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5015B1 - 발뒤꿈치 운동의 조정장치를 갖춘 운동화 - Google Patents
발뒤꿈치 운동의 조정장치를 갖춘 운동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5015B1 KR950015015B1 KR1019880014621A KR880014621A KR950015015B1 KR 950015015 B1 KR950015015 B1 KR 950015015B1 KR 1019880014621 A KR1019880014621 A KR 1019880014621A KR 880014621 A KR880014621 A KR 880014621A KR 950015015 B1 KR950015015 B1 KR 9500150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
- plate
- cushioning
- rigid
- sol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28
- 210000000549 articulatio subtalaris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5137 Joint instabil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9 high density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46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10)
- 신발착용자 발의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내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신발에 사용되는 완충밑창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적어도 뒷꿈치 부분과 아치형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밑창부재를 포함하며, 밑창부재는 압축가능하며 탄성이 있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할 수 있으며 그 중간측 인접구역에 밑창부재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설치되는 수단을 구비하여 내전운동을 조절하게 되며, 내압축성 증가수단은 대체로 비압축성 물질로 형성되고 밑창부재의 수직 확장부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적어도 일부는 폼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개스충전된 유연한 블래더 형태의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대체로 상기 폼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칼럼은 상기 컬럼의 수직굽힘이 제한된 정도로 가능하도록 스프링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칼럼은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적어도 65의 쇼어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압축성 증가수단은 밑창의 측면에서 중간축까지 상기 밑창부재의 내압축성을 증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상기 칼럼과 상기 내압축성 증가수단은 상기 칼럼들 사이와 측방으로 캔틸레버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상기 칼럼의 상부에 인접한 곳에서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구역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과 판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단일의 일체로된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에는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상부와 상기 상부에 부착되는 제1, 2, 3 또는 4항에 따른 완충용 밑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상부와 상기 상부에 부착되는 제1항에 따른 완충용 밑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신발착용자 발의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내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신발에 사용되는 완충 밑창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적어도 뒷꿈치 부분과 아치형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밑창부재를 포함하며, 밑창부재는 압축가능하며 탄성이 있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측면에서 그 중간축의 최대인접구역까지 밑창부재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점차로 증가시키도록 설치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게 되며, 상기 내압축성 증가수단은 대체로 비압축성 물질로 형성되고 밑창부재의 수직 확장부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압축성 증가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로부터 밑창부재의 측면까지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 상부에 인접한 곳에서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구역을 따라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뒷꿈치 구역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측면에 인접한 구역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압축성 증가수단은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된 적어도 2개의 강체부재와 적어도 2개의 상기 강체 부재로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측면으로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강체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곳에서 상기 밑창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구역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폼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개스충전된 블래더로 구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몇 개의 판부재는 서로 연결된 중간단부와 각 중간 단부로부터 점차로 테이퍼 지는 주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의 중심에는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 개의 상기 판부재는 각 판부재의 하방 만곡부에 의해 상기 강체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는 칼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밑창.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와 상기 칼럼은 적어도 65의 쇼어(D)경도를 갖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단일의 일체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상부와 이에 부착되는 제17, 18 또는 제22항에 따른 완충용 밑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상부와 이에 부착되는 완충용 밑창을 포함하며 착용자 발의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히 내전 조절장치를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밑창은 신발 앞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밑창 부재를 포함하며, 밑창부재는 압축가능하며 탄성이 있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측면에서 그 중간축의 최대 인접구역까지 밑창부재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점차로 증가시키도록 설치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게 되며, 상기 내압축성 증가 수단은 대체로 비압축성 물질로 형성되고 밑창부재의 수직 확장부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은 적어도 2개의 상기 강체부재의 상부에 인접한 곳으로 부터 또한 이들 사이에서 상기 밑창부재의 뒷꿈치 구역의 중심선을 지나는 구역으로 향하는 상기 밑창부재의 측면으로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 부재는 중공형 칼럼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칼럼과 판 부재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단일의 일체로된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4항에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폼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으로 연장하는 강체부재는 대체로 상기 밑창부재의 저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에 있어서, 캔틸레버방식으로 연장하는 상기판은 상기 강체부내에 근접한 인접단부와 말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의 인접단부는 굽히기가 좀더 곤란하여 상기 판의 말단부에 비해 압축에 대해 증가된 내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에 대한 내성을 점차로 증가시키는 수단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떨어진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강체부재와, 상기 강체부재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그 사이에서 상기 밑창부재의 측면을 향하여 캔틸레버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강체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부근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각각의 강체부재의 중간측 단부와 같게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축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의 상기 중간측에 인접한 판의 부분은 굽히기가 더어려우며 상기 밑창부재의 상기 측면에 인접한 판의 부분에 대해 압축에 대한 증가된 내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상기 완충용 밑창의 적어도 중간 뒤꿈치와 중간의 만곡부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는 상기 밑창부재의 내부에 대체로 배치되며, 상기 판은 다수의 분리된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강체부재의 중간측 단부와 같은 정도로 상기 완충용 밑창의 중간 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밑창은 중간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방식으로 연장하는 판은 상기 각각의 강체부재의 중간축 단부에 대한 정도만큼 연장하여 인접하는 중간단부와 측면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중간단부는 상기 판의 측면단부에 비해 더 굽히기 어려우며, 압축에 대한 증가된 내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은 하측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굽은 만곡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체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신발에 사용되는 완충용 밑창에 있어서, 적어도 뒷꿈치 부분과 아치형 부분을 따라 연장하며,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압축가능하고 탄성이 있는 밑창부재와, 상기 밑창부재에 결합되며, 내전운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축에 인접하여 상기 밑창부재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되며 ; 상기 압축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수단은, 상기 밑창부재의 적어도 수직 영역부분을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며 대체로 비압축성 재료로 형성되며 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두 개의 강체부재와, 상기 밑창부재의 측면을 향하여 상기 두 개의 강체부재의 상부부근으로부터 그 사이로 연장하고 상기 밑창부재의 뒤꿈치 영역의 중심선을 지나서 측면으로 연장하는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신발에 사용되는 완충용 밑창에 있어서, 완충용 밑창의 적어도 뒤꿈치와 아치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밑창부재 ; 상기 밑창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며 대체로 비압축성 재료로 형성되는 강체부재 ; 상기 강체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연부를 가지며 상기 강체 부재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밑창부재에 일체로 결합되고 대체로 비압축성 재료로 형성된 판을 구비하여 되는 완충용 밑창.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발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압축성이며 탄성을 가지며, 상기 강체부재는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부반에 결합되며, 상기 판은 강체부재로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측반부를 향하는 반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는 상기 판으로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멀어지게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뒤꿈치부의 중심선을 지나 상기 밑창부재의 측반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인접단부는 상기 강제부재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중간측벽에 가장 인접한 상기 강체부재의 부분과 같은 정도로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 측벽을 향하여 연장하며; 상기 판의 말단부는 상기 밑창부재의 뒤꿈치부의 중심선을 지나 상기 밑창부재의 측반부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상기 뒤꿈치부의 폭의 삼분의 이보다 더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또한 상기 강체부재가 배치되는 위치보다 상기 뒤꿈치 중심선의 대향측 위에 그 일부가 배치되는 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는 상기 밑창부재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압축가능하고 탄성적이며 ; 상기 판은 상기 강체부재로 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며 ; 상기 판은 다수의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부재의 적어도 두 개의 부분은 상기 강체부재가 배치된 위치 보다 상기 뒤꿈치로부의 중심선의 대향측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전방분을 포함하며 ; 상기 강체부재는 상기 밑창부재의 상기 전방부분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밑창부재의 측벽에 인접한 외부측벽을 포함하며 ; 상기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상기 전방부분의 후측에 배치되며 ; 상기 강체부재로부터 상기 강체부재가 배치된 상기 밑창부재의 반쪽보다 상기 밑창부재의 반대측 반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 상기 밑창부재는 상기 판 부분 아래에 직접 배치되는 공기 충전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다수의 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충전실은 상기 다수의 판부재들의 첫 번째 부재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부재들중 첫 번째 부재는 상기 밑창부재의 뒤꿈치 부분의 중심선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외부창과 이 외부창에 연결된 중간창을 포함하며 ; 상기 강체부재외에 상기 판과 공기 충전실, 상기 중간창의 나머지 부분은 폼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상기 뒤꿈치 부분의 폭의 삼분의 이 이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4항에 있어서, 상기판은 대체로 만곡부를 통해 상기 강체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와 상기 판은 각각 75,000 내지 125,000 PSI 사이의 굽힘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또한 외부창과, 뒤꿈치부분 및 아치부와 전방부분을 가지며 상기 외부창에 연결되는 중간창을 포함하며 ; 상기 강체부재는 상기 중간창에 결합되어 상기 중간창의 전방부분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창에서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며, 상기 중간창이 측벽에 인접배치된 외부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중간창에 결합되어 상기 중간창의 전방부분의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강체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인접단부와 상기 중간창의 뒤꿈치부분의 중심선을 지나 연장하는 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또한 상기 강체부재가 배치된 위치보다 뒤꿈치 부분의 중심선의 양측에 그 일부가 배치된 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인접단부는 상기 강체부재가 인접한 상기 중간창의 측벽에 대해 상기 강체부재의 외부측벽 만큼 인접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인접단부는 상기 강체부재가 인접한 상기 중간창의 측벽에 대해 상기 강체부재의 외부측벽 만큼 인접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인접단부는 굽히기가 말단부보다 더 어려우며 상기 중간창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대체로 굽은 만곡부를 통해 상기 강체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중간창의 뒤꿈치 부분의 폭의 삼분의 이 이상에 걸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와 판은 각각 75,000 내지 125,000 PSI의 굽힘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는 제2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판은 공통저부를 포함하고, 이 공통저부는 상기 중간창에 결합되어 상기 강체부재의 제2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이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제2의 포함하며 ; 이 제2의 대체로 비압축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창에 결합되며, 상기 공통저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이로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의 판이 상기 저부에 연결되는 선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중심선을 가지며 ; 상기 중심선은 상기 강체부재의 제2측벽에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의 제2측벽은 상기 강체부재의 제1의 외부측벽에 바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저부는 대체로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저부의 짧은 측을 통하여 연장하는 중심선은 상기 강체부재의 제2측벽에 대체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 상기 공통부재 및 상기 제2의 판은 각각 75,000 내지 125,000 PSI의 굽힘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판은 상기 중간창의 뒤꿈치 부분의 중심선의 양측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의 인접단부는 상기 공통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판의 말단부는 동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저부는 상기 중간창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의 바로 아래부분은 공기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신발에 사용되는 완충용 밑창에 있어서, 발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압축가능하고 탄성적이며, 상기 완충용 밑창의 적어도 뒤꿈치 및 아치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밑창부재;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부분내에 결합되며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밑창부재에서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강체부재 ; 및, 상기 밑창부재에 결합되며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강체부재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부를 가지고, 상기 강체부재로부터 상기 밑창부재의 측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재는 상기 판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대체로 수직으로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뒤꿈치 부분의 중심선을 지나 상기 밑창부재의 측반부쪽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인접단부는 상기 강체부재에 일체로 연결되며, 말단부는 상기 밑창부재의 뒤꿈치 부분의 중심선을 지나 상기 밑창부재의 측반부쪽으로 연장하며 ; 상기 판의 인접단부는 상기 중간 측벽에 최인접한 강체부재의 부분만큼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측벽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강체부재가 배치된 위치보다 뒤꿈치 중심선의 양측에 그 일부가 배치된 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밑창부재의 뒤꿈치 부분의 폭의 삼분의 이 이상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밑창.
- 신발의 적어도 뒤꿈치 및 아치부분을 따라 연장하고, 발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압축가능하고 탄성적인 밑창부재 ; 상기 밑창부재내에 대체로 수용되고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된 공통저부 ; 및, 상기 밑창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공통 저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손가락 형태의 구조로 상기 공통저부로부터 연장하며,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는 다수의 판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판과 공통저부의 일체적인 연결은 대체로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들은 대체로 상기 밑창부재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중간창과 외부창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저부와 다수의 판들은 대체로 상기 중간창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들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공통저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밑창부재의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밑창부재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며,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된 강체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신발의 적어도 뒤꿈치 및 아치부분을 따라 연장하고, 발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압축가능하고 탄성적인 밑창부재 ;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밑창부재내에 수용되는 공통저부 ;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밑창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공통저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판들중 적어도 두 개가 상기 밑창부재의 중간반쪽에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공통저부로 부터 연장하는 다수의 판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판들과 공통저부의 일체적인 연결은 대체로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들은 대체로 상기 밑창부재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재는 중간창과 외부창을 구비하며, 상기 공통저부와 다수의 판들은 상기 중간창내에 대체로 수용되며, 상기 다수의 판들은 상기 공통 저부로 손가락 형태의 구조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1항에 있어서,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밑창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공통 저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밑창부재의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밑창부재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강체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상부 ; 상기 상부에 부착되어 신발의 전방부분, 아치부분 및 뒤꿈치부분을 따라 연장하며 발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압축가능하고 탄성적인 밑창부재 ;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밑창부재내에 수용되는 공통저부 ; 및,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밑창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공통저부에 일체로 상호연결되며 판부재들의 아래에 배치된 밑창부재 부분의 압축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공통저부로부터 연장하는 다수의 판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판들과 공통저부의 일체적인 연결은 대체로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들은 대체로 상기 밑창부재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들은 상기 공통저부로부터 손가락 형태의 구조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6항에 있어서, 대체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밑창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공통저부에 일체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밑창부재의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밑창부재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강체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566187A | 1987-11-06 | 1987-11-06 | |
US115,661 | 1987-1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7689A KR890007689A (ko) | 1989-07-05 |
KR950015015B1 true KR950015015B1 (ko) | 1995-12-21 |
Family
ID=2236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14621A KR950015015B1 (ko) | 1987-11-06 | 1988-11-05 | 발뒤꿈치 운동의 조정장치를 갖춘 운동화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0315340B1 (ko) |
KR (1) | KR950015015B1 (ko) |
AT (1) | ATE118312T1 (ko) |
DE (1) | DE3853042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46267A (en) * | 1987-11-06 | 1991-09-10 | Nike, Inc. | Athletic shoe with pronation control device |
DE10000207A1 (de) * | 2000-01-05 | 2001-07-12 | Juergen Stumpf | Fußbett |
DE10164863B4 (de) * | 2001-03-16 | 2017-11-09 |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 Schuhsohle und Schuh |
ITTO20050427A1 (it) | 2005-06-16 | 2006-12-17 | Diadora Invicta S P A | Calzatura con sistema di stabilizzazione regolabile, particolarmente per il controllo della pronazione e/o supinazion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029258A1 (de) * | 1980-08-01 | 1982-04-01 | Adidas Sportschuhfabriken Adi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 Sohle fuer sportschuh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uf harten bahnen und geraet zum einsetzen eines stuetzkoerpers in die sohle |
JPS58165801A (ja) * | 1982-02-10 | 1983-09-30 | トレトルン・アクチェボラーグ | 運動靴 |
JPS59103605U (ja) * | 1982-12-28 | 1984-07-12 | 美津濃株式会社 | 運動靴の靴底 |
US4490928A (en) * | 1983-07-22 | 1985-01-01 | Mizuno Corporation | Mid-sole of a shoe |
DE8423344U1 (de) * | 1984-08-06 | 1984-10-31 |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 Schuhsole mit einer aus mehreren Schichten bestehenden Zwischensohle |
-
1988
- 1988-10-20 EP EP88309833A patent/EP031534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10-20 DE DE3853042T patent/DE3853042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8-10-20 AT AT88309833T patent/ATE118312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8-11-05 KR KR1019880014621A patent/KR9500150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3853042T2 (de) | 1995-07-20 |
EP0315340A2 (en) | 1989-05-10 |
DE3853042D1 (de) | 1995-03-23 |
EP0315340B1 (en) | 1995-02-15 |
ATE118312T1 (de) | 1995-03-15 |
KR890007689A (ko) | 1989-07-05 |
EP0315340A3 (en) | 1990-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46267A (en) | Athletic shoe with pronation control device | |
US5247742A (en) | Athletic shoe with pronation rearfoot motion control device | |
US7793432B2 (en) | Mechanical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 |
US5806209A (en) | Cushioning system for a shoe | |
US4259792A (en) | Article of outer footwear | |
KR950008005B1 (ko) | 휨 방지 삽입물을 내포하는 중간창을 지닌 구두 | |
JP2563716B2 (ja) | 靴 | |
KR950015016B1 (ko) | 유압식 포어푸트 패드와 이를 구비한 신발 | |
US5678327A (en) | Shoe with gait-adapting cushioning mechanism | |
KR960016573B1 (ko) | 압축성 가교요소를 내포하는 중간창을 지닌 구두 | |
JP3795526B2 (ja) | 靴底用のインサート | |
US4817304A (en) | Footwear with adjustable viscoelastic unit | |
US5367791A (en) | Shoe sole | |
RU2489069C2 (ru) |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 |
US6253466B1 (en) | Shoe sloe cushion | |
US20060123664A1 (en) | Insole having multiple energy sources | |
US7487604B2 (en) | Soccer shoe component or insert made of one material and/or a composite and/or laminate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cer shoe | |
US20070175066A1 (en) | Shoe apparatus with improved efficiency | |
MXPA97005544A (en) | Pairing system for a zap | |
EP1871188B1 (en) | Mechanical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 |
US20230210214A1 (en) | Running Shoes | |
KR102040870B1 (ko) |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 |
CN101553143A (zh) | 具有减震鞋底元件的跑鞋 | |
KR950015015B1 (ko) | 발뒤꿈치 운동의 조정장치를 갖춘 운동화 | |
KR960014893B1 (ko) | 운동기능을 갖는 신발밑창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1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81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112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6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8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0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2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2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