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6812Y1 - 스트랩 파스너 - Google Patents

스트랩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12Y1
KR950006812Y1 KR2019930010656U KR930010656U KR950006812Y1 KR 950006812 Y1 KR950006812 Y1 KR 950006812Y1 KR 2019930010656 U KR2019930010656 U KR 2019930010656U KR 930010656 U KR930010656 U KR 930010656U KR 950006812 Y1 KR950006812 Y1 KR 950006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ase member
strap
slider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941U (ko
Inventor
류우키치 무라이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히로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6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9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1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hooks engaging end-pieces on the s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4Hooks with sli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랩 파스너
제1도는 본 고안의 스트랩 파스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트랩 파스너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4도는 스트랩 파스너의 슬라이더 구성 부분의 배면도.
제5도는 슬라이더가 후크와 결합된 상태로 장착된 스트랩 파스너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스트랩 파스너의 측면도.
제7도는 슬라이더가 후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제5도와 유사한 평면도.
제8도는 스트랩의 대향 단부상의 상대 결합 부재와 연결된 스트랩 파스너의 평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랩 파스너의 개조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X-X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스트랩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스트랩 파스너 11 : 기부 부재
12 : 스트랩 보유 부재 13 : 슬라이더 부재
14 : 상부 판 15 : 하부 판
16 : 안내 채널 18 : 연결 바
19, 35 : 핀 25 : 후크
25a, 31b : 융기부 25b, 31a : 요홈
27 : 좁은 틈새 28 : 스트립
28' : 갈퀴 29 : 기부판
30 : 측면 플랜지 30a : 안내 레일
31 : 돌출부 32 : 결합 리브
37 : 환형 구멍
본 고안은 스트랩, 끈 또는 벨트를 가방, 배낭, 스포츠 의류등과 같은 물품에 해제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스트랩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가방 또는 다른 의류들에 부착된 벨트 또는 기다란 스트랩의 대향 말단부들을 해제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여러가지의 체결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이 개선시키고자 하는 이러한 체결 장치의 일례가 일본 특허 공고 87-39285호에 개시되어 핸드백, 배낭등에 부착된 링과 결합가능한 플라스틱 스냅 후크 형태의 체결 장치를 이용하도록 제안하였다. 그 스냅후크는 일단부에 꺽어 젖힌 후크 부분, 타 단부에 탄력적인 판형 혀 모양의 부분을 가진 기부 부재 및 후크가 개방된 위치 및 후크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혀 모양의 부분을 따라 그 혀 모양의 부분 윗쪽에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로 구성되며, 슬라이더는 평상시에는 후크를 폐쇄시키도록 혀 모양의 부분의 탄력으로써 후크를 향해 밀려져 있으며 후크를 개방시킬 때는 착용자의 손가락들로써 혀 모양의 부분의 장력에 거슬러 후크에서 멀리 후퇴하도록 이동된다. 슬라이더는 그의 하부 외주벽이 기부 부재의 하부면 넘어로 돌출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도록 배열되므로, 슬라이더가 기부 부재에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스냅 후크 부분은 매우 두껍고 불거져서 전체 장치의 외관을 볼품없게 만들며, 특히 스냅 후크가 숙녀의 어깨에 메는 백 또는 유사한 장식용 물품에 이용될 때는 더욱 단점이 된다. 종래 기술의 다른 단점은 판형 혀 모양의 부분이 슬라이더를 후크와 스냅식으로 결합시키도록 밀어낼 때 비교적 강한 탄력작용을 제공하므로, 슬라이더를 후크에서 후퇴시켜 백의 연결 링을 삽입시키기 위한 구멍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아주 큰 손가락 압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하거나 또는 완화시키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며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이 안정적인 스트랩 파스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슬라이더를 후크에서 멀리 이동시키기 위해 비교적 적은 힘을 필요로 하며 매력적인 제품 외관을 제공하도록 측면구조가 비교적 낮은 슬라이더 및 후크로 구성된 스트랩 파스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슬라이더 및 후크를 비틀림 응력들에 거슬러 서로 결합된 관계로 확고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더 및 후크로 구성된 스트랩 파스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좁은 틈새들과 그 좁은 틈새들내에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탄력적인 외팔보형 스트립들을 가진 상부 판 및 그 상부 판에서 떨어져 배치되어 그 사이에 안내 체임버를 형성하는 하부 판을 포함하는 기부 부재, 기부 부재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스트랩의 느슨한 단부를 수용하여 보유하는 스트랩 보유 부재, 기부 부재의 대향 단부에 연결되어 하부 판에서 일체로 연장하는 후크, 및 안내 채널내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한 내향 안내 레일들을 포함하며 기부 부재의 하부 면 윗쪽에 놓이는 측면 플랜지들을 가진 기부 판, 측면 플랜지들 사이의 기부 판에서 중앙으로 일체로 연장하며 후크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 및 그 돌출부를 향해 벌려져 있으며 탄력적인 스트립들과 결합되어지는 한쌍의 떨어져 있는 결합 리브들을 가진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스트랩 파스너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지지용 기부 부재(11), 그 기부 부재(11)의 일단부에 연결된 스트랩 보유 부재(12) 및 기부 부재(11)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부재(13)를 포유하는 스트랩 파스너(10)가 도시되며, 이들 모든 구성 부재들을 후술되는 바와 같이 그들의 작동 부분들을 어느 정도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기부 부재(11)는 평행하게 떨어져 배치된 상부 판(14) 및 하부 판(15)을 진 장방형 케이싱의 형태로서 그 판들 사이에는 기부(11)이 길이방향으로 중앙으로 연장하여 상하부 판(14,15)들을 함께 연결시키는 격벽(17)에 의해 동일한 절반부(제3도)들로 분할된 안내 채널(16)이 형성된다.
기부(11)의 일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하는 연결 바(18)가 형성되어 그 바(18)의 대향 단부들에서 약간 돌출하는 횡방향 핀(19)이 제공된다.
스트랩 보유 부재(12)는, 횡방향 가로대(21)로써 일 단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의 대향 단부들에는 연결 바(18)의 핀(19)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보어(22, 22)들이 제공된 한쌍의 암(20,20)들을 가진다. 그 가로대(21)는 연결 바(18)에 평행하게 떨어져 있는 관계로 연장되어 그 연결 바(18)와의 사이에 벨트 또는 스트랩(S)(제8도)의 느슨한 일단부를 수용하여 보유하는 기다란 횡방향 홈 구멍(23)을 형성한다. 연결 바(18)에서 먼 기부(11)의 대향 단부에는 기부(11)의 하부 판(15)에서 일체로 연장되어(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채널(16) 보다 높은 높이에 상대 스트랩 보유 부재 또는 결합 장치(26)(제8도)와 결합되는 후크(25)를 형성하도록 꺽어 젖혀진 탄력적인 혀 모양의 부분(24)이 형성된다. 그 후크(25)의 말단부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융기부(25a) 및 그의 대향 측면들상에 한쌍의 결합 요홈(25b,25b)들이 제공된다.
기부(11)의 상부 판(14)에는 연결 바(18)에서 먼 일 단부 근처에 각각 넓은 부분(27a) 및 좁은 부분(27b)으로 구성된 한쌍의 평행하게 떨어져 있는 기다란 좁은 틈새(27,27)들이 제공된다.
기부(11)의 상부 판(14)과 일체로 된 비교적 얇은 한쌍의 외팔보형 탄력스트립(28,28)들이 각 좁은 틈새(27,27)들의 넓은 부분(27a)(27a)들 내에서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어 좁은 부분(27b,27b)들에 못미쳐 종지한다. 외팔보형 탄력스트립(28,28)들은 각각 후술하는 목적으로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향한 갈퀴(28',38')들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바닥이 없는 장방형 박스 형태인 슬라이더 부재(13)는 기부판(29) 및 기부 판과 일체로 각각 기부 판(29)의 하부면과 함께 상부 판(14)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14')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안내 홈(30b,30b)들을 형성하는 내향 안내 레일 부분(30a,30a)들을 가진 안쪽으로 구부려진 한쌍의 궁형 측면 플랜지(30,30)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 슬라이더(13)는 기부(11)상에 장착될 때, 그의 플랜지(30,30)들이 판(14)의 길이방향 가장자리(14')들에 걸쳐 있는 상태로 고정되며 그의 안내 레일 부분(30a,30a)들이 기부(11)의 하부면 넘어로 돌출하지 않고 그 하부면 윗쪽에 놓인 상태로 안내 채널(16)내에 수용되어 기부(11)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배열 상태로써 스트랩 파스너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측면이 낮아지게 된다.
슬라이더(13)의 일 단부 또는 전방 단부에서 두개의 측면 플랜지(30,30)들 사이의 판(29)의 일 단부에서 중앙으로 돌출하며 말단부에 위치한 결합 요홈(31a) 및 대향 측면들 상에 한쌍의 결합 융기부(31b,31b)들을 가진 돌출부(31)가 형성되며, 결합 요홈(31a)과 결합 융기부(31b,31b)들을 가진 돌출부(31)가 형성되며, 결합 요홈(31a)과 결합 융기부(31b,31b)들은 각각 제5도, 6도 및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5)의 결합 융기부(25a) 및 요홈(25b,25b)들과 꼭 맞게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와 요홈이 슬라이더(13)를 스트랩 파스너(10)의 몸체에서 분리시키려는 비틀림 응력들에 대항하여 슬라이더(13) 및 후크(25)를 결합된 관계로 확고하게 고정시키는 본 고안에 따른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슬라이더(13)에는 판 부재(29)의 하부면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를 향해 벌어져 있으며 바깥쪽 안내면(32',32')들을 가진 한쌍의 떨어져 있는 결합 리브(32,32)들이 제공되며, 그 리브(32,32)들은 기부(11)의 상부 판(14)내에 형성된 좁은 틈새(27,27)들에 각각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결합 리브(32,32)들을 상응하는 좁은 틈새(27,27)들과 일치되도록 이동시켜 슬라이더(13)를 누르면 그 결합 리브(32,32)들이 각각 좁은 틈새(27,27)들의 탄력적인 스트립(28,28)들과 탄력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13)가 스트랩 파스너(10)의 기부(11)상에 장착되는데, 이때 안내 레일 (30a,30a)들도 그와 유사하게 기부(11)의 안내 채널(16)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 채널(16)내에 탄력적으로 수용되어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더(13)는 리브(32,32)들을 좁은 틈새(27,27)들의 좁은 부분(27b,27b)들의 단부 벽들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시키도록 밀어내려하는 탄력적인 스트립(28,28)들의 미는 작용에 의해 혀 모양의 부분(24)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 되도록 밀려지며, 이때 슬라이더(13)의 돌출부(31)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융기부(25a) 및 요홈(25b,25b)들이 각각 결합 요홈(31a) 및 융기부(31b,31b)들과 결합되는 상태로 기부(11)상의 후크(25)와 결함됨으로써 결합 장치(26)(제8도)를 삽입시키도록 개방되어 있던 돌출부(31) 및 후크(25) 사이의 갭(33)을 폐쇄시킨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결합 장치(26)를 본 고안의 스트랩 파스너(10)에 연결할 때는, 착용자의 손가락들로 슬라이더(13)의 상부 면의 측면 플랜지(30,30)들 및/또는 횡방향 요홈(34)을 파지한 상태로 슬라이더(13)를 기부(11)의 연결 바(18)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돌출부(31)가 후크(25)에서 분리되어 그들 사이에 갭(33)이 노출되며 그와 동시에 결합 리브(32,32)들의 안내면(32',32')들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인 스트립(28,28)들의 갈퀴(28',28')들과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로 결합 리브(32,32)들이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탄력적인 스트립(28,28)들이 그들의 장력에 반하여 좁은 틈새(27,27)들의 넓은 부분(27a,27a)들 내에서 탄력적으로 벌려진다.
손가락 압력이 해제되면 탄력적인 스트립(28,28)들이 자체 탄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결합 리브(32,32)들도 제5도 및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33)이 폐쇄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되어 좁은 틈새(27,27)들의 좁은 부분(27b,27b)들 안으로 잠궈지도록 밀려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를 기부(11)에 대해 왕복이동시키면, 슬라이더(13)를 후퇴시키기 위해 필요한 견인력이 본 명세서의 서두에 기술된 종래 기술에 비해 매우 줄어들게 되며 돌출부(31)와 후크(25)의 결합 융기부 및 요홈(25a,25b,25b,31a,31b,31b)들을 교호적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비틀림 응력들을 받게될 때 그 부분들이 변형되지 않고 확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유익한 장점들이 얻어진다.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개조된 형태의 스트랩 파스너(10')가 도시된다. 이 개조된 스트랩 파스너(10')는 기부 부재(11)가 보유 부재(1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만들어져 그 파스너(10')에 외부 응력들이 가해질 때 가로대(21)위에 감겨있는 스트랩(S)이 비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먼저 언급된 스트랩 파스너(10)와 다르다. 기부 부재(11)의 일 단부에는 연결 바(18)와 맞대어 결합되는 원형 플랜지(34) 및 그 플랜지(34)와 일체로 기부 부재(1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핀(35)이 제공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35)은 십자형 좁은 틈새(36)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가능한 4개의 부분(35a,35b,35c,35d)들로 내부가 분할된다. 제9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35)은 상부의 큰 환형 부분(35e) 및 하부의 작은 환형 부분(35f)으로 외부적으로 분리되며, 상부의 환형 부분(35e)은 하부의 환형 부분(35f)넘어로 원주방향을 약간 연장하는 하부의 외주 가장자리(35g)를 가지며, 하부의 환형 부분(35f)은 원주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 리브(35h)를 가진다.
연결 바(18)의 중앙에는 상부 대직경 부분(37a) 및 하부 소직경 부분(37b)으로 분할되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구멍(37)이 제공되며, 상부 부분(37a)은 구멍(37)의 안쪽 벽의 환형 돌출부(38)에 의해 형성되어 반경 방향 안쪽으로 배향하는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를 가진다.
기부 부재(11)는 플랜지(34)가 연결 바(18)에 접촉될 때까지 결합 핀(35)을 구멍(37)안으로 삽입함으로써 보유 부재(12)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때 핀(35)의 상부 환형 부분(35e)은 구멍(37)의 하부 부분(37b)을 통과하는 통로에서 수축되어 핀(35)의 외주 가장자리(35g)가 구멍 벽의 환형 돌출부(38)상에 위치할 때, 구멍(37)의 상부 부분(37a)으로 삽입되면서 원래 치수로 팽창된다.
따라서, 보유 부재에 연결된 기부 부재(11)가 360°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때 핀(35)의 하부 부분(35f) 둘레의 환형 리브(35h)가 구멍(37)의 하부부분(37b)의 벽과 접촉된 채로 고정되어 하부의 분할된 부분(35c,35d)들이 물러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개조된 스트랩 파스너(10')에는 측면 플랜지(30,30)들 대신에 지형 측면 플랜지(39,39)들이 제공되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부재(13)의 조작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Claims (5)

  1. (i) 한 쌍의 좁은 틈새(27,27)들과 상기 좁은 틈새들내에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탄력적인 외팔보형 스트립(28)들을 가진 상부 판(14) 및 상기 상부 판(14)에서 떨어져 배치되어 그 사이에 안내 체임버(16)를 형성하는 하부 판(15)를 포함하는 기부 부재(11), (ii) 상기 기부 부재(11)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스트랩(S)의 느슨한 단부를 수용하여 보유하는 스트랩 보유 부재(12), (iii) 상기 기부 부재(11)의 대향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판(15)에서 일체로 연장하는 후크(25), 및 (iv) 상기 안내 채널(16)내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한 내향 안내 레일(30a,30a)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 부재(11)의 하부면 위에 놓이는 측면 플랜지(30,30)들을 가진 기부 판(29), 상기 측면 플랜지(30,30)들 사이의 상기 기부 판(29)에서 중앙으로 일체로 연장하며 상기 후크(25)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31) 및 상기 돌출부(31)를 향해 벌려져 있으며 상기 탄력적인 스트립(28,28)들과 결합되어지는 한쌍의 떨어져 있는 결합 리브(32,32)들을 가진 슬라이더(13)를 포함하는 스트랩 파스너(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25)에는 융기부(25a) 및 그의 대향 측면들상에 한쌍의 요홈(25b,25b)들이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31)에는 요홈(31a) 및 그의 대향 측면들상에 한쌍의 융기부(31b,31b)들이 제공되어 각각 상기 후크(25)의 상기 융기부(25a) 및 상기 한쌍의 요홈(25b,25b)들과 해제 가능하게 결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파스너(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3)가 상기 기부 부재(11)의 상부판(14)에 미끄럼가능하게 걸쳐놓은 상태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파스너(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적인 스트립(28)들이 각각 상기 슬라이더(13)의 결합 리브(32,32)들과 결합되는 내향 갈퀴(28')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파스너(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재(11)에는 그의 단부들 중 하나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결합 핀(35)이 제공되며 상기 보유 부재(12)에는 상기 결합 핀(35)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환형 구멍(37)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파스너(10').
KR2019930010656U 1992-06-18 1993-06-17 스트랩 파스너 Expired - Lifetime KR9500068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8636 1992-06-18
JP4863692 1992-06-18
JP1993011296U JP2571039Y2 (ja) 1992-06-18 1993-02-19 なす環
JP93-11296 1993-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941U KR940006941U (ko) 1994-04-12
KR950006812Y1 true KR950006812Y1 (ko) 1995-08-21

Family

ID=2634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656U Expired - Lifetime KR950006812Y1 (ko) 1992-06-18 1993-06-17 스트랩 파스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93673A (ko)
EP (1) EP0575078B1 (ko)
JP (1) JP2571039Y2 (ko)
KR (1) KR950006812Y1 (ko)
CN (1) CN1063621C (ko)
DE (1) DE69305003T2 (ko)
ES (1) ES2093364T3 (ko)
HK (1) HK1274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9362A1 (en) * 1993-06-18 1994-12-21 Ykk Corporation Buckle
US6408493B1 (en) * 2000-06-22 2002-06-25 Yurman Design Inc. Jewelry clasp
US20070131176A1 (en) * 2005-12-14 2007-06-14 Lupine, Inc. Connector and replacement leash strap for retractable leash
JP4825161B2 (ja) * 2007-04-10 2011-11-30 Ykk株式会社 なす環
FR2957758B1 (fr) * 2010-03-29 2012-05-04 Denis Chapron Dispositif de fermeture et de serrage pour deux troncons de bande souple
FR2991142A1 (fr) * 2012-05-29 2013-12-06 Louis Pueyo Dispositif d'attache pour bracelet notamment pour montre
US9821178B2 (en) * 2013-02-08 2017-11-21 D B Industries, Llc Bracket assembly
USD814276S1 (en) * 2015-04-01 2018-04-03 Dutch Clips LLC Cover fastener
KR102267230B1 (ko) 2020-03-17 2021-06-21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US12053061B2 (en) 2020-06-24 2024-08-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uckle assembly and harness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1971A (en) * 1947-09-29 1951-10-16 Albert H Reef Snap hook
US2592506A (en) * 1950-11-02 1952-04-08 Yanagihara Thomas Garment safety pin fastener
DE961227C (de) * 1954-02-26 1957-04-04 Augusto Enrique Hestermann Schliesse fuer Schmuckstuecke
US2896290A (en) * 1957-09-27 1959-07-28 Salm Inc Arthur Pocket implement with retainer for apertured articles
USRE31096E (en) * 1965-09-08 1982-12-07 Coupling device
US3350753A (en) * 1965-12-29 1967-11-07 Wesley W Hester Necklace clasp
DE1939307A1 (de) * 1969-08-01 1971-02-11 Widmer Robert Sicherheitshaken
IT1194046B (it) * 1981-04-29 1988-08-31 Itw Fastex Italia Spa Moschettone di plastica
JPS5929138Y2 (ja) * 1982-07-23 1984-08-22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なす環
JPS6239285A (ja) * 1985-08-14 1987-02-20 Canon Inc 感熱転写材
JPH0540731Y2 (ko) * 1987-05-01 1993-1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93673A (en) 1994-03-15
EP0575078A1 (en) 1993-12-22
CN1081598A (zh) 1994-02-09
JPH0618722U (ja) 1994-03-11
EP0575078B1 (en) 1996-09-25
ES2093364T3 (es) 1996-12-16
DE69305003D1 (de) 1996-10-31
CN1063621C (zh) 2001-03-28
HK127497A (en) 1997-09-19
JP2571039Y2 (ja) 1998-05-13
KR940006941U (ko) 1994-04-12
DE69305003T2 (de) 199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2725A (en) Snap buckle
KR0125287B1 (ko) 회전식 스냅훅
JP3240559B2 (ja) バックル・アセンブリ
KR970007149B1 (ko) 버클
US5542161A (en)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US5259093A (en) Strap connector
CA2234015C (en) Fastening mechanism for connecting articles and the like together
US4577377A (en) Buckle for straps
US5184352A (en) Molded plastic belt with integral locking mechanism
EP0345014B1 (en) Adjustable fastener
EP1018609B1 (en) Cord fastener
KR950006812Y1 (ko) 스트랩 파스너
US5491986A (en) Interchangeable multiple mount head system for jewelry
JPS63234904A (ja) ベルト連結用のプラスチック製バックル
US5172429A (en) Combination suspenders for use with button and buttonless trousers
US5537725A (en) Releasable catch for holding together two complementary parts of a flexible article
KR100673917B1 (ko)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삼방향 누름 해제 버클
EP0311042A1 (en) Buckle assembly
KR890000077Y1 (ko) 버 클
US2142849A (en) Hair fastener
US5896626A (en) Clip clasp for securing a strap
US4945616A (en) Adjustable closure for overlapping parts
JP2020180403A (ja) 衣服用ベルト
US4417372A (en) Adjustable buckle construction
JPS62392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6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61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21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2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02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09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