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3562B1 -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62B1
KR950003562B1 KR1019920018707A KR920018707A KR950003562B1 KR 950003562 B1 KR950003562 B1 KR 950003562B1 KR 1019920018707 A KR1019920018707 A KR 1019920018707A KR 920018707 A KR920018707 A KR 920018707A KR 950003562 B1 KR950003562 B1 KR 950003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eck
recording
control signal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020A (ko
Inventor
전병후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562B1/ko
Priority to JP5254538A priority patent/JPH06208742A/ja
Publication of KR94001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블랭크 테이프 부분 탐색 및 녹화 과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
제3도는 제2도에 예시된 블랭크 테이프 참조단계를 구체화하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이머 마이컴 15 : 서보/시스콘 마이컴
18 : 데크 20 : 디지트론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CR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화에 사용하려는 녹화 대상 비디오 테이프 중의 공백 또는 블랭크(blank) 부분을 찾아 녹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비디오 테이프에 원하는 프로 또는 내용을 녹화하고자할 때는 그 테이프가 기록된 내용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그 테이프를 소정 부분 되감기하거나 또는 그대로 재생하여 확인해 보아야 한다. 만일 확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녹화하는 경우, 그 테이프가 간직하고 싶은 중요한 내용이 담겨있는 테이프라면 이미 기록된 내용이 모두 소실되어 버리게 될 것이다.
통상, 비디오 테이프는 시간 용량별로 60분, 90분, 120분용의 테이프가 시판되고 있다. 예를들면, 120분용 테이프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내용, 예로, 생활 영어등을 약 20분 녹화한후, 이를 반복 재생하여 복습하다가 새로운 또는 다음번의 내용을 녹화하고자할때, 경우에 따라서는 부주의로 기록된 테이프 부분위에 중복 기록하여 애써 기록한 내용을 지워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예약 녹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테이프의 공백 부분을 미리 찾아놓고 그 부분부터 예약 녹화해두어야 했다. 또한 갑자기 녹화하려는 녹화 방식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으며, 이때 공백 부분을 정확히 찾아 맞추어 놓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녹화에 사용하려는 대상 테이프 부분중의 공백 부분을 자동적으로 찾아 녹화하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 메모리 수단 및 데이타 메모리 수단을 가지며, 데크(18)내에 장착되는 테이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0)을 구동시키는 타이머 마이컴(10)과, 테이프가 장착되며 테이프의 구동과 관련한 메카니즘을 가지는 데크(18)와, 상기 데크(18)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 마이컴(10)으로 데크의 상태를 전달하며 상기 타이머 마이컴(10)으로 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서보/시스콘 마이콤(15)을 포함하는 VCR의 녹화방법은, 녹화모드시, 상기 데크(18)내에 녹화에 사용하려는 녹화 대상 테이프를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빠른 속도로 전전시키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 상기 전진시킨 테이프를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빠른 속도로 되감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 상기 되감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상기 테이프로부터 콘트롤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 상기 콘트롤 신호가 검출될 때 상기 테이프내에 녹화된 내용이 있음을 나타내는 제1표시와, 상기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녹화된 내용이 없음을 나타내는 제2표시를 상기 표시수단(20)에 발생하는 단계와 ; 상기 제1표시가 있을 때, 상기 테이프가 장착된 데크(18)를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지점까지 고속 전진시키고, 상기 제2표시가 있을때 상기 데크(18)를 콘트롤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고속 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일실시태양으로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VCR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된다.
도면 부호(10)은 타이머 마이컴으로서 내부적으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프로그램이 내장된 프로그램 메모리(ROM)(도시안됨)와 데이타 메모리(RAM)(도시안됨)를 포함한다. 디지트론(20)은 제3도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타이머 마이컴(1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녹화 대상 테이프의 사용 가능여부를 사용자에게 특정 표시로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보/시스콘 마이컴(15)은 각기 타이머 마이컴(10)과 시리얼로 데이타를 수수하며, 테이프에 관련한 구동을 위한 데크(18)를 제어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같이, 데크(18)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테이프의 로딩을 감지하는 스위치 수단과, 테이프의 콘트롤 트랙으로부터 콘트롤 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로딩된 테이프를 전후로 구동시키는 구동 메카니즘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알고 있는 바와같이, 비디오 테이프에는 영상, 음성 및 콘트롤(제어) 신호가 함께 기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블랭크"라는 용어는 아직까지 아무신호도 기록되지 않은 테이프의 미사용 부분을 의미한다.
먼저, 제3도를 참조하면,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작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단계로서 녹화에 사용하려는 녹화 대상 테이프가 현재 공테이프(또는 블랭크) 테이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도시된다. 이러한 블랭크 테이프 판별 방법은 본 발명과 동일자로 출원하는 "블랭크 테이프 판별 방법"이라는 명칭의 특허출원 92- 호의 내용을 참조한 것으로, 동 도면에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서보/시스콘 마이컴(15)은 타이머 마이컴(10)과의 데이타 통신에 따라 녹화 대상 테이프가 데크(18)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데크(18)내에 장착된 테이프를 먼저 사전설정된 시간, 예로, 약 1초정도 고속 전진(FF)시킨후(단계 C1), 다시 상기 사전 설정된 시간, 예로, 약 1초동안 후진(REW)시킨다(단계 C2). 이들 단계는 통상적으로 테이프의 녹화 상태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되감은 후 재생(PLAY)하면서 확인해보는 작동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이들 단계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사용자가 재생 화면을 굳이 시청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녹화 상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테이프가 되감길때도 테크내의 제어 헤드로부터 콘트롤신호가 판독될 수 있기 때문에, 서보/시스콘 마이컴(15)은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감지한다(단계 C3). 테이프로부터 콘트롤 신호가 감지되면, 녹화 대상 테이프는 이미 기록된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소거시키지 않아야 하는 귀중한 내용을 담고 있는 테이프일 수도 있다. 서보/시스콘 마이컴(15)으로부터 콘트롤 신호가 있음을 전송받은 타이머 마이콤(10)은 디지트론(20)의 각각의 세그먼트로 전압 제어 신호를 제공하므로써, 소정의 표시, 예를들면, "CTL"이라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보여줄수 있다(단계 C4). 그리고 콘트롤 신호 판단 단계(C3)에서, 테이프로부터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단계 C5로 진행하고 단계 C5에서는 타이머 마이컴(10)에 의해 디지트론(20)을 표시 모드로 작동시키되, "CTL"표시를 오프시킨다. 이 상태는 현재 녹화 대상 테이프가 블랭크 부분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제, 제2(a)도 및 제2(b)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녹화 대상 테이프의 공백부분을 찾아 녹화하는 방법의 실시예가 도시되며, 제2(a)도는 TV프로그램 시청중 긴급히 녹화할 필요가 있을때 실행되는 과정을 예시하며, 제2(b)도는 통상적인 예약 녹화시 실행되는 과정을 예시한다.
제2(a)도의 단계 A1에서, 타이머 마이컴(10)은 녹화키(도시안됨)의 입력을 판단한다. 녹화키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도록 타이머 마이컴(10)에 의해 그 작동이 처리될 수 있는 새로운 특정 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본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녹화 키 또는 원터치 레코드(one touch record)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녹화키의 입력을 감지한 타이머 마이컴(10)은 상기 제3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같은 표시(즉, CTL)가 작동중인가를 판단한다(단계 A2). 현재 이 표시가 온되어 있다면, 블랭크 테이프 판별 과정에서 수행되었던 바대로 녹화 대상 테이프는 녹화된 내용을 담고 있는 비디오 테이프는 테이프인 것이다. 따라서, 단계 A3에서 타이머 마이컴(10)은 서보/시스콘 마이컴(15)으로 하여금 데크(18)내에 장착된 테이프에 대하여 녹화되어 있지 않은 공백 부분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녹화된 테이프 부분을 빨리 통과시키는 고속 전진(FF) 모드로 작동시키게 한다. 그러나, 단계 A2에서 현재 표시가 오프 상태이면, 블랭크 테이프 판별 과정에서 확인된 바와같이 녹화 대상 테이프는 현재까지는 블랭크 부분을 가진 테이프인 것이다. 따라서, 단계 A4에서, 타이머 마이컴(10)은 상기 단계 A3와 반대로 서보/시스콘 마이컴(15)으로 하여금 데크(18)내에 장착된 테이프에 대하여 녹화가 끝난 부분을 찾아 그 부분부터 곧바로 녹화시키기 위하여 공백 테이프부분을 빨리 통과시키는 고속 후진(REW) 모드로 작동시키게 한다.
단계 A3에서 녹화 대상 테이프를 고속 전진시키는 동안 단계 A5에서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면, 아직까지도 테이프가 녹화된 내용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테이프를 계속 전진시킨다. 만일 테이프를 끝부분까지 진행시켜도 콘트롤 신호가 검출된다면, 사용자는 현재의 녹화 대상 테이프를 새로운 테이프로 교환하여 단계 A1부터 다시 시작하여야 할 것이다.
그 반면에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그 부분부터 녹화된 내용이 없는 공백 부분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서보/시스콘 마이컴(15)은 고속 전진 작동을 멈추고 사용자가 지정한 대로 녹화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단계 A7).
한편, 단계 A4에서 녹화 대상 테이프를 고속 후진시키면서, 단계 A6에서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아직까지도 공백 부분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녹화 대상 테이프로부터 콘트롤 신호가 발생되는 부분까지 계속 고속 후진시킨다. 어느 시점에서 콘트롤 신호가 발생되면, 바로 그 부분에 이어 새로운 내용이 녹화될 수 있도록 고속 후진 작동을 멈추고 사용자가 지정한 대로 녹화 모드로 진행한다(단계 A7).
통상적인 예약 녹화와 관련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2(b)도를 참조하면, 단계 B1에서, 타이머 마이컴(10)은 예약 설정 키(도시안됨)가 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예약 설정 키도 제2(a)도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작동을 시작시키는 특정 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전형적인 예약 설정 키 또는 상기 언급된 원터치 레코드키일수도 있다. 이러한 세가지 경우 통상의 예약 녹화 단계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B2에서, 타이머 마이컴(10)은 예약 녹화 예정시간의 약 5분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이러한 시간은 테이프의 공백 부분을 찾기에 충분한 시간적 여부를 감안한 기간이다. 이 시간에 도달하면, 단계 B3에서 타이머 마이컴(10)은 제3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표시 상태를 판단한다.
제2(a)도에 도시되고 기술된 작동과 마찬가지로, 표시 상태에 따라 단계 B4에서 테이프를 고속 전진시키면서 단계 B6에서 콘트롤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또한, 단계 B5에서 테이프를 고속 후진시키면서 단계 B7에서 콘트롤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 B6와 단계 B7를 거치면서 녹화 대상 테이프에 대하여 이미 녹화된 부분의 바로 뒤이은 공백부분에 새로운 내용이 녹화될 수 있는 준비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서보/시스콘 마이컴(15)은 모든 작동을 멈추게 하며, 타이머 마이컴(10)은 예약 녹화 설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라 녹화 대상 테이프의 이미 녹화된 부분에 뒤이은 공백 부분을 찾아 그 공백 부분부터 자동적으로 녹화 작동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녹화하고자 할때 수고스럽게 테이프에 담겨진 내용을 확인한 다음 비로서 녹화 작동을 진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Claims (1)

  1. 프로그램 메모리 수단 및 데이타 메모리 수단을 가지며, 데크(18)내에 장착되는 테이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0)을 구동시키는 타이머 마이컴(10)과, 테이프가 장착되며 테이프의 구동과 관련한 메카니즘을 가지는 데크(18)와, 상기 데크(18)를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 마이컴(10)으로 데크의 상태를 전달하며 상기 타이머 마이컴(10)으로 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서보/시스콘 마이컴(15)을 포함하는 VCR의 녹화방법에 있어서, 녹화모드시, 상기 데크(18)내에 녹화에 사용하려는 녹화 대상 테이프를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빠른 속도로 전전시키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 상기 전진시킨 테이프를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빠른 속도로 되감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 상기 되감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상기 테이프로부터 콘트롤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 상기 콘트롤 신호가 검출될 때 상기 테이프내에 녹화된 내용이 있음을 나타내는 제1표시와, 상기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녹화된 내용이 없음을 나타내는 제2표시를 상기 표시수단(20)에 발생하는 단계와 ; 상기 제1표시가 있을때, 상기 테이프가 장착된 데크(18)를 콘트롤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지점까지 고속 전진시키고, 상기 제2표시가 있을 때 상기 데크(18)를 콘트롤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고속 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KR1019920018707A 1992-10-12 1992-10-12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KR95000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707A KR950003562B1 (ko) 1992-10-12 1992-10-12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JP5254538A JPH06208742A (ja) 1992-10-12 1993-10-12 ビデオテープの空白部分探索装置および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707A KR950003562B1 (ko) 1992-10-12 1992-10-12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020A KR940010020A (ko) 1994-05-24
KR950003562B1 true KR950003562B1 (ko) 1995-04-14

Family

ID=1934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707A KR950003562B1 (ko) 1992-10-12 1992-10-12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918B1 (ko) * 2021-12-08 2022-07-29 농업회사법인(유)카야시스템 미생물 탈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020A (ko) 199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54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recording speed of a recorder
US5426534A (en) Multiple-deck magnetic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er
KR950003562B1 (ko) 비디오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 탐색 및 녹화 방법
US5210661A (en) Method of skipping unrecorded areas while playing back a record medium on a drive
US5379163A (en) Continuous reproduction method of tapes for a double-deck VTR
KR950003559B1 (ko) 블랭크 테이프 판별방법
KR940008878B1 (ko) 되감기모드를 자동수행하는 예약녹화방법
JP2654422B2 (ja) 磁気録画再生装置
KR0151167B1 (ko) 녹화 위치 자동설정 및 테이프 잔량 표시방법
KR0147974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녹화시 비디오 테이프의 위치 자동 설정 방법
KR100212553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예약 녹화 가능 시간 표시 방법
KR100207318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차기모드 예약기능 제어방법
KR100199868B1 (ko) 비디오테이프의 재녹화방지제어장치
JP2545628B2 (ja) 磁気再生方式
KR930001252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안전기록 제어회로
KR100221723B1 (ko) 브이시알 시스템에서 제로스톱 기억처리 방법
JPH0831043A (ja) 磁気記録及び/または再生装置のテープリワインド方法
JPH1118545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17444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80031187A (ko) 비디오 테이프의 잔량 측정 방법
KR19980011839U (ko) 제로스톱 단축키 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JPH0714245A (ja) 情報記録もしくは再生装置の操作方法
JPH062207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制御回路
JPS5880143A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表示装置
JPH04254935A (ja) Vtrのタイマ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503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