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1308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308Y1
KR960001308Y1 KR2019930002850U KR930002850U KR960001308Y1 KR 960001308 Y1 KR960001308 Y1 KR 960001308Y1 KR 2019930002850 U KR2019930002850 U KR 2019930002850U KR 930002850 U KR930002850 U KR 930002850U KR 960001308 Y1 KR960001308 Y1 KR 960001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s
terminal
housings
enga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365U (ko
Inventor
정진택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정진택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2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308Y1/ko
Publication of KR940021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0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커넥터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
제 4 도는 (가)(나)는 제 1 도의 A-A' 선단면도와 B-B' 선 단면도
제 5 도는 종래 커넥터의 조립 단면도
제 6 도는 중래 단자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3A, 3B : 하우징 2A, 2B, 4A, 4B : 단자
11, 12, 31 : 수납실 13, 32 : 탄성계지편
14, 33 : 게지돌기 21 : 안내리브
22, 45 : 요홈 30 : 레버
34, 35 : 걸림턱 36 : 가이드 돌기
37 : 가이드홈 41 : 압착편
43 : 걸림편 46 : 플러그 핀부
47 : 소켓박수부
본 고안은 자동차 또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등이 접합된 각각의 단자를 구비한 하우지의 암수결합에 의하여 각 단자에 절합된 전선등의 전기 접속을 행하도록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등의 접속을 행하도록 하는 커넥터는 여러 가지 안출된바 있으마 종래에는 제 5 도나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로 대응하는 하우징(1A,1B)과, 상기 하우징(1A,1B) 내에 삽입되는 단자(2A,2B)로 되고 하우징(1A,1B)에 삽입되는 단자(2A,2B)는 하우징(1A,1B)의 수납식(11,12) 내에 하향돌출 되는 계지돌기(14,14)를 구비한 탄성 계지편(13,13)의 양측으로 안내리브(21,21)의 내측면이 미끄럼 하도록 끼워 단자(2A,2B)의 요홈(22,22)에 계지돌기(14,14)가 삽입되도록 조합하고 있다.
이와같이 조립구성된 커넥터는 하우징(1A,1B)을 암,수 결합시킴에 따라 하우징(1A,1B) 내에 삽입시킨 단자(2A,2B)가 상호 결합되면서 각 단자(2A,2B) 의 타측으로 접합되는 전선에 전기 접속을 이루게 되어 기기를 동작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는 단자(2A,2B)의 양측면으로 연설되는 안내리브(21,21) 사이로 탄성 계지편(13,13)이 끼워지도록 삽입하므로서 단자의 선단부는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하게 되엇으며, 하우징내에 단자를 삽입하는 작업성을 증대 시키기 위해 단자가 삽입되는 수납실의 공간 확보시 유동간극이 발생되어 암,수 단자의 결합작업성이 나쁘고, 무리한 삽입에 의하여 단자가 손상 또는 변형되어 전기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단자의 선단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단자를 안정되게 수납 보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본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3A,3B)내의 탄성 계지편(32,32)에 의해 전선(W) 단부가 접합되는 단자(4A,4B)를 수납, 보지하도록 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하우징(3A,3B)의 일측 선단부에 가이드돌기(36)와 가이드홈(37)을 형성하며, 단자(4A,4B)의 중앙부 상면에는 요홈(45)을 뚫고 상기 요홈(45)이 형성되는 단자(4A,4B)의 양측면에는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43,43)을 형성하여 하우징(3A,3B)의 후부측으로 삽입되는 단자(4A,4B)는 단자를 이루는 지지면의 걸림턱(34)(35) 에 당접될 때 탄성 계지편(32,32)의 계지돌기(33)가 상면 요홈(45) 에 끼워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단자를 고정하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30은 하우징을 상태 하우징에 끼워 맞춘때에 하우징(3A,3B)의 결합을 해제하여 끼워 맞춤을 풀기 위한 레버이고, 41은 전선 단부를 압착고정 하여주는 압착편이며, 46 과 47은 각각의 단자에 서로 상대하며 끼워지는 플러그핀부와 소켓박스를 의미하며, 49는 상기 소켓박스부(47)의 가동편(48)을 제어하는 제어편 으로서 플러그핀부(46)의 선단을 끼워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다.
C는 하우징의 수납실내로 삽입고정되는 단자가 후부측으로 밀리게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걸림턱(34)에 당접되는 걸림편(43)의 타단을 압압하는 클립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하우징(3A,3B)의 수납실(31,31)내에 단자(4A,4B)를 후부측으로 부터 끼워 삽입하면 단자(4A,4B) 선단은 수납실(31,31)의 단차를 이루는 걸림턱(34,34)에 당접 시키게 되고, 이때, 수납실(31,31)의 상면에 하향돌출 되는 탄성 계지편(32,32)의 계지돌기(33,33)는 수납실(31,31) 내로 삽입되는 단자(4A,4B)의 상면요홈(45,45)에 탄착되면서 수납실내에 단자(4A,4B)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하우징(3A,3B)은 하우징(3B) 의 가이드 돌기(36)가 하우징(3A)의 가이드홈(37)에 끼워지도록 하우징(3A,3B)을 동일 선상에서 끼워 조립함에 따라 암,수 결합되는 하우징은 레버(30)에 의해 체결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A,3B)을 암, 수 결합 시킴에 따라 단자(4B)의 플러그핀부(46)가 단자(4A)의소켓박수부(47)의 내측으로 끼워지며 단자(4A,4B)를 연결시키게 되고, 상기 단자(4A,4B)의 연결, 접속에 따라 단자의 타측으로 압착시킨 전선(W,W)이 서로 통전되며, 접점을 이루게 될 때 기기지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자(4A,4B)가 삽입된 하우징(3A,3B)의 후부측에 끼워 고정되는 클립(C,C)의 선단이 걸림편(43,43)의 배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접속시 단자가 하우징의 후부측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되어 단자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단자의 상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을 설치하여 하우징의 후부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단자의 선단과 걸림편이 단차를 이루는 지지면의 걸림턱에 각각 당접되도록 끼워 조립함에 따라 단자의 요홈에 탄성 계지편의 계지돌기가 끼워지며 단자를 수납 보지하도록 하므로서, 수납실 내에 삽입되는 각 단자의 선단부는 하우징의 내측 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각 단자의 결합성을 증대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각 하우징에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형성하므로서 조립시 양 하우징의 상,하 구분이 용이하고 조립시 하우징의 좌,우 유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항상 안정된 상태로 단자를 접속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단자는 단차를 이루는 수납실의 걸림턱에 단자의 선단과 걸림편이 당접되도록 삽입하여 탄성계지편의 계지돌기가 단자의 요홈에 탄착되게 끼워져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단자를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수납할수 있게되어 전기적인 성능을 증대시키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선단부에 가이드돌기(36) 와 가이드홈(37)을 형성하며, 수납실(31)의 선단과 중앙에 걸림턱(34)(35)을 형성하고, 수납실(31) 의 상단내벽에 계지돌기(33)를 이룬 탄성 계지편(32)을 형성한 대응 조립되는 하우징(3A)(3B) : 및 중앙부 상면에 요홈(45)을 이루고, 상기 요홈(45)의 양측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편(43)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3A)(3B) 각각에 삽입되는 단자(4A)(4B)를 구비하여, 상기 단자(4A)(4B)가 하우징(3A)(3B)의 수납실(31)에 삽입될시 그 선단 및 걸림편(43)이 하우징(3A)(3B)의 걸림턱(34)(35)에 당접되며, 하우징(3A)(3B) 계지편(32)의 계지돌기(33)가 단자(4A)(4B)의 상면요홈(45)에 끼워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19930002850U 1993-02-27 1993-02-27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960001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850U KR960001308Y1 (ko) 1993-02-27 1993-02-2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850U KR960001308Y1 (ko) 1993-02-27 1993-02-2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365U KR940021365U (ko) 1994-09-24
KR960001308Y1 true KR960001308Y1 (ko) 1996-02-12

Family

ID=1935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850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1308Y1 (ko) 1993-02-27 1993-02-2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3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56B1 (ko) * 2010-11-17 2014-01-14 주식회사 후성테크 진동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 커넥터 결합체 및 커넥터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56B1 (ko) * 2010-11-17 2014-01-14 주식회사 후성테크 진동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 커넥터 결합체 및 커넥터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365U (ko) 199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848B1 (ko) 소켓형 콘택트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커넥터
JP4191725B2 (ja) コネクタ装置
US6146207A (en) Coupling element for two plugs, adapted male and female elements and coupling device obtained
US599326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ing means
US20180034185A1 (en) Connector
KR101115826B1 (ko) 접속단자
JP2617157B2 (ja) 雌型電気端子
JP3138219B2 (ja) コネクタ
JP2512095Y2 (ja) ダブルロック型電気コネクタ
JPH11297403A (ja) 圧接コネクタ
JPH11224728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H11185868A (ja) 圧接コネクタ
US6065982A (en) Lever-engaged connector
KR960001308Y1 (ko) 커넥터
JP2916567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7680290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2775225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3869630B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JP2538829B2 (ja) 電気コネクタ装置
KR101076153B1 (ko)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JP3105951B2 (ja) ハーネスプラグ
JP3314956B2 (ja) ハーネスプラグ
EP0952633B1 (en) Connector assembly
JP3112313B2 (ja) ハーネスコネクタ
JP3279783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2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2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912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5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51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