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7396Y1 -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396Y1
KR950007396Y1 KR2019930001573U KR930001573U KR950007396Y1 KR 950007396 Y1 KR950007396 Y1 KR 950007396Y1 KR 2019930001573 U KR2019930001573 U KR 2019930001573U KR 930001573 U KR930001573 U KR 930001573U KR 950007396 Y1 KR950007396 Y1 KR 950007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ste
electric
food wast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714U (ko
Inventor
김학로
Original Assignee
김학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로 filed Critical 김학로
Priority to KR2019930001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396Y1/ko
Publication of KR9400207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7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39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외형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일부절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연 상태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감량 효과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쓰레기 처리용기 2 : 뚜껑
3 : 몸체 4 : 상부 후레임
5, 5' : 칸막이 5a : 돌기
6 : 하부 후레임 7 : 탈수판
8 : 비닐주머니 9 : 배수판
10 : 배수구 11 : 배출호스
12 : 공간 13 : 공기조절기
본 고안은 함수율이 높은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속에서 수분을 제거시킨후 특수 미생물을 적당량 첨가하여 감량시키며, 퇴비의 바른 처리법에 따라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가지의 주방 쓰레기 처리용기가 제안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주방 쓰레기 자체의 냄새와 악취의 발생으로 실에서 장시간 보관할수 없어 다른 생활 쓰레기와 함께 버리게 되었다.
이러한 주방 쓰레기는 함수율이 65-85%로 소각이 어려워 매립의 방법을 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어 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도록 하고 있으나 특별한 대안없이 그대로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자원을 절약하고 재활용할수 있는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화 및 퇴비화 할수 있는 용기와 미생물에 의해 자원 재활용에 이용하도록 한다.
즉 내부를 이등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주입할때 호기성 미생물(이하 처리제라 함)을 뿌려 1개월이 지나면 연평균 1/4로 감량화 되도록 하며, 감량되면서 발효되어 퇴비화 하여 재활용하거나 감량된 쓰레기를 식물에 환원하여 식물이 자라도록 하고 토양개량을 도모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프라스틱제 판으로 조립되며 상ㆍ하측의 코너부분을 절개시켜 안으로 접는 고정구(16)를 갖는 몸체(3)와, 전기 몸체(3)상에서 방수용 비닐주머니(8)가 삽입된 후 몸체(3)의 상ㆍ하측에서 동일형상을 갖고 삽입되며 사면을 절개시킨 공간(12)을 갖고 전기 공간(12)에서 고정구(16)에 의해 몸체(3)와 고정되는 상, 하부 후레임(4)(6)과, 전기 상부후레임(4)상에 씌워지며 중간에 손잡이(14)를 설치한 뚜껑(2)과, 전기뚜껑(2)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내부에 방충망(15)이 삽입되고 통공(13a)이 다수개 형성되어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기조절기(13)가 설치된다.
또한, 방수용 비닐주머니(8)의 바닥 중앙에서 배출구(10)가 설치되어 배수탱크(11')에 의해 배출호스(11)로 연결되며, 내부에서 하부후레임(6)상에 지지되는 배수판(9)과, 전기 배수판(9)상에서 다수의 돌출구(9a)를 갖고 배수판(9)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하는 탈수판(7)과, 전기 몸체(3)의 내부에서 대각선으로 설치되어 몸체(3)를 이등분시키며 돌기(5a)에 의해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진 칸막이(5)(5')로 구성된 쓰레기 처리통(1)을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3)를 사방향에서 절곡시켜 직립으로 세운후 상ㆍ하측에서 상부 후레임(4)과 하부 후레임(6)을 끼우고서 공간(12)에 돌출된 몸체(3)의 일부분을 절단시켜서 안으로 꺽어 제4도와 같이 고정구(16)에 의해 몸체(3)에 상, 하부후레임(4)(6)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서 상부 후레임(4)에 의해 몸체(3)상에 고정된 비닐주머니(8) 중앙하측에 배수구(10)를 고정시키고저 하부 후레임(6)상에 배수판(9)을 설치하여 배수구 (10)를 배수탱크(11')를 통하여 배출호스(11)과 연결시키며, 배수구(10)상에 탈수판 (7)을 설치하고서 칸막이(5)(5')를 대각선으로 설치해 몸체(3)를 이등분한다.
이때 배출호스(11)는 받침판(6)의 사방향 공간(12)으로 어느곳이나 설치 가능하다.
이와같이 쓰레기 처리통(1)은 조립식으로 간단히 설치되는 것이며, 칸막이 (5)(5')에 의해 이등분된 몸체(3)의 한쪽에 방충망으로 된 탈수주머니를 넣고서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프라스틱류, 유리조각, 금속류, 조개껍질 등은 제외)를 탈수주머니에 넣은 다음 처리제를 20-30g 뿌린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주머니에 버릴때마다 처리제의 사용을 되풀이 한다.
이렇게하여 한쪽의 탈수주머니에 음식물 쓰레기가 차면 주입을 멈추고 다른쪽에 같은 방법으로 탈수주머니에 주입시키는 것이며, 음식물 쓰레기가 찬 반대쪽에서는 처리제에 의해 발효되면서 수분은 탈수판(7)에 의해 탈수되어 배수구(10)와 배수탱크(11') 및 배출호스(11)를 통하여 배출되고, 발효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1개월 후에 약 1/4로 감량된다.
이때 처리된(1개월 주입량 약 500g/day)음식물 쓰레기는 퇴비로 생산되어 재활용하거나, 화단이나 밭등의 퇴비로 활용할 토양을 30-40㎝ 서방으로 깊이 10-20㎝ 정도 파고 이속에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펴고 처리제를 20-30g 뿌린후 흙으로 덮어두면 2-3개월 후에는 식물이 왕성하게 자라게 되며, 토양을 개량하게 된다.
또한 4, 5의 가족을 기준으로 하여 보통의 음식물 처리용기에서 1개월 보관하면 732.04㎏의 쓰레기가 발생되었으나 처리제를 사용하여 본 고안에 처리하여 본 결과 146.93㎏이 발생되어 20.07%의 감량효과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공기조절기(13)를 회전시켜 통공(13a)이 관통되도록 하며 몸체(3)내부와 공기가 통하게 되며, 방충망(15)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밝힌 바와같이 본 고안은 노동력부족, 지가상승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의 건설난, 매립지의 원거리화에 따른 문제 발생의 위생처리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를 사용할 경우 쓰레기량을 연평균 1/4로 절감시킬수 있으며, 이후 직접 퇴비화 하여 재활용하고 식물에 환원하여 식물이 왕성하게 자라며 토양을 개량하므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뿐만아니라 재활용 할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주방 쓰레기의 처리용기에 있어서, 몸체(3)의 상, 하측 코너의 절개로 고정구(16)를 만들며, 전기 고정구(16)에 의해 몸체(3)에서 공간(12)이 상, 하측에 대향되게 조립되는 상, 하부 후레임(4)(6)과, 전기 하부 후레임(6)의 상측에 배수판(9)이 설치되어 비닐 주머니(8)의 중간에서 배수구(10)로 배출호스(11)와 연결되며 그 상측으로 다수의 돌출구(9a)를 갖는 탈수판(7)과, 전기 몸체(3)의 내부에서 대각선으로 설치되어 몸체(3)를 이등분하는 칸막이(5)(5')로 구성시킨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KR2019930001573U 1993-02-05 1993-02-05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Expired - Lifetime KR950007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573U KR950007396Y1 (ko) 1993-02-05 1993-02-05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573U KR950007396Y1 (ko) 1993-02-05 1993-02-05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714U KR940020714U (ko) 1994-09-17
KR950007396Y1 true KR950007396Y1 (ko) 1995-09-11

Family

ID=1935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573U Expired - Lifetime KR950007396Y1 (ko) 1993-02-05 1993-02-05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3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714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2225A (en) Compost container
DE68926681T2 (de) Behälter zur beseitigung von abfall
US6576462B2 (en) Vermiculture composting device
WO1993010060A1 (en) Compost bins
JPH0745550Y2 (ja) 堆肥造り容器
KR950007396Y1 (ko)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용기
US5713980A (en) Flexible composting ma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7879600B2 (en) Waste converter
Freitag et al. The use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in organic waste management
EP0642481A1 (en) Humus maker
CA20733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ting organic refuse
SE9800320L (sv) Mulltoalett med reglering av fuktbalansen i komposteringskammaren
KR20010085010A (ko) 퇴비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JP200128684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3409182B2 (ja) 生ゴミ処理器
Seenappa Transformation of Wet Garbage of Indian Urbanites at Household Level.
US5730524A (en) Dual container composting device with mixing structure
WO2000053543A1 (en) Organic waste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240164247A1 (en) Compost and Plan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S6122977Y2 (ko)
JP3032909U (ja) 生ゴミを堆肥化するための処理容器
CN213113118U (zh) 一种小型厨余垃圾处理装置
ATE159705T1 (de) Behälter zur aufnahme und kompostierung von haus- und gartenabfall
JP3022603U (ja) 生ゴミ堆肥化装置
JP2001080982A (ja) 生ゴミ堆肥作り用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2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2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