공(33)과 하부에 수평걸림홈(35a)을 갖는 후방 경사장공(35)으로 하되 전방 경사장공(33)이 후방 경사장공(35)보다 길며 큰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KR2019930020105U 1993-09-28 1993-09-28 카세트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01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105U KR960001782Y1 (ko) 1993-09-28 1993-09-28 카세트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105U KR960001782Y1 (ko) 1993-09-28 1993-09-28 카세트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772U KR950009772U (ko) 1995-04-21
KR960001782Y1 true KR960001782Y1 (ko) 1996-02-24

Family

ID=1936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105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1782Y1 (ko) 1993-09-28 1993-09-28 카세트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7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772U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2464A (en) Crib dropside including latch mechanism
US4782407A (en)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including a device for opening lid of a tape cassette during the loading operation thereof
CA2095707C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JP2000238565A (ja) カップホルダー
US4065800A (en) Tape cassette player
KR960001782Y1 (ko) 카세트테이프의 안착을 위한 누름장치
EP0232111A2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improved side plates
KR950005099B1 (ko)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카트리지 로딩장치
US6233114B1 (en) Disk drive
US4076352A (en) Sliding drawer
US5396382A (en) Cassette inserting and ejecting apparatus for loading a tape cassette in a VTR
JP2867587B2 (ja) 引出し装置
KR900000511Y1 (ko) 비디오 카세트 안착장치
JP3161171B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駆動装置
KR102314062B1 (ko) 서랍용 언더레일 가이드 브라켓
JP3233613U (ja) 打ち込み工具のマガジンにおける止め具送り装置
US7054102B2 (en) Recording tape cartridge load and lock system and method
KR920006376Y1 (ko) V.t.r의 카세트 유동방지 장치
KR960006240Y1 (ko) 컴펙트 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 가이드 및 스토퍼장치
GB2040590A (en) Circuit board rack
JP2524167Y2 (ja) カートリッジ誤挿入防止機構
KR920006096Y1 (ko) 비디오 카세트 역삽입 방지 장치
KR910009048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카세트 인출(eject)용 버튼의 오동작 방지장치
US6671123B2 (en) Magnetic tape device
JP3106670B2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9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8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8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