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3634B1 -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34B1
KR950003634B1 KR1019920017583A KR920017583A KR950003634B1 KR 950003634 B1 KR950003634 B1 KR 950003634B1 KR 1019920017583 A KR1019920017583 A KR 1019920017583A KR 920017583 A KR920017583 A KR 920017583A KR 950003634 B1 KR950003634 B1 KR 950003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ponent
signal
frequency
discrete cos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847A (ko
Inventor
오영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윤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윤종용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634B1/ko
Publication of KR94000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아날로그 VTR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디지탈 VTR의 통상적인 영상데이타처리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이산여현변환(descrete cosine transformation)처리에 의해 데이타를 압축하는 종래의 데이타압축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8×8블럭의 구조를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
제5(a)도의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데이타기록처리장치 및 재생장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영상데이타신호의 직류(DC)성분 및 교류(AC)성분의 기록주파수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기록주파수의 대역분포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이산여현변환부 51 : 직류양자화부
52,57 : 에러정정부호화부 53,58 : 변조부
54 : 교류양자화부 55 : 가변장부호화부
59 : 다중화부 60 : 저역통과필터
61 : 직류검출부 62,68 : 복조부
63,69 : 에러정정복호화부 64,71 : 복양자화부
65 : 역이산여현변환부 66 : 대역통과필터
67 : 교류검출부 70 : 가변장해독부
본 발명은 VTR과 같은 화상 처리장치에서의 데이타 처리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또는 화상)데이타를 디지탈(Digital)방식으로 기록하고 재생하는 화상 처리장치에서 기록 데이타의 손실 및 손상으로 인한 재생 화상의 열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데이타의 기록/재생을 위한 VTR은 데이타 처리방식으로 구분할 때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탈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첨부한 제1도에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방식의 VTR의 간략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2도에는 디지탈 방식의 VTR의 간략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아날로그 방식의 VTR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C분리부(1)에서는 수신되는 NTSC칼라 영상신호를 휘도(Y)와 색(C)신호로 분리한다.
이후, 상기 Y/C분리부(1)에서 분리되어진 휘도(Y)신호는 주파수변조(FM)변환부(3)에서 FM변환 처리된 후 주파수 다중화부(7)에 입력되고, 상기 Y/C분리부(1)에서 분리되어진 다른 신호 즉, 색(C)신호는 저역 주파수변환부(5)를 통하여 상기 주파수 다중화부(7)에 입력된다.
상기 주파수 다중화부(7)에서는 상기 주파수변조(F) 변환부(3)에서 FM변환 처리된 휘도(Y)신호와 상기 저역주파수변환부(5)에서 저역주파수변환 처리된 색(C) 신호를 입력받아 다중주파수로 처리한 후 기록매체 즉, 테이프에 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VTR의 기록매체의 또는 각 구성요소의 노화현상 발생시 재생화면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디지탈 방식의 VTR은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이타 압축 기록부와 데이타 신장 재생부로 구성되는데, NTSC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화소에 대한 데이타량이 급증하게 된다. 그로인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데이타의 저장시 기록매체의 한계로 인하여 효과적인 데이타 압축방식이 요구된다. 또한, 데이타를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타를 신장하여 재생하는 경우 재생화상과 원화상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디지탈 데이타 압축 알고리즘(digital data compression algorithm) 및 에러(error)를 보정하기 위한 부호화(coding)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상기 디지탈 데이타 압축 알고리즘으로 일반적인 방식은 이산여현변환(descrete cosine transformation : 이하, 'DCT'라 함) 방식으로서, 화상의 초기화면은 원화상으로 전송 또는 기록하고 이후의 화상은 종전의 화상과 달라진 부분에 대한 화상만을 전송 또는 기록하는 방식이다.
또한, 에러정정 부호화방식으로는 이차원 리드 솔로몬 부호화(2-dimensional Reel Solomon coding) 방식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한 종래 디지탈 방식의 VTR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록과정을 살펴보면, NTSC 칼라 영상신호가 A/D변환부(9)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A/D변환부(9)에서 처리되어진 데이타는 Y/C분리부(11)를 통하여 휘도(Y) 데이타신호와 색(C)데이타신호로 분리된다.
이후, 상기 Y/C분리부(11)에서 분리되어진 상기 휘도(Y)데이타신호는 Y인코더(13)에 입력되고, 상기 색(C) 데이타신호는 C인코더(15)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Y인코더(13)와 C인코더(15)에서는 각각 입력받는 데이타를 전체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데이타를 8×8블럭(block) 단위로 분활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Y인코더(13)와 C인코더(15)에서 8×8블럭(block) 단위로 분할되어진 휘도데이타와 색데이타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 이하, 디먹스라 함)(17)에 의하여 한 채널의 데이타로 통합된다.
상기 디먹스(17)에서 통합되어진 데이타는 데이타압축부(19)에서 상술한 DCT방식을 통하여 압축되어진 후 에러정정부호화부(21) 및 변조부(23)을 통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방식에 의하여 저장된 영상데이타는 상술한 과정에 대한 역과정을 통하여 재생되는데, 재생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기록매체에 변조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는 복조부(25)를 통하여 검파되고 검파된 데이타는 에러정정복호화부(27)에 의하여 에러가 교정된 후 데이타복원부(29)에 의하여 압축전의 영상데이타로 복원된다.
이후, 상기 데이타복원부(29)의 출력은 멀티플렉서(31)에 의하여 휘도데이타와 색데이타로 분리된 후 각각 Y디코더(33)과 C디코더(35)로 제공된다.
상기 Y디코더(33)과 C디코더(35)에서는 8×8 블럭단위로 분활된 데이타를 분리전의 데이타로 복원하고, Y/C합성부(37)는 상기 Y디코더(33)과 C디코더(35)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휘도데이타 및 색데이타를 합성한다.
상기 Y/C합성부(37)에서 합성된 데이타는 D/A변환부(39)에 의해 NTSC 아날로그 영상데이타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디지탈 방식의 VTR의 기록/재생 동작에서 가장 핵심부분이라 할 수 있는 데이타압축부(제2도의 도면부호 19)의 구성이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CT부(41)에 의해 이산여현변환처리된 데이타는 양자화부(43)와, 가변장부호화부(variable length coder)(45)를 거치면서 압축된다.
상기 가변장부호화부(4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47)는 입력데이타의 목표정보량단위 즉, 목표비트율(target bit rate)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DCT부(41)에서의 이산여현변환처리과정을 설명하면, 8×8블럭단위로 분할된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연산처리하여 첨부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데이타 테이블을 형성한다. 하나의 8×8블럭은 하나의 DC성분과 63개의 AC성분으로 구성되며, 도면에서 'DC'로 표현되어 있는 부분이 저주파 대역의 직류성분 데이타이고, '1'∼'63'으로 표현된 부분이 고주파 대역의 교류성분 데이타로서 숫자의 의미는 상기 양자화부(43)와, 가변장부호화부(45)로 입력되는 순서이다.
이와 같은 종래 디지탈 방식의 VTR에서는 DCT처리된 데이타의 DC성분 및 AC성분의 데이타가 혼재하는 상태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양자화 처리과정과 가변장부호 처리과정을 통해 버퍼(47)에 제공되며, 상기 버퍼(47)를 통하여 상기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에러정정부호화부(21)에 제공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탈 방식은 상기 에러정정부호화부(21)에 제공되는 기록주파수에 에러발생율이 적으면서도 화질의 주요쟁점인 DC성분과 에러발생율이 높은 AC성분의 데이타가 혼재하는 관계로 각 데이타의 에러발생율이 동일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잦은 에러발생이 일어나게 되고, 그로인한 재생화상의 열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디지탈 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데이타의 기록/재생시 DC성분과 AC성분을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하여 에러 발생율을 낮추고 또한 AC성분의 에러발생시 DC성분을 사용하여 화상데이타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후 기록매체에 압축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압축된 데이타를 재생시켜 원래의 상기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디지탈VTR에서의 디지탈화상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구성되어진 화상데이타를 소정화소블럭단위로 이산여현변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이산여현변환되어진 데이타를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의 데이타로 분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분리되어진 직류성분 데이타만을 양자화하여 압축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압축되어진 직류성분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분리도어진 교류성분 데이타만을 양자화 및 가변장 부호화 처리하여 압축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고정에서 압축되어진 교류성분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시키는 제6과정과, 상기 제4고정과 제6과정을 통하여 주파수 변조된 직류성분 및 교류성분의 데이타를 주파수 다중화시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7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후 이산여현변환을 통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되 DC성분의 저주파 대역과 AC성분의 고주파 대역으로 주파수 다중화시켜 기록시키는 기지탈 VTR에서 디지탈화상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저주파 대역의 DC성분과 고주파 대역의 AC성분으로 분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분리되어진 교류성분 데이타를 주파수 복조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복조되어진 교류성분 데이타를 역양자화 및 가변장 복호화처리하여 신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분리되어진 직류성분 데이타를 주파수 복조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복조되어진 직류성분 데이타를 역양자화하여 신장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과, 제5과정을 통하여 신장되어진 교류성분 및 직류성분 데이타를 역이산여현변환하여 소정 화소블럭단위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구성되어진 화상데이타를 생성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후 기록매체에 압축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압추된 데이타를 재생시켜 원래의 상기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디지탈 VTR에서의 디지탈화상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구성되어진 화상데이타를 소정 화소블럭단위로 이산여현변환하는 이산여현변환수단과, 상기 이산여현변환수단에서 이산여현변환되어진 데이타중 직류성분의 데이타만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수단과, 상기 이산여현변환수단에서 이산여현변환되어진 데이타중 교류성분의 데이타만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수단과, 상기 제1양자화수단에서 양자화된 직류성분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에러를 정정하는 제1에러정정수단과, 상기 제1에러정정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주파수 변조시키는 제1변조수단과, 상기 제2양자화수단에서 양자호된 교류성분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가변장 부호화처리하는 가변장부호화수단과, 상기 가변장부호화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목표비트율을 출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에러를 정정하는 제2에러정정수단과, 상기 제2에러정정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주파수 변조시키는 제2변조수단 및 상기 제1,제2변조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다중화처리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다중화처리수단을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후 이산여현변환을 통하여 기록매체에 압축하여 기록하되 DC성분의 저주파 대역과 AC성분의 고주파 대역으로 주파수다중화시켜 기록시키는 디지탈 VTR에서의 디지탈화상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있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소정 주파수 대역이내의 고주파 신호만을 출력시키는 대역통과필터와,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으로부터 직류성분 데이타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와, 상기 제1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성분 데이타를 복조하는 제1복조부와, 상기 제1복조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중 에러정정부호를 해독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제1에러정정복호화부와, 상기 제1에러정정복호호부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된 데이타를 역양자화 처리하여 양자화 이전의 데이타로 복원하는 제1복양자화부와,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출력으로부터 교류성분 데이타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와, 상기 제2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교류성분 들 복조하는 제2복조부와, 상기 제2복조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중 에러정정부호를 해독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제2에러정정복호화부와, 상기 제2에러정정복호화부로부터 제공되는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가변장부호해독부와, 상기 가변장해독부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신호를 역양자화 처리하여 양자화 이전의 데이타로 복원하는 제2복양자화부 및 상기 제1,2복양자화부의 출력을 받아들여 이산여현변환의 역처리를 수행하여 소정 화소블럭단위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구성되어진 화상데이타를 생성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로 구성되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면, 직류성분 데이타와 교류성분에 대한 데이타를 분리하여 처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원화상이 720×480개의 화소데이타를 갖는다면, 첨부한 제2도의 A/D변환부(9)에서 디먹스(17)까지의 과정에서 90×60개의 8×8행열로 분활될 수 있으며, 각 분활되어진 8×8블럭의 화소데이타를 DCT변환하면 첨부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8×8블럭과 같은 데이타 테이블이 생성된다.
이때, 직류성분은 1개이고 교류성분은 63개의 데이타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들을 코딩하는 경우 각 데이타량은 주파수대역에서 각각 저주파와 고주파로 분리될 수 있다. 왜냐하면, 화상을 형성하는 각 화소의 배열을 8×8행열 단위의 블럭으로 분활하는 경우 8×8행열을 이루는 64개의 각 화소신호를 주파수 분활하면 각 화상데이타의 공통적인 데이타값이 발생하는데 이때의 성분을 나타내는 것이 상기 DC성분의 데이타이며 신호의 특성이 저주파이다.
또한, 상기 8×8행열을 이루는 64개의 각 화소신호중 상기 DC성분의 데이타와 가장 근접한 하나의 화소 데이타를 제외한 63개의 화소데이타 각각의 주파수신호에서 상기 DC신호를 제거하는 경우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에 대해서는 각각 고유의 주파수에 따른 교류성분의 데이타가 되는 것이다.
제5(a)도의 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데이타 기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제5(b)도는 영상신호 재생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5(a)도에 도시되어 있는 영상데이타 기록장치는 첨부한 제2도의 디먹스(17) 이후의 구성으로서, DCT부(50)에 의해 이상여현변환처리된 데이타중 직류성분 데이타만을 입력받아 양자화시키는 DC양자화부(51)와, 상기 DC양자화부(5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제1에러정정부호화부(52)와, 상기 제1에러정정부호화부(52)의 출력신호를 변조하는 제1변조부(53)와, 상기 DCT부(50)에 의해 이상여현변환처리된 데이타중 교류성분 데이타만을 입력받아 양자화시키는 AC양자화부(54)와, 상기 AC양자화부(5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가변장 부호로 변환 처리하는 가변장부호화부(55)와, 상기 가변장부호화부(55)에서 제공되는 데이타를 목표비트율로 출력하는 버퍼(56)와, 상기 버퍼(56)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제2에러정정부호화부(37)와, 상기 제2에러정정부호화부(57)의 출력신호를 변조하는 제2변조부(58) 및 상기 제1,2변조부(53,58)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다중화하여 테이프에 기록하는 다중화부(5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타 기록장치의 바람직한 동작예를 설명하면, DCT부(50)에 의하여 이산여현변환처리된 8×8블럭의 데이타중 직류성분 데이타는 DC양자화부(51)로 제공되어 균일 양자화된다.
통상적으로 양자화크기(quantization size)의 최대 비트수가 8이므로 직류성분 데이타는 8비트 양자화된다. 또한, 상기 8×8블럭의 데이타중 직류성분을 제외한 교류성분 데이타는 8비트수보다 적은 비트수로 양자화되는데, 현재의 양자화 기법으로는 화상의 성질에 따라 양자화폭의 크기(quantization stop size)를 달리하여 적응양자화(adaptive quantization)기법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따라 양자화된 교류성분 데이타는 가변장 부호화부(55)의 의하여 동일한 데이타의 중복(redundancy)이 줄어들게 되고, 버퍼(56)에 의하여 소정의 비트율로 출력되게 된다.
이후, 상기 DC양자화부(51)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직류성분 데이타와 상기 버퍼(56)에서 출력되는 교류성분에 대한 데이타는 각각 제1,제2에러정정부호화부(52,57)에서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에러정정부호화부가 첨부된다.
이때, 상기 제1,제2에러정정부호화부(52,57)에서는 에러정정을 위한 비트데이타를 첨가하기 때문에 데이타량이 전체적으로 약 30%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러정정부호가 첨부된 직류성분 데이타와 교류성분에 대한 데이타는 제1,제2변조부(53,58) 및 다주화부(59)에 의하여 8-10변화 및 비영복귀반전(NRZI)변환으로 변조된 후 주파수 분포를 달리하여 테이프에 기록된다. 이때, 상기 제1,제2변조부(53,58) 및 다중화부(59)의 동작과정의 간략 구성은 첨부한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6도에서는 교류성분 데이타가 압축된 후의 데이타율을 20Mbps로 하였다. 또한, 직류성분 데이타는 임의의 원화상이 720×480개의 화상데이타를 갖는 1프레임의 화면에서 직류성분만을 8비트로 양자화하는 경우, 90×60개의 블럭당 각각 8비트의 데이타가 발생되므로 총 데이타량은 (720÷8)×(480÷8)×8비트=43.2킬로비트(Kbit)가 된다.
따라서, 1초당 데이타율은 43.2×103(bit)×30(frame/bit)×1.3=1.6846Mpbs가 된다.
즉, 에러정정 부호가 첨부된 후의 직류성분 데이타의 데이타율은 1.6846Mbps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류성분 데이타의 데이타율(1.6846Mbps)을 8-10변환하여 변조시키는 경우 변조된 데이타는 하기 식(1,2)으로부터 구해진다.
1.6846×(1÷최소반전간격)=최대변조 데이타…식(1)
1.6846×(1÷최대반전간격)=최대변조 데이타…식(2)
일반적으로, 8-10변환시 최소반전간격은 0.8T이고, 최대반전간격은 3.2T이다(T는 하나의 데이타 비트의 시간간격임).
따라서, 최대변조 데이타는 식(1)에 의하여 2.106Mbps이고, 최소변조 데이타는 식(2)에 의하여 0.5265Mbps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8-10변환되어진 직류데이타를 비영복귀반전(NRZI)변환하면, 기록주파수는 상기 8-10변환되어진 주파수의 1/2이므로, 최종주파수 대역은 1.053Mbp∼263.25Kbps가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교류성분(예; 26Kbps)에 대하여 8-10변환 및 NRZI 변환하면, 기록주파수는 26Kbps×(1÷0.8)×1/2∼26Kbps×(1÷3.2)×1/2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첨부한 도면중 제7도는 상기 제6도의 실시에에 의해 얻어진 직류성분 데이타 및 교류성분 데이타의 기록주파수대역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류성분 및 교류성분 데이타의 기록신호는 주파수 대역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주파수 다중화하여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재생시 필터를 사용하면 직류성분 데이타 및 교류성분 데이타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장치에 대응하는 재생장치(첨부한 제5(b)도 참조)는 주파수 다중화된 신호를 각각 여과하는 저역통과필터(60)와 대응통과필터(66)와, 상기 저역통과필터(60)의 출력으로부터 직류성분 데이타를 검출하는 DC검출부(61)와, 상기 DC검출부(61)에서 출력되는 직류성분 데이타를 복조하는 제1복조부(62)와, 상기 제1복조부(6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중 에러정정부호를 해독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제1에러정정복호화부(63)와, 상기 제1에러정정복호화부(63)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된 데이타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제1복양자화부(64)와, 상기 대역통과필터(66)의 출력으로부터 교류성분 데이타를 검출하는 AC검출부(67)와, 상기 AC검출부(67)에서 출력되는 교류성분 데이타를 복조하는 제2복조부(68)와, 상기 제2복조부(68)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중 에러정정부호를 해독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제2에러정정복호화부(69)와, 상기 제2에러정정복호화부(69)로부터 제공되는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가변장부호해독부(70)와, 상기 가변장부호해독부(70)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신호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제2복양자화부(71) 및 상기 제1,제2복양자화부(64,71)의 출력을 받아들여 이산여현변환의 역처리를 수행하는 IDCT부(65)로 구성된다.
상기오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의 동작은 상술한 기록장치의 역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겠으나, 상기 IDCT(65)의 출력은 상기 종래 디지탈 방식의 VTR의 먹스(31)(첨부한 도면중 제2도 참조)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저역통과필터(60)와 대역통과필터(66)의 기능은 기록장치(제5(a)도 참조)에서 다중화부(59)에 의하여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타가 직류성분 데이타(저주파) 및 교류성분 데이타(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주파수를 분리하여 억세스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의 디지탈 방식에서 기록주파수에 에러발생율이 적으면서도 화질의 주요쟁점인 DC성분과 에러발생율이 높은 AC성분의 데이타가 혼재하는 관계로 각 데이타의 에러발생율이 동일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잦은 에러발생이 일어나게 되고, 그로인한 재생화상의 열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DC성분과 AC성분의 데이타를 각각 별도의 채널로 복원할 수 있으므로 AC성분의 데이타에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 DC성분의 데이타만으로도 해당 화상의 블럭을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후 기록매체에 압축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압축된 데이타를 재생시켜 원래의 상기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디지탈 VTR에서의 디지탈화상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색신호로 구성되어진 화상데이타를 소정 화소블럭 단위로 이산여현변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이산여현변환되어진 데이타를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의 데이타로 분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분리되어진 직류성분 데이타만을 양자화처리하여 압축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압축되어진 직류성분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분리되어진 교류성분 데이타를 양자화 및 가변장 부호화처리하여 압축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압축되어진 교류성분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시키는 제6과정과; 및 상기 제4과정과 제6과정을 통하여 주파수 변조된 직류성분 및 교류성분의 데이타를 주파수다중화시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7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화상 기록방법.
  2.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후 이산여현변환을 통하여 기록매체에 압축하여 기록하되 DC성분의 저주파 대역과 AC성분의 고주파 대역으로 주파수다중화시켜 기록시키는 디지탈 VTR에서의 디지탈화상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저주파 대역의 DC성분과 고주파 대역의 AC성분으로 분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분리되어진 교류성분 데이타를 주파수 복조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복조되어진 교류성분 데이타을 양자화 및 가변장 복호화처리하여 신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분리되어진 직류성분 데이타를 주파수 복조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복조되어진 직류성분 및 데이타를 역양자화처리하여 신장하는 제5과정; 및 상기 제3과정과 제5과정을 통하여 신장되어진 교류성분 및 직류성분 데이타를 역이산여현변환하여 소정 화소블럭단위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구성되어진 화상데이타를 생성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화상 재생방법.
  3.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후 기록매체에 압축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압축된 데이타를 재생시켜 원래의 상기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디지탈 VTR에서의 디지탈화상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구성되어진 화상데이타를 소정 화소블럭 단위로 이산여현변환하는 이산여현변환수단과; 상기 이산여현변환수단에서 이산여현변환되어진 데이타중 직류성분의 데이타만을 양자화하는 제1양자화수단과; 상기 이산여현변환수단에서 이산여현변환되어진 데이타중 교류성분의 데이타만을 양자화하는 제2양자화수단과; 상기 제1양자화수단에서 양자화된 직류성분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에러를 정정하는 제2에러정정수단; 상기 제1에러정정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주파수 변조시키는 제1변조수단과; 상기 제2양자화수단에서 양자화된 교류성분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가변장 부호화처리하는 가변장부호화수단과; 상기 가변장부호화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목표비트율을 출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에러를 정정하는 제2에러정정수단과; 상기 제2에러정정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주파수 변조시키는 제2변조수단; 및 상기 제1,제2변조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다중화처리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다중화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화상 기록장치.
  4.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후 이산여현변환을 통하여 기록매체에 압축하여 기록하되 DC성분의 저주파 대역과 AC성분의 고주파 대역으로 주파수다중화시켜 기록시키는 디지탈 VTR에서의 디지탈화상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소정주파수 대역이내의 고주파 신호만을 출력시키는 대역통과필터와;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으로부터 직류성분 데이타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와; 상기 제1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성분 데이타를 복조하는 제1복조부와; 상기 제1복조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중 에러정정부호를 해독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제1에러정정복호화부와; 상기 제1에러정정복호화부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된 데이타를 역양자화 처리하여 양자와 이전의 데이타로 복원하는 제1복양자화부와;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출력으로부터 교류성분 데이타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와; 상기 제2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교류성분 데이타를 복조하는 제2복조부와; 상기 제2복조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중 에러정정부호를 해독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제2에러정정복호화부와; 상기 제2에러정정복호화부로부터 제공되는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가변장부호해독부와; 상기 가변장부호해독부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신호를 역양자화 처리하여 양자화 이전의 데이타로 복원하는 제2복양자화부; 및 상기 제1,제2복양자화부의 출력을 받아들여 이산여현변환의 역처리를 수행하여 소정 화소블럭단위로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구성되어진 화상데이타를 생성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화상 재생장치.
KR1019920017583A 1992-09-26 1992-09-26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3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583A KR950003634B1 (ko) 1992-09-26 1992-09-26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583A KR950003634B1 (ko) 1992-09-26 1992-09-26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47A KR940007847A (ko) 1994-04-28
KR950003634B1 true KR950003634B1 (ko) 1995-04-17

Family

ID=1934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583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3634B1 (ko) 1992-09-26 1992-09-26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6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47A (ko) 199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5339A (en) Video data compression
JPH0583696A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5137113A (ja) デイジタルvtr
JPH05292540A (ja) 映像データ多重化及び多重分離装置及び方法
US5349384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igital image signals
KR0137736B1 (ko) 디지틀 영상신호의 처리장치
JP3132184B2 (ja) 画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US5572331A (en) Video signal recording format, deep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5680266A (en) Bit-stream allocating and restoring method for digital VCR and data compressing/decompr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522715A (ja) 画像符号化装置
EP0866624A1 (en) Picture signal encoding apparatus and picture signal decoding apparatus
US6804457B1 (en) Digital video signal recorder/reproducer and transmitter
US57456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digital video signal
KR950003634B1 (ko)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JPH0837643A (ja) 量子化コントロール回路
JPH0324887A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
JPH10322722A (ja) 画像信号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信号復号装置
KR100251930B1 (ko)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US20030091341A1 (en) Image recording device and image reproducing device
JP3125471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記録装置におけるフレーム化装置
JP3143970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3127629B2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エラー修整装置
KR950008640B1 (ko) 비트 고정을 위한 영상 압축 부호화 방식 및 복호화 방식
JPH07111633A (ja) 画像圧縮記録再生装置
JP3161098B2 (ja) 高能率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04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41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