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4495B1 - 셀룰로즈성 직물에 색밀도변화를 도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셀룰로즈성 직물에 색밀도변화를 도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495B1
KR950004495B1 KR1019880011891A KR880011891A KR950004495B1 KR 950004495 B1 KR950004495 B1 KR 950004495B1 KR 1019880011891 A KR1019880011891 A KR 1019880011891A KR 880011891 A KR880011891 A KR 880011891A KR 950004495 B1 KR950004495 B1 KR 950004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abric
cellulase
garment
surfact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342A (ko
Inventor
에이. 올슨 린
Original Assignee
아이백스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제랄드엠. 살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2599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44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백스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제랄드엠. 살루티 filed Critical 아이백스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4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73Inorganic compounds
    • D06P1/67333Salts or hydroxides
    • D06P1/6735Salts or hydroxides of alkaline or alkaline-earth metals with anions different from those provided for in D06P1/67341
    • D06P1/67366Phosphates or poly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84Antioxidants; Free-radical scave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11D3/38645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containing cellul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73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of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93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 D06B11/0096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to get a faded loo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3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4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macromolecular substanc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s
    • D06P1/613Polyethers without nitrog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s
    • D06P1/613Polyethers without nitrogen
    • D06P1/6138Polymerisation products of glycols, e.g. Carbowax, Pluron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5Locally discharging the dyes
    • D06P5/158Locally discharging the dyes with other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loring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셀룰로즈성 직물에 색밀도변화를 도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방법에 의해 처리된 진과 비교한 진짜 스톤 워시드 진의 가시광 분광광도계 측정에 의한 특성에서의 유사성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염색된 셀룰로즈성 직물로부터의 의복 제조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의류 품목, 바람직하게는 인디고(Indigo) 염료로 염색한 데님 직물(denim fabric)로부터 제조된 의류 품목의 제조에 사용되어 전통적인 경석 가공법(pumice processing)으로 제조한 "스톤 워시드(stone washed)" 의복의 외관과 실제로 구별할 수 없는 닳은 듯한 또는 "사용되어 잘못 다루어진 듯한" 외관을 의복에 부여할 수 있는 경석 부재 조성물 및 가공법에 관한 것이다.
목면과 같은 셀룰로즈성 직물, 특히 인디고 염료로 염색된 데님 직물로 제조한 의복은 수년 동안 통상적인 의류 품목이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의류 품목은 크기를 재어 절단한 직물을 재봉한 후에 판매되었다. 이러한 의복, 특히 데님 의류 품목은 이를 용이하게 제조, 취급 및 조립하기 위해 사용한 가호 조성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직이 뻣뻣하며, 통상적으로 외관이 선명한 검은 색이다. 일정기간 착복 후, 의류 품목, 특히 데님은 의복 패널 또는 솔기에서 담색화 형태로 색 농도 또는 색밀도에 있어서의 국부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종종 표면에 보풀이 생기고 솔기에 주름이 생기며 의복 패널에 구김살이 생기면서 의복의 색상이 바래질 수 있다. 또한, 세탁 후에는 호제가 직물로부터 거의 제거되어 촉감이 보다 부드러워진다. 최근에, 이러한 닳은 듯한 또는 "사용되어 잘못 다루어진 듯한" 외관을 특히 데님 의복에 있어서 상당수의 대중이 매우 원하게 되었다. 전형적인 스톤 워시드 의류 품목에서의 다양한 색밀도와 다르게 균일한 색밀도를 갖는 제한적으로 이에 착용했던 것 같은 외관은 예비세정 또는 예비수축 가공법으로 어느 정도 나타낼 수 있다.
닳은 듯한 또는 "사용되어 잘못 다루어진 듯한" 외관을 생성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은 의류 품목의 스톤 워싱 가공법을 포함한다. 스톤 워싱 가공법은 데님 의류 품목 또는 품목들을 대형 튜브장치 속에서 입자 크기가 약 1 내지 10in인 경석 및 공정의 마모 특성에 의해 생성된 입자 크기가 보다 작은 경석과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전형적으로는, 경석이 의복을 닳게 하여 의복 패널에 담색을 띤 국부적 마모 영역을 제공하고 솔기에 유사한 담색 영역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습윤하에 의류 품목을 경석과 함께 굴린다. 부수적으로, 경석은 직물을 유연하게 하며, 직물의 장기 착용에 의해 생성된 것과 유사한 보풀이 있는 표면을 생성시킨다.
크기가 1 내지 10in 인 경석과 입상 경석 마모 부산물로 인하여 가공 및 장치에서 중대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입상 경석은 주머니 속에, 내부 표면에, 주름 안에, 그리고 접힌 부분 속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공된 의류 품목으로부터 반드시 손으로 제거(암석 제거)해야만 한다. 스톤 워싱기 내에서 경석은 전기모터에 대한 초과하중 손상 및 수송기구와 워싱 드럼에 대한 기계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기계 유지를 위한 요건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경석과 입상 물질들은 기계 배수 통로를 막을 수 있으며, 기계 부위에서의 배수로 및 재봉틀 라인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마모된 경석은 자치적 재봉틀 라인을 막을 수 있고, 재봉 가공장치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자치적 재봉 처리 플랜트에 필요한 유지비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사업비와 제품의 구입비를 상당히 추가시킬 수 있다.
스톤 워싱에서의 경석으로 인한 문제 때문에, 의복 제조에 있어서의 스톤 워싱의 대체물을 발견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다[참조 : Wall Street Journal(1987.5.27), p1]. 연구의 한가지 방법은 합성 연마제 등의 돌 대체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연마 부산물을 생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볼 밀에 사용되는 세라믹 볼 및 불규칙적인 경질 고무 조각을 스톤 워싱 공정에서 시험하였다. 이러한 물질은 입상 부산물 경석에 의해 야기되는 원치 않는 영향을 감소시키지만 돌에 의해 초래되는 기계 손상 또는 돌을 함유하는 세탁조에 요구되는 유지비를 상당히 감소시키지 못한다. 그 결과, 스톤 워시드 데님 외관을 생성할 수 있는, 돌 또는 경석을 사용하지 않는 "스톤 워시드" 가공법에 상당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경석 가공법에서의 한 가지 단점은 경석이 터널 세탁기, 즉 시판중인 대형 세탁기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는 점이다. 경석은 기계 내부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하여 터널 세탁기를 순환할 수 없다. 대규모의 터널 세탁기는 진짜 "스톤 워시드" 외관을 생성할 수 있는, 돌 또는 경석을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가공생산성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바베스가르도(Barbesgarrd)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435,307호에는 휴미콜라 인솔렌스(Humicola insolens)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오물제거용 세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특정한 셀룰라제 효소가 교시되어 있다. 마틴(Martin) 등의 유럽 특허원 제177,165호에는 셀룰라제 조성물 및 점토, 특히 스멕 타이트 점토와 배합된 계면활성제, 증강제 및 표백제를 함유하는 직물세탁용 조성물이 교시되어 있다. 무라타(Murata)등이 영국 특허원 제2,095,275호에는 알칼리성 셀룰라제와 전형적인 세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완전히 제형화된 세탁 제제 형태의 효소 함유 세제 조성물이 교시되어 있다. 타이(Tai)의 미합중국 특허 제 4,479,881호에는 세탁 제제중에 3급 아민과 배합된 셀룰라제 효소를 함유하는 개선된 세제가 교시되어 있다. 무라타 드의 미합중국 특허 제4,443,355호에는 셀룰로즈모나스 박테리아로부터의 셀룰라제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이 교시되어 있다. 파슬로우(Parslow)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661,289호에는 기타의 전형적인 세제 성분과 혼합된 양이온성 유연제와 진균으로부터의 셀룰라제를 함유하는 직물 세탁 및 유연용 조성물이 교시되어 있다. 스즈키(Suzuki)의 영국 특허원 제2,094,826호에는 셀룰라제 효소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이 교시되어 있다.
염색된 셀룰로즈 직물(예 : 데님)은 예비세정 및 예비 수축공정에서 발호 효소, 세제, 표백제, 산 및 유연제로 처리한다. 이러한 변형 방법은 "스톤 워시드" 외관과 같도록 만들고자 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게 되지도 않는다. 진짜 "스톤 워시드" 외관을 생성하는 돌 또는 경석을 사용하지 않는 "스톤 워시드" 공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의류 품목을 셀룰로즈 직물을 분해할 수 있고 직물 염료 또는 염료들을 방출시킬 수 있는 셀룰라제 효소를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과 함께 세탁조 속에서 기계적으로 교반하는, 돌 또는 경석을 사용하지 않는 공정을 이용하여 직물 패널 및 염색된 셀룰로즈 직물, 특히 데님 의류 품목의 솔기에 있어서 국부적인 색밀도의 변화를 형성하는 "스톤 워시드" 외관을 실질적으로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수성 처리 조성물은 필수적으로 셀룰라제 효소 및 효소 활성의 커다란 손실 없이 셀룰라제를 현탁시킬 수 있는 혼화성 계면활성제 조성물, 비-수성 용매 또는 고체-형성제와 같은 희석재로 이루어진 신규한 "스톤-워시" 액체 또는 고체 농축물을 희석시킴으로써 수득한다.
세탁용 세정 또는 세제 조성물에 셀룰라제 효소 제제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오물 제거용으로 고안된 이러한 세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계면활성제(전형적으로 음이온성), 중량제, 증백제, 점토, 셀룰라제 및 기타 효소(전형적으로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또는 아밀라제) 및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는 세탁용 세제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기타 세탁 성분을 함유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세탁 제제중의 셀룰라제 효소는 직물 착용에 의해 생성되어 직물에 사용된 듯하거나 빛바랜 외관을 제공하는 표면 피브릴 또는 표면 입자를 제거할 목적으로(세척액 1ℓ 당 500 내지 900CMC 단위의 농도로)사용된다. 확실한 세탁을 위해 일반적인 세탁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와 배합된 세룰라제 효소는 입자상 제거할 수 있고 의류 품목의 새로운 외관을 복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이 세탁 가공에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 색밀도 변화 부분을 의복에 생성시킨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스톤 워시드 외관이란 용어와 직물에 있어서 국부적인 색농도 또는 색밀도의 변화라는 용어는 동의어이다. 스톤 워시드 외관은 직물의 표준 가공시, 경석이 의복 표면의 비교적 작은 부분으로부터 표면결합된 염료를 확실히 제거하는 마모 가공을 통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마모 부분은 주위의 색농도 또는 색밀도와 다르며, 실질적으로 색상이 더 흐리다. 색농도 및 색밀도가 경감되거나 변화된 비교적 작은 국소 부분의 생성은 선행 기술의 경석을 사용하는 스톤 워싱 가공 및 본 출원인의 돌을 사용하지 않는 화학적 처리 방법과 조성물 양쪽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돌을 사용하지 않는 "스톤 워시드" 방법은 의류 품목 또는 데님 직물을 셀룰라제 효소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고 처리된 직물을 직물의 색밀도의 국부적 변화를 일으키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교반하는 것이다. 의류 품목을 용액으로 적신 다음, 벌크 수성액으로부터 분리시켜 교반하거나 수성액중에서 교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수용액은 세룰라제 효소와 셀룰라제 효과를 상승시키는 수용액의 습윤 특성을 증가시키는 셀룰라제와 혼화성인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처리 수용액은 전형적으로 물로 적당한 희석 비율로 희석하여 처리 수용액으로 제형할 수 있는 액체 또는 고체 농축 조성물로부터 제조한다. "스톤 워시 농축"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셀룰라제 효소 및 처리액중에서 심한 효소 활성의 손실없이 셀룰라제 효소의 현탁액을 생성할 수 있는 혼화성 계면활성제, 비-수성 용매 또는 고체-형성제와 같은 희석제를 함유한다.
고체 농축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고체 매트릭스중에서 셀룰라제 효소 조성물의 현탁액을 구성한다. 고체 매트릭스는 사실상 무기질 또는 유기질일 수 있다. 고체 농축물은 고체 농축물의 큰 덩어리 형태이거나 또는 과립 조성물 또는 펠릿형 조성물 형태일 수 있다. 고체 농축물은, 고체 또는 펠릿 물질에 물을 직접 분무함으로써 고체 농축물의 수중 농축 용액이 제조되는 분산기 속에 고체 농축물을 도입하고, 이 후에 이 농축 수용액을 분산기에 의해 상업적 드럼 기계속에 함유된 세척액 속으로 분무하는 산업적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셀룰라제 효소
효소는 다양한 전형적인 생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 그룹이다. 효소 제제는 천연 자원으로부터 수득되며 다양한 화학적 용도에 적합하게 한다. 효소는 전형적으로 효소 활성의 기질 타겟을 근거로 하여 분류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효소는 셀룰라제 효소(I.U.B. 제3.2.1.4.호로서 분류됨, EC 수체계1978)를 포함한다. 셀룰라제는 중합체성 셀룰로즈 물질중의 글루코즈 부위의 반복 단위 사이의 C(1→4)(전형적으로 β) 글루코시드 결합을 공격하여 셀룰로즈를 분해하는 효소이다. 셀룰라제의 기질은 중합된 글루코즈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량의 천연중합체인 셀룰로즈 및 셀룰로즈 유도체이다. 셀룰로즈는 식물 유기체의 주된 구조 중합체이다. 또한 셀룰로즈는 면, 리넨, 황마, 레이욘 및 모시 등의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섬유의 주된 구조 성분이다.
셀룰라제는 전형적으로 셀룰로즈의 분해로 에너지원을 얻거나 또는 일생 동안의 구조원을 얻는데 세룰라제를 사용하는 세균 및 진균으로부터 생산된다. 셀룰라제를 생산하는 세균 및 진균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바실루스 하이드롤리티쿠스(Bacillus hydrolyticus), 셀룰로바실루스 무코수스(Cellulobacillus mucosus), 셀룰로바실루스 믹소게네스(Cellulobacillus myxogenes), 셀룰로모나스 종(Cellulomonas sp.), 셀비브리오풀부스(Cellvibrio fulvus), 셀루비브리오 불가리스(Celluvibrio vulgaris), 클로스트리디움 테트모셀룰라세움(Clostridium thermocellulaseum), 클로스트리디움 테르모셀룸(Clostridium thermocellum), 코리네박테리움 종(Corynebacterium sp.), 시토파가 글로불로사(Cytophaga globulosa), 슈도모나스 플루오로에센스바, 셀룰로사(Pseudomonas fluoroescens var. cellulosa), 슈도모나스 솔라나세아룸(Pseudomonas solanacearum), 박테리오이데스 숙시노게네스(Bacterioides succinogenes), 루미노코쿠스 알부스(Ruminococcus albus), 루미노코쿠스 플라베파시엔스(Ruminococcus flavefaciens), 소란디움 콤포지션(Sorandium composition), 부티리비브리오(Butyrivibrio), 클로스트리디움 종(Clostridium sp.), 크산토 모나스 시아모프시디스(Xanthomonas cyamopsidis), 스클레로티움 바타티콜라(Sclerotium bataticola), 바실루스 종(Bacillus sp.), 테르모악티노미세스 종(Thermoactinomyces sp.), 악티노비피다 종(Actinobifida sp.), 악티노미세테스 종(Actinomycetes sp.), 스트렙토미세스 종(Streptomyces sp.), 아트로보트리스 수페르바(Arthrobotrys superba), 아스페르길루스 아우레우스(Aspergillus aureus),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비페스(Aspergillus flavipes),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Aspergillus flavus),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아스페르길루스 푸쿠에니스(Aspergillus fuchuenis), 아스페르길루스 니둘란스(Aspergillus nidulans), 아스페르길루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아스페르길루스 루굴로수스(Aspergillus rugulosus), 아스페르길루스 소자에(Aspergillus sojae), 아스페르길루스 시드위(Aspergillus sydwi), 아스페르길루스 타마릴(Aspergillus tamaril), 아스페르길루스 테레우스(Aspergillus terreus), 아스페르길루스 운구이스(Aspergillus unguis), 아스페르길루스 우스투스(Aspergillus ustus), 타카민-셀룰라제(Takamine Cellulase), 아스페르길루스 사이토이(Aspergillus saitoi),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보트리오디피오디아 테오브로마에(Botrydipiodia theobromae), 클라도스포리움 쿠콤메리눔(Cladosporium cucummerinum), 클라도스포리움 헤르바룸(Cladosporium herbarum), 콕코스포라 아그리콜라(Coccospora agricola), 쿠르부이아리아 루나타(Curvuiaria lunata), 카에토미움 테르모필레 바. 코프로필레(Chaetomium thermophile var.coprophile), 카에토미움 테르모필레 바. 디시툼(Chaetomium thermophile var. dissitum), 스포로트리쿰 테르모필레(Sporotrichum thermophile), 타로미세스 아메로소니(Taromyces amersonii), 테르모아스쿠스 아우란티아쿠스(Thermoascus aurantiacus), 휴미콜라 그리세아 바. 테르모이데아(Humicola grisea var.thermoidea), 휴미콜라 인솔렌스(Humicola insolens), 말브란케아 푸이켈라 바. 술푸레아(Malbranchea puichella var. sulfurea), 미리오코쿰 알보미세스(Myriococcum albomyces), 스틸벨라 테르모필레(Stilbella thermophile), 토룰라 테르모필라(Torula thermophila), 카에토미움 글로보숨(Chaetomium globosum), 딕티오스테이움 디스코이데움(Dictyosteiium discoideum), 푸사리움 종(Fusarium sp.), 푸사리움 불비게눔(Fusarium bulbigenum), 푸사리움 에큐이세티(Fusarium equiseti), 푸사리움 라테리티움(Fusarium lateritium), 푸사리움 리니(Fusarium lini), 푸사리움 옥시포름(Fusarium oxysporum), 푸사리움 바신펙툼(Fusarium vasinfectum), 푸사리움 디메룸(Fusarium dimerum), 푸사리움 야포니쿰(Fusarium japonicum), 푸사리움 시르피(Fusarium scirpi), 푸사리움 솔라리(Fusarium solani), 푸사리움 모닐리포르메(Fusarium moniliforme), 푸사리움 로세움(Fusarium roseum), 헬민토스포리움 종(Helminthosporium sp.), 멤노니엘라 에키나타(Memnomiella echinata), 휴미콜라 푸코아트라(Humicola fucoatra), 휴미콜라 그리세아(Humicola grisea), 모닐리아 시토필라(Monilia sitophila), 모노토스포라 브레비스(Monotospora brevis), 무코르 푸실루스(Mucor pusillus), 미코스파에렐라 시트룰리나(Mycosphaerella citrulina), 미로테시움 베르카리아(Myrothecium verrcaria), 파풀라스포레 종(Papulaspore sp.), 페니실리움 종(Penicillium sp.), 페니실리움 카프술라툼(Penicillium capsulatum), 페니실리움 크리소게눔(Penicillium chrysogenum), 페니실리움 프레팍타나(Penicillium frequentana), 페니실리움 푸니실로숨(Penicillium funicilosum), 페니실리움 얀티넬룸(Penicillium janthinellum), 페니실리움 루테움(Penicillium leteum), 페니실리움 피스카리움(Penicillium piscarium), 페니실리움 소피(Penicillium soppi), 페니실리움 스피눌로숨(Penicillium spinulosum), 페니실리움 투르바투른(Penicillium turbaturn), 페니실리움 디기타툼(Penicillium digitatum), 페니실리움 엑스판숨(Penicillium expansum), 페니실리움 푸시틀룸(Penicillium pusitlum), 페니실리움 루브룸(Penicillium rubrum), 페니실리움 워트마니(Penicillium wortmanii), 페니실리움 바리아빌레(Penicillium variabile), 페스탈로티아 팔마룸(Penicillium palmarum), 페스탈로티오프시스 웨스테르디즈키(Pestalotiopsis westerdijkii), 포마 종(Phoma sp.), 시조필름 코무네(Schizophyllum commune), 스코풀라리오프시스 브레비카울리스(Scopulariopsis brevicaulis), 리조푸스 종(Rhizopus sp.) 스포로트리쿰 카르니스(Sportricum carnis), 스포로트리쿰 프루이노숨(Sportricum pruinosum), 스타키보트리스 아트라(Stachybotrys atra), 토룰라 종(Torula sp.), 트리코데르마 비리데(리세이)(Trichoderma viride(reesei)), 트리쿠루스 실린드리쿠스(Trichurus cylindricus), 베르티실리움 알보 아트룸(Verticillium albo atrum), 아스페리길루스 셀룰로자에(Aspergillus cellulosae), 페니실리움 글라우쿰(Penicillium glaucum), 쿤닌가멜라 종(Cunninghamella sp.), 무코르 무세도(Mucor mucedo), 리조푸스 키넨시스(Rhyzopus chinensis), 코레미엘라 종(Coremiella sp.), 카를링기아 로제아(Karlingia rosea), 피토프토라 카크토룸(Phytophthora parasitica), 피티움 종(Phythium sp.), 사프롤레그니아세라에(Saprolegniaceae), 세라토시스티스 울미(Ceratocystis ulmi), 카에토미움 글로보숨(Chaetomium globosum), 카에토미움 인디쿰(Chaetomium indicum), 뉴로스포라 크라사(Neurospora crassa), 스클레로티움 롤프시(Sclerotium rolfaii), 아스페르길루스 종(Aspergillus sp.), 크리소스포리움 리그노룸(Chrysosporium lignorum), 페니실리움 노타툼(Phenicillium notatum),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Pyricularia oryzae), 콜리비아 벨티페스(Collybia veltipes), 코프리누스 스클레로티게누스(Coprinus sclerotigenus), 히두눔 헨닌그시(Hydnum henningsii), 이르팩스 락테우스(Irpex lacteus), 폴리포루스 술프레우스(Polyporus sulphreus), 폴리포르스 베트레우스(Polyporus betreus), 폴리스틱투스 히르푸투스(Polystictus hirfutus), 트라메테스 비타타(Trametes vitata), 이르팩스 콘솔루스(Irpex consolus), 렌티네스 레피데우스(Lentines lepideus), 포리아 바포라리아(Poria vaporaria), 포메스 피니콜라(Fomes pinicola), 렌지테스 스티라시나(Lenzites styracina), 메룰리우스 라크리만스(Merulius lacrimans), 폴리포루스 팔스트리스(Polyporus palstris), 폴리포루스 안노수스(Polyporus annosus), 포리스 바일란티(Poris vailantii), 푸시니아 그라미니스(Puccinia graminis), 트리콜로메 푸모숨(Ttricholome funosum), 트리콜로메 누둠(Tricholome nudum), 트라메테스 산귀네아(Trametes sanguinea), 폴리포루스 쉬웨이니칠(Polyporus schweinitzill FR.), 코니디오포라 카레벨라(Conidiophora carebella), 셀룰라제(Cellulase) AP(제조원 ; Amano Pharmaceutical Co., Ltd.), 셀룰로신(Cellulosin) AP(제조원 : Ueda Chemical Co., Ltd.), 셀룰로신 AC(제조원 : Ueda Chemical Co., Ltd.), 셀룰라제-오노즈카(Cellulase-Onozuka : 제조원 ; Kinki Yakult Seizo Co., Ltd.), 판셀라제(Pancellase : 제조원 ; Kinki Yakult Seizo Co., Ltd), 마세로자임(Macerozyme : 제조원 ; Kinki Yakult Seizo Co., Ltd), 메이셀라제(Meicelase : 제조원 ; Meiji Selka Kaisha Ltd), 셀루자임(Celluzyme : 제조원 ; Nagase Co., Ltd.), 솔루불 스클라제(Soluble sclase : 제조원 ; Sankyo Co., Ltd.), 산자임(Sanzyme : 제조원 ; Sankyo Co., Ltd), 셀룰라제 A-12-C(제조원 ;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도요셀룰라제(Toyocellulase : 제조원 ; Toyo Jozo Co., Ltd.), 드리세라제(Driserase : 제조원 ; Kyowa Hakko Kogyo Co., Ltd.), 루이자임(Luizyme : 제조원 ; Luipold werk), 타카민-셀룰라제(Takamine-Celluslase : 제조원 ; Chemische Fabrik), 발레르스타인 셀룰라제(Wallerstein-Cellulase : 제조원 ; Sigma Chemicals), 셀룰라제 타입(Cellualse Type) I(제조원 ; Sigma Chemicals), 셀룰라제 세르바(Cellulase serva : 제조원 ; Serva Laboratory), 셀룰라제 36(제조원 ; Rohm and Haas), 밀레스(Miles) 셀룰라제 4,000(제조원 ; Miles), R&H 셀룰라제 35,36,38 콩크(conc)(제조원 ; Phillip Morris), 콤비자임(combizym : 제조원 ; Nysco Laboratory), 셀룰라제(제조원 ; Makor Chemicals),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셀루자임(Celluzyme), 셀루크러스트(Cellucrust)(제조원 ; Novo Industry) 및 셀룰라제(제조원 ; Gist-Brocades), 셀룰라제 제제[제조원 ; Accurate Chemical & Scientific Corp. ; Alltech, Inc. ; Amano International Enzyme ; Boehringer Mannheim Corp. ; Calbiochem Biochems ; Carolina Biol. Supply Co. ; Chem. Dynamics Corp. ; Enzyme Development ; Div. Biddle Sawyer ; Fluka Chem. Corp. ; Miles Laboratories, Inc.; Novo Industrials(Biolabs) ; Plenum Diagnostics; Sigma Chem. Co.; Un. States Biochem. Corp.; 및 Weinstein Nutritional Products, Inc.]가 시판되고 있다.
셀룰라제는, 많은 효소제제와 같이, 전형적으로 불순한 상태로 생산되고 자주 지지물질 상에서 제조된다. 고체 셀룰라제 미립자 생성물에는 물질의 g당 존재하는 국제 효소 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안내문이 제공된다. 고체 물질의 활성은 본 발명의 처리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시판 제제는 생산물 1g당 약 1,000 내지 6,000CMS 효소 단위를 함유한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처리 조성물에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직물에서 셀룰라제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수용액의 습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효소 및 직물의 습윤성을 증가시킨다. 계면활성제는 직물 표면과 효소 제제로부터의 기포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효소와 직물 표면 사이의 접촉을 촉진한다. 계면활성제의 특성은 다른 작용 그룹의 존재에 기인한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류되고 널리 공지된 부류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성 매질에 용해되거나 분산될 경우 전하를 띠지 않는 계면활성제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경향은 전형적으로 수소 결합을 통하여 물 분자로 수화되는 에테르 결합의 산소로부터 기인한다. 비이온성 물질중의 친수성 부위는 또한 하이드록실 그룹과 에스테르 및 아미드 결합일 수 있다. 전형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페놀 알콕실레이트, 지방족알콜 알콜실레이트, 카복실산 에스테르, 카복실산 아미드, 폴리알칼렌 옥사이드, 헤테르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습윤 작용을 제공하고 효소 활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의 반복 단위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성 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단독중합체성, 이종중합체성 및 블록 중합체성 계면활성제 분자가 포함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부류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중합체, 폴리프로플렌 옥사이드 중합체,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에톡시화 C1-18알킬 페놀, 에톡시화 C1-18지방족 알콜, 플루로닉(Pluronic) 계면활성제, 역플루로닉(reverse Pluronic)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평균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을 갖고 1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 평균 탄소수 6 내지 12의 알칼그룹을 갖고 1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 평균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을 갖고 1 내지 20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또는 알케닐 에테르 ; 평균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을 갖고 1 내지 20몰의 부틸렌 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옥시부틸렌 알킬 또는 알케닐 에테르 ; 평균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을 갖고 총 1 내지 3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 부틸렌 옥사이드가 부가(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부틸렌 옥사이드에 대한 에틸렌 옥사이드의 몰비 ; 0.1/99 내지 9.9/0.1)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또는 이의 고급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또는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포함한다.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덜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중에서 음이온성 상태이거나 음전하를 띠는 친수성 부위를 함유한다. 시판되고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카복실산, 설폰산, 황산 에스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이의 염을 포함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성 매질에 용해될 경우 양이온 상태이거나 양전하를 띠는 친수성부위를 함유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전형적으로 아민 화합물, 산소 함유 아민, 아미도 조성물 및 4급 아민염 형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부류의 전형적인 예로는 1급 및 2급 아민, 옥사이드, 알콜시화 또는 프로폭시화 아민, 카복실산 아미드, 알킬 벤질 디메틸 암모늄 할라이드 염 등이 있다.
산성 및 염기성 둘 다의 친수성 구조를 함유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대부분의 직물 처리 공정에서 이용율이 감소되는 추세에 있다.
용매
본 발명의 액상 농축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본 발명의 효소 및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용해시키거나 또는 분산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생성물이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특성으로 인해, 바람직한 용매는 알콜, 에스테르,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등의 산소 함유 용매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3급 부탄올 등이다. 사용 가능한 에스테르는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글리콜의 에스테르 등이다. 본 발명에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글리콜 및 글리콜 에테르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올리고머 및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형태인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의 고분자량 중합체이다. 액상 농축물에 있어서 저분자량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고형 유기 농축물에서는 고분자량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고형화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주형 교체, 큰 과립 또는 펠릿과 같은 고체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형태는 전형적으로 셀룰라제 효소와 고형화제를 혼합하고 혼합한 물질을 고체 형태로 성형시켜 제조한다. 유기 및 무기 고형화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고형화제는 수용성이거나 수분산성이어야 하고, 셀룰라제 효소와 혼화성이어야 하며, 제조장치 속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가능한 무기 고형화제는 전형적으로 수화에 의해 고형화될 수 있는 수화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무기염이다. 이러한 조성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 탄산염, 중탄산염,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실리케이트 및 다른 수화성 염을 포함한다. 유기 고형화제는 전형적으로 분자량이 약 1,000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400이상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중합체와 같은 수용성 유기 중합체이다.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알킬옥사졸린 등을 포함하는 기타 수용성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고형화제는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20,000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10,0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중합체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카보왁스(CARBOWAX
Figure kpo00001
추가로, 본 발명의 고체 펠릿형 조성물은 결합제와 배합된 셀룰라제 효소를 가압하에 정제 또는 펠릿 조성물로 압축하는 공지되 가압 펠릿화 기술을 이용하여 효소를 펠릿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알칼리 또는 무기 전해질
조성물은 또한 알칼리 또는 무기 전해질로서 규산염, 탄산염 및 황산염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알칼리금속염을 1 내지 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추가로, 조성물은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과 같은 유기 알칼리를 함유할 수 있다.
셀룰라제 활성 억제 인자에 대한 차단제
셀룰라제는 특정한 경우, 구리, 아연, 크롬, 수은, 납, 망간, 또는 은 이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이온의 존재하에서 불활성화된다. 각종 금속 킬레이트화제 및 금속-침전제는 이들 억제제에 대해 유효하다. 이들은 예를들면, 규산마그네슘 및 황산마그네슘 및 임의 첨가제로서 하기에 기술하는 2가 금속 이온 봉쇄제를 포함한다.
셀룰비오즈, 글루코즈 및 글루코노락톤이 억제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가능한 한, 셀룰라제와 이들 삭카라이드의 공존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존을 피할 수 없을 경우, 예를들면, 피복에 의해 셀룰라제와 삭카라이드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필요가 있다.
장쇄 지방산염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몇몇 경우에 있어서 억제제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이들 물질과 셀룰라제의 직접적인 접촉이 정제화 또는 피복과 같은 몇몇 방법에 의해 방지될 경우 이들의 공준은 허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차단제 및 차단방법은,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셀룰라제-활성제
활성제는 셀룰라제의 다양성에 따라 다양하다. 단백질, 코발트 및 이의 염, 마그네슘 및 이의염, 칼슘 및 이의 염, 칼륨 및 이의염, 나트륨 및 이의염 또는 만노즈 및 크실로즈와 같은 모노삭카라이드의 존재하에서, 셀룰라제는 활성화되고 이의 세정력이 개선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제는, 예를들면, 3급-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4,4'-부틸리덴비스(6-3급-부틸-3-메틸페놀), 2,2'-부틸리덴비스(6-3급-부틸-4-메틸페놀), 모노스티렌화 크레졸, 디스티렌화 크레졸, 모노스티렌화 페놀, 디스티렌화 페놀 및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이다.
가용화제
가용화제는, 예를들면,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벤젠설포네이트염, p-톨루엔설포네이트염과 같은 저급 알킬벤젠설포네이트염,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아세틸벤젠설포네이트염, 아세트아미드, 피리딘 디카복실산 아미드, 벤조에이트염 및 우레아이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광범위한 pH 범위 즉, 약 6.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증강제
2가 이온 봉쇄제
조성물은 하기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올아민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강제 성분을 0 내지 5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오르토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및 피트산 등의 포스페이트, 에탄-1,1-디포스포네이트, 에탄-1,1,2-트리포스포네이트, 에탄-1-하이드록시-1.1-디포스포네이트 및 이의 유도체, 에탄하이드록시-1,1,2-트리포스네이트, 에탄-1,2-디카복시-1,2-디카복실레이트, 1-포스포노부탄-2,3,4-트리카복실레이트 및 α-메틸포스포노숙시네이트 등의 포스포노카복실레이트 ; 아스파르타산, 글르탐산 및 글리신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 ;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테이트, 이마노디아세테이트, 글리콜 에테르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디아세테이트 및 디엔콜레이트 등의 아미노폴리아세테이트 ; 폴리아크릴산, 폴리아코니트산, 폴리이타콘산, 폴리시트라콘산, 폴리푸마르산, 폴리말레산, 폴리메사콘산, 폴리-α-하이드록시아크릴산, 폴리비닐포스폰산, 설폰화 폴리말레산 말레산 무수물/디이소부틸렌 공중합체,말레산 무수물/스티렌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메틸 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에틸렌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에틸렌 가교결합된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부타디엔 공중합체, 무수물/이소프렌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및 일산화탄소로부터 유도된 폴리-β-케토카복실산, 이타콘산/에티렌 공중합체, 이타콘산/아코니트산 공중합체, 이타콘산/말레산 공중합체, 이타콘산/아크릴산 공중합체, 말론산/메틸렌 공중합체, 메사콘산/푸마르산 공중합체, 에틸렌 글리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부텐-2,3,4-트리카복실산/이타콘산/아크릴산 공중합체, 4급 암모늄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알데히드카복실산, 에폭시숙신산의 시스-이성체, 폴리[N,N-비스(카복시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하이드록시카복실산), 전분/숙신산 또는 말레산 또는 테레프탈산 에스테르, 전분/인산 에스테르, 디카복시전분, 디카보시메틸전분, 및 셀룰로즈/숙신산 에스테르등의 고분자 전해질 ;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냉수 수용성, 우레탄화 폴리비닐알콜 등의 비-분해성 중합체 ; 및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및 데칸-1,10-디카복실산과 같은 디카복실산의 염 ; 디글리콜산, 티오디글리콜산, 옥살아세트산, 하이드록시디숙신산, 카복시메틸하이드록시숙신산 및 카복시메틸타르트론산의 염 ; 글리콜산, 말산, 하이드록시피발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락트산, 글루콘산, 무크산, 글루쿠론산 및 디알데히드로전분 옥사이드의 염 ; 이타콘산, 메틸숙신산, 3-메틸글루타르산, 2,2-디메틸말론산,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탐산, 1,2,3-프로판트리카복실산, 아코니트산, 3-부텐-1,2,3-트리카복실산, 부탄-1,2,3,4-테트라카복실산, 에탄테트라카복실산, 에텐테트라카복실산, n-알케닐아코니트산, 1,2,3,4-시클로펜탄테트라카복실산, 프탈산, 트리메스산, 헤미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벤젠헥사카복실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1,2,3,4-테트라카복실산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2,2,5,5-테트리카복실산의 염 ; 설포이타콘산, 설포트리카발릴산, 시스테산, 설포아세트산 및 설포숙신산과 같은 설폰화 카복실산의 염 ; 카복시메틸화 슈크로즈, 락토오즈 및 라피노즈, 카복시메틸화 펜타에리트리톨, 카복시메틸화 글로콘산, 다가 알콜 또는 슈가와 말레산 무수물 또는 숙신산 무수물과의 축합물, 하이드록시카복실산과 말레산 무수물 또는 숙신사 무수물과의 축합물 등.
보다 상세히는, 의류 품목을 셀룰라제 효소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시켜 직물 표면에서의 색밀도이 국부적 변화를 일으키게 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셀룰라제의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의류 품목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액의 양은 전형적으로 생성물중의 셀룰라제와 세탁할 의류 품목의 건조 중량의 비율에 따른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스톤-워시드"외관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용액은 의복 11b당 최소한 셀룰라제 약 6,000CMC 단위, 바람직하게는 6,500 내지 75,000CMC 단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00 내지 60,000CMC 단위로 함유할 수 있다.
의복에 접촉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처리 용액은 전형적으로 다음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표 1]
Figure kpo00002
[표 2]
Figure kpo00003
[표 3]
Figure kpo00004
[표 4]
Figure kpo00005
본 발명의 액상 농축 조성물은 시판중인 산업용 혼합기 속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계면활성제 용액은 용매속에서 제조되며 셀룰라제 효소를 계면활성제 용액에 효소가 용매 속에 균일하게 분산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서서히 가한다. 농축물은 유리,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PET와 같은 전형적인 불활성 포장용기로 포장할 수 있다. 교반에 의해 셀룰라제 효소의 활성이 심하게 감소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무기 고형 농축 조성물은 셀룰라제 효소와 무기(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화성 탄산염, 중탄산염, 규산염 또는 황산염을 혼합하여 무기 성분을 수화 및 고형화 하기에 충분한 물을 함유하는 수성 슬러리로 제조할 수 있다. 슬러리는 점도를 감소시키고 취급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승온에서 제조할 수 있다. 이후에, 무기 슬러리 조성물을 금형으로 주형하고 고형화한 후, 금형으로부터 꺼내어 포장한 다음 시판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물질을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 또는 1회용 용기중에서 주형하고 뚜껑을 덮어서 시판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1oz 내지 101b 크기로 제조된다. 고형 농축물은 중량이 1g 내지 250g, 바람직하게는 2g 내지 150g인 펠릿 형태일 수 있다. 큰 주형물은 약 300g 내지 5kg, 바람직하게는 500g 내지 4kg 일 수 있다.
유기 효소 농축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점도 조절 목적으로 물을 함유할 수 있는 용융된 중합체 매트릭스속에서 효소물질을 슬러리화하여 제조한다. 일단 균질한 효소 분산액 및 기타 임의 성분이 유기 중합체 매트릭스 속에 포함되면, 이 물질을 금형 또는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 또는 1회용 용기에 넣은 다음, 냉각시키고, 고형화하여 시판한다. 또한 유기 및 무기 고형 농축물은 모두, 성분들을 혼합하고, 형성된 조성물을 고열 고형화 또는 수화 고형화 메카니즘을 이용하는 시판중인 펠릿화 기계를 사용하거나,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결합제를 이용하는 압축 펠릿화 기계를 사용하여 펠릿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액상 및 고형농축물은 본 발명의 경석을 사용하지 않는 스톤 워시드 가공에 있어서 효소 활성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강화시키기 위한 추가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경석 또는 기타 입자상 마모제를 사용하지 않고 "스톤 워시드"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수평 또는 수직 형태로 고정된 원통형 드럼을 함유한 가정용, 공공용 또는 산업용 기계속에서 물로 희석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데님 또는 기타 직물의 의류 품목을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기계의 용량에 맞게 기계에 넣는다. 전형적으로, 의복은 드럼 속에 물을 넣기 전에 도입하지만 의복을 기계속의 물에 도입하거나 또는 미리-희석한 처리 조성물에 가할 수도 있다. 의복을 처리 조성물과 접촉시키고 직물이 처리 조성물에 의해 충분히 적셔지고 셀룰라제 효소가 직물내에 셀룰로즈를 분해할 기회를 갖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기계 속에서 교반한다. 이 시간동안 처리 조성물이 재사용될 경우, 세탁조로부터 자주 배수시켜 재순환용으로 저장한다. 처리 조성물이 재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색상 변화를 일으키는데 필요한 동안은 의복에 계속 잔존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기간은 셀룰라제 처리되는 직물에서 색밀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 장치 작동의 전기간 또는 부분적 기간동안의 효소의 양에 따라, 5분 이상, 30분 이상 내지 720분 이하이다. 셀룰라제 개질된 직물과 직물 표면으로부터 셀룰로즈와 인디고염료를 제거하는 기계적인 굴림 또는 작동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의복 패널 및 소릭에서 국부적으로 색밀도 변화가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또한, 효소의 작용에 의해 솔기에 주름이 잡히고 의복 패널에서 부드럽고 주림진 외관이 나타난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직물 의류 품목의 "스톤 워싱"에 있어서 이의 사용방법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방법에 대한 특정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며 최적의 양태를 포함한다.
실시예 I 내지 II
새것인 청색 데님 진을 용량의 351b인 밀노어(Milnor) 세탁기에 넣고,아밀라제 효소 발호 스트리퍼(stripper) 조성물을 함유하는 120℉의 물 25gallon을 세탁기에 도입한다. 세탁기의 내용물을 9분 동안 교반하고 수용액을 배수시킨다. 일정량의 셀룰라제 효소(참조 ; 표 5) 및 H!2 ? SiF!6 ? 25중량%와 시트르산 50중량%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산성 연성 연화제 10ml를 함유하는 120℉의 물 25gallon을 기계속에 넣는다. 진을 셀투자임 조성물 속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수성 조성물을 배수시킨다. 이후에, 진을 냉수로 세정하고 산성 연화제 5ml을 함유하는 뜨거운 물로 120℉, 110℉및 최종적으로 100℉에서 3회 연속적으로 세정한다.
[표 5]
Figure kpo00006
[표 6]
Figure kpo00007
제1도는 상기 표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는 점(·)과 대시(-)로 구성된 1개의 선으로 나타나며, 이것은 스톤 워시드 데님과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데님과의 퍼센트 반사율이 실제적으로 동일함을 보여준다. 상기 표의 4번째 나타낸 차이는 특정 파장에서 근소한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지만, 곡선을 실제적으로 겹친다.

Claims (28)

  1. (1) 재봉하지 않는 염색된 셀룰로즈성 직물 또는 염색된 셀룰로즈성 직물로 새로 제조한 의복을 필수적으로 (a)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는 물, (b) 직물로부터 염료를 제거함으로써 국부적 색밀도 변화 영역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유효량의 셀룰라제 효소 조성물 및 (c) 수성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1,000ppm의, 효소와 상용성인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수성 조성물과 접촉시키고 ; (2) 효소-처리된 직물 또는 의복을 교반함을 포함하여, 재봉하지 않은 염색된 셀룰로즈성 직물 또는 염색된 셀룰로즈성 직물로 새로 제조한 의복에서 염료를 제거함으로써 국부적 색밀도 변화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직물 또는 의복을 수성 조성물과 접촉시킨 후, 교반하기 전에 수용액을 제거하여 직물 또는 의복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직물 또는 의복을 적어도 5분동안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직물 또는 의복을 30 내지 720분 동안 교반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셀룰라제가 진균으로부터 생산된 셀룰라제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이 인디고 염료로 염색된 데님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반복 단위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수성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800ppm의 농도로 존재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페놀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콜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9. 필수적으로 (a)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는 물, (b) 직물로부터 염료를 제거함으로써 국부적 색밀도 변화 영역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유효량의 셀룰라제 효소 조성물 및 (c) 수성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1,000부의, 효소아 상용성인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짐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즈 직물의 표면에 국부적 색밀도 변화 영역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성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셀룰라제가 진균으로부터 생산된 셀룰라제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수성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800ppm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반복 단위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성 조성물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조성물이 페놀에톡실레이트 또는 에탄올,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필수적으로 (a) 셀룰라제 효소 조성물 약 25 내지 40중량%, (b) 전해질 약 1 내지 50중량% 및 (c) 염 형태의 증강제 또는 완충액 약 20 내지 60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된 셀룰로즈성 직물의 표면에서 염료를 제거함으로써 국부적 색밀도 변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수용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고형 농축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용된 셀룰라제가 진균으로부터 생산된 셀룰라제이고, 염 형태의 증강제가 인산염인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셀룰라제가 농축물 1kg당 약 20,000단위 이상의 농도로 농축물 속에 존재하고, 인산염이 오르토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알칼리 금속염인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고형 농축물이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반복 단위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조성물인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이 페놀 에톡실 레이트 또는 알콜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21. (1) 직물 또는 의복을 원통형 드럼기 속에서 필수적으로 (a)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는 물, (b) 직물 11b당 셀룰라제 효소 조성물 약 6,000 내지 100,000CMC단위 및 (c) 수성 조성물 1ℓ당 셀룰라제 효소 약 2,500CMC단위 이상으로 이루어진, 고체 농축물로부터 유도된 수성 조성물과 접속시키고 ; (2) 효소-처리된 직물 또는 의복을 교반함을 특징으로 하여, 재봉하지 않은 염색된 셀룰로즈성 직물 또는 염색된 셀룰로즈성 직물로 새로 제조한 의복의 표면에서 염료를 제거함으로써 국부적 색밀도 변화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직물 또는 의복을 수성 조성물과 접촉시킨 후, 교반하기 전에 수용액을 제거하여 직물 또는 의복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직물 또는 의복을 수용액과 5분 이상 접촉시키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직물 또는 의복을 30 내지 720분 동안 교반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셀룰라제가 진균으로부터 생산된 셀룰라제인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수성 조성물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을 추가로 함유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반복 단위로부터 유도된 계면활성제 조성물인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페놀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콜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KR1019880011891A 1987-09-15 1988-09-15 셀룰로즈성 직물에 색밀도변화를 도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950004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96,953 US4832864A (en) 1987-09-15 1987-09-15 Compositions and methods that introduce variations in color density into cellulosic fabrics, particularly indigo dyed denim
US96953 1987-09-15
US096,953 1987-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342A KR890005342A (ko) 1989-05-13
KR950004495B1 true KR950004495B1 (ko) 1995-05-01

Family

ID=2225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891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4495B1 (ko) 1987-09-15 1988-09-15 셀룰로즈성 직물에 색밀도변화를 도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4832864A (ko)
EP (2) EP0665324B1 (ko)
JP (1) JPH0713352B2 (ko)
KR (1) KR950004495B1 (ko)
CN (1) CN1020933C (ko)
AU (1) AU2021588A (ko)
BR (1) BR8804748A (ko)
CA (1) CA1271301A (ko)
DE (2) DE3856391T2 (ko)
ES (1) ES2143559T3 (ko)
GR (2) GR3019903T3 (ko)
HK (1) HK209296A (ko)
PT (1) PT885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0960A (en) * 1992-04-03 1994-06-14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preparing solution enriched in xylanase using low molecular weight alcohol, organic salt and inorganic salt
US5472864A (en) * 1984-04-19 1995-12-05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preparing solution enriched in EG III using low molecular weight alcohol, organic salt and inorganic salt
US5122159A (en) * 1988-09-15 1992-06-16 Ecolab Inc. Cellulase compositions and methods that introduce variations in color density into cellulosic fabrics, particularly indigo dyed denim
US5006126A (en) * 1988-09-15 1991-04-09 Ecolab Inc. Cellulase compositions and methods that introduce variations in color density into cellulosic fabrics, particularly indigo dyed denim
FR2641555B1 (fr) * 1989-01-09 1992-03-27 Cayla Procede de delavage heterogene d'articles a base de coton teint utilisant en milieu aqueux des cellulases
US5268002A (en) * 1989-03-10 1993-12-07 Ecolab Inc. Decolorizing dyed fabric or garments
US4997450A (en) * 1989-03-10 1991-03-05 Ecolab Inc. Decolorizing dyed fabric or garments
US5688290A (en) * 1989-10-19 1997-11-18 Genencor International, Inc. Degradation resistant detergent compositions based on cellulase enzymes
DK115890D0 (da) * 1990-05-09 1990-05-09 Novo Nordisk As Enzym
US5328841A (en) * 1990-10-05 1994-07-12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isolating EG III cellulase component and EG III cellulase in polyethylene glycol using inorganic salt and polyethylene glycol
US5650322A (en) * 1990-10-05 1997-07-22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stonewashing fabrics using endoglucanases
JPH06502205A (ja) * 1990-10-05 1994-03-10 ジェネンコア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酸性エンドグルカナーゼ型成分の豊富なセルラーゼ組成物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US5246853A (en) * 1990-10-05 1993-09-21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treating cotton-containing fabric with a cellulase composition containing endoglucanase components and which composition is free of exo-cellobiohydrolase I
CA2093422C (en) * 1990-10-05 2001-04-03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LOW CBH I CONTENT CELLULASE COMPOSITIONS
US5654193A (en) * 1990-10-05 1997-08-05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treating cotton containing fabrics with cellulase
US5290474A (en) * 1990-10-05 1994-03-01 Genencor International, Inc. Detergent composition for treating cotton-containing fabrics containing a surfactant and a cellulase composition containing endolucanase III from trichoderma ssp
US5525507A (en) * 1990-10-05 1996-06-11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treating cotton-containing fabric with cellulase composition containing endoglucanase component and which is free of all CBH I component
US5232851A (en) * 1990-10-16 1993-08-03 Springs Industries, Inc. Methods for treating non-dyed and non-finished cotton woven fabric with cellulase to improve appearance and feel characteristics
US5322637A (en) * 1990-11-09 1994-06-21 O'grady Richard Composition, bleaching element, method for making a bleaching element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yellowing of intentionally distressed clothing manufactured from dyed cellulose fabric
US5435809A (en) * 1991-03-12 1995-07-25 Dexter Chemical Corp. Method of obtaining color effects on fabric or garments using foam carriers and cellulase enzymes
US5405414A (en) * 1991-03-19 1995-04-11 Novo Nordisk A/S Removal of printing paste thickener and excess dye after textile printing
DE4208106B4 (de) * 1991-03-20 2006-10-05 Clariant Finance (Bvi) Ltd. Vorbehandlung von Textilfasermaterial
DE4128256C1 (ko) * 1991-08-27 1993-04-15 H. Krantz Gmbh & Co, 5100 Aachen, De
US5367734A (en) * 1991-11-04 1994-11-29 Terry; Raymond Pliable abrasive pellet for abrading fabrics
TW214574B (ko) * 1991-12-20 1993-10-11 Genencor Int
US6300122B1 (en) 1991-12-20 2001-10-09 Genencor International Method for applying enzyme to non-finished cellulosic-containing fabrics to improve appearance and feel characteristics
JPH07505451A (ja) * 1992-04-06 1995-06-15 ノボ ノルディスク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セルロース系布帛の脱毛羽立ちおよび脱ピリングのための方法
US5466601A (en) * 1992-04-10 1995-11-14 Exxon Chemical Patents Inc. Selectively removing embedded lint precursors with cellulase
JPH07506404A (ja) * 1992-05-01 1995-07-13 ジェネンコア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綿含有織物をcbh iが多いセルラーゼで処理する方法
US5266087A (en) * 1992-05-27 1993-11-30 Oat Henry C Synthetic abrasive ston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251144B1 (en) 1992-06-12 2001-06-26 Genencor International, Inc. Enzym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stonewashed look on indigo-dyed denim fabric and garments
US5350423A (en) * 1992-09-23 1994-09-27 Burlington Industries Inc. Fabric finishing procedure
DE4239076A1 (de) * 1992-11-20 1994-05-26 Basf Ag Mischungen aus Polymerisaten von monoethylenisch ungesättigten Dicarbonsäuren und Polymerisaten ethylenisch ungesättigter Monocarbonsäuren und/oder Polyaminocarbonsäuren und ihre Verwendung
EP0670866A4 (en) * 1992-11-30 1998-04-29 Novo Nordisk As METHOD FOR TREATING CELLULOSE TISSUES WITH CELLULASES.
US5356800A (en) * 1992-11-30 1994-10-18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Stabilized liquid enzymatic compositions
US5565006A (en) * 1993-01-20 1996-10-15 Novo Nordisk A/S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yed fabric
DK21293D0 (ko) * 1993-02-26 1993-02-26 Nielsen Jack Bech
DE4407801A1 (de) * 1993-03-15 1994-09-22 Sandoz Ag Behandlung von Textilien
CA2104921C (en) * 1993-06-09 2003-12-30 Paul Stoner Sr.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enim fabric and the fabric produced thereby
DE69331531T2 (de) * 1993-06-11 2002-07-11 Genencor International, Inc. Enzymatische verfahren und verwendung von enzymen zur erzeugung von stonewash-aussehen auf indigo-gefärbtem gewebe
US5380447A (en) * 1993-07-12 1995-01-10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and fabric finishing compositions for preventing the deposition of dye in fabric finishing processes
WO1995013415A1 (en) * 1993-11-10 1995-05-18 Ecolab Inc. Decolorizing fabrics and garments with a liquid treating agent containing ozone
US5749923A (en) * 1993-11-23 1998-05-12 Degussa Aktiengellschaft Method for bleaching denim textile material
US6268196B1 (en) 1993-12-17 2001-07-31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ellulose containing fabrics using truncated cellulase enzyme compositions
DE19502514A1 (de) * 1994-02-03 1995-08-10 Sandoz Ag Textilveredlungsmittel
US6117664A (en) * 1994-03-03 2000-09-12 Novo Nordisk A/S Alkaline cellulases
EP0687759A1 (en) * 1994-06-13 1995-12-20 David Wing Bong Wong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abrading fabric
WO1995034674A1 (en) * 1994-06-15 1995-12-21 Purdue Research Foundation Novel method for derivatization of cellulosic stationary phases
HU215767B (hu) * 1994-07-27 1999-02-01 István Hauer Indigófestett fonal- és/vagy cérnaalapú frottírtermék
MA23738A1 (fr) * 1994-12-05 1996-07-01 Novozymes As Procede pour obtenir une matiere textile cellulosique ayant une tendance reduite a la formation de pelluches
JP4064456B2 (ja) * 1994-12-22 2008-03-19 ノボザイムス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セルロース分解活性を有する酵素製剤
CN1079432C (zh) * 1994-12-28 2002-02-20 陕西科学院酶工程研究所 酶洗纺织品专用酶制剂的制备方法
US5516338A (en) * 1995-01-25 1996-05-14 Pai; Panemangalore S. Water-soluble titanium salt-tannin dy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080070B (zh) 1995-03-17 2016-01-20 诺沃奇梅兹有限公司 新的内切葡聚糖酶
US5700686A (en) * 1995-06-06 1997-12-23 Iogen Corporation Protease-treated and purified cellulas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backstaining during enzymatic stonewashing
AU6298896A (en) * 1995-06-28 1997-01-30 Novo Nordisk A/S A cellulase with reduced mobility
US5958083A (en) * 1995-09-08 1999-09-28 Novo Nordisk A/A Prevention of back-staining in stone washing
DE69628311T3 (de) 1995-09-08 2012-05-16 Novozymes A/S Verhütung des verschmierens beim stone-washing
US5789227A (en) * 1995-09-14 1998-08-04 Lockheed Martin Energy Systems, Inc. Processing of cellulosic material by a cellulase-containing cell-free fermentate produced from cellulase-producing bacteria, ATCC 55702
CA2232245C (en) 1995-10-17 2011-06-07 Rohm Enzyme Finland Oy Cellulases, the genes encoding them and uses thereof
US6184019B1 (en) 1995-10-17 2001-02-06 Röhm Enzyme Finland OY Cellulases, the genes encoding them and uses thereof
US6723549B2 (en) 1995-10-17 2004-04-20 Ab Enzymes Oy Cellulases, the genes encoding them and uses thereof
US5908472A (en) * 1996-01-12 1999-06-01 Novo Nordisk A/S Fabric treated with cellulase and oxidoreductase
DE19606619A1 (de) * 1996-02-22 1997-08-28 Henkel Kgaa Feste, praktisch wasserfreie Zubereitungen
US5690694A (en) * 1996-09-09 1997-11-25 Kang; Chul Soon Sizing agents from indigo blue denim fabric
US6451063B1 (en) * 1996-09-25 2002-09-17 Genencor International, Inc. Cellulase for use in industrial processes
US5811381A (en) * 1996-10-10 1998-09-22 Mark A. Emalfarb Cellulas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7883872B2 (en) * 1996-10-10 2011-02-08 Dyadic International (Usa), Inc. Construction of highly efficient cellulase compositions for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lose
EP0843041A1 (en) * 1996-11-13 1998-05-20 Novo Nordisk A/S Garments with considerable variation in abrasion level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ing cellulolytic enzymes
FI964691A0 (fi) * 1996-11-25 1996-11-25 Primalco Ltd Foerbaettrad cellulassammasaettning foer behandling av textilmaterial som innehaoller cellulosa
FI964692A0 (fi) * 1996-11-25 1996-11-25 Primalco Ltd Foerbaettrad cellulassammansaettning foer bioefterbehandling av textilmaterial som innehaoller cellulosa
KR100538790B1 (ko) 1997-04-08 2005-12-23 폴 코포레이션 맥주 제조방법
US7132119B1 (en) 1997-04-08 2006-11-07 Pal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beer
US5871550A (en) * 1997-08-26 1999-02-16 Genencor International, Inc. Mutant Thermonospora spp. cellulase
DE19738625C1 (de) * 1997-09-04 1999-02-04 Henkel Kgaa Waschverfahren für Strickwaren
US6294366B1 (en) 1997-09-19 2001-09-25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ellulose containing fabrics using truncated cellulase enzyme compositions
EP1036152A1 (en) * 1997-12-05 2000-09-20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enhancing activity of cellulase in industrial applications by adjusting ionic strength
JP2002510756A (ja) * 1998-04-03 2002-04-09 ノボザイムス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ペクチン分解酵素によるデニム織物の処理
US6146428A (en) * 1998-04-03 2000-11-14 Novo Nordisk A/S Enzymatic treatment of denim
US6407046B1 (en) 1998-09-03 2002-06-18 Genencor International, Inc. Mutant EGIII cellulase, DNA encoding such EGIII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obtaining same
US6159926A (en) * 1998-09-23 2000-12-12 Colgate-Palmolive Co. Biodegradable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based on a combination of pentaerythritol esters, bentonite and polyphosphonate compound
DE69922978T2 (de) * 1998-10-06 2005-12-08 Emalfarb, Mark Aaron, Jupiter Transformationsystem in filamentösen fungiziden chrysosporium-wirtszellen
US6579841B1 (en) 1998-12-18 2003-06-17 Genencor International, Inc. Variant EGIII-like cellulase compositions
US7977051B2 (en) * 1999-04-10 2011-07-12 Danisco Us Inc. EGIII-like enzymes, DNA encoding such enzymes and methods for producing such enzymes
US7256030B1 (en) 1999-05-28 2007-08-14 Novozymes A/S Family 9 endo-β-1,4-glucanases
US6617268B1 (en) 1999-07-07 2003-09-09 Nano-Tex, Llc Method for protecting cotton from enzymatic attack by cellulase enzymes
JP4120738B2 (ja) * 1999-08-31 2008-07-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インジゴ染め製品の変色加工
US6158055A (en) * 1999-12-14 2000-12-12 Dada Corp. Cap with protrusive effect
US6475969B2 (en) 2000-03-16 2002-11-05 Sunburst Chemicals, Inc. Solid cast chlorinated composition
AU2001264212A1 (en) 2000-06-15 2001-12-24 Prokaria Ehf. Thermostable cellulase
US6635465B1 (en) 2000-08-04 2003-10-21 Genencor International, Inc. Mutant EGIII cellulase, DNA encoding such EGIII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obtaining same
GB0020379D0 (en) * 2000-08-21 2000-10-04 Clariant Int Ltd Enzyme composition in tablet form
JP3970770B2 (ja) * 2000-11-21 2007-09-05 明治製菓株式会社 セルロース結合領域を欠失した接合菌由来エンドグルカナーゼ酵素
CN1172053C (zh) * 2001-02-09 2004-10-20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免烫耐洗纯棉针织物的生产工艺
MXPA03011194A (es) 2001-06-06 2004-02-26 Novozymes As Endo-beta-1,4-glucanasa.
US7041488B2 (en) 2001-06-06 2006-05-09 Novozymes A/S Endo-beta-1,4-glucanase from bacillus
US20020133261A1 (en) * 2002-06-05 2002-09-19 Keyomars Fard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garments having a vintage appearance
US20040010856A1 (en) * 2002-07-16 2004-01-22 Mcdevitt Jason Patrick Method for customizing an aged appearance in denim garments
US7109157B2 (en) * 2003-02-27 2006-09-19 Lawnie Taylor Methods and equipment for removing stains from fabrics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hydroxide and hypochlorite
US7582596B1 (en) 2002-11-06 2009-09-01 Taylor Lawnie H Products, methods and equipment for removing stains from fabrics using an alkali metal hydroxide/hypochlorite salt mixture
DK1700917T3 (en) 2003-12-03 2016-07-25 Meiji Seika Pharma Co Ltd ENDOGLUCANASE STCE AND CELLULASE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DE10358097A1 (de) * 2003-12-10 2005-07-14 Sasol Germany Gmbh Verfahren zum Verhindern bzw. Minimieren der Farbredeposition unter Verwendung von Polyestern
JP4250551B2 (ja) * 2004-03-02 2009-04-08 三好化成株式会社 化粧料
JP2006152469A (ja) * 2004-11-26 2006-06-15 Ochanomizu Univ 染色繊維製品処理剤及び染色仕上げ処理方法
US7628822B2 (en) * 2005-04-08 2009-12-08 Taylor Lawnie H Formation of patterns of fades on fabrics
US20070050913A1 (en) * 2005-09-07 2007-03-08 Central Trading Enterprise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bleaching fabric and the fabric produced thereby
WO2007057418A1 (en) 2005-11-16 2007-05-24 Novozymes A/S Polypeptides having endoglucanase activity and polynucleotides encoding same
US20070287652A1 (en) * 2006-06-07 2007-12-13 Lhtaylor Asso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stable, cotton-gentle chlorine bleach and products thereof
EP2102366A4 (en) 2006-12-10 2010-01-27 Dyadic International Inc EXPRESSION AND HIGH-DROP SCREENING OF COMPLEX EXPRESSED DNA LIBRARIES IN FADENED MUSHROOMS
US9862956B2 (en) 2006-12-10 2018-01-09 Danisco Us Inc. Expression and high-throughput screening of complex expressed DNA libraries in filamentous fungi
JP2010516247A (ja) * 2007-01-18 2010-05-20 ダニスコ・ユーエス・インク、ジェネンコー・ディビジョン 修飾を受けたエンドヌクレアーゼiiと使用法
CN101679965B (zh) 2007-03-12 2013-04-24 明治制果药业株式会社 内切葡聚糖酶ppce和含有该内切葡聚糖酶的纤维素酶配制物
CA2736661A1 (en) * 2007-09-07 2009-03-12 Dyadic International, Inc. Novel fungal enzymes
CN101624583B (zh) * 2008-07-07 2012-06-20 上海纤化生物科技有限公司 纺织专用节能环保型煮漂复合酶制剂的制造工艺
WO2011002063A1 (ja) 2009-07-03 2011-01-06 明治製菓株式会社 2種類の異なる微生物に由来するエンドグルカナーゼを含んでなるセルラーゼ調製物
JP4937303B2 (ja) * 2009-07-14 2012-05-2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スカレータ監視装置
JP2011109965A (ja) * 2009-11-27 2011-06-09 Tokai Senko Kk セルロース含有繊維材料の糖化前処理方法及び当該糖化前処理方法を有するセルロース含有繊維材料の糖化方法。
JP5850608B2 (ja) * 2010-10-18 2016-02-03 株式会社ダスキン バイオエタノールの製造方法
US20130174324A1 (en) * 2012-01-10 2013-07-11 David Israel Elastic stitched gathered denim fabric jeans
ITFI20120116A1 (it) 2012-06-11 2013-12-12 Soko Chimica Srl Metodo per l'invecchiamento artificiale di tessuti e di capi confezionati
US10982381B2 (en) 2014-10-06 2021-04-20 Natural Fiber Welding, Inc. Methods,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producing welded substrates
US10011931B2 (en) 2014-10-06 2018-07-03 Natural Fiber Welding, Inc. Methods,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producing dyed and welded substrates
CN105063872A (zh) * 2015-08-06 2015-11-18 广东前进牛仔布有限公司 一种一步法牛仔衣制备工艺
US10995452B2 (en) 2016-02-09 2021-05-04 Bradley University Lignocellulosic composites prepared with aqueous alkaline and urea solutions in cold temperatures systems and methods
CN105463862A (zh) * 2016-01-14 2016-04-06 宁波职业技术学院 一种酸性纤维素酶配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7165891A1 (en) 2016-03-25 2017-09-28 Natural Fiber Welding, Inc. Methods,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producing welded substrates
JP7062367B2 (ja) * 2016-04-27 2022-05-06 サンコ テキスタイル イスレットメレリ サン ベ ティク エーエス 細菌バイオポリマーを含み、特有の外観を有する染色布帛を製造する方法
WO2017192779A1 (en) 2016-05-03 2017-11-09 Natural Fiber Welding, Inc. Methods,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producing dyed and welded substrates
CN106755623B (zh) * 2016-11-28 2019-02-22 深圳市联星服装辅料有限公司 一种仿旧皮牌及其制作方法
RU2677619C2 (ru) * 2017-07-12 2019-01-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Косыгина (Технологии. Дизайн. Искусство)" Технология крашения тексти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з натуральных волокон природными красителями беспротравным биохимическим способом
TWI829660B (zh) 2017-11-11 2024-01-21 美商天然纖維焊接股份有限公司 紗與熔接紗
CN108396560A (zh) * 2018-03-07 2018-08-14 广州市德鹏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染剂的制备方法
US11339516B2 (en) * 2018-09-27 2022-05-24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Dyed fabric finishing process
IT201800010081A1 (it) * 2018-11-06 2020-05-06 Biomod S R L Metodo di trattamento di tessuti e corpo impattante per detto metodo di trattamento
WO2020224776A1 (en) 2019-05-08 2020-11-12 Nurettin Vedat Dogan Knot washing
CN110344273B (zh) * 2019-07-19 2024-03-19 纤化(上海)生物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牛仔炒雪花的雪花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106072A1 (en) * 2020-11-18 2022-05-27 Aplicacion Y Suministros Textiles, S.A.U. Textile stone washing process
CN113026389A (zh) * 2021-03-18 2021-06-25 南通大学 一种茶多酚低温漆酶促染羊绒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8599A (en) * 1970-09-29 1974-10-02 Unilever Ltd Softening compositions
JPS5028515B2 (ko) * 1971-09-30 1975-09-16
JPS50132269A (ko) * 1974-03-30 1975-10-20
US4081328A (en) * 1975-10-23 1978-03-28 Stanford Research Institute Production of cellulase by a thermophilic thielavia terrestris
US4218220A (en) * 1978-12-04 1980-08-19 Basf Wyandotte Corporation Method of fading blue jeans
DK187280A (da) * 1980-04-30 1981-10-31 Novo Industri As Ruhedsreducerende middel til et fuldvaskemiddel fuldvaskemiddel og fuldvaskemetode
FR2488297A3 (fr) * 1980-08-06 1982-02-12 Superball Sa Tissu du genre " jeans " destine a la confection d'effets vestimentaires, en particulier de pantalons, ainsi que l'obtention de ces derniers
JPS5950280B2 (ja) * 1980-10-24 1984-12-07 花王株式会社 酵素入り漂白剤組成物
GB2094826B (en) * 1981-03-05 1985-06-12 Kao Corp Cellulase enzyme detergent composition
GB2095275B (en) * 1981-03-05 1985-08-07 Kao Corp Enzyme detergent composition
US4388077A (en) * 1981-08-07 1983-06-14 W. E. Greer Ltd. Composition for washing fabric
DE3217188A1 (de) * 1982-05-04 1983-11-10 ACHEMCO Angewandte Chemie GmbH, 1000 Berlin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textilien
JPS5971481A (ja) * 1982-06-01 1984-04-23 東洋紡績株式会社 セルロ−ス系繊維含有布帛の処理方法
JPS591598A (ja) * 1982-06-25 1984-01-06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GB8306645D0 (en) * 1983-03-10 1983-04-13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GB2136029B (en) * 1983-03-11 1986-07-16 Pennwalt Chemicals Ltd Process for treatment of denim and other fabrics
JPS60134062A (ja) * 1983-12-16 1985-07-17 中井 壽 部分的に色落処理して成るデニム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209086A (ja) * 1984-03-27 1985-10-21 株式会社延岡 繊維製品の不定形紋様の形成方法
GB8421800D0 (en) * 1984-08-29 1984-10-03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GB8421802D0 (en) * 1984-08-29 1984-10-03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DE3682443D1 (de) * 1985-06-28 1991-12-19 Procter & Gamble Granuliert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 trockenes bleichmittel und ein stabiles enzym.
DK163591C (da) * 1985-10-08 1992-08-24 Novo Nordisk As Fremgangsmaade til behandling af et tekstilstof med en cellulase
FR2591624A1 (fr) * 1985-12-16 1987-06-19 Thauront Henri Procede de lavage a la pierre de tissus
BE905631A (fr) * 1986-03-28 1987-02-16 Golden Trade Srl Procede pour decolorer de maniere non uniforme des tissus ou des vetements et produit decolore par ce procede.
IN168612B (ko) * 1986-06-09 1991-05-04 George Robert Geller
DE3634607A1 (de) * 1986-10-10 1988-04-21 Kurt Robert Ulmer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verschlissenen aussehens von textilien
DE3636387A1 (de) * 1986-10-25 1988-04-28 Pfersee Chem Fab Verfahren zur erzielung neuer farbeffekte auf mit ueblichen farbstoffen gefaerbten denim-geweben oder daraus hergestellten artikeln
JPH0713352A (ja) * 1993-06-23 1995-01-17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写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551A (zh) 1989-04-26
EP0307564B1 (en) 1996-02-21
EP0665324A1 (en) 1995-08-02
EP0307564A3 (en) 1989-10-11
KR890005342A (ko) 1989-05-13
EP0665324B1 (en) 2000-01-12
GR3019903T3 (en) 1996-08-31
US4912056A (en) 1990-03-27
JPH0713352B2 (ja) 1995-02-15
DE3855016T2 (de) 1996-08-08
US4912056B1 (en) 1997-04-01
EP0307564A2 (en) 1989-03-22
PT88507A (pt) 1989-07-31
BR8804748A (pt) 1989-04-18
GR3033098T3 (en) 2000-08-31
PT88507B (pt) 1995-05-31
CN1020933C (zh) 1993-05-26
DE3856391T2 (de) 2000-07-27
DE3856391D1 (de) 2000-02-17
ES2143559T3 (es) 2000-05-16
CA1271301A (en) 1990-07-10
AU2021588A (en) 1989-03-16
HK209296A (en) 1996-11-29
DE3855016D1 (de) 1996-03-28
US4832864A (en) 1989-05-23
JPH0280680A (ja) 199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495B1 (ko) 셀룰로즈성 직물에 색밀도변화를 도입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US5006126A (en) Cellulase compositions and methods that introduce variations in color density into cellulosic fabrics, particularly indigo dyed denim
US5122159A (en) Cellulase compositions and methods that introduce variations in color density into cellulosic fabrics, particularly indigo dyed denim
US6451063B1 (en) Cellulase for use in industrial processes
WO1998013465A9 (en) Cellulase obtainable from thermomonospora fusca for use in industrial processes
JP2001505414A (ja) 高分子量のTrichodermaのセルラーゼ
WO1995035363A1 (en) Method of creating a stonewashed appearance in wet-processed fabrics
US6146428A (en) Enzymatic treatment of denim
EP1338650A1 (en) Cellulase preparation containing nonionic surfactant and method of treating fiber
US6685748B1 (en) Enzymatic bleaching of natural non-cotton cellulosic fibers
EP1066422B1 (en) Treatment of denim fabric with a pectolytic enzyme
CA2394964C (en) Enzymatic bleaching of natural non-cotton cellulosic fibers
JP2002543271A (ja) セルラーゼ洗剤マトリックス
EP0687319A1 (en) A process for providing localized variation in the colour density of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5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50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