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1930B1 -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930B1
KR100251930B1 KR1019970072552A KR19970072552A KR100251930B1 KR 100251930 B1 KR100251930 B1 KR 100251930B1 KR 1019970072552 A KR1019970072552 A KR 1019970072552A KR 19970072552 A KR19970072552 A KR 19970072552A KR 100251930 B1 KR100251930 B1 KR 100251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error correction
track
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992A (ko
Inventor
전종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9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9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7/3044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with several bits only, i.e. the difference between successive samples being coded by more than one bit, e.g.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DP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트릭플레이에 대한 배속제한을 제거하고, 트릭플레이 배속에 따라 프레임의 업데이트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비디오 데이타를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타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기록 및 독출부와, 상기 독출된 데이타에 대하여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비디오 데이타 기록장치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본 발명은 비디오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데이타를 앰펙(MPEG) 부호화하여 기록하였다가 재생하는 장치와 그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앰펙 2 부호화방식은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 부호화 방식과 인터 프레임(Inter Frame) 부호화 방식을 채용한다. 상기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은 해당 프레임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을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이하 DCT라함)한 후에 양자화하고, 그 결과를 가변장 부호화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으로 압축부호화된 프레임을 I 프레임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 프레임 부호화방식은 두 가지로 나뉘는 데, 그 중 하나인 P 프레임 부호화방식은 해당 프레임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I 프레임을 근간으로 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것이며, 상기 P 프레임 부호화방식에 따라 압축부호화된 프레임을 P 프레임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 프레임 부호화방식의 다른 하나인 B 프레임 부호화 방식은 해당 프레임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I 프레임과 상기 P 프레임을 근간으로 하여 예측 부호화하는 것으로, 상기 B 프레임 부호화방식에 따라 압축부호화된 프레임을 B 프레임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예측 부호화는 프레임간 움직임(Activity)을 검출하여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고, 그 움직임 벡터를 부호화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포함하며, 버퍼 콘트롤(Buffer Control)에 의하여 양자화 스케일 팩터(Scale Factor)가 조정되는 피드백 루프(Feed Back Loop)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예측 부호화 과정은 하드웨어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이는 상기 앰펙 2 부호화방식을 채용한 비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통상,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앰펙 2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생성된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그 재생방식에 따라 다르게 기록매체에 기록되며, 상기 재생방식은 크게 정상플레이와 트릭플레이로 구분된다. 상기 정상플레이를 위해서 상기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재구성된 후에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고배속 재생인 트릭플레이를 위해서는 상기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재구성한 후에 그 배속에 대응되게 다수번 반복 기록한다. 상기와 같이 트릭플레이시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다수번 반복 기록하는 이유는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이 완전하게 기록매체에서 리드되어 출력되어야만 그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따른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의 재생이 가능하므로, 기록매체를 고배속으로 억세스하는 중에도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완전하게 리드해 내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트릭플레이를 위해서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재구성하여 다수번 기록함에 따라 그 기록매체의 사용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그 반복기록 횟수에 따라 트릭플레이 가능한 배속이 결정되므로 트릭플레이의 속도를 자유로이할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앰펙 2 부호화방식은 예측 부호화 과정을 포함하는데, 이는 앰펙 2 부호화방식을 채용하는 비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트릭플레이를 위해서 비디오 스트림을 앰펙 2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생성한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재구성하여 다수번 기록함에 따라 그 기록매체의 사용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그 반복기록횟수에 따라 트릭플레이가능한 배속이 결정되므로 트릭플레이의 속도를 자유로이할 수 없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의 원가를 절감하며, 기록매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또한 트릭플레이의 속도를 자유로할 수 있는 비디오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PCM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블럭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랙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블럭에 비디오 데이타를 배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394 패킷 구성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타를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타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기록 및 독출부와, 상기 독출된 데이타에 대하여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복잡한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 인터 프레임 부호화를 제거하고 단지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만을 사용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부호화함으로서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의 원가를 절감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하여 생성한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재구성하여 기록하지 않고 그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 자체를 기록매체에 기록함으로서 트릭플레이를 위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다수번 반복기록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진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배속에 따라 리드되고, 그 리드된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을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함으로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형태의 비디오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어 디지탈 텔레비젼 수신기 등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된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을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기록매체에서 리드한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된 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재구성한 후에 상기 디지탈 텔레비젼 수신기 등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인 카메라 레코더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100)로부터의 비디오 스트림과 마이크(102)로부터의 오디오 스트림은 소스 프로세싱부(108)에 입력된다.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기록할 경우에 상기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을 압축부호화한다. 여기서,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상기 오디오 스트림에 대해서는 용도에 따라 AC-3방식으로 압축부호화하거나, 앰펙 2 오디오 방식으로 압축부호화하거나 차분 펄스 부호 변조(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이하 DPCM이라함)방식으로 압축부호화하여 오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으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Y:Cr:Cb가 4:2:2 포맷으로 구성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제공받아 앰펙 2 부호화방식 중의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한다.
상기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압축부호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상기 4:2:2 포맷의 비디오 스트림을 4:2:0 포맷으로 필터링하며, 그 4:2:0 포맷의 비디오 스트림을 매크로 블럭단위로 DCT(Discreted Cosine Transform)한다. 상기 DCT는 필드 DCT(Field DCT)와 프레임 DCT(Frame DCT)가 있는데,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해당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어떠한 DCT를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해당 DCT를 수행한다. 상기 DCT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의 매크로 블럭내의 화소들은 직류(이하 DC라함) 계수와 교류(이하 AC라함) 계수들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상기 4:2:0 포맷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액티비티(Activity)를 계산하여 초기 양자화 스탭을 결정하여, 상기 DCT 결과에 대해 양자화 스탭에 따라 양자화한다. 상기 양자화후에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DC 계수에 대한 양자화 결과에 대해 인트라-DC-프리시젼(intra-DC- precision)에 따라 8,9,10,11[비트]로 프로세싱한다. 상기 인트라-DC-정밀도에 대한 정보는 픽쳐 헤더 익스텐션(Picture Header Extension)의 인트라_DC_정밀도의 플래그에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상기 프로세싱 결과에 대해 DPCM을 수행한다. 이때 DPCM는 Y,Cr,Cb에 대한 각각의 프리딕터(Predictor)가 존재하며, DPCM의 순서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Y에 대한 DPCM은 제1매크로 블럭(YM1) 중의 제1블럭(B1)의 DC 계수(YDC1) ⇒ 제1매크로 블럭(YM1) 중의 제2블럭(B2)의 DC 계수(YDC2) ⇒ 제1매크로 블럭(YM1) 중의 제3블럭(B3)의 DC 계수(YDC3) ⇒ 제1매크로 블럭(YM1) 중의 제4블럭(B4)의 DC 계수(YDC4) ⇒ 제2매크로 블럭(YM2) 중의 제1블럭(B1)의 DC 계수(YDC5) ⇒ 제2매크로 블럭(YM2) 중의 제2블럭(B2)의 DC 계수(YDC6)…의 순서로 슬라이스의 끝까지 진행한다. 그리고, Cb에 대한 DPCM은 제1매크로 블럭(CbM1)의 DC 계수(CbDC1) ⇒ 제2매크로 블럭(CbM2)의 DC 계수(CbDC2)…의 순서로 슬라이스의 끝까지 진행한다. 그리고, Cr에 대한 DPCM은 제1매크로 블럭(CrM1)의 DC 계수(CrDC1) ⇒ 제2매크로 블럭(CrM2)의 DC 계수(CrDC2)…의 순서로 슬라이스의 끝까지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DPCM이 슬라이스 단위로 수행됨에 따라 슬라이스의 첫 번째 매크로 블럭에 대한 초기값이 결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인트라-DC-프리시젼에 때라 128,256,512,1024로 설정한다.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상기 DPCM된 DC 계수에 대해 가변장 부호화하며, 이때 가변장 부호화는 Differential DC Size+(Signed Amplitude Of The Difference Data)에 따른다. 그리고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상기 양자화된 AC 계수에 대해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 방식에 따라 인트라 프레임 가변장 부호화 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장 부호화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은 ISO/IEC 13818-2 1995 Table B-14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는 오디오 스트림에 대해 부호화하여 제1오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으로서 출력하고,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하여 제1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으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소스 메모리부(110)는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10)가 소스 프로세싱하는 중에 액티비티를 계산하거나 양자화 스탭을 결정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메모리 영역을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8)에 제공한다.
그리고 ECC부(112)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기록할 때에 소스 프로세싱부(108)의 출력에 대해 에러정정 인코딩을 수행하며, 이때 사용되어지는 에러정정 인코딩 방식은 SD(Standard Definition)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ECC부(112)의 출력 중 오디오 데이타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2오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이라 칭하고, 비디오 데이타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이라 칭한다.
그리고 ECC 메모리(114)는 상기 ECC부(112)의 에러정정 인코딩시에 필요로 하는 메모리 영역을 상기 ECC부(112)에 제공한다.
그리고 트랙 포맷터 및 트랙데이타 추출부(116)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기록할 때에 ECC부(112)의 출력 데이타를 싱크 블럭 형태로 재구성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트랙 포맷터 및 트랙데이타 추출부(116)는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데이타에 대해서 도 3에 도시한 싱크블럭 형태로 재배치한다. 여기서,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데이타에 대한 싱크블럭의 형태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싱크 블럭은 프리 싱크(Pre Sync) 영역과 포스트 싱크(Post Sync) 영역과 싱크(Sync) 영역과 ID(Identification) 영역과, 비디오 데이타 영역과 아우터 패리티(Outer Parity) 영역과 이너 패리티(Inner Parity) 영역과 VAUX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ECC부(112)로부터의 출력 데이타를 싱크블럭 형태로 재구성한 후에 상기 트랙 포맷터 및 트랙 데이타 추출부(116)는 상기 싱크 블럭들을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하여 트랙에 배치하는데, 상기 트랙에 있어서 싱크블럭의 배치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제2오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2∼10[싱크블럭]에 배치되고 오디오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 데이타인 ECC1은 11∼15[싱크블럭]에 배치되며,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21∼155[싱크블럭]에 배치되고, 상기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 데이타인 ECC2는 157∼167[싱크블럭]에 배치된다.
통상 한 프레임에 대한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10개의 트랙에 걸쳐 기록되며, 한 트랙에 대한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의 기록영역은 135[싱크블럭]이다. 그런데, 통상 한 트랙에 대한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 기록영역인 135[싱크블럭]내에는 135개의 매크로 블럭 이상 또는 이하의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이 존재하며, 한 프레임에 대한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의 양은 항상 일정한 범위를 가지도록 부호화시에 그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의 양이 조절된다.
여기서, 트릭플레이에 대한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과 정상플레이에 대한 재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을 싱크블럭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싱크블럭은 해당 싱크블럭의 식별을 위한 싱크 2[바이트]와 ID 3[바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ID는 ID 데이타 2[바이트]와 패리티 1[바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ID 데이타는 어플리케이션 ID(Application ID)와 트랙 페어 넘버(Track Pair ID), 싱크 블럭 넘버(Sync Block Number)로 구성된다. 상기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의 싱크블럭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ID를 나타낸 표 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ID(3[비트]) 의미
0 0 0 소비자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0 0 1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0 1 0 제2엘러먼트리 스트림
0 1 1 예비영역
1 0 0 예비영역
1 0 1 예비영역
1 1 0 예비영역
1 1 1 예비영역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ID는 3[비트]로 구성되며, 000일 경우에 소비자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나타내고, 001일 경우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임을 나타내고, 010일 경우에 제2엘러먼트리 스트림을 나타낸다. 그리고 ID 내의 싱크 블럭 넘버는 8[비트]로 구성되며, 이 싱크 블럭 넘버는 해당 싱크 블럭을 식별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싱크블럭에서 순수한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 영역는 77[바이트]이며, 이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 영역에는 트릭플레이용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과 정상플레이용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이 기록된다. 상기 트릭플레이용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를 위해서는 상기 77[바이트]중 N[비트]가 할당되며 그 N은 가변가능하다. 그리고 정상플레이 제2비디오 엘레먼트리 스트림은 상기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데이타 영역에서 트릭플레이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 기록영역을 감산한 영역에 기록된다. 즉 정상플레이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의 기록영역은 77-N[바이트]가 된다.
통상 720[픽셀]×480[픽셀]의 영상은 1350개의 매크로 블럭으로 분리되는데, 트릭플레이용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에 대한 하나의 매크로 블럭은 하나의 싱크블럭에 대응되어 기록되며, 정상플레이싱의 제2비디오 엥러먼트리 스트림은 1[mb]가 1싱크에 대응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싱크블럭에는 인트라-DC-프리시젼에 따른 DC 계수와 AC 계수가 기록되는데, 상기 AC 계수의 갯수는 상기 트릭플레이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의 기록영역이 할당되는 것에 따른다.
예를 들어, 트릭플레이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에 대한 하나의 매크로 블럭에 대해 하나의 DC 계수와 두 개의 AC 계수를 기록하는 경우에, 하나의 싱크블럭에서 정상플레이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의 매크로 블럭에 대한 기록영역은 하나의 싱크블럭의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데이타 기록영역인 77[바이트]에서 트릭플레이 제2비디오 엘레먼트리 스트림에 대한 매크로 블럭의 DC 계수를 위한 1[바이트]와 AC 계수를 위한 3[바이트]를 감산한 것 즉, 73[바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트랙포맷터 및 트랙데이타 추출부(116)는 비디오 및 오디오 기록시에 ECC부(112)의 출력에 대해 싱크블럭으로 재구성하고, 그 싱크블럭을 트랙포멧에 따라 재배치한 후에 출력한다. 상기 트랙포맷터 및 트랙데이타 추출부(116)의 출력은 변조부(118)에 입력되며, 상기 변조부(118)는 비디오 및 오디오 기록시에 상기 트랙포맷터 및 트랙데이타 추출부(116)의 출력을 24/25 변조한다. 상기 변조부(118)의 출력은 증폭부(120)를 통하여 증폭된 후에 데크부(122)에 입력되어 테이프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기록된 비디오 및 오디오는 상기 데크부(122)에 의하여 리드되며, 상기 데크부(122)의 출력은 증폭기(120)를 통하여 이퀄라이즈 및 데이타 검출부(104)에 입력된다. 상기 이퀄라이즈 및 데이타 검출부(124)는 상기 증폭기(120)를 통하여 증폭된 데크부(132)에 대해 이퀄라이제이션(equalization)을 수행하고, 싱크(sync)를 복원하여 유효한 데이타를 디텍션한다. 상기 이퀄라아즈 및 데이타 검출부(124)가 제공하는 유효한 데이타는 트랙 포맷터 및 트랙 데이타 추출부(116)에 입력된다. 트랙 포맷터 및 트랙 데이타 추출부(116)는 비디오 및 오디오 재생시에 그 재생방식에 따라 이퀄라이즈 및 데이타 검출부(124)가 제공하는 유효 데이타 를 선별하여 출력한다. 즉, 트릭플레이시에는 오디오 데이타와 트릭플레이용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에 대한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의 유효데이타를 선별 출력하고, 정상플레이시에는 오디오 데이타와 정상플레이용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에 대한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의 유효데이타를 선별 출력한다.
상기 트랙 포맷터 및 트랙 데이타 추출부(116)에 의하여 선별 출력되는 데이타는 ECC부(112)에 입력된다. 상기 ECC부(112)는 상기 트랙 포맷터 및 트랙 데이타 추출부(116)의 출력에 대해 에러정정 디코딩을 수행하여 제2오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제1오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로서 출력하고,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제1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으로서 출력한다.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102)는 상기 제1오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그 부호화한 방식에 따라 복호화하여 오디오 출력장치(106)를 통해 출력하고, 제1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은 앰펙 2 인트라 프레임 디코딩방식에 따라 디코딩하여 비디오 출력장치(104)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와 다르게 비디오 및 오디오를 디지탈 텔레비젼 수신기와 같은 외부장치로 출력할 경우에, 상기 트랙 포맷터 및 트랙데이타 추출부(116)는 정상플레이시에는 오디오 데이타와 정상플레이용 제2비디오 엘러먼트리 스트림에 대한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의 유효데이타를 선별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코더(130)에 제공한다.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코더(130)는 상기 유효 데이타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재구성한 후에, 디지탈 인터페이스(132)에 제공한다.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132)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1394 패킷으로 재구성한 후에 외부장치에 제공한다. 그리고 트랙 포맷터 및 트랙데이타 추출부(116)는 트릭플레이시에 트릭플레이 앰펙 2 비디오 엘레먼트리 스트림의 DC 계수를 DPCM부(126)에 제공하고, 트릭플레이 앰펙 2 비디오 엘레먼트리 스트림의 AC 계수와 오디오 데이타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코더(130)에 제공한다. 상기 DPCM부(126)는 상기 트릭플레이 앰펙 2 비디오 엘레먼트리 스트림의 DC 계수에 대해 슬라이스 단위로 DPCM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DPCM부(126)는 상기 DC 계수가 슬라이스의 첫 번째 매크로 블럭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ID를 이용하여 몇 번째 슬라이스의 몇 번째 매크로 블럭인지를 검색하고, 이전의 매크로 블럭의 DC 계수를 0으로 스터핑(Stuffing)하여 DPCM을 수행하며, 후속되는 DC 계수중에서 실제 읽혀진 DC 계수까지만 DPCM처리하고 나머지 슬라이스 부분은 스터핑 처리한다. 상기 DPCM부(126)의 출력은 가변장 부호화부(128)에 입력된다. 상기 가변장 부호화부(128)는 상기 DPCM된 DC 계수에 대해 Differential DC Size+(Signed Amplitude Of The Difference Data)에 따라 가변장 부호화한다. 상기 가변장 부호화부(128)의 출력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코더(130)에 입력된다.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코더(130)는 트랙 포맷터 및 트랙 데이타 추출부(116)의 출력과 가변장 부호화부(128)의 출력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재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와 페이로드 그리고 선택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크기는 188[바이트]이다. 상기와 같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은 디지탈 인터페이스(132)에 제공되며,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132)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1394 패킷으로 재구성하여 125 μs 로 외부장치에 제공한다.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1394 패킷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188[바이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4[바이트]의 타임 스탬프가 부가된 것을 24[바이트]로 분리한 후에 다시 24[바이트]의 블럭을 4개 묶어서 데이타 블럭으로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잡한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 인터 프레임 부호화를 제거하고 단지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만을 사용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부호화함으로서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재구성하여 기록하지 않고 그 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 자체를 기록매체에 기록함으로서 트릭플레이를 위한 반복기록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며, 그 트릭플레이의 배속을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록된 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을 통상의 디지탈 텔레비젼 수신기 등이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점이 있다.

Claims (6)

  1.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타를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타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기록 및 독출부와,
    상기 독출된 데이타에 대하여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2.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와 정상 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를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라 부호화하는 앰펙 2 부호화부와,
    상기 앰펙 2 부호화된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와 정상 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에 대해 에러정정 인코딩하는 에러정정 인코딩부와,
    상기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부의 출력과 정상 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부의 출력을 하나의 싱크블럭에 구성하고, 그 싱크블럭을 트랙포맷에 따라 배치하는 트랙 포맷터와,
    상기 트랙 포맷터의 출력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테이프에서 데이타를 독출하는 데크부와,
    상기 테이프에서 독출된 데이타에서 유효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대해 트릭플레이시에는 트릭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선별 출력하고, 정상플레이시에는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선별 출력하는 트랙데이타 추출부와,
    상기 트랙 데이타 추출부의 출력에 대해 에러정정 디코딩하는 에러정정 디코딩부와,
    상기 에러정정부의 출력을 앰펙 2 복호화방식에 따라 복호화하는 앰펙 2 복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3.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와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를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와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에 대해 에러정정 인코딩하는 에러정정 인코딩부와,
    상기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부의 출력과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부의 출력을 하나의 싱크블럭에 구성하고, 그 싱크블럭을 트랙포맷에 따라 배치하는 트랙 포맷터와,
    상기 트랙 포맷터의 출력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테이프에서 데이타를 독출하는 데크부와,
    상기 테이프에서 독출된 데이타에서 유효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대해 트릭플레이시에는 트릭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출력하고, 정상플레이시에는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출력하는 트랙데이타 추출부와,
    상기 트랙 데이타 추출부의 출력에 대해 에러정정 디코딩하는 에러정정 디코딩부와,
    상기 에러정정부의 출력을 앰펙 2 복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앰펙 2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4.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와 정상 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를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와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에 대해 에러정정 인코딩하는 에러정정 인코딩부와,
    상기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부의 출력과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부의 출력을 하나의 싱크블럭에 구성하고, 그 싱크블럭을 트랙포맷에 따라 배치하는 트랙 포맷터와,
    상기 트랙 포맷터의 출력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테이프에서 데이타를 독출하는 데크부와,
    상기 테이프에서 독출된 데이타에서 유효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대해 트릭플레이시에는 트릭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출력하고, 정상플레이시에는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출력하는 트랙데이타 추출부와,
    상기 트랙 데이타 추출부의 출력에 대해에러정정 디코딩하는 에러정정 디코딩부와,
    상기 에러정정부의 출력을 앰펙 2 복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방식으로 복호화하는 앰펙 2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부와,
    상기 앰펙 2 인트라 프레임 복호화부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출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5.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와 정상 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를 앰펙 2 부호화방식에 따르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와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에 대해 에러정정 인코딩하는 에러정정 인코딩부와,
    상기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부의 출력과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에 대한 에러정정부의 출력을 하나의 싱크블럭에 구성하고, 그 싱크블럭을 트랙포맷에 따라 배치하는 트랙 포맷터와,
    상기 트랙 포맷터의 출력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테이프에서 데이타를 독출하는 데크부와,
    상기 테이프에서 독출된 데이타에서 유효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대해 트릭플레이시에는 트릭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출력하고, 정상플레이시에는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출력하는 트랙데이타 추출부와,
    상기 트랙 데이타 추출부의 출력에 대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재구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코더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1394 데이타 패킷으로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6.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트릭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하고, 그 이산 코사인 결과중 직류 계수와 교류 계수에 대해 양자화하고, 그 교류 계수에 대한 양자화결과는 가변장 부호화하여 출력하고, 직류 계수에 대한 양자화결과는 프리시젼에 따라 출력하고, 정상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타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하고, 그 이산 코사인 결과중 직류 계수와 교류 계수에 대해 양자화하고, 그 직류 계수에 대한 양자화 결과에 대해 차분 펄스 부호 변조하고, 그 차분 펄스 부호 변조 결과와 상기 교류 계수에 대한 양자화결과에 대해 가변장 부호화하는 소스 프로세싱부와,
    상기 소스 프로세싱부의 출력에 대해 에러정정 인코딩하는 에러정정 인코더와,
    상기 트릭플레이를 위한 에러정정 인코더의 출력과 정상플레이를 위한 에러정정 인코더의 출력을 하나의 싱크블럭에 구성하고, 그 싱크블럭을 미리 정해진 트랙포맷에 따라 배치하는 트랙포맷터와,
    상기 트랙 포맷터의 출력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테이프에서 데이타를 독출하는 데크부와,
    상기 테이프에서 독출된 데이타에서 유효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대해 트릭플레이시에는 트릭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출력하고, 정상플레이시에는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만을 출력하는 트랙데이타 추출부와,
    상기 트랙플레이시에 상기 트랙데이타 추출부로부터 트릭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중 직류 계수에 대한 데이타를 제공받아 차분 펄스 부호 변조하는 차분 펄스 부호 변조부와,
    상기 차분 펄스 부호 변조부의 출력에 대해 가변장 부호화하는 가변장 부호화부와,
    상기 트릭플레이시에 상기 가변장 부호화부의 출력과 트랙데이타 추출부에서 제공하는 트릭플레이를 위한 데이타중 교류 계수에 대한 데이타를 제공받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구성하고, 정상플레이시에 상기 트랙데이타 추출부에서 제공하는 정상플레이를 위한 데이타를 제공받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구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코더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1394 데이타 패킷으로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KR1019970072552A 1997-12-23 1997-12-23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552A KR100251930B1 (ko) 1997-12-23 1997-12-23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552A KR100251930B1 (ko) 1997-12-23 1997-12-23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992A KR19990052992A (ko) 1999-07-15
KR100251930B1 true KR100251930B1 (ko) 2000-04-15

Family

ID=1952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5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1930B1 (ko) 1997-12-23 1997-12-23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133B1 (ko) * 2000-06-26 2003-09-06 (주)크립토텔레콤 영상 데이터 압축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5620B1 (ko) * 2000-09-22 2003-05-28 (주)웰파인 개량된 엠펙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3666B1 (ko) * 2001-03-20 2003-08-06 (주)다넷 동영상 압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992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1469C2 (ru) Видео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ющее внутрикадровую видеокомпрессию, совместимую со стандартом мпег-2
KR100446365B1 (ko) 화상 전송 방법
JP3037407B2 (ja) デジタル信号処理システム
US6160844A (en) Processing digitally encoded signals
KR19980063690A (ko) Dct 베이스 기술을 사용하여 압축된 정보를 기억함에 의해 압축해제에 필요한 메모리를 감축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코더
JP2000278692A (ja) 圧縮データ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並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US5845041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high efficiency encoding
US5852706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tra-frame and inter-frame encoded video data arranged into recording frames
US5291283A (en) Decoding apparatus of a compressed digital video signal
KR100682819B1 (ko) 데이터압축시스템
KR100262788B1 (ko) 디지탈 정보 신호 전달 장치 및 방법
US5680266A (en) Bit-stream allocating and restoring method for digital VCR and data compressing/decompr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581360A (en) Methods and systems for dubbing a variable-length encoded digital video signal on a record medium
KR100251930B1 (ko) 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JP3850015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伝送装置
JP3381630B2 (ja) データ生成方法
KR100268489B1 (ko) 비디오정보기록및재생방법과장치와그에따른디지탈비디오카세트레코더
JP3143970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8125967A (ja) 画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3158603B2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伝送装置
JP3232750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符号化およびフレーム化装置
KR950003634B1 (ko) 디지탈화상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JP3727236B2 (ja) 映像記録装置及び映像再生装置
JP3381723B2 (ja) データ生成装置
JP3381725B2 (ja) データ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