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7430B1 -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 Google Patents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30B1
KR950007430B1 KR1019920021570A KR920021570A KR950007430B1 KR 950007430 B1 KR950007430 B1 KR 950007430B1 KR 1019920021570 A KR1019920021570 A KR 1019920021570A KR 920021570 A KR920021570 A KR 920021570A KR 950007430 B1 KR950007430 B1 KR 950007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female contact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336A (ko
Inventor
앨런 버그 비.
디. 캐크릭 제리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3001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제1도는 도시의 목적으로 접촉 부재 하나를 하우징에서 제거시킨 상태의 본 발명을 구현한 전기 접속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의 방향에서 본 하나의 접촉 부재의 부분 입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접촉 부재에 비하여 변형된 형태의 접촉 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단자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도의 4-4선을 따라 절취한 접속기 하우징의 수직 단면도.
제5도는 단자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도의 5-5선을 따라 본 제4도와 유사한 접속기 하우징의 수직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전기 접속기가 편평 가요성 케이블에 표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의 전기 접속기가 인쇄 회로 기판의 저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a)도는 결합 헤더 구성 부품이 기판이 상부에 삽입되기 직전의 제7도의 인쇄 회로 기판의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전기 접속기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형태의 접속기 구성 부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변형된 형태의 제1도의 전기 접속기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도시의 목적으로 3개의 접촉 부재를 접속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의 개념을 구현하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전기 접속기의 사시도.
제10도는 제5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접속기 12 : 절연 하우징
22 : 관통홀(단자 수용 통로) 24 : 하우징 슬롯
26 : 하우징 홈 28 : 접촉 부재
34 : 몸체부 36 : 꼬리부(장착부)
38 : 접촉 단부[핀(단자)수용 단부] 38a, 42 : 접촉 단부 암
38b : 돌출 탭(말단 단부) 40 : 단자 삽입 축
본 발명은 전기 접속기에 관한 기술, 특히 독특한 접촉부의 구조와 접속기내에 접촉부가 장착되는 배열에 의하여 낮은 프로파일을 가지는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접촉 부재의 접촉부와 접속되는 결합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통로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종래의 전기 접속기의 구조는 상당히 다양하다. 통상 형태의 접촉 부재는 절연 하우징의 통로로 삽입되는 결합 단자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부분 또는 단부를 가지는 압단 성형된 금속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성을 가진 접속기 구조의 문제점 중 하나는 주로 다양한 전자 장비의 점증하는 소형화 추세에 의하여 발생한다. 소형화되는 전자 장비에 사용되는 전기 접속기는 이에 따라 점차 소형화되는 한편, 압단 성형된 접촉 부재는 그 장점 때문에 계속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 추세의 예를 컴퓨터 디스크 드라이브 분야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분야에서는 양 반대 방향으로 상당한 접촉력을 가지고 결합 단자를 수용하는 다기능 접속기를 포함하여 상당히 프로파일이 낮은 전기 접속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기 접속기의 접촉 피치(간극) 역시 작아지고 있으므로 접속기의 전반적 설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매우 낮은 프로파일과 매우 작은 피치를 가진 접속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고 개선된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구조로서, 특히 신규의 접촉부 및 하우징 형상을 포함하는 접속기 구조를 제공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낮은 프로파일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접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우징은 저 프로파일 방향으로 결합 단자 부재를 수용하게끔 단자 삽입 축을 정하는 단자 수용 통로를 가진다. 하우징의 낮은 프로파일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측벽의 길이가 짧아진다. 하우징에는 다수의 압단 성형된 금속판 접촉 부재가 장착되는데, 접촉 부재는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위치한 접촉 단부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단자 단부를 가진다.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는 접속기 하우징 측벽 상의 슬롯을 통하여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접촉 부재의 접속 단부가 하우징의 짧은 측벽 상의 슬롯을 통하여 장착되고, 접촉 단부는 단자 수용 통로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접촉 단부는 일반적으로 평면으로 구성되는데 단자 수용 통로의 단자 삽입 축을 가로질러 위치한 접촉 단부의 평면에서는 단자 수용 슬롯이 마련되어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각 접촉 부재의 각 접촉 단부는 수용 슬롯을 형성하는 내측으로 돌출한 말단 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암을 형성하게끔 분리되어 있다.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는 접촉 단부의 평면으로부터 굽어지거나 비틀려 양 방향에서 결합 단자가 각 단자 수용 통로로 삽입될때 결합 단자와 접속하는 표면 수단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의 형상에 있어 접촉 부재의 평면 접촉 단부의 폭이 결합 단자 부재의 피치보다 넓어서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소정의 열의 단자 수용 통로의 접촉 단부는 일반적으로 각 통로의 단자 삽입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으로 명료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신규하다고 믿어지는 특징들은 특히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12로 표시되고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성형된 단일의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되는 전기 접속기 구성물 혹은 어셈블리로 도시되었다. 하우징의 연장은 상부 벽(14), 하부 벽(16), 한 쌍의 측벽(18) 및 이들을 종단하는 단부 벽(20)에 의하여 정해진다. 하우징은 상부 벽(14)와 하부 벽(16) 간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 통로(22)를 가진다. 각 관통 통로(22)는 각 통로의 단부에 터이퍼된 유도로(23)을 가진다. 이하에서 접촉 부재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은 각 대향 측벽 상에 관통 통로(22)로 삽입되는 적절한 단자 핀 등의 피결합 접촉 부재와 접촉하는, 일반적으로 28로 표시되는, 접촉 부재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슬롯(24)와 홈(26)을 갖는다.
제1도의 하우징(12)의 상부 벽(14) 상에 보이는 관통 통로(22)의 어레이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접속기는 각각 4개의 통로로 이루어진 2개 열의 통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각 열 내의 통로 간의 피치(간극)은 양방 화살표(30)으로, 다른 열 상의 통로 간의 피치(간극)은 양방 화살표(32)로서 1.0mm 단위로 표시된다.
계속하여 제1도를 참조하면, 각 접촉 부재(28)은 연장된 몸체부(34), 꼬리단부(36) 및 몸체부의 대향 단부의 대향 면 상에 수직으로 돌출한 핀 수용 단부(38)을 포함하는 압단 성형된 금속판으로 되어있다. 각 접촉 부재(28)의 핀 수용 단부(38)은 꼬리 단부(36)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부 혹은 탭(38b)를 가지는 한쌍의 암(38a)로 분기되어 있다.
제1도와 관련하여 제2도를 참조하면, 각 접촉 부재(28)의 핀 수용 단부(38)의 암(38a)에 돌출한 탭 혹은 단부(38b)의 형상이 보다 명확해 진다. 이로부터 상기 탭이, 대향 면(38c)가 화살표 40으로 표시된 결합 부재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도록, 몸이 부(40)의 방향으로 하방을 향하여 굽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결합 부재 혹은 핀의 삽입 방향은 각 관통 통로(22)의 삽입 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2도로부터 결합 핀이 연장된 몸체부(34)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핀 수용 단부(38)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나아가서 돌출 탭(38b)를 몸체부(34)를 향하도록 충분히 굽히고 표면(38c)의 아래쪽 연부에 둥근 연부(38d)를 만들어 줌으로써 핀 수용 단부(38)이 연장된 몸체부(34)를 따라 삽입되는 핀과 걸림없이 접속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 접속기(10)은 각 통로의 양방에서 삽입되는 결합 부재를 접속시킬 수 있는 "상방" 또는 "하방"접속기로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는 일반적으로 28'로 표시되는 접촉 부재의 한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는데, 이는 접촉 부재(28)과 마찬가지로 연장된 몸체 부(34), 고리 단부(36) 및 핀 수용 단부(38)를 포함하지만, 대향면(44)가 해당 접촉부 수용 통로(22)내에 드러나도록 접촉 단부(38)의 암(42)가 비틀려 있다. 암(42)가 비틀려 있는 목적은 제1도 및 제2도의 접촉 부재(28)의 탭(38b)가 굽어있는 목적과 동일한 것으로서 피결합 단자 부재가 걸림이나 흠집의 생김없이 상하방에서 전기 접속기(10)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필요한 경우에 굽은 형태의 탭(38b)와 비틀린 형태의 암(42)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도의 관련하여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이상에서 간극(30 및 32)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부 수용 통로(22)의 근접한 피치를 유지하면서 접촉 부재(28)이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접속기 하우징(12)의 대향 측벽(18) 상에 접촉 부재(28)을 수용하기 위하여 엇갈려 배치된 슬롯(24) 및 이에 따른 홈(26)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제1도의 측벽(18)상에 슬롯(24) 및 이에 따른 홈(26)이 엇갈려 상하층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4도는 상층 슬롯의 위치를 도시하며, 제5도는 하층 슬롯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도의 두 접촉부 수용 통로(22)의 열은 각기 4개의 접촉부 수용 통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우징의 각 면의 각 통로 열은 2개의 상층 슬롯과 2개의 하층 슬롯을 가진다.
엇갈린 배열로 2층의 슬롯을 제공함에 따라, 접촉 부재(28)의 분기된 핀 수용 단부(38)은 슬롯과 접촉 단부가 단일 열 상에 있고 접촉 부재가 동일한 1.0mm의 피치를 가질때 보다 확장된 폭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폭이 넓은 핀 수용 단부를 사용함에 따라 더욱 크고 따라서 제조하기 용이한 접촉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큰 접촉 부재는 견고성이 클 뿐 아니라 결합 핀 부재에 대한 접촉력을 결정하는 능력이 크다.
접촉 부재의 암(38a)를 포함하는 핀 수용 단부(38)은, 제1,2,4 및 5도에 도시된 단자 삽입 축(40)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한 핀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하방으로 굽은 탭(38b)와, 암을 가진 접촉 부재의 일반적으로 평면인 부분을 형성한다.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38)의 암(38a ; 제4도의 42)는 접촉 부재를 하우징의 슬롯 내에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슬롯(24)의 측면 연부를 따라 하우징(20)의 플라스틱 재질로 파고드는 외향으로 돌출한 돌기(46)를 포함한다. 접촉 부재(28)을 관통 통로(22) 및 결합 축과 수직인 슬롯(24)를 통하여 하우징(12)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결합 과정 중에 접촉 부재를 지지하는 힘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즉 돌기(46) 및 플라스틱 하우징(12)는 삽입 및 분리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저항력을 작용하지 않는다.
하우징(12)의 대향 측벽(18)상에 홈(26)은 슬롯(24)와 통해 있어 접촉 부재(28)의 몸체부에 수용하는데, 이 경우 몸체부의 외향 표면은 일반적으로 측벽(18)의 외부 표면과 같은 높이의 면을 이룬다. 그럼으로써 본 접속기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보다 작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기 양면 상의 접촉 부재의 꼬리 단부(26)은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기 장착 표면과 일반적으로 동일 면을 이룬다. 결과적으로 상층의 슬롯으로 삽입되는 접촉 부재의 몸체부가 하층의 슬롯으로 삽입되는 접촉 부재의 몸체부보다 길다. 필요한 경우에는 꼬리 단부는 표면에 장착되기 보다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이상에서 제1도 내지 제5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전기 접촉기의 몇 가지 사용예를 보여 준다. 제6도를 참조하면, 도시된 전기 접속기가 일반적으로 58로 표시되고 케이블의 종 방향으로 배선된 다수의 도전 스트립(50)을 포함하는 편평 가요성 케이블 상에 장착되어 있다. 접촉기(10)은 편성 가요성 케이블 상에 위치하고 접촉 부재(28)의 꼬리 단부(36)은 공지의 표면 장착 공정을 통하여 단자 스트립에 도전성을 가지게 부착된다. 그러면 접속기는 화살표(4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 통로(24)로 삽입되는 단자 핀등의 결합 단자부재를 수용할 태세를 갖추게 된다. 전기 접속기는 이러한 방법으로 결합 단자부재 혹은 핀을 편평 가요성 케이블(48)의 도전 스트립(50)에 효과적으로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물론, 편평 가요성 케이블에 구멍이 없기 때문에 제6도 상의 접속기는 한 방향으로 접속 만이 가능하다.
제7도는 저부 표면에 회로 트레이스(54)를 가진 인쇄 회로 기판을 도시한다. 전기 접속기(10)은 접촉 부재(28)의 꼬리 단부(36)이 회로 트레이스(54)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전기 접속되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다. 그럼으로써 전기 접속기는 인쇄 회로 기판의 상방 혹은 하방으로부터 단자 수용 통로(22) 내로 삽입되는 적절한 결합 단자 부재를 수용하여 핀을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회로 트레이스(54)에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제7(a)도는 통로(22) 및 축(40)과 정렬되어 일반적으로 60으로 표시되는 피접속 헤더부의 단자 핀(58)을 관통하여 삽입할 수 있는 구멍(56)을 가진 인쇄 회로 기판(52)의 상부를 도시한다.
제8도는 일반적으로 62로 표시되는 변형된 형태의 전기 접속기(10)을 도시한다. 제1도의 상의 전기 접속기(10)에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부품에 해당하는 제8도 상의 구성 부품에 제1도와 동일한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12)는 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는 확대된 슬롯 혹은 개구(64)를 포함하고 단자 수용통로(22)가 슬롯(64)내에 개방되도록 변형되었다. 접촉 부재(28)의 단자 수용 단부(38)은 역시 개개의 단자 수용 통로(22)를 가로질러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속기(62)의 변형된 구성은 일반적으로 72로 표시되는 결합되는 접속기 구성 부품의 T자형 삽입 하우징(70)에 잠착되는 다수의 결합 단자 부재(68)의 레그(leg ; 66)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하우징(70)은 전기 접속기(62)의 확대된 슬롯(64)에 삽입되는 부속 레그 혹은 플랜지(74)를 포함한다. T자형 하우징(70)의 횡 혹은 상부 플랜지 부(76)은 접속기 접속기(62)의 하우징(12)의 상부 벽(14) 위에 놓이게 되고 멈춤 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속기 구성 부품(72)는 화살표(78)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74)가 슬롯(64)에, 레그(66)이 단자 수용 통로(22)에 삽입되어 전기 접속기와 결합한다. 표면 장착 꼬리(79)는 구성 부품(72)를 인쇄 회로 기판 혹은 편평 가요성 케이블 혹은 다른 전기 구성 부품에 표면 장착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관련하여 계속되는 전기 접속기(10 및 62)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접속기가 매우 낮은 프로파일을 가진다는 점, 즉 결합 단자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매우 낮은 높이를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환언하면, 이는 단자 수용 통로(22)의 길이가 상당히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 부재(28 및 28')의 일반적으로 평면인 핀 수용 단부(38)을 단자 수용 통로(22)를 가로지르고 단자 삽입 축(40)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평면 상에 배치시킴으로써 낮은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의 핀 수용 단부가 짧은 측벽을 통하여 절연 하우징 내로 삽입되며, 나아가서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를 상이한 층에 엇갈려 배치함으로써 피치에 비하여서 상대적으로 큰 핀 수용 단부를 사용하면서 결합 단자 부재 간의 작은 피치를 얻을 수 있다.
제9도는, 일반적으로 80으로 표시되고, 전기 접속기(10)에 구현된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이용한 전기 접속기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접속기의 "낮은 프로파일"이 접속기의 수평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하여 차지하는 기판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특히 전기 접속기(80)은 일반적으로 82로 표시되고, 상부 벽(84), 하부 벽(86), 대향 측벽(88a 및 88b) 및 단부 벽(90)을 가지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단자 삽입 축(94)를 따라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적절한 결합 단자 부재 혹은 핀을 수용하기 위한 단자 수용 통로(92)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벽(84 및 86)은 접촉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엇갈려 배열된 슬롯(96)과 홈(98)을 가진다. 상부 접촉 부재는 일반적으로 100과 101로 표시되고 하부 접촉 부재는 일반적으로 102와 103으로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촉 부재(100 내지 103)의 접촉 단부(104)가 삽입축(94)의 간극으로 표현되는 수용 통로 간의 간극 중 피치 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도 및 제5도의 접촉 부재(28 및 28')와 마찬가지로, 접촉 부재(100 및 101)은 편평 가요성 케이블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의 전기 접촉부와 표면 접속하기 위한 동일 평면 꼬리 단부(108)에서 종단되는 연장된 몸체부를 포함한다. 하우징(82)의 상부 벽(84) 상의 슬롯(6)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핀 수용 단부(104)는 분기되어 제2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 핀 부재와 접속되는 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부러져 내측으로 돌출된 말단 단부 혹은 탭(112)를 가지는 한 쌍의 암을 형성한다.
그러나, 접촉 부재(100)은 긴 레그부(114)를 가지고 접촉 부재(101)은 짧은 레그 부(116)을 가지는데, 각 레그부는 각 몸체부(106)의 꼬리 단부(108)의 대향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단부(104)는 꼬리 단부(108)쪽을 향하여 레그부(114 및 116)과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굽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접촉 부재(100 및 101)의 구성에 있어서 접촉 단부(104)는 엇갈려 배열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는데, 이때 레그부(114 및 116)은 해당 홈(98)에 수용되고 몸체부(106)은 하우징(82)의 측벽(88b)를 따라 118과 같이 하방으로 연장되고 꼬리부(108)은 편평 가요성 케이블 혹은 인쇄 회로 기판 등 적절한 전기 구성 부품의 적절한 단자 스트립, 회로 트레이스 등과 표면 접속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하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다.
접촉 부재(102 및 103)은 하우징(82)의 하부 벽(86) 상의, 상부 벽(84)의 슬롯 및 홈과 대칭 형상인, 유사한 슬롯(96) 및 홈(98)로 삽입될 수 있다. 접촉 부재(102 및 103)은 접촉 부재(100 및 101)과 유사하다. 접촉 부재(100 및 101)의 몸체부(106)과 꼬리부(108)이 완전히 제거되었고 레그부(114 및 116)의 말단 단부가 제9도의 표면 장착 탭(120)을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성형되어 있다. 이 탭은 접촉 부재(100 및 101)의 꼬리 단부(108)과 함께 단자 스트립 혹은 회로 트레이스 등의 적절한 접촉부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표면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있어, 몸체부(106)이 측면(88b)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접속기(82)는 단지 한방향으로 삽입되는 핀과 결합될 수 있다. 접촉 부재(103)는 탭(120)이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 장착 탭(120)이 더 길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접촉 부재(102)와 동일하다. 이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납땜 접합부를 용이하게 검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제9도는, 예를들어 단자 탭(120)이 납땜 접합부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게끔, 하우징(82)의 측벽의 기저 연부를 따라 122)와 같이 삭감된 영역 혹은 "노치"가 생기도록 하우징이 주조된 특징을 도시한다.
제1도의 접속기는 접촉 부재(28)의 상측 열을 제거하여 접속기의 높이가 상당히 낮아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접촉 부재(28)의 핀 수용 단부(38)은 두 평면이 아니라 하나의 평면 상에 놓이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연장된 몸체부(34)도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된다. 제10도는 변형된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제10도를 제5도와 비교할때 높이의 감소가 특히 두드러진다. 접속기(134)를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32)로부터 연장된 돌출부(13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의 원리 및 중심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정이 아닌 하나의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8)

  1. 대향하는 제1 및 제2표면(14,16) 및 상기 표면 간에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된 다수의 관통홀(22)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12) 및 결합부(38), 장착부(36) 및 상기 관통홀 내에서 피메일 접촉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46)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축을 따라 결합되는 메인 도전 단자(58)을 수용하기 위하여 결합부가 각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를 전기 도전 구성 부품(54)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상기 피메일 접촉부재의 장착부가 배치되는 전기 접속기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및 제2표면 간에 연장하는 측벽(18) 상에 상기 관통홀 중의 하나와 통해 있고 상기 관통홀의 상기 축과 일반적으로 수직인 다수의 슬롯(24)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피메일 접촉 부재의 결합부가 일반적으로 평면이고, 결합되는 메일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수용 개구를 가지며, 각 피메일 접촉 부재의 상기 일반적으로 평면인 결합부가 상기 슬롯이 통해있는 상기 관통홀의 축과 수직인 상기 슬롯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적으로 평면이고 메일 단자 수용 개구를 갖는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의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가 메일 단자의 결합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한 표면 수단(38c)를 형성하도록 결합부 평면으로부터 굽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각 피메일 접촉 부재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단자 수용 슬롯을 형성하는 말단 단부를 가지고, 그 말단 단부가 메일 단자의 상기 결합축과 일반적으로 평행인 표면 수단(44)를 형성하도록 배틀어진 한 쌍의 암(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가 상기 결합부 및 장착부 간에 연장된 몸체부(3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몸체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틸 접촉 부재의 장착부가 접촉 부재의 몸체부로부터 일반적으로 횡으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6.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부에 접촉 부재의 몸체부가 배치되는 홈(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접촉부의 상기 결합부가 내측으로 돌출한 말단 단부(38b)를 가지고 상기 단자 수용 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암(38a)를 포함하고, 내측으로 돌출한 상기 단부가 상기 결합부의 평면으로부터 굽어져 상기 메일단자 결합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한 표면 수단(38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8. 제1항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이 소정의 피치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는 그들의 각 결합부가 관통홀 내에 2개 이상의 상이한 층으로 엇갈려 배치된 결과 결합 메일 단자의 삽입력이 엇갈리고, 단자 삽입축과 일반적으로 수직인 결합부의 폭이 상기 피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KR1019920021570A 1991-11-18 1992-11-17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Expired - Fee Related KR950007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3,771 1991-11-18
US739,771 1991-11-18
US07/793,771 US5145386A (en) 1991-11-18 1991-11-18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336A KR930011336A (ko) 1993-06-24
KR950007430B1 true KR950007430B1 (ko) 1995-07-10

Family

ID=2516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570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7430B1 (ko) 1991-11-18 1992-11-17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45386A (ko)
EP (1) EP0543278B1 (ko)
JP (1) JP2724657B2 (ko)
KR (1) KR950007430B1 (ko)
DE (1) DE69204024T2 (ko)
ES (1) ES207557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535A (en) * 1991-11-18 1993-02-23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JPH0636818A (ja) * 1992-07-16 1994-02-10 Amp Japan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JP2561501Y2 (ja) * 1992-12-25 1998-01-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接続用の電気コネクタ
US5409406A (en) * 1993-12-17 1995-04-25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US5471887A (en) * 1994-02-01 1995-12-05 The Whitaker Corporation Removable sensor assembly
US5709573A (en) * 1994-10-20 1998-01-20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EP0717473B1 (en) * 1994-12-14 1999-08-18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pin field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5938456A (en) * 1995-04-19 1999-08-17 Methode Electronics, Inc.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5622519A (en) * 1995-04-28 1997-04-22 Molex Incorporated Retention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on printed circuit boards
US5535513A (en) * 1995-08-25 1996-07-16 The Whitaker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able connectors
US5742481A (en) * 1995-10-04 1998-04-21 Advanced Interconnections Corporation Removable terminal support member for integrated circuit socket/adapter assemblies
WO1997022164A1 (en) * 1995-12-11 1997-06-19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retention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135781A (en) * 1996-07-17 2000-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US6042420A (en) * 1999-02-23 2000-03-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boardlock with minimal footprint
SG105507A1 (en) * 2001-09-04 2004-08-27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GB2413017A (en) * 2004-04-06 2005-10-12 Ford Global Tech Llc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vehicle
JP4248555B2 (ja) * 2006-02-21 2009-04-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64520B2 (ja) * 2006-07-26 2008-10-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間接続コネクタ
US20080268724A1 (en) * 2007-04-24 2008-10-30 Singatron Enterprise Co., Ltd. Elastic terminal structure
WO2009046752A1 (de) * 2007-10-02 2009-04-16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ckmittel,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teckmittels
CN201667411U (zh) * 2010-03-31 2010-1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259658B2 (ja) * 2010-08-27 2013-08-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90509B2 (ja) * 2010-08-27 2012-12-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90508B2 (ja) 2010-08-27 2012-12-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3258044A (ja) * 2012-06-12 2013-12-26 Molex Inc コネクタ
JP5298249B1 (ja) * 2013-01-18 2013-09-25 株式会社竹内技術研究所 基板間コネクタのソケット及び基板間コネクタ
CN203326174U (zh) * 2013-05-09 2013-1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DE102016008582A1 (de) * 2016-07-14 2018-01-18 Wabco Gmbh Kontaktelement und Kontaktvorrichtung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ungen
JP6338744B2 (ja) * 2017-06-30 2018-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66717B2 (ja) * 2019-12-03 2023-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2024035934A (ja) 2022-09-05 2024-03-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8523102B (zh) * 2024-07-25 2024-10-01 成都速易联芯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直接板高速线缆组件及装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64620A5 (ko) * 1969-10-03 1971-07-23 Francelco Sa
GB1467382A (en) * 1974-02-17 1977-03-16 Elco Corp Electrical connectors
JPS5133785U (ko) * 1974-09-05 1976-03-12
US4046445A (en) * 1976-08-23 1977-09-06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Spring bushing for conductive back-plane connection
US4597625A (en) * 1984-07-25 1986-07-01 North American Specialti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4580857A (en) * 1984-10-12 1986-04-08 Gte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Circuit terminating clip
DE8630057U1 (de) * 1986-11-10 1987-01-02 Mentor Ing. Dr. Paul Mozar, 4006 Erkrath Adapter für Frontplatteneinbauelemente
US4917614A (en) * 1987-05-12 1990-04-1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surface mounting onto circuit boards
US4767342A (en) * 1987-12-07 1988-08-30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JPH0515746Y2 (ko) * 1988-03-30 1993-04-26
JPH0451434Y2 (ko) * 1988-06-17 1992-12-03
NL8802678A (nl) * 1988-11-01 1990-06-01 Du Pont Nederland Contactelement en contactelementsamenstel van elektrisch geleidend materiaal, in het bijzonder voor oppervlaktemontagetechnie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24657B2 (ja) 1998-03-09
DE69204024D1 (de) 1995-09-14
EP0543278B1 (en) 1995-08-09
DE69204024T2 (de) 1996-07-04
KR930011336A (ko) 1993-06-24
JPH05217641A (ja) 1993-08-27
US5145386A (en) 1992-09-08
EP0543278A1 (en) 1993-05-26
ES2075575T3 (es) 199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430B1 (ko)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KR970002445B1 (ko)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US73206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US7658636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320541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hich cooperate with the edge of a circuit board
US5498167A (en) Board to board electrical connectors
KR970000291Y1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4808113A (en)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JPH0638382Y2 (ja) 基板と基板を接続する為の表面実装用コネクタ
KR0148608B1 (ko) 개량된 카드 엣지 콘넥터
US6234827B1 (en) Electrical connector shield with dual function of mechanical locking and electrical shielding continuety
US5078621A (en) Connector
US5882212A (en) Connector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H08124637A (ja)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US4798541A (en)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US20020142629A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52413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012278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KR100279193B1 (ko) 고접촉력핀수용전기단자
US7112072B2 (en) Ground bu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692273B1 (en) Straddle mount connector
JP2969314B2 (ja) 電気コネクタ
CN1096127C (zh) 用于印刷电路板的电连接器
US62737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S61179080A (ja) プリント回路板に用いる厚みの薄い積層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007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71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