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9973B1 -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73B1
KR950009973B1 KR1019890002246A KR890002246A KR950009973B1 KR 950009973 B1 KR950009973 B1 KR 950009973B1 KR 1019890002246 A KR1019890002246 A KR 1019890002246A KR 890002246 A KR890002246 A KR 890002246A KR 950009973 B1 KR950009973 B1 KR 95000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gnition
signals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875A (ko
Inventor
도시로 노무라
세이이찌 기꾸찌
도시오 이시이
야스노리 모우리
다께시 아따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스즈끼 지도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지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우찌야마 히사오
모리 미찌쯔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스즈끼 지도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지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우찌야마 히사오, 모리 미찌쯔구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45Layout of circuits for control of the dwell or anti dwell time
    • F02P3/0453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 F02P3/0456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gital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06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particular means during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6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 F02P7/067Electromagnetic pick-up devices, e.g. providing induced current in a coil
    • F02P7/0675Electromagnetic pick-up devices, e.g. providing induced current in a coil with variable reluctance, e.g. depending on the shape of a too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블럭 다이어그램.
제2도는 시동시와 정상 동작시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회전신호의 판별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4도는 회전각도 위치신호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점화배전기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우터 2 : 픽업코일
3 : 파형정형회로 4 : LSI
5 : CPU 6 : 점화코일 구동회로
7 : 분사 구동회로 8 : 점화코일
9,42 : 배전기 10 : 점화플러그
11 : 분사기 12 : 흡기관
43 : 배전기 샤프트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시동시의 점화 타이밍 제어 및 연료분사 제어용에 적합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는 “점화 타이밍 제어장치”라는 명칭으로 1987년 9월 7일자로 공고된 일본국 특허공고 제62-42154호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츠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두 종류의 신호, 예를 들면 크랭츠축이 상사점(TDC)에 도달시 하이 레벨에 있는 제1신호와, 크랭크축의 2도 회전시마다 하이레벨에 있는 제2신호를 출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크랭크축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두 세트의 픽업 및 두 종류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두 세트의 로우터를 필요로 한다.
일본국 특허공고 제62-42154호의 종래 기술은 상기 언급된 신호를 만들기 위한 부품수의 감소에 관하여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출력된 신호의 신호원으로서 두 종류의 신호를 만들기 위한 두 세트의 픽업 및 두 세트의 로우터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세개의 신호를 한 로우터에 의해 만들어, 로우터와 픽업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는데에 있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크랭크축의 회전각도 위치신호로서 내연기관의 각 실린더마다 동일한 파형의 세개 신호를 만드는 것이다.
(i) 제1신호는 내연기관의 시동시에 점화 타이밍 신호로서 사용된다.
(ii) 제2신호는 내연기관의 시동시에 점화코일의 통전 개시용으로 사용된다.
(iii) 제3신호는 각 실린더에서 제1 및 2신호를 구별하는데에 사용된다. 앞선 실린더의 제1신호와 제3신호 사이, 제3신호와 제2신호 사이, 및 제2신호와 제1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이 측정된다. 시간 간격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실린더의 제1 및 2신호가 판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실린더의 제1,2,3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한 세트의 로우터 및 한 세트의 픽업과, 세개 신호와 각 시간 간격을 측정 및 기억하며 신호들의 시간 간격을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작용에 관련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크랭크축의 각 회전마다 발생된 세개 신호간의 시간 간격을 측정 및 기억시킨다. 세개 신호의 시간 간격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제1,2,3신호의 판단을 수행한다. 내연기관의 시동은 점화코일이 제2신호에 의해 통전하기 시작하고 제1신호에 의해 점화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점화코일은 엔진의 시동후 부하상태, 회전속도 그리고 내연기관의 흡기량에 의해 결정되는 최적 타이밍 신호에 입각하여 통전되어 점화된다. 이들 작용에 의하여 내연기관의 점화 타이밍 제어는 다수의 픽업코일의 사용없이 단일 픽업코일에 의하여 얻어진 크랭크축의 회전각도 위치신호에 의해 수행된다.
제1도에서 관련하여, 참조부호 1은 크랭크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로우터를 가리킨다. 미리 설정된 공기갭을 가지고 로우터의 외주부에 면하고 있는 픽업코일(2)은 크랭크축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신호(S0)를 얻는다. 회전신호(S0)는 파형정형회로(3)를 거쳐 회전신호펄스(S1)로 변환된다. 마이크로컴퓨터(CPU)(5)와 입력/출력(I/O)을 위해 사용된 대규모 집적회로(LSI)(4)는 적어도 회전속도, 물의 온도, 실린더에 흡입되는 공기량, 드로틀위치 그리고 엔진의 노킹에 의거하여 점화 타이밍, 통전시간 및 연료분사량을 결정하고, 점화신호(S2)를 출력한다. I/O LSI(4)와 CPU(5)는 점화코일 구동회로(6)를 통하여 점화코일(8)의 통전을 제어한다. I/O LSI(4)와 CPU(5)는 분사구동회로(7)를 통하여 점화 타이밍을 제어하고 분사신호(S4)를 출력한다. 점화코일(8)에서 발생된 고압전류는 배전기(9)를 통하여 점화플러그(10)에 분배된다. 제1도는 4개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예로 한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터(1)는 배전기(42)에 냉장되고 배전기 샤프트(43)에 고정된다. 로우터(1)는 동일한 회전속도로 캠샤프트(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회전하며, 크랭크축(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속도의 절반속도로 회전한다.
픽업코일(2)은 로우터(1)이 맞은편에서 배전기(42)내에 배치된다.
이하에서 4사이클 및 4개의 실린더의 내연기관에서 본 발명의 회전신호의 타이밍 및 판별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로우터(1)의 샤프트는 캠샤프트와 함께 동일한 속도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크랭크축의 절반속도에서 회전하는 샤프트로 형성되어 있다. 세개의 돌기는 화살표가 로우터(1)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제1도에서 A,C 그리고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90도 간격으로 로우터(1)의 외주부에 제공된다. 각 돌기가 픽업코일(2)을 지날때, 픽업코일(2)을 통하여 지나는 자력선속은 회전신호(S0)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되도록 변형된다. 파형정형회로(3)를 통하여 신호(S0)를 진하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신호는 회전신호펄스(S1)이다. 세개의 돌기 A,C 그리고 B의 위치는 각각 예를 들면 제1실린더에 있어서 시동개시시 제1실린더의 점화 타이밍(A1), 점화코일의 통전개시 타이밍(B1), 그리고 제1실린더의 점화 바로 전에 점화되는 제2실린더의 점화 타이밍(A2)과 통전개시 타이밍(B1) 사이에 위치된 설정 타이밍이 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타이밍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
(1) 제1신호(A)에 대응하는 점화 타이밍(A1) ; 상사점전(BTDC) 10℃.
(2) 제2신호(B)에 대응하는 점화코일의 통전하는 개시 타이밍(B1) ; BTDC 65℃.
(3) 제1실린더의 제1신호(A)와 제2신호(B)를 판별하기 위해 제3신호(C)에 대응하는 개시 타이밍(B1)과 제2실린더의 점화 타이밍(A2) 사이에 위치된 설정 타이밍 ; BTDC 95℃.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신호펄스는 동일한 파의 높이와 동일한 펄스폭(Pw)을 갖는다. 따라서 각 펄스가 상기 언급된 어떤 타이밍을 보여주는가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제2도에 있는 회전신호펄스(S1)의 펄스트레인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의 제2신호(B)와 제1실린더의 제3신호(C) 사이에 있는 제2시간 간격이 t로 될 때, 제1실린더의 제3신호(C)와 제2실린더의 제1신호(A) 사이의 제1시간 간격은 3t이다. 제1실린더의 제1신호(A)와 제1실린더의 제2신호(B) 사이의 제3시간 간격은 2t이다. 따라서 제1시간 간격, 제2시간 간격 그리고 제3시간 간격의 비율은 3t : t : 2t이다. 이들 세개의 시간 간격을 판별함으로써, 동일한 실린더의 제1,2 및 3신호(A), (B) 및 (C)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제3도는 제1,2 및 3신호(A,B 및 C)에 관한 회전신호펄스의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각 펄스(S1)가 파형정형회로(3)로부터 I/O LSI(4)에 입력될 때, 이전 펄스입력에서 현재 펄스입력으로의 시간간격인 기준시간(REF P)은 I/O LSI(4)에 내장된 펄스기간 측정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측정되고, 이 장치는 CPU(5)에 인터럽트신호를 출력하여 ICI(input capture interrupt) 또는 IRQ(interrupt request)가 스텝 30에서 개시된다. REFINT는 현재의 펄스간격을 가리키고, REFINT old 1은 이전의 펄스간격을 가리키며, REFINT old 2는 회전신호중 펄스간격전의 이전 것을 가리킨다. 스텝 31에서 REFINT, REFINT old 1 그리고 REFINT old 2는 이미 저장된 데이타에서 새로운 데이타로 갱신되어 새로운 데이타를 기억한다. 스텝 32에서 기준첵크(REFCHK)는 제1펄스에서 제2펄스로 펄스의 판별을 다루지 않는 플랙이고, 제3펄스의 입력시 세트되며, 제4펄스의 입력시 판별과정(a)에서 판별과정(b)으로 이동된다. 스텝 32은 플랙을 첵크한다. 플랙이 제로일 때, 흐름은 스텝 33으로 진행한다. 플랙이 1일때, 흐름이 스텝 36으로 진행한다. 스텝 33에서, 기준카운터(REFCNT)는 1만큼 증가된다. 스텝 34에서, REFCNT의 값이 3 이상일 때, 흐름은 스텝 35로 진행한다. REFCNT의 값이 스텝 34에서 3 이하일 때, 흐름은 스텝 52로 진행한다. 스텝 52에서, REFCHK는 세트되고 REFCNT는 리세트된다. 스텝 36에서 기준 타이밍(REFTMG)은 펄스 판별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를 보여주는 플랙이다. 초기상태에서, REFTMG는 판별과정(c)으로 진행되게 클리어된다. 펄스판별이 성공적일 때, REFTMG는 판별과정(e)을 진행하도록 세트된다. 스텝 36에서, REFTMG 플랙이 첵크된다. 스텝 36의 플랙이 제로일 때, 스텝 37로 진행된다. 스텝 36의 플랙이 1일 때, 흐름은 스텝 48로 진행한다. 기준타이머 스타트(RETMST)는 초기상태에서 스텝 37에서 수행된다. 스텝 37에서, RETMST 플랙이 첵크된다. 스텝 37의 플랙이 제로일 때, 스텝 38로 진행된다. 스텝 37의 플랙이 1일 때, 스텝 40으로 진행된다.
스텝 38에서, 도입된 펄스주기 REFINT(=t)의 2배와 이전의 펄스주기 REFINT old 1(=3t)이 비교된다. 즉 스텝 38에서, 다음 식이 충족되는지가 첵크된다.
Figure kpo00001
REFINT×2≥REFINT old 1일 때, 흐름은 스텝 52로 진행된다. REFINT×2<REFINT old 1일 때, 흐름은 스텝 39로 진행한다. 스텝 39에서 RETMST 플랙이 세트되고, 기준모드(REFMOD)가 리세트된다. BTDC 10° 신호가 입력될 때, REFMOD가 1로 된다. BTDC 95°신호가 입력될 때, REFMOD가 2로 된다. BTDC 65° 신호가 입력될 때, REFMOD가 3으로 된다.
식(1)에 관하여 BTDC 10°에 있는 펄스(A)와 BTDC 95°에 있는 펄스(C)에서 진행하는 펄스주기 REFINT old 1이 현재의 펄스주기 REFINT보다 더 짧기 때문에, 식(1)이 충족되지 않는다. 식(1)에 따르면, 펄스(B)와 다른 펄스(A), (C)는 잘못 판별되지 않는다. 판별과정(c)이 I/O LSI(4)에서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함으로써 올바르게 수행된 것으로 확인될 때, 판별과정(c)은 다음 판별과정(d)으로 진행된다. 또한 판별과정(d)에서, 펄스주기의 판별은 판별과정(c)의 경우에서와 같이 회전신호(A), (B), (C)에 대응하는 세개의 펄스의 각 펄스입력에서 실행된다. 식(1)이 판별과정(c)에서 실현될 때, REFMOD의 증가는 스텝(40)에서 수행된다. 스텝 41에서, REFMOD는 3이고, 흐름은 스텝 42로 진행한다. 스텝 41에서, REFMOD가 3이 아닐 때 흐름은 스텝 52로 진행한다. 스텝 42에서, REFMOD가 세트된다. 스텝 43에서 REFINT×2≥REFINT old 1일 때, 흐름은 스텝 47로 진행한다. REFINT×2<REFINT old 1일 때, 흐름은 스텝 44로 진행한다. 스텝 44에서, 기준카운터(REFCNT)의 증가가 실행된다. 스텝 45에서, REFCNT의 값이 1 이상일 때 흐름은 스텝 46으로 진행한다. 스텝 45에서 REFCNT의 값이 1 이하일 때, 흐름은 스텝 52로 진행한다. 스텝 46에서 REFTMG 플랙이 세트된다. 스텝 47에서 RETMST 플랙이 클리어되고 또한 REFCNT가 클리어된다. 식(1)이 판별과정(d)에 있는 I/O LSI(4)의 메모리에서 일단 확일될 때, 과정(d)은 판별과정(e)으로 진행한다.
판별과정 (c), (d)은 CPU(5)가 식(1)의 판별을 올바르게 수행했는지를 첵크하고, REFMOD의 내용을 리세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텝 48에서 REFMOD의 증가는 REFMOD에 1을 부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스텝 49에서 REFMOD의 컨텐트가 2일 때, 흐름은 과정 ①을 통하여 스텝 56으로 진행한다. REFMOD이 컨텐트가 2로 되지 않을 때 흐름은 스텝 50으로 진행한다. 스텝 50에서 REFMOD의 컨텐트가 1일 때, 흐름은 과정 ②을 통하여 스텝 55로 진행한다. REFMOD의 컨텐트가 2도 아니고 1도 아닐 때, 흐름은 스텝 51로 진행한다. 스텝 51에서 REFMOD가 리세트되고 흐름이 과정 ③을 통하여 스텝 54로 진행한다. 과정 ②는 펄스(A)로 수행된다. 과정 ③은 펄스(B)로 수행된다. 과정 ①은 펄스(C)로 수행된다. 펄스(A)는 엔진시동의 점화 타이밍에 대응한다. 펄스(B)는 점화코일의 통전개시 타이밍에 대응한다. 엔진의 시동시 과정 ③에서 점화코일(8)의 통전을 개시하고 과정 ②에서 점화코일(8)의 통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S2)가 I/O LSI(4)로부터 출력된다. 스텝 54에서, B1의 타이밍이 세트되고, 흐름이 BTDC 65° 신호로 동기과정을 수행하도록 진행된다. 스텝 55에서, A1과 D의 타이밍이 세트되고, 흐름이 BTDC 10° 신호에 동기과정을 수행하도록 진행한다. 스텝 56에서, t1가 세트되고, 흐름이 BTDC 95° 신호에 동기과정을 수행하도록 진행한다. 스텝 54,55,56으로부터 이들 신호는 과정 ④을 통하여 스텝 52로 전달된다. 스텝 52가 타이머 엔진 스톱(TMENST)을 리세트한다. 스텝 53에서는 인터럽트(RTI)로 복귀되게 명령한다.
점화코일 구동회로(6)는 I/O LSI(4)로부터 신호(S2)와 정상 점화신호(S2')를 입력하고, 점화코일을 구동하기 위한 증폭신호(S3)를 점화코일(8)에 출력한다. 회로(8)로부터의 구동신호가 점화코일(8)의 일차 권선에 입력되어, 엔진이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 플러그(10)에 전류를 방전하기 위해 점화코일(8)의 이차 권선에 고압을 유도한다.
펄스(A)에 의한 과정 ②에서, I/O LSI(4)가 연료분사신호(S4)를 출력한다. 연료분사신호(S4)에 의하여 분사구동회로(7)로 증폭되는 신호(S5)는 분사기(11)내의 노즐을 개방시키고, 연료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흡기관(12)에 압축연료를 분사한다. 개방밸브 간격(t1)은 적어도 실린더에 흡입된 공기량과 물의 온도와 같은 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 증가된 보상성분이 부가된다.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치를 초과하고 물의 온도로 결정되는 분사량이 엔진시동후 끝날 때, 엔진시동은 끝나고 엔진은 작동상태 또는 정상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다음에 엔진은 정상작동을 하기 시작하고, 점화타이밍 제어는 정상 작동상태로 변환된다. 점화 타이밍은 엔진의 부하와 회전속도의 상태에 기초하여 CPU(5)에 의해 세트되어 있다. CPU(5)는 정상 작동시 점화 타이밍(A')과 회전신호(S1)의 펄스(C)로부터 시간간격(tf)을 계산한다. 시간 간격(tf)과 점화 타이밍(A')은 I/O LSI(4)의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에 세트되어 있다. I/O LSI(4)는 정상 작동시 시동점화신호(S2)를 정상 점화신호(S2')로 바꾼다. 정상 점화는 정상 점화신호가 펄스(C) 입력부터 tf시간이 지난 후, 로우레벨로 변환되어 점화코일(8)의 통전을 정지시키고 점화코일(8)을 점화되게 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정상 작동시 점화코일(8)의 통전개시 타이밍은 CPU(5)에 의해 정상 점화신호(S2')의 점화 타이밍(A')의 기준으로부터 시간 간격(ta)을 카운트하여 수행되고, 시간간격(td)의 값은 I/O LSI(4)에 세트되어 있다. 이전의 정상 점화신호(S2')의 후단 모서리(A')로부터 td시간이 경과한 후에 I/O LSI(4)는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점화코일(8)의 통전을 개시한다. 시간 간격 (td), (tf)은 점화주기마다 갱신된다. 시간 간격(td)은 점화코일의 통전의 큰 간격에 의해 야기된 점화코일(8)의 연소를 방지하도록 정상 점화신호(S2')의 튜티비의 80%를 초과하지 않은 것이 요구된다.
정상 점화신호에 의한 점화 제어가 어떤 문제점에 의해 수행될 수 없을 때에는, I/O LSI(4)에 내장된 비정상 판별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그 문제를 검출하고, I/O LSI(4)에 내장된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백업신호를 생성하여, 점화 제어가 정상 점화신호(S2')에 의한 제어에서 시동점화신호(S2)의 제어로 변환되게 하여 엔진의 파손과 엔진 정지를 방지하도록 한다.
제1도에서 마그네틱 픽업시스템이 신호발생수단(1), (2)으로서 사용된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신호발생수단(1), (2)으로서 마그네틱 픽업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광학타입의 신호발생수단 또는 호울센서타입의 신호발생수단이 마그네틱 픽업신호발생수단 대신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s (12)

  1.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 타이밍과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7)과, 엔진의 점화에 사용되는 고압을 발생시키는 발생수단(8)과, 연료공급 간격(S4), 연료공급 유량(t1) 또는 점화 타이밍(A1)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엔진에 연결된 로우터(1)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의 사이클 타이밍(S2,S2',S4)을 셋팅하는 셋팅수단과, 사이클 타이밍(S2)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의 시동시 최소한 상기 점화 타이밍(A1)을 결정하는 결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엔진의 로우터(1)의 회전위치에 동기하여 각 실린더의 한 사이클 동안 세개의 신호(A,B,C)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세개의 신호중 제1신호(A)에 의거하여 발생되는 상기 점화 타이밍(A1)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제어장치가 비정상인 것은 검출할 때 상기 연산된 점화 타이밍(A1)에 의거하여 백업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세개의 신호중 제2신호(B)에 의거하여 점화코일(8)의 일차 권선에 통전개시 타이밍(B1)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제어장치가 비정상인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연산된 점화 타이밍(A1)에 의거하여 백업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세개의 신호(A,B,C)중에서 제1신호(A)에 의거하여 발생되는 상기 점화 타이밍(A1)과, 상기 세개의 신호에서 제2신호(B)에 의거하여 점화코일(8)의 일차 권선의 통전개시 타이밍(B1)을 연산하고, 또 상기 세개의 신호(A,B,C)중에서 제3신호(C)를 사용하여 제1, 2 및 3신호(A,B,C) 사이의 시간 간격(3t,t,2t)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각 실린더에서의 제1 및 2신호(A,B)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신호(A,B,C)를 출력하는 픽업코일(2)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우터(1)는 상기 세개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엔진의 각 실린더당 세개의 돌기를 가지고 있어, 상기 센서가 상기 엔진이 캠샤프트의 회전에 동기하여 상기 돌기에 면하게 되는 경우, 상기 세개 신호(A,B,C)를 생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점화 배전기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0. N세트의 실린더와, 엔진의 크랭크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로우터(1)와, 제어회로(3,4,5,6,7)를 통하여 로우터에 연결된 점화코일로 이루어진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1)는 복수의 실린더 갯수의 정배수개의 돌기를 구비하고, 픽업코일(2)은 상기 로우터와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있고, 대규모 집적회로(4)는 상기 픽업코일에 연결되어 있고, 구동회로(6)는 상기 대규모 집적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점화코일의 일차 권선의 통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배수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구동회로(6)는 상기 대규모 집적회로(4)에 연결되어 상기 대규모 집적회로(4)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점화코일의 통전을 제어하고, 제2구동회로(7)는 상기 대규모 집적회로(4)에 연결되어 상기 대규모 집적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1019890002246A 1988-03-02 1989-02-25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47573 1988-03-02
JP63047573A JP2698593B2 (ja) 1988-03-02 1988-03-02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88-47573 1988-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75A KR890014875A (ko) 1989-10-25
KR950009973B1 true KR950009973B1 (ko) 1995-09-04

Family

ID=1277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246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9973B1 (ko) 1988-03-02 1989-02-25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72818A (ko)
JP (1) JP2698593B2 (ko)
KR (1) KR950009973B1 (ko)
DE (1) DE3906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73B2 (ja) * 1989-05-29 1996-02-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2623859B2 (ja) * 1989-09-20 1997-06-25 国産電機株式会社 船外機用内燃機関点火装置
JPH03233162A (ja) * 1990-02-06 1991-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JP2880550B2 (ja) * 1990-02-19 1999-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US5165271A (en) * 1991-03-29 1992-11-24 Cummins Electronics Singl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engine speed and position
JP2657862B2 (ja) * 1991-09-30 1997-09-3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クランク角及び気筒判定方法
US5402761A (en) * 1993-11-12 1995-04-04 Dechellis; Anthony Engine timing plate
US5392754A (en) * 1993-12-16 1995-02-28 Delco Electronics Corp. Method of suppressing ringing in an ignition circuit
JP3126689B2 (ja) * 1997-10-27 2001-01-22 株式会社ケーヒン エンジン制御装置
JP4270534B2 (ja) 2000-10-12 2009-06-03 ヤマハモーター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負荷検出方法、制御方法、点火時期制御方法および点火時期制御装置
US6742502B2 (en) 2000-10-12 2004-06-01 Kabushiki Kaisha Moric Engin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640777B2 (en) * 2000-10-12 2003-11-04 Kabushiki Kaisha Mori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225793B2 (en) * 2003-08-14 2007-06-05 Electrojet, Inc. Engine timing control with intake air pressure sensor
JP2007198366A (ja) * 2005-12-26 2007-08-09 Denso Corp 内燃機関の制御システム及びタイミングロー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8133A (en) * 1978-02-13 1979-08-24 Hitachi Ltd Electronic engine control system
JPS54121127U (ko) * 1978-02-14 1979-08-24
US4355613A (en) * 1980-12-29 1982-10-26 The Bendix Corporation Ignition advance timing system
DE3269327D1 (en) * 1981-06-05 1986-04-03 Lucas Ind Plc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nction control system
JPS5838375A (ja) * 1981-08-28 1983-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
US4658788A (en) * 1985-01-21 1987-04-21 Nippondenso Co., Ltd.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791569A (en) * 1985-03-18 1988-12-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B8518593D0 (en) * 1985-07-23 1985-08-29 Lucas Ind Plc Control for i c engine
JPH0642060B2 (ja) * 1985-08-15 1994-06-01 コニカ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カラ−写真感光材料用発色現像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06674A1 (de) 1989-10-19
JP2698593B2 (ja) 1998-01-19
KR890014875A (ko) 1989-10-25
DE3906674C2 (ko) 1991-08-01
JPH01224470A (ja) 1989-09-07
US4972818A (en) 199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973B1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US46779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operativeness/inoperativeness of an air-fuel ratio sensor
JPH0828338A (ja) 内燃機関のクランク角位置検出装置及び制御装置
US5860406A (en) Engine tim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4873958A (en) Engine ignition timing control system
US4959996A (en)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1272471A (ja) 内燃エンジンの基準クランク角度位置検出系異常時の点火時期制御方法
US5186144A (en) Ignition control system with cylinder identification evaluation
JPH1162687A (ja) エンジンの回転方向判別装置
JP3653190B2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装置
US4690122A (en) Ignitio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586479A (en) Electronic fuel injection control with variable injection intervals
JPH0610746A (ja) エンジンの電子制御式燃料噴射装置
KR910007341B1 (ko) 엔진제어장치
JPH0723582Y2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EP0385793A2 (en) Multiple-cylinder engine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engine
JPH0953499A (ja) 4サイクル内燃機関用制御装置
JPH068685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5494017A (en) Igni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lti-cylinder two cycle engine
JPH10299563A (ja) 直噴式火花点火機関の失火検出装置及び制御装置
US6591810B2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109948A (ja) 内燃機関のクランク角判別装置
US62237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gnition timing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65537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650494B2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09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90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