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8779Y1 -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 Google Patents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779Y1
KR950008779Y1 KR92003812U KR920003812U KR950008779Y1 KR 950008779 Y1 KR950008779 Y1 KR 950008779Y1 KR 92003812 U KR92003812 U KR 92003812U KR 920003812 U KR920003812 U KR 920003812U KR 950008779 Y1 KR950008779 Y1 KR 950008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nel
synthetic resin
light weight
joi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3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747U (ko
Inventor
이각표
이익우
김인숙
정성진
Original Assignee
홍성범
효성드라이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범, 효성드라이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성범
Priority to KR92003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779Y1/ko
Publication of KR930021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에에 관한 이음구조체를 도기해 놓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경량복합구조판넬과 보통 창틀사이의 접합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멘트경질보드 2 : 합성수지발포체
3 : 경량기포콘크리트 4 : 경량복합구조판넬
5 : 합성수지계 퍼티 6 : 폴리스트렌계 백업
7 : 수발포우레탄폼 8 : 창틀
본 고안은 건축자재인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경량복합구조판넬이 접촉되도록 합성수지계 퍼티(PUTTY)사이에 폴리스트렌계 백업과 수발포 우레탄폼을 적층시켜서된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근대화 과정속에서 과학기술 및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이 급진적으로 됨에 따라 건축분야에서도 대형화, 고층화 및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건축설계자나 시공자들에 의해 새로운 이론과 공업의 도입, 새로운 건축재의 등장, 기법의 도입, 계획, 설계 및 선택등으로 이를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새로운 건축재의 등장과 이에 따른 시공은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체를 새롭게 건축되어질 고층건물의 외벽에 적용하게 된다.
상기 경량복합구조체는 외측과 내측의 시멘트경질보드 사이에 합성수지발포체와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합성수지발포체가 적층되어 일체화된 것으로, 종래와 달리 벽돌로 쌓아 올려 외벽을 완성시키는 것이 아니고 제조업체에서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서 이를 그대로 외벽에 설치시켜 주게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 경량복합구조체를 건축물의 외벽으로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다 보면 창틀부근에서나 적절한 크기로 확장시키려고 접합 및 이어주어야만 다양하게 가공 및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안출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작된 외벽제용 경량복합구조판넬을 가공 및 설치하기 위해 상기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을 한 벽면으로 해서 접합시커가나 창틀을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계 퍼티사이에 폴리스트렌계 백업과 수발포 우레탄폼을 적층시킨 것을 이용하게 됨으로 시공시 외벽에서 견고한 이음 및 접합을 기할 수 있는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이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는, 외측과 내측의 시멘트경질보드(1)사이에 합성수지발포체(2)와 경량기포콘크리트(3) 및 합성수지발포체(2)가 적층되어 일체화된 경량복합구조판넬(4)간을 연결하여 한 벽면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외측과 내측에 합성수지계 퍼티(5)가, 그 사이에 1/5부분의 폴리스트렌계 백업(6)과 4/5부분의 수발포우레탄폼(7)이 적층 설치되어 상기 경량복합구조판넬(4)사이에 접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이음구조체를 도시해 놓은 사시도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작된 외측과 내측의 시멘트경질보드(1)사이에 합성수지발포체(2)와 경량기포콘크리트(3) 및 합성수지발포체(2)가 적층되어 일체화된 경량복합구조판넬(4)을 한 벽면의 외벽재로 시공시 서로 이음 및 접합시킬수 있도록 외측과 내측에 합성수지계 퍼티(5)가, 그 사이에 1/5부분의 폴리스트렌계 백업(6)과 4/5부분의 수발포우레탄폼(7)이 적층 설치되어 있다.
일정한 크기의 경량복합구조판넬(4)을 한 벽면으로 더 크게 확장한다든지 창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경량복합구조판넬(4)사이에 본 고안의 이음구조체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외측 및 내측에 합성수지계 퍼티(5)가 각각 설치되는 한편 1/5 부분의 폴리스트렌계 백업(6)과 4/5부분의 수발포 우레탄폼(7)이 그 사이에 적층되어 일체화 접합되도록 설치된다.
즉, 한 벽면으로 구성시키기 위해 각각의 경량복합구조판넬(4) 내외측의 시멘트경질보드(1)에 상기 내외측의 합성수지계 퍼티(5)가 일치되고, 상기 시멘트경질보드(1)상의 합성수지발포체(2)에 1/5부분의 폴리스트렌계 백업(6)이, 나머지의 경량기포콘크리트(3) 및 합성수지발포체(2)에 4/5부분의 수발포 우레탄폼(7)이 일치됨으로, 상기 경량 복합구조판넬(4)을 한 벽면으로 견고히 접합시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 것보다 더 큰 크기의 판넬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외측의 합성수지계 퍼티(5)와 1/5부분의 폴리스트렌계 백업(6) 및 4/5부분의 수발포 우레탄폼(7)이 경량복합구조판넬(2)에 4/5부분의 수발포 우레탄폼(7)이 일치됨으로 상기 경량 복합구조판넬(4)간에 적절히 설치됨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벽면의 외벽재로서 종래의 벽돌적재와 달리 직접 현장가공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경량복합구조판넬과 보통 창틀 사이의 접하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외벽재로 외측과 내측의 시멘트경질보드(1)사이에 합성수지발포체(2)와 경량기포콘크리트(3) 및 합성수지발포체(2)가 적층되어 일체화된 한 벽면의 경량복합구조판넬(4)에 창틀(8)을 설치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는 경우도 발생되는데, 이는 상기 경량복합구조판넬(4)와 창틀(8) 사이에 일렬의 합성수지계 퍼티(5)와 수발포우레탄폼(7)을 적층시켜 접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한 벽면으로 경량복합구조판넬(4)과 창틀(8)사이의 접합구조체가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이음구조체와 마찬가지로 견고히 접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작된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을 가공 및 설치하기 위해 상기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을 한 벽면으로 해서 접합시키거나 창틀을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계 퍼티사이에 폴리스트렌계 백업과 수발포 우레탄폼을 적층시킨 것을 이용하게 됨으로 시공시 외벽에서 견고한 이음 및 접합을 기할 수 있는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외측과 내측의 시멘트경질보드(1)사이에 합성수지발포체(2)와 경량기포콘크리트(3) 및 합성수지발포체(2)가 적층되어 일체화된 경량복합구조판넬(4)간을 연결하여한 벽면으로 사용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경량복합구조판넬(4)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체가 외측 및 내측에 합성수지계 퍼티(5)가, 그 사이에 1/5 부분의 폴리스트렌계 백업(6)과 4/5 부분의 수발포 우레탄폼(7)이 적층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복합구조판넬(4)과 창틀(8)사이를 접합하는 구조체가 일렬의 합성수지계 퍼티(5)와 수발포우레탄폼(7)을 적층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KR92003812U 1992-03-10 1992-03-10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KR950008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812U KR950008779Y1 (ko) 1992-03-10 1992-03-10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812U KR950008779Y1 (ko) 1992-03-10 1992-03-10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747U KR930021747U (ko) 1993-10-16
KR950008779Y1 true KR950008779Y1 (ko) 1995-10-14

Family

ID=1933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3812U KR950008779Y1 (ko) 1992-03-10 1992-03-10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7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747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449A (en) Structural panel
US5265389A (en) Composite building panel
US4832995A (en) Laminated ceramic tile panel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930010328A (ko) 외장용 빌딩 패널
US3859766A (en) Wall structure for modular or mobile homes
ATE202592T1 (de) In einem verbund-wandelement aus kalkstein oder ähnlichem material verwendete zweikomponenten- polyurethan-klebestoffzusammensetzung
IE800213L (en) Building panel made of plaster
KR950008779Y1 (ko)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간의 이음구조체
FR2444132A1 (fr) Panneau composite multicouche
EP0618989B1 (en) Panel structure and panel for use in forming such structure
SK278092B6 (en) Plate sandwich element
SE8405028D0 (sv) Gjutformsskiva jemte sett att tillverka densamma
JPH0243934Y2 (ko)
KR950008778Y1 (ko) 외벽재용 경량복합구조판넬의 고정클립구
US6136731A (en) Jointing tape for wall slabs
JP2954011B2 (ja) 化粧盤
NL7805268A (en) Composite sandwich panel for roof on wall construction - has bending strength to enable panel to be built in without structural support work
KR800001459Y1 (ko) 벽체 구축용 타일
JPH1046780A (ja) 目地充填建材及び目地処理工法
FR2429100A1 (fr) Materiau composite a base de roches marbrieres
FR2088967A6 (en) Composite sound insulation - designed to specific resonance and stiffness requirements using synthetic wool fibreboard and lead
KR960003315Y1 (ko) 건축용 패널
US20050202199A1 (en) Prefabricated mosaic modules
FR2800108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parois et cellules de batiments et les parois et cellules de batiment obtenues par sa mise en oeuvre
JPS58218551A (ja) 出隅コ−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3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72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3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3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