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8341B1 - 방적 및/또는 방수카메라 - Google Patents

방적 및/또는 방수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41B1
KR950008341B1 KR1019900014920A KR900014920A KR950008341B1 KR 950008341 B1 KR950008341 B1 KR 950008341B1 KR 1019900014920 A KR1019900014920 A KR 1019900014920A KR 900014920 A KR900014920 A KR 900014920A KR 950008341 B1 KR950008341 B1 KR 95000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member
lens barrel
spinning
barrel
annular se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881A (ko
Inventor
히도시 다나까
고세이 고사꼬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도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1065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812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73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1896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도오루 filed Critical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적 및/또는 방수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적 및 방수카메라의 주요 부품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환형 워터시일 부재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2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적 및 방수카메라의 주요 부품의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도시된 환형 워터시일 부재의 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적 및 방수카메라의 주요 부품의 측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 도시된 환형 원터시일 부재의 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적용된 방수 및 방적 카메라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카메라 몸체 14 : 사진렌즈 배럴
40a, 40b : 개구부 41,55 : 시일부재
41a : 시일부재 41a : 고정부
52,60 : 립부분
본 발명은 방수 및/또는 방적 카메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광학 축방향에서 가동할 수 있는 사진렌즈 배럴을 갖춘 방수 및/또는 방적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비 또는 해변에서 카메라에 유입하는 비 또는 물방울을 허용하지 않는 방수카메라 및 얕은물, 예를들면 수영장, 또는 해변가 가까이의 해수에서도 조차 사진찍을 수 있는 방적 카메라가 시중에서 구입될 수 있다.
방직 및/또는 방수의 주움(zoom)카메라를 실현시키려는 시도가 있다. 하나의 해결책은 카메라 몸체의 전방벽에 형성된 개구부 내부로 신축 가동할 수 있는 사진렌즈배럴과 개구부 사이에 O링과 같은 시일부재를 구비하여서 O링이 외부표면 및 내부표면에 각각 개구부의 내주 및 사진렌즈 배럴의 외주와 밀착접촉되어, 이에 의해 수밀기구를 실현시킨다.
그러나, 수밀 기구에서, O링과 개구부의 내주 사이의 수밀 작용을 높이기 위하여, 개구부의 내주에 대해서 O링을 확실히 가압시키기 위하여 사진렌즈 배럴과 개구부의 내주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O링이 사진렌즈 배럴의 외주에 대해서 강력히 가압되도록 하여서, 가동식 사진렌즈 배럴의 미끄럼 저항을 증가하게 한다.
그러므로, 사진렌즈 배럴의 유연한 운동이 확실히 보장될 수 없다.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내주에 대해서 O링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것은 O링과 개구부의 내주사이 그리고 O링과 사진렌즈 배럴의 외주 사이의 수밀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고압으로 개구부와 시진렌즈 배럴을 밀착되어야 하는 O링을 사용하지 않고, 사진렌즈 배럴의 유연한 미끄럼 운동을 확실히 보장하면서, 카메라 몸체에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로 부터 신축 가동할 수 있는 사진렌즈 배럴 사이에 안정된 수밀관계가 설정될 수 있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진렌즈 배럴이 광축방향으로 가동되는 카메라 몸체에 개구부 및 상기 사진렌즈 배럴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환형 시일부재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환형 시일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내주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외주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사진렌즈 배럴의 외주와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립부분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관계없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립부분은 카메라 몸체에서 보아서 광축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써, 환형시일부재의 고정부는 수밀식으로 개구부에 고정되고, 고정부와 관계없이 변형될 수 있는 환형시일의 립부분은 사진렌즈 배럴의 외주와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사진렌즈의 미끄럼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 수밀관계가 개구보와 사진렌즈 배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환형시일부재의 고정부는 다른 직경들을 가진 복수의 내ㆍ외주 환형표면으로 구비되며, 카메라 몸체에 개구부는 환형시일부재의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환형시일부재의 대응 내외주 환형표면과 밀착되는 다른 직경들을 가진 복수의 내외부 방적 표면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시 말해서 고정부가 수밀식으로 기구부에 고정되고 립부분이 고정부로 인하여 압력없이 사진렌즈 배럴의 외주와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방식으로 내부립부분이 끼워지므로, 사진렌즈 배럴의 유연한 미끄럼 운동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8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방적 및/또는 방수카메라(1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카메라(10)는 수밀식으로 카메라 몸체(12)에 장착된 사진렌즈 배럴(14)을 갖축 수밀 카메라 몸체(12)를 가지고 있다.
사진렌즈 배럴(14)은 주움 작동을 하도록 한쌍의 주움스위치(30,32)에 의해 카메라의 광축방향에서 가동할 수 있다. 사진렌즈 배럴(14)은 수밀식으로 사진렌즈 배럴(14)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방끝에 구비된 보호유리(15)를 갖추고 있다.
카메라 몸체(12)는 방출버튼(28)을 갖춘 상부면과 개방가능 후방커버(34)를 갖춘 후면을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이 대물거리를 탐지하도록 발광하는 발광윈도우(20), 목적물이 찍혀지도록 목적물로 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수용하는 광수용 윈도우(22), 파인더의 대물윈도우(24), 및 스트로브 발광 윈도우(26)가 카메라 몸체(12)의 전방벽(12a)상에 구비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메라 몸체(12)에 고정된 고정링(4)이 고정배럴(40)에 구비된다. 고정링(42)은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뻗은 선형운동 안내 그루우브(43)를 원주 표면상에 구비한다. 캠링(44)이 고정링(42)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사진렌즈 배럴(14)은 고정링(42)에 가동식으로 끼워 맞춰진다. 사진렌즈 배럴(14)은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선형 운동 안내 그루우브(43)와 캠 그루우브(45) 양쪽에 끼워 맞춰진 로울러(46)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캠링(44)이 주움모우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될 때, 로울러(46)는 사진렌즈 배럴(14)이 광축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캠 그루우브(43,45)를 따라서 운동한다.
고정배럴(40)은 전방끝은 사진렌즈 배럴(14)이 운동하는 고정배럴(40)의 내부표면(40b)과 함께 센터개구부(40a)를 형성하는 안쪽으로 뻗은 플랜지(47)를 형성하기 위하여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환형 원터시일부재(워터 수밀부재 : 41)는 센터개구부(40a)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열되고 사진렌즈(14)와 고정배럴(40)의 내부표면(40b)을 포함하고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환형 워터시일부재(41)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환형 원터시일부재(41)는 수밀식으로 개구부(40a,40b)에 고정되는 외부 환형 고정부(41a)와 사진렌즈 배럴(14)의 외주와 접촉하게 하는 센터개구부(52c)를 갖춘 내부 환형 립부분(52)를 갖추고 있다. 고정부(41a)는 고정렌즈 배럴(40)의 개구부(40b : 내부수밀 표면), 시일부재(41)의 후방끝(제1도 및 제2도에서 우측끝)에 형성되고 고정링(42)이 끼워지는 계단식 내부표면(48) 그리고 고정배럴(40)의 후방면(47a)에 대해서 지지되는 맞닿음 벽(53)에 의해 형성되어서, 고정부(41a)는 수밀식으로 고정배럴(40)의 개구부(40a, 40b)에 고정된다. 즉, 시일부재(41)의 외부표면(51)은 시일부재(41)의 자유상태에서 내부표면(40b)의 내경보다도 약간 더 큰 직경을 갖추고 있으며, 내부표면 부분(48)은 고정링(4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추고 있다.
한편, 내부표면부분(50)은 사진렌즈 배럴(14)이 내부표면부분(50)과 전혀 접촉되지 않도록 사진렌즈 배럴(14)의 외경보다도 더 큰 직경을 갖추고 있다. 전방 얇은 립부분(52)은 카메라 몸체(12)로부터 보았을때 고정부(41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립부분(52)은 고정부(41a)와 실제로 관계없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내부표면부분(48)은 시일부재(41)가 고정링(42)상에 끼워 맞춰질때 시일부재(41)의 후방쪽으로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고정링(42)의 전방끝에 대하여 지지된 계단식 부분(수직표면부분 : 49)에 의해 내부표면부분(50)에 연결된다. 맞닿음벽(53)은 고정배럴(40)의 후방표면(47a)에 대해 지지하고 시일부재(41)이 전방쪽으로의 변위를 억제한다. 수밀장치가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고정부(41a)에 의해 확실히 보장될 수있기 때문에 환형플랜지(47)와 고정링(42) 사이에서 광축 방향으로 환형시일부재(41)를 가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환형시일부재(41)가 환형 플랜지(47)와 고정링(42)사이에서 그리고 환형 플랜지(47)와 고정링(42)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가압될때 조차도 적용될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시일부재(41)의 외부표면(51)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환형시일부재(41)의 자유상태에서 고정배럴(40)의 내부표면(40b)의 직경보다도 약간 더 큰 직경(
Figure kpo00001
A)을 갖추고 있다.
바람직하게, 시일부재(41)가 60 내지 100Hs의 고무 경도를 갖춘 우레탄 고무로 제조된다. 예를들면, 고정배럴(40)의 내면(40b)의 직경이 43.75 내지 43.85mm일때,
Figure kpo00002
A는 바람직하게 44.20 내지 45.00mm이다. 이 실시예에서, 시일부재(41)의 외경(
Figure kpo00003
A)이 0.45 내지 1.15mm 감소되므로, 이것이 제1도에서 도시된 고정배럴(40)에 끼워질 때, 시일부재(41)의 외부표면(51)은 시일부재(41)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수밀식으로 고정배럴(40)의 내부표면(40b)과 밀착되어, 따라서 고정배럴(40)의 개구부(40a, 40b)와 시일부재(41)의 고정부(41a) 사이에 수밀 밀봉을 확실히 보장한다.
한편, 시일부재(41)의 립부분(52)은 시일부재(14)가 고정렌즈 배럴(40)에 조립될 때 사진렌즈 배럴(14)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
Figure kpo00004
B)을 갖추고 있다. 사진렌즈 배럴(14)이 반경 0.2 내지 1.0mm로 설정될때, 립부분(52)의 탄성변형을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의 반경에서 0.2 내지 1.0mm에서 설정된다. 시일부재(41)의 내경(
Figure kpo00005
B)이 시일부재(41)가 고정배럴(40)에 조립될때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조립될때 고정부(41a)의 변형을 야기시키지 않고 립부분(52)의 변형이 발생된다. 특히, 립부분(52)이 고정부(41a)와 관계없이 변형한다. 따라서, 사진렌즈 배럴(14)의 미그럼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 시일부재(41)의 립부분(52)과 사진렌즈 배럴(14) 사이에서 수밀 효과를 확실히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유연한 운동이 이루어진다.
시일부재(41)의 외경(
Figure kpo00006
A)이 44.20 내지 45.00mm이고 립부분(52)의 내경(
Figure kpo00007
B)이 36.3 내지 36.9mm일때, 립부분(52)의 두께(C)와 길이(D)는 각각 바람직하게 0.5 내지 1.0mm 및 1.5 내지 5.0mm이다. 립부분(52)의 두께가 결정되어 버클링이 사진렌즈 배럴(14)의 미끄럼 운동 동안에 발생되지 않는다. 립부분(52)의 길이(D)는 사진렌즈 배럴(14)의 미끄럼 운동방향을 역전시킴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방향을 역전시키는 탄성 변형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길다.
사진렌즈 배럴(14)이 시일부재(41)에 끼워 맞춰진때, 립부분(52)은 제2도와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부(41a)와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외부로 확장되도록 탄력적으로 면형된다. 립부분(52)의 조임력과 수밀은 립부분(52)의 두께, 립부분(52)의 내경과 렌즈배럴(14)의 외경간의 차이, 고무경도 등에 좌우된다.
또한, 사진렌즈 배럴(14)의 미끄럼 저항은 립부분(52)의 조임력과 립부분(52)에 대한 사진렌즈 배럴(14)의 외주표면의 마찰계수가 좌우되며, 이것을 예를들면 사진렌즈 배럴(14) 또는 립부분(52)의 외주표면에 페인팅하므로서 또는 립부분(52) 또는 사진렌즈 배럴(14)을 만드는 재료를 변화시킴으로써 마찰계수를 변화시켜 선택될 수 있다.
사진렌즈 배럴(14)의 외주부분과 립부분(52)의 밀착으로 인하여, 차가운 기후에서 사진렌즈 배럴(14)의 외주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서리는 사진렌즈 배럴(14)의 미끄럼 운동시 문지러지거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립부분(52)이 광축방향 전방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카메라가 물속에서 사용될 때 립부분(52a)은 작용되는 수압으로 인하여 사진렌즈 배럴(14)의 외주표면에 대해서 가압되어서, 수밀 작용은 고양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1 내지 제3도에서 예시된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를 부여하였다.
고정배럴(40)은 전방끝에서 개구부(40a) 그리고 개구부(40a)를 형성하는 후방으로 뻗은 만곡부분(47b)을 갖추고 있다. 내주 환형립부분(60)과 외부환형 고정부(58)를 갖춘 환형 원터시일부재(55)가 고정배럴(40)의 만곡부분(47b)에 끼워맞춰진다. 내부 환형립부분(60)은 환경고정부와 관계없이 변형될 수 있다. 립부분(60)의 내부 접촉부분(60a)은 사진렌즈 배럴(14)의 외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추고 있다. 고정배럴(40)의 만곡부분(47)이 끼워지는 환형리세스(57)가 고정부(58)의 전방끝에 형성된다. 시일부재(55)의 고정부(58)는 수밀식으로 고정배럴(40)의 개구부(40b ; 내부표면부분)와 밀착되는 외부표면부분(59)을 갖추고 있다. 리세스(57)는 수밀식으로 고정배럴(40)의 만곡부분(47b)의 대응 외부접촉표면(47c)과 밀착하게 되는 내부환형 표면부분(57a)으로 형성되는 한편, 내부 환형 표면부분(57a)으로 경사지고 만곡부분(47b)의 대응내부표면(40a)으로 부터 이격된 외부환형 표면부분(57b)은 고정부(58)와 관계없이 립부분(60)의 변형을 보장한다.
사진렌즈 배럴(14)의 외경(
Figure kpo00008
a), 고정배럴(40)의 내부접촉표면(40b)의 직경(
Figure kpo00009
c), 만곡부분(47b)의 외부접촉표면(48c)과 고정배럴(40)의 내부접촉 표면(40b) 사이에서의 직경차이(d), 시일부재(55)의 전방내부밀착부분(60)의 직경(
Figure kpo00010
a'), 시일부재(55)의 외부표면부분(59)의 직경(
Figure kpo00011
c'), 외부표면부분(59)의 직경(
Figure kpo00012
c')과 내부환형 표면부분(57a)의 직경 사이의 차이(d')의 관계는
Figure kpo00013
a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a',
Figure kpo00016
c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c', d
Figure kpo00019
d'이다.
따라서, 시일부재(55)가 고정배럴(40)에 끼워져 만곡부분(47b)이 리세스(57)에 끼워질때, 고정배럴(40)의 내부접촉표면(40b)이 수밀식으로 시일부재(55)의 외부표면부분(59)와 밀착하게 되고, 내부 환형표면부분(57a)는 각각 수밀식으로 외부 접촉표면(47c)과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58)는 수밀식으로 개구부(40a,40b)에 고정된다.
즉, 시일부재(55)의 고정부(58)가 사진렌즈 배럴(14)의 부착과는 무관하게 수밀식으로 고정배럴(40)의 개구부(40a)에 부착되므로, 사진렌즈 배럴(14)은 수밀을 보장하기 위하여 작은 마찰 저항하에서 작은 삽입력으로써 시일부재(55)의 립부분(50)에 삽입될 수 있다.
수밀 관계는 시일부재가 사진렌즈 배럴상에 끼워질때 시일부재(55)와 사진렌즈 배럴(14)사이에 자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진렌즈 배럴(14)과 시일부재(55)사이의 작은 마찰저항을 시일부재에서 사진렌즈 배럴의 유연한 미끄럼 운동에 기여한다.
제6도와 제7도는 환형 원터시일부재(55')가 제1도와 제2도에서 예시된 제1실시예의 립부분(56)과 제4도와 제5도에서 예시된 제2실시예의 환형 리세스(57)을 갖춘 고정부분(58) 양자를 가진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6도와 제7도에서 도시된 장치로, 립부분(56)이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고정부(58)와 관계없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비슷한 확실한 수밀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Claims (14)

  1. 사진렌즈 배럴이 광축방향으로 가동되는 카메라 몸체의 개구부, 상기 사진렌즈 배럴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환형시일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 환형시일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내주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외주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사진렌즈 배럴의 외주와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립부분을 내주에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관계없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립부분은 카메라 몸체에서 보아서 광축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렌즈 배럴이 상기 립부분에 끼워질때 상기 립부분은 반경방향으로 그 전방끝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립부분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시일부재는 우레탄 고무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고무는 50 내지 100Hs의 고무 경도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배럴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배럴은 상기 사진렌즈 배럴과 공동축으로 고정링을 갖추고 있고, 상기 고정링은 광축방향으로 상기 환형시일부재의 후방으로의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배럴은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부 환형 프랜지를 갖추고 있고, 상기 환형 플랜지는 광축방향으로 상기 환형시일부재의 전방으로의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렌즈 배럴의 외경은 상기 환형시일부재의 상기 립부분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시일부재의 상기 고정부의 외경은 상기 고정배럴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10. 사진렌즈 배럴이 광축방향으로 가동되며 카메라 몸체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사진렌즈 배럴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다른 직경들을 갖춘 복수의 내외주 환형 표면을 가진 탄성 변형 가능한 환형 시일부재, 다른 직경들을 갖춘 복수의 내부 및 외부 방적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환형시일부재로 인하여 상기 환형시일부재의 대응 내외주 환형 표면과 밀착되는 상기 개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시일부재는 상기 사진렌즈 배럴이 상기 환형시일부재에 삽입될때 상기 사진렌즈 배럴의 외주표면과 밀착되는 그리고 상기 내외주 환형 표면과 관계없이 변형가능한 립부분을 상기 내주 표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배럴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배럴은 상기 사진렌즈 배럴과 동공축으로 고정링을 갖추고 있고 상기 고정링은 광축방향으로 상기 환형시일부재의 후방쪽으로의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배럴은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부 환형 플랜지를 갖추고 있고, 상기 환형 플랜지는 광축방향으로 상기 환형시일부재의 전방으로의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 및/또는 방수 카메라.
KR1019900014920A 1990-02-06 1990-09-20 방적 및/또는 방수카메라 Expired - Fee Related KR950008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10650U JP2558120Y2 (ja) 1990-02-06 1990-02-06 防滴防水カメラ
JP2-26739 1990-02-06
JP2-10650 1990-02-06
JP2673990A JP2921896B2 (ja) 1990-02-06 1990-02-06 防滴防水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881A KR910015881A (ko) 1991-09-30
KR950008341B1 true KR950008341B1 (ko) 1995-07-27

Family

ID=2634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920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8341B1 (ko) 1990-02-06 1990-09-20 방적 및/또는 방수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66965A (ko)
KR (1) KR950008341B1 (ko)
DE (1) DE4029706A1 (ko)
FR (1) FR2657972B1 (ko)
GB (1) GB2240633B (ko)
TW (1) TW213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951Y2 (ja) * 1990-09-20 1998-12-2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カメラ
JP3045833B2 (ja) * 1991-07-02 2000-05-2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カメラ用レンズ鏡筒
JP2562095Y2 (ja) * 1991-07-04 1998-02-0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レンズ
JPH05173240A (ja) * 1991-12-26 1993-07-13 Olympus Optical Co Ltd 防水滴カメラ
US5481406A (en) * 1992-11-13 1996-01-02 Nikon Corporation Mechanism for waterproofing operation member of interchangeable lens barrel
JP2596891Y2 (ja) * 1993-09-08 1999-06-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回転操作環機構
US5677789A (en) * 1994-01-12 1997-10-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Binocular
JPH09203951A (ja) * 1996-01-26 1997-08-05 Minolta Co Ltd カートリッジホルダーの防水機構
JPH11119075A (ja) * 1997-10-17 1999-04-30 Olympus Optical Co Ltd シール装置およびカメラのシール装置
JP3140727B2 (ja) * 1998-01-09 2001-03-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水レンズ鏡筒
JP3326381B2 (ja) * 1998-02-04 2002-09-2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水レンズ鏡筒
US6640053B1 (en) 2002-12-12 2003-10-28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front seal assembly
US7587134B2 (en) * 2004-11-26 2009-09-08 Olympus Imaging Corp. Camera having barrier
US7426338B2 (en) * 2004-11-29 2008-09-16 Olympus Imaging Corp. Switch mechanism usable underwater
US20080170844A1 (en) * 2007-01-11 2008-07-17 Samuel Ehab M Camera wiper
JP5691188B2 (ja) * 2010-02-12 2015-04-01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装置
DE102011004445A1 (de) * 2011-02-21 2012-09-20 Carl Zeiss Optronics Gmbh Kamerasystem mit einer Einhausung, welche das Kamerasystem zum Schutz vor Umgebungseinflüssen zumindest teilweise umgibt
JP2013174772A (ja) * 2012-02-27 2013-09-05 Xacti Corp カメラ用防水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の防水構造
JP6207188B2 (ja) * 2013-03-21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221598B1 (ko) * 2014-06-16 2021-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8801B (de) * 1958-07-05 1960-09-08 Guy Marie Joseph De Woute Jean Wasserdichte Anordnung des Objektivs an einem Unterwasseraufnahmegeraet
US3001462A (en) * 1958-07-23 1961-09-26 Spirotechnique Liquid-tight objective for underwater photographic apparatus
US3329075A (en) * 1965-03-24 1967-07-04 Graflex Inc Focusing mechanism for photographic cameras
US3819254A (en) * 1972-10-26 1974-06-25 Rodenstock Optik G Optical objective including a self-centering slide bearing
JPS53164140U (ko) * 1977-05-30 1978-12-22
JPS5557835A (en) * 1978-10-24 1980-04-30 Olympus Optical Co Ltd Waterproof mechanism
JPS58178126A (ja) * 1982-04-12 1983-10-19 Toshiba Corp パネル操作形電子レンジ
US4763145A (en) * 1986-03-26 1988-08-09 Fuji Photo Film Co., Ltd. Water-resistant camera with automatic internal air-pressure adjustment
JPS62246028A (ja) * 1986-04-18 1987-10-27 Fuji Photo Film Co Ltd 防水カメラ
JPS62246027A (ja) * 1986-04-18 1987-10-27 Fuji Photo Film Co Ltd 防水カメラ
JPS63113137A (ja) * 1986-10-30 1988-05-18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方法
US4963902A (en) * 1988-01-19 1990-10-16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57972B1 (fr) 1993-02-19
US5066965A (en) 1991-11-19
KR910015881A (ko) 1991-09-30
TW213529B (en) 1993-09-21
DE4029706A1 (de) 1991-08-08
GB9019907D0 (en) 1990-10-24
GB2240633A (en) 1991-08-07
DE4029706C2 (ko) 1993-08-05
GB2240633B (en) 1993-09-15
FR2657972A1 (fr) 199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341B1 (ko) 방적 및/또는 방수카메라
US5077567A (en) Water-sealed camera
US5673099A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6619806B2 (en) Shielding device
JPH0514272Y2 (ko)
US5822622A (en) Water-proof lens port with externally operable ring and water-proof camera case incorporating same
HK1001900B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a zoom lens system
US7625140B2 (en) Light shielding device of a lens
JPH0511160A (ja) 防滴防水カメラ用レンズ鏡筒
US5212509A (en) Waterproof camera having a, movable lens, barrel and cover
JP2587951Y2 (ja) 防滴防水カメラ
JP4461244B2 (ja) レンズ移動装置
US7093944B2 (en) Light shielding structure of a lens barrel
US5420656A (en) Light intercepting apparatus of movable lens barrel
JP2921896B2 (ja) 防滴防水カメラ
KR0159770B1 (ko) 방적 방수 카메라
JP3230599B2 (ja) 水密カメラ
JP2558120Y2 (ja) 防滴防水カメラ
JP3406671B2 (ja) レンズ鏡筒の遮光装置
JPH0514273Y2 (ko)
JP3328268B2 (ja) カメラ
JP2537561Y2 (ja) 防滴・防水ズ−ムレンズカメラ
JPS61113043A (ja) 沈胴式カメラの遮光装置
JPH0755552Y2 (ja) 防水レンズ鏡筒
JP2558122Y2 (ja) 防滴防水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7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72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