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5906B1 - 자동차용 보호백 인플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호백 인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906B1
KR950005906B1 KR1019890002883A KR890002883A KR950005906B1 KR 950005906 B1 KR950005906 B1 KR 950005906B1 KR 1019890002883 A KR1019890002883 A KR 1019890002883A KR 890002883 A KR890002883 A KR 890002883A KR 950005906 B1 KR950005906 B1 KR 95000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ousing
combustion chamber
inflator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06A (ko
Inventor
제이. 커닝햄 도날드
Original Assignee
모르톤 티오콜 인코오포레이티드
제랄드 케이. 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르톤 티오콜 인코오포레이티드, 제랄드 케이. 화이트 filed Critical 모르톤 티오콜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보호백 인플레이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백 용기를 구비한 인플레이터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백 용기를 선 2-2를 따라서 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인플레이트의 부품 분해도.
제4도는제1도의 인플레이터용필터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플레이터 12 : 하우징
18 : 구멍 20 : 하우징 제1면
22 : 하우징 제2면 24 : 백 리테이너
32 : 점화기 34 : 점화기 하우징
36 : 발화성 물질 38 : 퓨즈
44 : 차단 부재 54 : 가스 발생제
64 : 스퀴브 58, 78, 84 : 필터
74, 76, 80, 82 : 스크린
본 발명은 가수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승차석 쪽에 있는 안전 보호 백(Bags) 혹온 에어백(Airbags)등의 팽창구조체를 신속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고체 연료 가스 발생 혹은 인플레이터 (Inflators) 에 관한 것이다.
승차석 에어백 개발에 있어서의 관심 사항중의 하나는 그 인플레이터를 고성능이고, 가격이 저렴하고, 신뢰성이 있게 하면서도 그 중량을 가볍게 하는 것이다.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 운전석 쪽 인플레이터의 주요 구조 부품에는 알루미늄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인플레이터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4,547,342호에 기재되어 있다.
대개, 승차석 측 인플레이터는 길고 대체로 원통형인 하나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하우징에는그 중앙에 점화기(Igniter)가 배치되고 그 둘레를 연소실이 둘러싸며 다시 그 둘레를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가진 하나의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화산실(Diffuser Chamber)이 둘러싼다. 이의 예로써는 미합중국 특허 제 4,005,876호 및 제 4,380,346호가 있다. 이러한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점화기 벽과 연소실 벽은 대개 각각 그 내부의 점화 압력 및 연소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만들어진다. 예를들면, 스테인레스 강의 경우에는 점화기 튜브의 두께는 대개 0.045인치, 연소실 벽의 두께는 대개 0.100인치로 한다. 만약에 알루미늄을 사용한다면 두께는 대개 훨씬 커진다. 따라서, 인플레이터의 총 중량이 증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차석 측 보호 백용의 경량 인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한가지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성능의 신뢰성 있고 저렴한 인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생된 가스의 여과를 개선하여 보호 백에 더 깨끗한 가스를 제공하는 인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하기 숴운 인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 및 기타 목적, 특징, 이점들은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으므로써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10)은 승차석 측 자동차 보호 백(에어백이라고도 함)용의 고체 연료 가스발생기 혹은 인플레이터를 나타낸다. 인플레이터(10)은 길고 대체로 원통형인 하우징(12)를 갖추고 있으며,이 하우징은 예를들면 내부의 연소 압력을 견디기에 적합한 0.130인치의 두께를 갖는 경량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2)의 한 쪽단부(14)는 막혀 있고 인플레이트를 자동차의 반응 용기(도시않됨)에 장착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나 있는 핀(16)이 갖추어져 있다. 하우징(12)의 한쪽 면(20)(이하, 제1면이라 함)에는 여러개의 구멍(18)들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구멍(18)은 당업자의 상식적인 원리를 적용하여 에어백(도시 않됨)으로의 가스 유동 속도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적절한 크기로 뚫는다. 예를들면, 하우징(12)에는 각각 0.437인치의 지름을 갖는 15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다. 이하에서 제2면이라고 부르는 다른 쪽면(22)에는 다음에 명확하게 설명하는 이유 때문에 가스 출구 혹은 구멍을 뚫리지 않는 다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와 본 명세서의 목적상, 제1면은 약 180°의 원주각을 가지는 하우징의 절반면으로 생각하고, 제2면은 나머지 180°(360°에서 제 1면의 180°를 뺀)의 원주각을 가지는 나머지 절반면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 구멍(l8)들은 인플레이터(10)으로부터 백 리테이너(Bag Retainer)(24)반으로 그리고 다시 백 레테이너에 적절히 부착되어 있는 에어백(도시 안됨)속으로의 연소 가스 통로를 제공한다. 빅 리테이너(24)는 길다란 반 원통형 부재로서 알루미늄 등의 적합한 재료로 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10)의 제1면(20)을 둘러싸서 연소 가스가 화살표(26)과 같이 그 벽을 향하여 흐른 후 화살표(28)과 같이 에어백(도시 안됨)속으로 흐르게 끔한다. 편의 상, 백 리테이너(24)는 제1인플레이터 면(20)을 둘러싸는 본래의 위치로 부터 떨어진 위치에 그렸다. 에어백(도시 안됨)은 자동차 사고시에 차량 탑승자를 향해 밖으로 팽창되도록 인플레이터(10)의 제2면을 따라 포개어져 있다. 리테이너(24)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한쌍의 핀(30)이 놓이거나 또는 자동차의 반응 용기(도시 안됨)로의 부착을 위한 다른 적절한 수단이 갖추어진다.
점화기(32)는 하우징(12)의 중앙에 위치하고 그 하우징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점화기는 멤브레인(Membrane) 또는 스크린 등의 18메시의 구멍이 뚫린 대체로 원통형인 하우징 부재(34)로 되어 있고 그 속에는 지름이 0.07인치 정도이고 그 하우징의 길이 만큼 연장되어 있는 하이브라이트 퓨즈(HiveliteFuse)(38)과 이를 에워싸는 점화 입자(36)들이 들어 있다. 점화기 하우징 혹은 구멍 뚫린 수단(34)의 양단부는 이 부분에 꼭 끼위지는 폼 플러그(Foam Plugs)(40)으로 막혀 있다. 하우징 부재(34)는 점화 입자(36)를 담기 위해 튜브 형상으로 되어 있고 l8메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어떤 적당한 그물형 부재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든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퓨즈(38)도 다른 어떠한 적절한 크기나 형식으로도 할 수 있다.
발화성 물질(pyrotechnic material(36)로는 빠른 점화와 무독성의 조건에 맞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이 용도의 대표적인 재료는 붕소 25중량%와 포타슘 나이트레이트 75%의 입자상 혼합물이다.
종래의 점화기 튜브의 두께는 점화 압력에 견디 하기 위해 대개 0.045인치 정도로 하였다. 그러나, 점화기 하우징을 점화압력을 견디도록 설계할 필요가 없고 단지 점화전에 발화성 물질(36)을 구조적으로 저장하거나 담기에 충분한 두께면 된다는 것이 화인되었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강제이거나 알루미늄제이거나 점화기 하우징 부재(34)의 두께는 종래의 점화기 튜브의 대표적인 두께보다는 현저히 작은 바람직하게는 0.03인치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2인치 이상으로 한다(예.0 020인치).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점화기 하우징 부재(34)에 관과여 '얇은'이라 함은 0.03인치 미만의 두께를 가진 것을 의미한다.
점화기 하우징 부재(34)의 둘레에는 알루미늄 박막(Foil)등의 파열형(RupturabIe) 멤브레인(42)를 두르며, 하우징의 구멍(41)을 덮어서 점화기 하우징 부재(34)를 밀봉하도록 적절히 접착시킨다.
이 밀봉된 하우징 부재(34)는 구멍이 안 뚫려 있는 길다란 아아치형의 얇은 차단 부재(44)를 갖추고 있는 연소실 수단안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차단 부재(44)의 길이에 걸쳐서, 여러 개의 돌기(46)들이 아아치의 길이 방향 연부들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여, 알루미늄 박막등의 파열성 멤브레인(48)을 지지하는 한편, 하기 설명과 같이 연소 가스나 나갈 통로가 될 슬롯(50)들을 형성한다. 대체로 0.006인치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박막(48)은 돌기(46)의 안쪽에 적절히 접착되어 슬릇(50)을 덮으므로써 차단 부재(44)와 돌기(46)으로 둘러싸인 연소실(43)을 밀봉하게 되며, 당업자들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소 압력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박막(48)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박막과 근접하여 270°정도의 원주각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10메시스티인레수 강제의 아이치형의 길다린 연소 스크린(52)가 배치되며, 이 스크린은 슬롯(50)의 앞에 적절히 위치되어 돌기(46)에 의해 지지되며, 하기 설명과 같이 슬롯(50)을 통해 연소실(43)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연소가스를 초기 여과하고 냉각시킨다. 연소실 수단(44), (46)은 예를 들면 각각 0.5인치의 폭을 갖는 120개의 슬롯을 갖출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단 부재'라 함은 연소 가스가 투과할 수 없는 부재(혹은 그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단 부재(44)는 돌기 부분(46)에서 끝난다.
적절한 고체 연로 가스 발생제(54)는 연소실(43)내에서 점화기 하우징 부재(34)와 연소 스크린(52)사이에 놓인다. 그리고 나서, 연소실(43)은 밀패 부재(56)으로 막히며, 이 부재는 점화기를 반경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이 부재들은 억지 끼워 맞춤되며 다우(Dow) 케미칼 컴패니의 실리콘 고무 밀봉재인 RTV 밀봉재 등의 적절한 밀봉재로써 밀봉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를 얇게 하였으므로 스테인레스 강이나 알루미늄의 상대 중량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연소열에 더 잘 견디도록 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개, 가스 발생 재료를 담는 연소실의 두께는 그 내부의 연소 압력에 견디게 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강의 경우에는 0.100인치 정도, 일루미늄의 경우에는 0.130인치가 될 것이다. 이러한 두께는 인플레이터의 중량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그러나, 하우징(12)가 연소 압력을 적당히 견디는 한, 연소실 두께를 연소 압력을 견딜 정도로 할 필요가 없다는 것과, 하기 설명과 같이 연소 전에는 가스 발생 재료(54)를 저장하고 연소후에는 가스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하면서도 차단 부재(44)의 두께를 줄이므로써 인플레이터의 가격은 물론 그 중량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경량 인플레이터용의 얇은 차단 부재를 제공하기위해서는, 차단 부재의 두께는 스테인레스 강의 경우에 약 0.04인치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소 과정중에 변경되지 않도록 약 0.03인치 이상(에,0.032인치)으로 한다. 알루미늄의 경우에는, 차단 부재(44)는 약 0.06인치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특허청구의 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차단부재(44)에 관하여 '얇은'이라 함은 0.06인치 미만의 두께를 가짐을 의미한다. 가스 발생 혼합물(54)는 적절하 연소 속도, 무독성 및 화염 온도의 요구 조건에 맞는 많은 혼합물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혼합물중에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는 미합중국 특허 제4,203,787호 및 제 4,369,079호에 기재된 것 등이 있다.
가스 발생 재료(54)는 도시된 것과 같은 펠릿상(Pellet Form)이의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를면, 가스 발생제를 웨이퍼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 안에 점화기(32)와 고체 연료(54)가 들어 있는 연소실 수단(44), (46)은 필터 팩(Filter Pack)(58)내에 끼워지며, 이것은 다시 개방된 단부(60)을 통해 하우징(12)속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단부 마개(End Cap)(62)를 바람직하게는(본 명세서에 참조된 미합중국 특허 제 4,547,342호의 기술과 유사한)관성 용접법에 의해 하우징 단부(60)에 적절히 부착 밀봉시킨다. 단부 마개(62)에는용접용의 보호 덮개 부재(6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마개(62)의 구멍에는 적절한 밀봉체(Seal)(66)에 의해 적절한 스쿼브(Squib)(64)가 밀봉 장착되며 발화성 물질(36)의 점화를 위해 스퀴브 캠(68)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적절한 단락 클립(Shorting Clip)(7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4도에는 발생 가스의 여과 및 냉각을 위한 하우징(12)내의 차단 부재(44) 및 필터 백(58)의 배치를 나다내었다. 구멍이 없는 차단 부재(44)는 하우징(12)내에서 제1면(20)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차단 부재(44)는 그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와 하우징 구멍(18)사이에서 차단 벽의 역할을 하므로써 가스 발생제 펠릿(54)가 연소되어 발생된 가스가 연소실을 나올때 화살표(72)로 지시하는 것과같이 하우징의 제2면(22)를 향해 슬롯(50)을 통과해야만 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4도와 같이, 발생된 가스는 제2측벽에 충돌한 후(73)과 같이 방향을 바꾸어 완곡한 경로를 따라 하우징 제1면(20)을 향해 흘러서 구멍(18)로 나온다. 발생가스가 제2측벽에 충돌하면 많은 양의 입자상 물질이 벽상에 남게 된다.
여과 및 냉각 팩(58)이 몇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깥쪽에는 대개는 10메시 스테인레스 강인 조대(Coarse) 스크린 부재(74)가 설치되는데, 이 부재는 하우징 제1면(20)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이것은 가스 출구(18)을 통해 하우징(12)로부터 여과된 가스를 신속히 방출시키기 위한 플리넘(Plenum)을 제공하는 드레인 층(Draln Layer)이라 부를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1스크린(74)는 대개 연소실(43)으로부터 하우징 제2면(22)를 향해 흐르는 발생 가스의 유동 통로(72)에는 미치지 않는다. 제1스크린(74)에 근접하여 대개는 30 메시인 스테인레스 강제의 더 미세한 제2스크린(76)이 놓이며, 이 스크린은 고체연료 실(43)을 둥글게 에워싸거나 혹은 전둘레를 둘러싸게 연장된다. 제1스크린(74)는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제2스크린(76)에 가용접(Tack Weld)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스크린(76)에 근접하여 그 내부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섬유질 재료의 층으로 된 필터 부재(78)이 놓이며, 이 부재는 하우징 제1면(20)둘레의 위로 혹은 그 면을 따라 연장되며 발생 가스의 유동 통로(72)에는 대개 미치지 못하지만, 제4도와 같이 약간 중첩시킬 수도 있다. 필터 부재(78)은 발생 가수를 정밀하게 여과한다. 적당한 필터 부재(78)로서는, 예를 들면 맨즈빌컴패니(Mansville Co.)가 판매하는 리섬(Lytherm) 세라믹 파이버 폐이퍼등과 같이 작업중 취급 편의를 위해 페이퍼를 서로결합시키는 바연더가 포함된, 알루미나-실리카 파이버 폐이프등이 있다. 적결한 여과지의 다른 예로서는 일본국의 샌드텍스(Sandtex) 코오포레이숀이 제조하는 실리카 파이버 페이퍼인 샌드렉스 폐이퍼가 있는데, 이 여과지는 여과능력 및 pH값이 향상된 것이다.
다음 예로서는 미합중국 켄터키주의 내쇼날 스탠다드 오브 코오변(Natlonal Standard of Corbin)이 판메하는 75/25 파이버렉스(Fiberex) 필터재가 있다. 제2스크린(76)은 필터부재(78)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필터 부재(78)과 차단 부재(44)의 사이에는 30 메시 스테인레스 강스크린(80)이, 그리고 그 안쪽으로는, 네개 층으로된 12 메시 스테인레그 강 스크린(82)가 놓이는 등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테인레스 강 스크린 층이 놓여서 차단 부재(44)를 둘러싼다.
발생된 가스가 하우징의 제2면을 향해 밖으로 나오면, 발생 가스나 제2면을 향해 혹은 그 면에 대해 제2스크린(76)과 제4스크린 부재(81),(82)를 밀어서 드레인 스크린(74)를 막고 따라서 발생 가스가 하우징 제1면(20)상의 구멍(18)로 가는 도중 필터 부재(78)을 통과하게 하므로써 발생가스가 효과적으로 여과되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된 형태의 필터팩(58)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조성의 필터 팩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발생되어 여과된 가스는 하우징 구멍(18)을 나간 후에 백 리테이너(24)의 벽을 향해 흐른다. 백 리테이너(24)의 내벽을 따라설 배치되어 있는 것은 발생 가스가 에어 백(도시안됨)으로 들어 가기 점에 이 가스를 추가로 여과시키기 위한 최종 필터팩(84)이다. 이 필터 팩(84)는 예를들면 앞에서 설명한 파이버렉스 재료의 층과 30메시 스테인레스강의 층으로 만든다. 여과된 발생 가스는 이와 같이 백 리테이너(24)의 내벽에서 방향을 바꾸면서 다시 한번 여과되고 에어백(도시 안됨)속으로 흘러들어가기 전에 필터 팩(84)에 의해 여과 및 냉각된다. 필터 팩(58), (84)는 발생 가스로 부터 입자상 잔류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이 가스를 냉각시키는 작용도 한다.
인플레이터(10)의 기능은 충돌 센서(도시 안됨)로부터 리드 선(도시 안됨)을 통해 이니시에이터(Initiator) 혹은 스쿼브(64)로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시작된다. 스퀴브(64)는 퓨즈(38)을 착화 및 연소시키며, 이에 의해 발화성 물질(36)이 연소된다. 발화성 물질(36)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가스는 점화기 하우징 부재(34)의 구멍(41)을 통과하여 알루미늄 박(42)를 뚫고 지나가 연소실(43)내의 가스 발생제 펠릿(54)들을 점화시킨다. 펠릿(54)가 연소되면 인플레이트 가스가 방출되어 연소 스크린(52)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알루미늄 박막(48)을 파열·통과하고 슬롯(50)을 (72)방향으로 통과하여 하우징(12)의 제2면(22)의 벽에 충돌해서 가스가 방향을 바꿀때 일부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다. 가스는 제2스크린(76) 및 여러 개의 제4스크린(80), (8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입자상 물질이 가스로 부터 제거된다. 또한, 제2 및 제4스크런이 제2벽을 향해 밀려서 가스가 곧 바로 제1스크린(74)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결국, 가스는 대부분 더 미세한 여과를 위해 제2, 제4스크린 뿐 아니라 필터 부재(78)도 통과하며, 그 후 제l스크린(74)에 의해 제공된 플리넘으로 들어가고 다시 하우징 구멍(18)로 빠져 나온다. 이 여과되고 냉각된 발생 가스는 더욱 미세하게 여과되도록 하기 위해 백 리테이너(24)내이 필터(84)속으로 보내지며 그 후 다시 거기에 부착되어 있는 에어 백(도시 안됨)속으로 향하게 된다.
얇은 차단 부재 및 얇은 점화기 하우징 부재익 제공과 아울러 알루미늄 하우징을 사용하므로써 인플레이터(10)은 가비워 지고 또한 가격도 저렴하게 된다. 인플레이터 내의 필터 팩(58)과 백 리테이너 대의 필터(84)에 의해 발생 가스의 여과가 향상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는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이고, 제조하기 쉽고, 신뢰성 있고, 견고하며, 높은 품질의 가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특허청구의 범위는 2중 혹은 3중 연소실 인플레이터도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차량의 팽창성 보호팩(Inflatable Restraint Bag)용 인플레이터(Inflator)(10)에 있어서, 길고 원통형인 하나의 하우징(12)과, 긴 아아치형의 얇은 하나의 치단 부재(Barrier Member)(44)와 가스 발생 재료(54)와, 상기 가스 발생 재료의 점화 수단(32)과 가스 여과 수단과, 가스 배향(Directing)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면(20) 및 제2면(22)을 가지며, 가스 배출 수단(18)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면(20)은 180。의 원주각을 가기는 상기 하우징(12)의 절반면이며, 가수 출구가 없는 상기 제2면(22)은 360。에서 상기 제1면의 원주각을 뺀 나머지 원주각을 가기는 상기 하우징(12)의 나머지 절반면이며, 상기 긴 아아치형의 얇은 차단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발생 재료(54)를 담고 있는 연소실(43)을 형성하며, 상기 가수 여과 수단은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배향 수단은 상기연소실(43)반으로부터 나오는 발생 가스를 상기 하우징 제2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 제1면 사이에 배치되어 발생 가스가 상기 연소실을 나오면서 상기 하우징 제 1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발생 가스가 하우징 제 2 면을 향해 연소실을 빠져 나온 후 방향의 바꾸어 상기 여과 수단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 부재 둘레로 흘러 상기 가스 출구 수단으로 가게 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을 밀봉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박막(Foil)(48)을 상기 발생 가스배향 수단 상에 지지하는 수단(46)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출구 수단(18)으로부터 나오는 발생 가스를 받아 들이기 위한 보호백 리테이너(Retalner) 수단(24)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 수단에는 발생 가스의 통로중에 필터 수단(84)이 들어 있어 발생 가스가 보호백으로 들어가기 전에 리테이너 수단내에서 여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44)의 두께가 0.04 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44)가 스테인레스 강으로 되어 었고 그 두게가 0.03인치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가 스테인레스 강으로 되어 있고 그 두께가 0. 03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수단이 얇고 구멍이 뚫려 있는 발화성 물실 수납 수단(34)과, 상기 발화성 물질 수납 수단내에 메치되는 발화성 물질과, 그 발화성 물질의 착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뚫린 발화성 물질 수납 수단(34)의 두께가 0.030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리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뚫린 발화성 물질 수납 수단(34)이 스테인레스 강으로 되어 있고 그 두께가 0.02인치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트.
  10. 제7항에 있이서, 상기 구멍 뚫린 발화성 물질 수납 수단(34)이 스테인레스 강으로 되어 있고 그 두께가 0.02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있는 상기 가스 여과 수단(58)이, 상기 하우징의 제1면을 따라 원주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가스 배출 수단을 통해 상기 발생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소정의 플리넘(Plenum)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43)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제2면을 향해 개방되어 발생 가스의 유동 통로와 닿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제l스크린(74)과, 상기 연소실을 에워싸는 하나이상의 제2스크린(76)과. 상기 하우징 제1면을 마라 원주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소실으로 부터 상기 하우징 제2면을 향해 개방되어 그 끝이 발생 가스의 유동 통로와 닿지 않도록 섬유질 재로로 된 하나 이상의 필터 부재(78)와, 상기 연소실을 에워싸므로 발생 가스에 의해 상기 제2스크린과 함께 하우징 제2면을 양해 밀려서 발생 가스가 제1스크린을 따라 옆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발생 가스가 대부분 섬유질재로 필터 부재(78)를 통과하게 끔 하는 하나 이상의 제3스크린(80 ,82)을 상기 하우징에서 부터 상기 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차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2. 제11항에 있어, 상기 가수 배출 수단(18)으로 부터 가스를 받아들이는 보호백 리테이너 수단(24)을 갖추고 있고, 상기 리테이너 수단에는 발생 가스 통로 중에 필터 수단이 들어 있어서 발생 가스가 보호구백 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리테이너 수단내에서 여돠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44)가 스테인레스 강으로 되어 있고 그 두께가 0.04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4. 차량의 팽창성 보호백(Infltable Restraint Bag)용 인플레이터(Inflator)(10)에 있어서, 길고 원통형인 하나의 하우징(12)과, 긴 아아치형의 얇은 하나의 차단부재(Barrier Meber)(44)와 가스 발생 재료(54)와, 상기 가스 발생 재료의 점화 수단(32)과, 가스 여과 수단과, 가스 배향(Directing)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면(20) 및 제2면(22)읕 가지며, 가스 배출 수단(18)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면(20)은180° 원주각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12)의 절반면이며, 가스 출구가 없는 상기 제2면(22)은 360。에서 상기 제1면의 원주각을 뺀 나머지 원주각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12)의 나머지 절반면이며, 상기 긴 아아치형의 얇은 차단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발생 재료(54)를 담고 있는 연소실(43)을 형성하며, 상기 가스 여과 수단은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배향 수단은 상기 연소실(43)안으로부터 나오는 발생 가스를 상기 하우징 제2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 제1면 사이에 배치되어 발생 가스가 상기 연소실을 나오면서 상기 하우징제 1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발생 가스가 하우징 제 2 면을 향해 연소실을 빠져 나온 후 방향을 바꾸어 상기 여과 수단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 부재 둘레로 홀러 상기 가수 출구 수단으로 하게 끔 하며,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있는 상기 가스 여과수단(58)이, 상기 하우징의 제l면을 따라 원주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가스 배출 수단을 통해 상기 발생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소정의 플리넘(Pluenum)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43)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제2면을 향해 개방되어 발생 가수의 유동통로와 닿지 않는 하나 이상의 제1스크린(74)과, 상기 연소실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제2스크린(76)과, 상기 하우징 제1면을 따라 원주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소실로부터 상기 하우징 제2면을 향해 개방되어그 끝이 발생 가스의 유동 통로와 닿지 않는 섬유질 재료로 된 하나 이상의 필터 부재(78)와, 상기 연소실을 에워싸므로 발생 가스에 의해 상기 제2스크린과 함께 하우징 제2면을 향해 밀려서 발생 가스가 제1스크린을 따라 옆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발생 가스가 대부분 섬유질 재료 필터 부재(78)를 통과하게끔 하는 하나 이상의 제3스크린(80, 82)을 상기 하우징에서 부터 상기 차단 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차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 수단(18)으로 부터 발생 가스를 받아들이는 보호백 리테이너 수단(24)을 갖추고 있고, 상기 리테이너 수단에는 발생 가스 통로 중에 필터 수단이 들어 있어서, 발생 가스가 보호백 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리테이너 수단내에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44)가 스테인레스 강으로되어 있고 그 두께가 0.04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7. 차량의 팽창성 보호백(Inflatable Restralnt Bag)용 인플레이터(Inflator)(10)에 있어서, 길고 원통형인 하나의 하우징(12)과, 긴 아아치형의 얇은 하나의 차단 부재(Barrier Member)(44)와 가스 발생 재로(54)와, 상기 가스 발생 재로의 점화 수단(32)과, 가스 여과 수단과, 가스 배향(Directing)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면(20) 및 제2면(22)을 가지며, 가스 배출 수단(18)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면(20)은 180°의 원주각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12)의 절반면이며, 가스 출구가 없는 상기 제2면(22)은 360°에서 상기 제1면의 원주각을 뺀 나머지 원주각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12)의 나머지 절반이며, 상기 긴 아아치형의 얇은 차단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발생 재료(54)를 담고 있는 연소실(43)을 형성하며, 상기 가스 여과 수단은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배향 수단은 상기 연소실(43)안으로부터 나오는 발생 가스를 상기 하우징 제2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 제1면 사이에 배치되어 발생 가스가 상기 연소실을 나오면서 상기 하우징 제 1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 하므로써 발생 가스가 하우징 제 2 면을 향해 연소실을 빠져 나온 후 방향을 바꾸어 상기 여과 수단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 부재 둘레로 흘러 상기 가수 출구 수단으로 가게 끔 하며, 상기 보호구 백리테이너 수단(24)은 상기 가스 배출 수단으로 부터 나오는 발생 가스를 받아 들이고 이 리테이너 수단에는 발생 가스 통로중에 필터 수단이 들어 있어서 발생가스가 보호구 백 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리테이너 수단내에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44)가 스테인레스 강으로 되어 있고 그 두께가 0.04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9. 차량의 팽창성 보호백(Inflatable Restraint Bag)용 인플레이터(Inflator)(10)에 있어서, 길고 원통형인 하나의 하우징(l2)과, 긴 아아치형의 얇은 하나의 차단 부재(Barrier Member)(44)와 가스 발생 재료(54)와, 상기 가스 발생 재료의 점화 수단(32)과 가스 여과 수단과, 가스 배향(Directing)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면(20) 및 제2면(22)을 가지며, 가스 배출 수단(18)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면(20)은 180。의 원주각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12)의 절반면이며, 가스 출구가 없는 상기 제2면(22)은 360°서 상기 제1면의 원주각을 뺀 나머지 원주각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12)의 나머지 절반면이며, 상기 긴 아아치형의 얇은 차단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발생 재료(54)를 담고 있는 연소실(43)을 형성하며, 상기 가스 여과 수단은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배향 수단은 상기 연소실(43)안으로부터 나오는 발생 가스를 상기 하우징 제2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 제1면 사이에 배치되어 발생 가스가 상기 연소실을 나오면서 상기 하우징 제 1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발생 가스가 하우징 제 2 면을 향해 연소실을 빠져 나온 후 방향을 바꾸어 상기 여과 수단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 부재 둘레로 흘러 상기 가스 출구 수단으로 가게 끔하며, 상기 점화 수단은 얇고 구멍 뚫린 발화성 물질 수납 수단과, 이 발화성 물질 수납 수단내에 배치되는 발화성물질과, 이 발화성 물질을 착화하는 착화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뚫린 발화성 물질 수납 수단의 두께가 0.03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플레이터.
KR1019890002883A 1988-03-09 1989-03-09 자동차용 보호백 인플레이터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066 1988-03-09
US166066 1988-03-09
US07/166,066 US4878690A (en) 1988-03-09 1988-03-09 Light weight vehicle restraint bag inf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06A KR890014306A (ko) 1989-10-23
KR950005906B1 true KR950005906B1 (ko) 1995-06-07

Family

ID=2260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883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906B1 (ko) 1988-03-09 1989-03-09 자동차용 보호백 인플레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78690A (ko)
EP (1) EP0332325B1 (ko)
JP (1) JPH01297336A (ko)
KR (1) KR950005906B1 (ko)
CA (1) CA1310675C (ko)
DE (1) DE6890444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7552B (en) * 1988-11-24 1992-12-09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gas generator
US5033390A (en) * 1989-11-13 1991-07-23 Morton International, Inc. Trilevel performance gas generator
US5116080A (en) * 1990-09-05 1992-05-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4118336A (ja) * 1990-09-06 1992-04-20 Nippon Oil & Fats Co Ltd ガス発生器
US5100171A (en) * 1990-10-29 1992-03-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ilter assembly for airbag inflator
JPH04283148A (ja) * 1990-11-28 1992-10-08 Dynamit Nobel Ag ガス発生器
US5086550A (en) * 1990-12-18 1992-02-11 Trw Inc. Method of assembling an inflator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5087070A (en) * 1990-12-18 1992-02-11 Trw Inc. Method of assembling an inflator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5109772A (en) * 1991-01-22 1992-05-05 Morton International, Inc. Flash ignition system
US5204068A (en) * 1991-05-01 1993-04-20 Trw Inc. Filter
US5149130A (en) * 1991-05-28 1992-09-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Liner for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cushion
US5390954A (en) * 1991-06-21 1995-02-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assembly
US5478109A (en) * 1991-06-21 1995-12-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assembly
JPH0829696B2 (ja) * 1991-06-21 1996-03-27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ヴィークル・セーフティ・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
DE4231356B4 (de) * 1991-09-18 2008-02-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Lyndhurst Vorrichtung zum Aufblasen einer aufblasbaren Einrichtung
USRE37843E1 (en) 1991-09-18 2002-09-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ing a mixture of gases
US5348344A (en) * 1991-09-18 1994-09-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ing a mixture of gases
US6379627B1 (en) * 1991-12-09 2002-04-3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CA2084464A1 (en) * 1991-12-16 1993-06-17 Guy R. Letendre Air bag inflator
DE4201741A1 (de) * 1992-01-23 1993-07-29 Dynamit Nobel Ag Filtervorrichtung zum filtern einer gasstroemung
US5230726A (en) * 1992-04-30 1993-07-27 Morton International, Inc. Spiral wrapped gas generator filter
DE589152T1 (de) * 1992-08-28 1994-12-22 Nippon Koki Kk Gasgenerator zum Aufblasen eines Luftkissens.
US5368329A (en) * 1993-03-03 1994-11-29 Morton International, Inc. Dual stage inflator
DE4313571C1 (de) * 1993-04-26 1994-08-18 Daimler Benz Ag Rückhaltesystem für Fahrzeuginsassen
US5365651A (en) * 1993-07-01 1994-11-22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assembly system and tool
DE4324554B4 (de) * 1993-07-22 2006-03-02 Delphi Technologies, Inc. (n.d.Ges.d. Staates Delaware), Troy Gasgenerator, insbesondere für einen Airbag
US5380039A (en) * 1993-09-29 1995-01-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US5427030A (en) * 1993-10-12 1995-06-27 Morton International, Inc. Ignition granule retention disc
DE4338536A1 (de) * 1993-11-11 1995-05-18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
JPH07215162A (ja) * 1994-01-27 1995-08-1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5620205A (en) * 1994-03-14 1997-04-15 Morton International, Inc. Gas generation and ignition system for airbag inflation
US5626360A (en) * 1994-03-14 1997-05-06 Morton International, Inc. Linear igniters for airbag inflators
DE4415523A1 (de) * 1994-05-03 1995-11-09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 für Seitenaufprallschutz
US5673483A (en) * 1994-05-25 1997-10-07 Morton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flator filter made of wrapped mesh
US5407120A (en) * 1994-05-25 1995-04-18 Morton International, Inc. Rotary swaging of gas generator filters
US5464249A (en) * 1994-11-09 1995-11-07 Morton International, Inc. Generant loaded filter assembly and method for its use
US5589141A (en) * 1995-03-31 1996-12-31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Use of mixed gases in hybrid air bag inflators
US5623115A (en) * 1995-05-30 1997-04-22 Morton International, Inc. Inflator for a vehicle airbag system and a pyrogen igniter used therein
WO1996040541A1 (en) * 1995-06-07 1996-12-19 Takata Moses Lake, Inc. Airbag inflator system
US5547217A (en) * 1995-07-06 1996-08-2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ir bag inf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624133A (en) * 1995-10-26 1997-04-29 Trw Inc. Prefilter for gas generating air bag inflator
US5681056A (en) * 1995-11-14 1997-10-2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low director for air bag inflator
DE19543795B4 (de) * 1995-11-24 2005-03-24 Temic Bayern-Chemie Airbag Gmbh Pyrotechnischer Gasgenerator
JPH1071922A (ja) * 1996-06-26 1998-03-17 Nissan Motor Co Ltd ガス発生器
US5845933A (en) * 1996-12-24 1998-12-08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or with consumable igniter tube
DE19728438A1 (de) * 1997-07-03 1999-01-07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Pyrotechnischer Gasgenerator
DE29801104U1 (de) * 1998-01-23 1998-05-2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Gasgenerator
WO1999038725A2 (en) * 1998-02-03 1999-08-05 Talley Defense Systems, Inc. Thin inflator and azide polymer composition thereof
DE19804683C5 (de) * 1998-02-06 2008-01-03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anordnung mit Gasfilterung
US6371517B1 (en) * 1999-12-28 2002-04-16 Delphi Technologies, Inc. Adaptive inflation mechanism
WO2001083274A1 (en) * 2000-05-02 2001-11-0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US6890001B1 (en) * 2000-06-01 2005-05-10 Autoliv Asp, Inc. Elongated inflator device, assembly and method of use
DE60322230D1 (de) * 2002-09-13 2008-08-28 Automotive Systems Lab Aufblasvorrichtung
US7083191B2 (en) 2002-09-16 2006-08-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7377546B2 (en) 2002-09-16 2008-05-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7364192B2 (en) 2002-09-16 2008-04-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position of a vent member
US6959945B2 (en) 2002-09-16 2005-11-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vent controlled by tether
US7275761B2 (en) 2002-09-16 2007-10-0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position of a vent member
DE20304249U1 (de) * 2003-03-17 2003-07-31 TRW Airbag Systems GmbH, 84544 Aschau Aufbla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7192055B2 (en) 2003-11-13 2007-03-2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7243946B2 (en) 2003-11-18 2007-07-1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eroxide linear inflator
US7185588B2 (en) * 2003-12-05 2007-03-06 Autoliv Asp, Inc. Inflator devices having a moisture barrier member
US7080854B2 (en) 2004-01-13 2006-07-2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7789018B2 (en) 2004-04-02 2010-09-0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assembly
US7293798B2 (en) 2004-04-05 2007-11-1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8622419B2 (en) 2004-07-27 2014-01-0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Vehicle component with integral inflator
JP2008528356A (ja) * 2005-01-20 2008-07-31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ィ、 インク. 柔軟なガス生成装置
US7380820B2 (en) * 2005-06-23 2008-06-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eated gas inflator
US7367585B2 (en) * 2005-09-21 2008-05-06 Gsk Intex Co., Ltd. Inflating device for an air bag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4292A (en) * 1966-07-01 1968-12-03 Eaton Yale & Towne Inflatable safety device
US4005876A (en) * 1975-04-10 1977-02-01 Thiokol Corporation Gas generator for automobile safety cushions
US4012211A (en) * 1975-06-30 1977-03-15 Eaton Corporation Filter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 fluid supply
SE7703125L (sv) * 1976-03-29 1977-09-30 Allied Chem Pyroteknisk uppblasningsanordning
JPS54102733A (en) * 1978-01-25 1979-08-13 Daicel Chem Ind Ltd Gas generator for gas bag
US4203787A (en) * 1978-12-18 1980-05-20 Thiokol Corporation Pelletizable, rapid and cool burning solid nitrogen gas generant
US4358998A (en) * 1980-02-04 1982-11-16 Thiokol Corporation Igniter for a pyrotechnic gas bag inflator
US4369079A (en) * 1980-12-31 1983-01-18 Thiokol Corporation Solid non-azide nitrogen gas generant compositions
US4380346A (en) * 1981-04-24 1983-04-19 Thiokol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peeding the response of an air bag inflator at low temperatures
US4547342A (en) * 1984-04-02 1985-10-15 Morton Thiokol, Inc. Light weight welded aluminum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78690A (en) 1989-11-07
CA1310675C (en) 1992-11-24
JPH01297336A (ja) 1989-11-30
EP0332325B1 (en) 1993-01-20
EP0332325A3 (en) 1990-04-25
EP0332325A2 (en) 1989-09-13
DE68904443D1 (de) 1993-03-04
DE68904443T2 (de) 1993-08-05
KR890014306A (ko) 198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906B1 (ko) 자동차용 보호백 인플레이터
US6908104B2 (en) Pyrotechnic side impact inflator
KR0183410B1 (ko)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용 하이브리드 팽창기
JP4685091B2 (ja) インフレータ
US5803493A (en) Hybrid blowdown inflator with reduced pressure buildup
EP1200289B1 (en) Dual stage airbag inflator
CA1070351A (en) Fluid generator
KR100190892B1 (ko) 측면충격 에어백 팽창장치
US5876062A (en) Airbag inflator with direct electrical ignition for small sized gas generant bodies
JPH0357747A (ja) 乗物用膨張可能衝撃保護バッグの膨張装置
JPH0692219B2 (ja) 車輌の膨張拘束クッションを膨張させる細長いガス発生器
JP4170586B2 (ja) 小型インフレータ
JP3976155B2 (ja)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JP2001514991A5 (ko)
US5454593A (en) Metal igniter tube boot with permanent retention system
JPH02155860A (ja) エアバック展開用ガス発生装置のガス発生剤パック
JP2010540312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膨張装置
JP2865153B2 (ja)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
JP4660018B2 (ja) ガス発生器
JP5242228B2 (ja)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4612232B2 (ja) ガス発生器
JP3742603B2 (ja)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784425B2 (ja)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
JPH06298035A (ja)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器
JP3258314B6 (ja)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106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060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