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1522B1 -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522B1
KR950011522B1 KR1019920005290A KR920005290A KR950011522B1 KR 950011522 B1 KR950011522 B1 KR 950011522B1 KR 1019920005290 A KR1019920005290 A KR 1019920005290A KR 920005290 A KR920005290 A KR 920005290A KR 950011522 B1 KR950011522 B1 KR 95001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igh frequency
recording
reproducing
vide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402A (ko
Inventor
유재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522B1/ko
Priority to JP5049548A priority patent/JP2608236B2/ja
Priority to US08/039,759 priority patent/US5585928A/en
Priority to CN93103694A priority patent/CN1043400C/zh
Publication of KR93002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기록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재생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영상신호 기록장치의 시스템제어기가 기억부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대역신호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해상도를 개선한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로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비디오카메라와 비디오카세트레코더를 복합안 제품인 캠포더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기록매체 및 비디오헤드(또는 자기헤드)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고주파대역의 신호는 기록 및 재생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 비디오카세트레코더에서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재질은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을 만큼 자기특성이 좋지 못하고, 비디오 헤드의 갭(gap)은 고주파대역을 기록 및 재생할 수 있을 만큼 작지 않기 때문에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자기유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약 5MHz의 비디오신호대역을 처리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는 2.5MHz를 기준주파수로 하여 0-2.5MHz의 주파수대역은 저주파대역으로 설정하고, 2.5-5MHz의 주파수대역은 고주파대역으로 설정하여 저주파대역에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중첩(Folding)하여 기록하고, 재생시에는 펼쳐서(Unfolding) 재생함으로써,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저주파대역과 고주파대역을 중첩함으로 인하여 신호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심한 간섭(Crosstalk)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영상의 고역성분을 압축하여 수직귀선구간에 기록한 후 이를 재생하여 해상도가 개선되도록 한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기록장치는,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고역의 신호를 저역으로 이동시켜 압축한 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직귀선구간에 출력하는 고역신호기록 처리부와, 고역신호기록처리부에서 처리된 고역의 신호와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재생장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재생부에서 재생된 신호에서 수직귀선구간에 재생되는 압축 고역의 신호를 복원한 후 고역으로 이동시켜 출력하는 고역신호재생처리부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기록장치의 블럭도로서,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고역의 휘도신호를 저역으로 이동시켜 압축한 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직귀선구간에 출력하는 고역신호기록처리부와, 고역신호기록처리부에서 처리된 고역의 휘도신호와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휘도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중,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은 휘도/색신호분리기(10)에서 분리되는 휘도신호에서 고주파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고역통과필터(21)와, 고역통과필터(21)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천이하기 위한 주파수천이부(22)과, 주파수천이부(2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3)와, A/D변환기(23)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신호의 데이타압축을 수행하는 데이타 압축기(24)와, 데이타압축기(24)에서 압축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수직귀선구간에 출력하는 기억부(25)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영상신호에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신호분리기(70)와, 동기신호분리기(70)에서 분리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에 따라 기억부(25)를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80)로 구성된다.
기록부는, 휘도/색신호분리기(10)와 고역신호 기록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는 혼합기(30)와, 홉합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주파수변조하는 FM변조기(40)와, FM변조기(40)에서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기록증폭기(50)와, 기록증폭기(50)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헤드(60)로 구성된다.
여기서, 혼합기(50)는 가산기를 이용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재생장치의 블록도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재생부에서 재생된 신호에서 수직귀선 구간에 재생되는 압축된 고역의 신호를 복원한 후 고역으로 이동시켜 출력하는 고역신호재생처리부(14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중, 재생부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헤드(110)와, 헤드(110)의 출력신호를 프리앰프(120)와, 프리앰프(120)에서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는 FM복조기(130)로 구성된다.
고역신호재생처리부(140)는 FM복조기(130)에서 복조된 신호에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분할하기 위한 데이타분할기(141)와, 데이타분할기(141)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신호를 복원하는 영상복원처리기(142)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복원처리기(142)에서 복원된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원래의 위치에서 출력하는 기억부(143)와, 기억부(14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원래의 주파수대역으로 이동시키는 주파수천이부(144)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역신호재생처리부(14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재생부의 FM복조기(130)에서 복조된 신호에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기(150)와, 동기신호분리기(150)에서 분리된 동기신호에 따라 고역신호 재생처리부(140)의 데이타분할기(141)와 기억부(143)를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160)으로 구성된다.
한편, 재생부의 FM복조기(130)에서 복조된 신호는 A/D변환기(170)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가산기로 구성되는 혼합기(180)는 A/D변환기(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고역신호재생처리부(140)에서 재생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D/A변환기(190)는 혼합기(18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영상신호를 기록장치의 동기신호분리기(70)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에 의하여 시스템제어기(80)에서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의 기억부(25)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도에서, 단계200-202는 동기신호분리기(70)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단계 203-208은 수직귀선구간내에서 기록유효구간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처리하는 과정이다.
단계 209-213은 기록유효구간에서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의 기억부(25)로부터 신호를 독출하는 과정이다.
그러면,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도에 도시된 영상신호 기록장치의 휘도/색신호분리기(10)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한다.
물론, 색신호도 분리되나 본원에서는 색신호처리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은 고역통과여파기(40)는 2.5MHz를 한계값으로 설정한 것으로, 휘도/색신호분리기(10)에서 분리되는 휘도신호에서 소정주파수(본원에서는 2.5MHz)이상의 주파수대역에 있는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휘도/색신호분리기(10)에서 출력된 휘도신호의 총주파수대역이 0-5MHz이면, 고역통과여파기(21)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대역은 2.5-5MHz가 된다.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의 주파수천이부(22)는 고역통과여파기(21)에서 출력되는 소정주파수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저역(본원에서는 0-2.5MHz)으로 천이(Transition)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주파수천이방식에 따라 동작한다.
A/D변환기(23)는 주파수천이부(22)에서 천이된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영상압축처리기(24)는 A/D변환기(23)에서 출력된 디지탈신호를 수직귀선구간내에 실릴 수 있도록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또는 그 외의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MPEG방식은 입력된 비디오신호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분포도를 검출한 뒤, 가장 많은 분포도를 갖는 성분은 코드길이를 가장 작게 설정하고, 가장 적은 분포도를 갖는 성분은 코드길이를 가장 크게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기억부(25)은 영상압축처리기(24)에서 출력된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직귀선구간에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의 동기신호분리기(70)는 휘도/색신호분리기(10)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에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를 분리한다.
시스템제어기(80)는 동기신호분리기(70)에서 분리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에 의해 기억부(25)에 저장된 신호가 수직귀선구간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기억부(25)는 수직귀선구간을 제외하고는 연속하는 저장모드(또는 기록모드)로 설정된다.
기억부(25)에 저장된 데이타량과 저장될 데이타의 어드레스도 수직귀선구간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타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시스템제어기(8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제어기(80)는 동기신호분리기(70)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에 따라 칩인에이블신호()와 클럭신호(CLOCK)와 어드레스신호(ADDRESS)와 기록/독출신호()를 기억부(25)로 출력한다.
여기서, 기록/독출신호()는 기억부(25)의 저장 및 독출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저장시에는 시스템제어기(80)의 기록/독출신호()가 로우상태의 논리신호가 출력되고, 독출모드시에는 하이상태의 논리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칩인에이블신호()는 항상 로우논리상태로 입력된다.
혼합기(30)는 휘도/색신호분리기(10)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와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의 기억부(2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합하여 출력한다. 이때, 기억부(2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귀선구간에 실리게 된다.
FM변조기(40)는 혼합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는 것으로서, 휘도/색신호분리기(10)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는 진폭에 의해서 주파수를 변화시켜 안정된 상태의 파형을 출력하고, 기억부(25)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는 FM변조를 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기록증폭기(50)는 FM변조기(40)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한다. 헤드(60)는 기록증폭기(50)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제2도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헤드(110)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한다.
프리앰프(120)는 헤드(110)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신호를 증폭한다.
FM복조기(130)는 프리앰프(120)에서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동기신호분리기(150)는 FM복조기(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를 분리화여 시스템제어기(160)로 출력한다.
고역신호재생처리부(140)의 데이타분할기(141)는 FM복조기(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기록시 수직귀선구간에 기록되었던 고주파대역신호만을 분할한다. 즉, 시스템제어기(160)는 동기신호분리기(150)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를 수직귀선구간내의 펄스형태에 따라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기록유효구간이 검출되면 "로우"의 칩인에이블신호()를 고역신호재생처리부(140)의 데이타분할기(141)로 출력한다.
이때, 데이타분할기(141)는 데이타영역의 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혹레벨을 기준으로 한 연산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데이타분할기(141)에서 통과하는 영상신호는 FM복조기(130)에 의하여 복조된 디지탈정보가 된다. 고역신호재생 처리부(140)의 영상복원처리기(142)는 제1도의 영상압축처리기(24)에서 이루어진 압축방식과 상반되는 방식에 의하여 데이타분할기(141)에서 출력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기억부(143)은 영상복원처리기(142)에서 출력된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시스템제어기(160)에 의해 실질적인 영상신호가 실리는 부분에서 독출된다.
주파수천이부(144)은 제1도의 주파수천이부(22)에서 낮은 주파수대역으로 천이된 신호를 높은 주파수대역으로 천이한다. 즉, 기록시 2.5-5MHz에 있는 주파수대역을 0-2.5MHz로 천이하여 기록하였으므로 재생기 기억부(143)에서 출력된 신호는 0-2.5MHz에 있게 되므로, 다시 주파수대역을 2.5-5MHz로 복귀시킨다. 복귀방식은 일반적인 주파천이방식에 의한다.
A/D변환기(170)는 FM복조기(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혼합기(180)는 A/D변환기(170)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FM복조기(130)의 출력신호와 주파수천이부(144)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D/A변환기(190)는 혼합기(18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영상신호 기록장치의 시스템제어기(80)의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의 기억부(25)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즉, 기억부(25)에 기록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수직귀선구간중 기록이 유효한 영역에서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우선, 동기신호분리기(70)에서 분리되는 신호중 수직귀선구간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19-21H로 이루어진다. 즉, 3H의 등화펄스구간과 3H의 수직동기구간과 3H의 등화펄스구간과 수평동기신호만이 존재하는 10-12H의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에에서 기록유효영역은 상술한 수직귀선구간내에서 2번째의 등화펄스가 모두 검출된 다음에 바로 검출되는 수평동기신호에 해당되는 데이타영역부터 실질적인 영상이 실리는 부분의 수평동기신호가 검출되기전 까지가 된다.
이와 같은 수직귀선구간내의 펄스구성에 의하여 시스템제어기(80)는 동기신호분리기(70)에서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200).
단계200에서 판단결과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입력될때까지 계속 체크한다.
단계200에서의 체크결과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었으면, 수평동기신호(H.Sync)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단계201).
단계201에서의 체크결과 수평동기신호(H.Sync)가 입력되면 수직귀선구간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유효구간인가를 체크한다(단계202).
일반적으로 수직귀선구간은 수직블랭킹(V.Blanking)구간이라 한다. 여기서, 수직블랭킹구간은 V.BLK로 표시하되 V.BLK=1은 상술한 기록유효구간이고, V.BLK=0은 수직귀선구간내라도 기록유효구간이 아닌 경우로 정의한다. 즉, 수직귀선구간내의 수직동기신호(V.Sync)가 인가되고 수평동기신호(H.Sync)가 입력되었음으로 판단되어도 2번째 동화펄스 구간이 모두 지나기 전에는 V.BLK=0으로 하여 기록유효구간이 아닌 것으로 한다.
단계202에서 기록유효구간이 아니면, 기록유효구간에 도달할때까지 동기신호분리기(7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체크진한다. 이때, 체크과정은 단계202-208에서 이루어진다. 즉, 단계202에서 기록유효구간이 아닐 경우에 시스템제어기(80)는 입력된 수평동기신호를 소정의 카운트레지스터를 통해 카운트한다. 이때, 카운트는 1씩 업카운트(H.COUNT=H.COUNT+1)한다(단계203).
단계203에서 카운트값은 미리 저장된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트 기준값(H1)과 비교한다(단계204).
여기서, 기준값은 상술한 기록유효영역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단계 204에서 비교결과 카운트된 수평동기신호와 갯수(H.COUNT)가 카운트기준값(H1)보다 작으면, 시스템제어기(80)는 어드레스를 리셋시키고(단계205), 칩인에이블신호(CE)를 "하이"로 출력하여 기억부(25)을 디스에이블시킨다(단계206).
또한, V.BLK를 0으로 설정(단계207)하여 기록유효상태가 아님을 나타낸 후 단계 201로 피드백되어 또 다시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
이와 같은 과정(201-208)을 반복 수행하며 단계204에서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트값(H.COUNT)이 카운트기준값(H1)보다 크거나 같으면 기록영역으로 판단하고 V.BLK를 1로 설정(단계208)한다.
단계208후, 단계201로 피드백되어 다시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단계 201에서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면 V.BLK이 1로 설정되었는지를 체크한다(단계202).
이때, 단계 208에서 V.BLK=1로 설정되었으므로 기록유효구간이 판단하여 단계209-213를 수행한다.
단계209-213는 기록유효구간에서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의 기억부(25)으로부터 신호를 독출하는 과정이다.
단계209에서와 같이 시스템제어기(80)는 상술한 소정카운트 레지스터의 카운트값을 0으로 클리어 시킨다.
그리고 기억부(25)로 "로우"의 칩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하이"의 기록/독출신호()을 출력한다(단계210).
이에 따라 기억부(25)는 독출모드로 설정되고, 클럭신호(CLOCK)에 의해 어드레스가 증가하며(ADD=ADD+1) 저장하고 있던 데이타를 출력한다(단계211).
마지막 어드레스까지 리드되면(단계212), 시스템제어기(80)는 다시 V.BLK를 리셋(V.BLKU0)하고, "하이"의 칩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한다(단게213).
그리고 다시 수직동기신호가 검출되는지를 체크하게 된다(단계200). 이때, 칩인에이블신호()는 실질적인 압축된 비디오가 실리는 영역에서 기억부(25)륵 저장모드로 설정하기 위하여 다시 로우상태의 논리레벨로 바뀌는 것이다.
제3도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고역신호기록처리부(20)의 기억부(25)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하는 과정만을 설명하였으나, 데이타를 저장하는 과정도 기록/독출신호()의 제어에 의해 수행할 수 있음는 물론이다.
또한, 제2도에서 고역신호재생처리부(140)의 기억부(143)에 데이타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과정도 상술한 과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실제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록장치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생장치에서 동기신호분리기와 시스템제어기와 기억부와 헤드등은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가 별도로 추가되어 기록시와 재생시에 스위칭작용을 함은 물론이다.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분명이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약0-5MHz의 주파수대역을 갖는 복합영상신호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그 사용주파수대역은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수직귀선구간에 압축하여 기록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상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고역의 신호를 압축한 후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수직귀선구간에 출력하는 고역신호기록처리 수단과, 상기 고역신호기록처리수단에서 처리된 고역의 신호와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장치.
  2. (2차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신호기록처리수단은 영상신호에서 고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고역통과필터와, 상기 고역통과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역으로 천이하기 위한 주파수천이 수단과, 상기 주파수천이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와, 상기 A/D변환기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의 데이타압축을 수행하는 데이타 압축기와, 상기 데이타압축기에서 압축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수직귀선구간에 출력하는 기억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신호는 휘도신호중의 고주파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신호재생처리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재생장치.
  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신호 분리기와, 상기 동기신호분리기에서 분리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입력된 영상신호와 상기 고역신호기록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주파수변조하는 FM변조기와, 상기 FM변조기에서 주파수변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기록증폭기와, 상기 기록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장치.
  7.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신호에서 수직귀선구간에 재생되는 압축된 고역의 신호를 복원한 후 고역으로 이동시켜 출력하는 고역신호재생처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재생장치.
  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신호는 휘도신호중의 고주파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장치.
  9. 제17항에 있어서, 고역신호재생처리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의 FM복조기에서 복조된 신호에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분할하기 위한 데이타분할기와, 상기 데이타분할기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신호를 복원하는 영상복원처리기와,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복원처리기에 복원된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원래의 위치에서 출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원래의 주파수대역으로 이동시키는 주파수천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재생장치.
  10. 제17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역신호 재생처리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
  1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의 FM복조기에서 복조된 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기와, 상기 동기신호분리기에서 분리된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고역신호재생처리수단의 데이타분할기와 기억수단을 제어하는 수직귀선구간에 재생되는 압축된 고역의 신호를 복원한 후 원래의 고역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시스템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재생장치.
KR1019920005290A 1992-03-30 1992-03-30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1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290A KR950011522B1 (ko) 1992-03-30 1992-03-30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JP5049548A JP2608236B2 (ja) 1992-03-30 1993-03-10 映像信号記録及び再生装置
US08/039,759 US5585928A (en) 1992-03-30 1993-03-30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 frequency down-cinverted luminance signal into the vertical retrace line interval of a recording signal
CN93103694A CN1043400C (zh) 1992-03-30 1993-03-30 图像信号记录及再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290A KR950011522B1 (ko) 1992-03-30 1992-03-30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402A KR930020402A (ko) 1993-10-19
KR950011522B1 true KR950011522B1 (ko) 1995-10-05

Family

ID=1933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290A Expired - Fee Related KR950011522B1 (ko) 1992-03-30 1992-03-30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85928A (ko)
JP (1) JP2608236B2 (ko)
KR (1) KR950011522B1 (ko)
CN (1) CN10434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3937B1 (en) * 1994-04-06 2004-07-28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recording media
CN1158865C (zh) * 1994-09-26 2004-07-21 三菱电机株式会社 数字视频信号的记录和重放设备及其记录和重放的方法
JP4200630B2 (ja) * 2000-03-17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映像記録再生方法
EP1686812A1 (en) * 2005-01-28 2006-08-02 TTE Germany GmbH Method and transmitter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5641A (ja) * 1984-11-22 1986-06-13 Hitachi Ltd デ−タ圧縮制御方式
JPS61181286A (ja) * 1985-02-06 1986-08-13 Hitachi Ltd 画像信号のデイジタル記録装置
US5063457A (en) * 1986-11-19 1991-11-05 Canon Kabushiki Kaisha Wide-band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by using frequency interleave
JPH01221070A (ja) * 1988-02-29 1989-09-04 Casio Comput Co Ltd 画像情報処理装置
JPH01314080A (ja) * 1988-06-13 1989-12-19 Hitachi Ltd 画像データ転送方式
JP2805095B2 (ja) * 1989-10-31 1998-09-30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装置
JP2919503B2 (ja) * 1989-10-31 1999-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及び音声の圧縮記録装置
JPH03147978A (ja) * 1989-11-01 1991-06-24 Shimizu Corp モルタル剥離面の樹脂注入補修方法
JPH03209984A (ja) * 1990-01-12 1991-09-12 Konica Corp 映像・音声デジタル記録装置及びその再生装置
US5113262A (en) * 1990-08-17 199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signal recording system enabling limited bandwidth recording and playback
US5031030A (en) * 1990-08-20 1991-07-09 General Electric Company Video signal encoded with additional detail information
KR930010360B1 (ko) * 1990-10-31 1993-10-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기신호복원회로
KR930010359B1 (ko) * 1991-06-27 1993-10-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기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402A (ko) 1993-10-19
JPH0686213A (ja) 1994-03-25
CN1043400C (zh) 1999-05-12
CN1077076A (zh) 1993-10-06
JP2608236B2 (ja) 1997-05-07
US5585928A (en)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615A (en) System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 audio signal which has bee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US5293248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nd extended definition video signal in/from a track on a magnetic carrier
KR950011522B1 (ko)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CA1316594C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s
JPH06165108A (ja) 映像録画/再生システムのダブル記録再生回路
US5166803A (en) Image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KR0155693B1 (ko)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JPH0232834B2 (ko)
EP0580144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s with preemphasis and deemphasis processes
JPH0666960B2 (ja) クロマ信号記録再生方法
JPH03224378A (ja) オーディオ信号記録再生装置
KR970017541A (ko) 고화질/일반화질 겸용 영상기록재생장치 및 트랙구조
KR950001704A (ko) 고선명도 화상신호 및 일반 화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화상신호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H049767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224189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4328989A (ja) 映像信号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3167581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S60206385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4151984A (ja) 映像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ディジタルvtr装置
JPS59103479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H0516111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25759A (ja) 再生装置における記録方式判別方法
JPS6029099A (ja) 記録再生装置
JPH07307922A (ja) 高域補正回路
JPH02306787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10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100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