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2665B1 - 비데오 텍스 단말기 - Google Patents

비데오 텍스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665B1
KR950002665B1 KR1019860007592A KR860007592A KR950002665B1 KR 950002665 B1 KR950002665 B1 KR 950002665B1 KR 1019860007592 A KR1019860007592 A KR 1019860007592A KR 860007592 A KR860007592 A KR 860007592A KR 950002665 B1 KR950002665 B1 KR 950002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key
screen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647A (ko
Inventor
다까노부 이시도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기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0007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603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1172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340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기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기이샤
Publication of KR87000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6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04M11/08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using a television receiver, e.g. viewdata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텍스 단말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2도는 테이블 메모리의 구조 및 내용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제3도는 데이타 메모리의 구조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제4도는 테이블 메모리의 내용의 변화시 다이어그램.
제5도는 데이타 메모리의 내용의 변화시 다이어그램.
제6도 및 7도는 제l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데이타 기록 모드 및 데이타 재호출 모드시 단말기 작동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8도는 담말기 유니트의 캐러셀(carrousel) 모드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플로우챠트.
제9a 내지 9h도는 캐리셀 테이블을 설명하는네 사용된 표시 스크린 상에서 표시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억 키 2 : 재호출 키
9 : 리턴 키 11: 버퍼 메모리
l2 : 데이타 메모리 l3 : 테이블 메모리
14 : 데이타 검출기 15 : 데이타 영역 검색기
16 : 데이타 소거기.
본 발명은 비데오 텍스 센터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고, 데이타 메모리 내에 데이타를 기억하며, 선별하여 데이타로 판독하고, 표시 스크린 상에 상기 판독된 데이타를 표시하는 비데오 텍스 단말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데오 텍스 단말기에서, 비데오 센터로 부터 데이타를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하고, 선별하여 데이타를 판독하고 CRT 스크린 상에 판독된 데이타를 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비데오 텍스 단말기 유니트는 고정된 데이타 메모리 영역 및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타 영역을 초과하여 많은 양의 데이타가 완전히 기억될 수 없었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타 영역의 많은 부분이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아, 결과적으로 데이타 메모리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가져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오 텍스 센터로 부터 데이타를 데이타 메모리에 효과적으로 기억시킬 수 있는 비데오 텍스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데오 텍스 단말기 유니트는 비데오 텍스 센터로 부터 임의의 데이타 양을 임의의 메모리 영역에 기억하기 위한 데이타 메모리(12) 및 각 메모리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 및 데이타 크기를 지속하기 위한 테이블 메모리(13)를 구비한다. 테이블 메모리의 내용이 새로운 인입 데이타를 위하여 빈 메모리 영역을 조사하는네 사용되고, 필요할때 새로운 데이타가 메모리 영역 내에 있는 오래된 데이타를 소거한 후 영역내에 기억되며, 새로운 데이타를 위한 영역 개시 어드레스 및 데이타 크기가 테이블 메모리에 설정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관한 정체 장치를 도시하는 제1도에, 비데오. 텍스 단말기 유니트는 작동키(1 내지 9)를 포함한다.
상기는 기억 키(1), 재호출 키(2),(키 0,1,2,..,9를 구비하는) 10키 세트(3), Y키(4), N키(5), D키(6), '7/'키(7), 시프트 키(8), 리턴 키(9)이다. 작동 블록 사이에서, 키 신호 발생기(10)는 키(1 내지 9)의 작동에 응답하여 키 신호를 발생한다. 데이타 메모리(12)는 비데오 텍스 센터로 부터 임의의 데이타 양을 임의의 메모리 영역에 기억한다. 테이블 메모리(13)는 각 메모리 영역 번호에 일치하여 영역 개시 어드레스및 데이타 크기와 메모리 영역 번호에 따라 메모리 영역에 기억된 데이타의 코멘트(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버퍼 메모리(11)는 일시적으로 버퍼 메모리가 데이타 메모리(12)로 이송하기 전에 비데오 텍스 센터로 부터 데이타를 가지고 있다. 데이타 검출기(14)는 버퍼 메모리(11)에 데이타의 유무를 검출한다. 메모리 영역 검색기(15)는 데이타 메모리(12)에 빈 메모리 영역 및 메모리 영역 번호를 위하여 테이블 메모리(13)를 찾는다. 데이타 소거기(16)는 데이타 메모리(12)에서 기억된 데이타를 소거한다. 표시 제어기(18)는 CRT 유니트(18)와 같이 표시 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한다.
작동 블록(12 내지 17)은 키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제어되고, 작동 블록(11 내지 16)은 또한 서로 제어되며, 작동 블록(17)은 또한 작동 블록(10,12 내지 16)의 제어하에 있다. 작동 블록(10 내지 17)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이에 결합된 메모리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메모리 블록(11,12,l3)은 외부 반도체 메모리 또는 산만한 디스크 메모리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음에, 제1도의 테이블 메모리(13) 및 데이타 메모리(12)는 제2도 및 3도에 관하여 서술될 것이다. 데이타 메모리(12)는 예를들어 20 메모리 영역까지 가질 수 있으며, 그들은 1부터 20까지 번호가 부여된다. 데이타 메모리는 32k 비트의 기억 용량을 갖는다. 테이블 메모리(13)는 각 2바이트, 2바이트 및 13바이트 길이로서 데이타 메모리의 각 메모리 영역의 엔트리 같은 개시 어드레스, 데이타 크기, 및 코멘트를 기억한다.
게다가, 테이블 메모리(13)는 빈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 및 데이타 메모리(12)내에 데이타 크기를 기억하기 위해 2바이트 영역을 갖는다. 테이블 메모리(13)에서, 엔트리 1의 개시 어드레스는 멀티 B이고, 엔트리2의 개시 어드레스는 멀티 B+17바이트이며, 마지막으로 빈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는 멀티 B+17×20바이트이다. 각 엔트리를 위한 코멘트 필드는 코멘트(타이틀) 같은 12알파베트 문자를 기억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데이티 메모리(12)는 0000으로 표시된 개시 어드레스를 갖는다. 예를들어, 제3도에서 데이타는 엔트리 2의 메모리 영역에 기억된다. 엔트리 2는 테이블 메모리(13)내 엔트리 2를 위해 개시 어드레스의 필드내에 지속되는 XXXX로 표시된 개시 어드레스를 갖는다. 데이타 메모리(12)내 엔트리 2는 테이블 메모리(13)내 엔트리 2를 위해 데이타 크기의 필드내에 지속되는 OPQR의 데이타 크기를 갖는다. 데이타 메모리(12)는 다른 엔트리 영역내에 또다른 데이타를 포함하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는다. 데이타 메모리(12) 빈 영역을 가지며, 개시 어드레스(ZZZZ)는 테이블 메모리(13)내 빈 영역 개시 어드레스의 필드로 지속된다.
다음으로 데이타 메모리(12)내 기억된 데이타 소거부의 작동이 제4도 및 5도에 도시된다. 제4도는 테이블 메모리(13)의 내용에서 변화를 도시하고 제5도는 데이타 메모리(12)의 내용에서 변하를 도시한다.
제5도에서, 데이타 메모리(12)는 처음에 엔트리 2, 엔트리 5, 엔트리 12, 엔트리 17 및, 엔트리 3의 영역에 데이타를 포함하고 상기 개시 어드레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 RRRR, SSSS, TTTT 및 QQQQ가 테이블 메모리(13) 각 엔트리 개시 어드레스 필드에 지속되며, 상기 데이타 크기 aaaa, rrrr, ssss, tttt 및 qqqq가 테이블 메모리(13)의 각 데이타 크기 필드에 지속된다. 데이타 메모리(12)내 빈 영역 개시 ZZZZ는 또한 처음에 테이블 메모리(13)의 개시 어드레스 필드에 지속된다.
상기 메모리 상태에서, 예를들어, 데이타 메모리(12)내 엔트리(12)에서 데이타 소거는 다음과 같이 된다. 제5도의 우측부는 데이타 메모리(12)내에 엔트리(12) 영역이 소거되며, 변화후에 빈 영역이 ssss만큼 증가된 데이타 크기를 갖는다. 데이타 메모리에서, 변화 후에 엔트리 17은 새로운 개시 어드레스 TTTT-ssss를 가지며, 엔트리 3은 새로운 개시 어드레스 QQQQ-ssss를 가지며, 빈 영역은 새로운 개시 어드레스 ZZZZ-ssss를 가지고, 상기 새로운 개시 어드레스는 제4도의 우측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메모리(13)의 각 개시 어드레스 필드에 기억된다. 변화후에, 테이블 메모리(13)는 데이타 메모리(12)의 상기 영역에 기억된 데이타가 없는 것을 표시하는 FFFF를 지속하는 엔트리(12)를 위해 개시 어드레스 필드를 가지며, zzzz+sss를 지속하는 빈 영역 데이타 크기 필드를 갖는다.
테이블 메모리(13)는 처음에 데이타 메모리 (12)내 데이타 영역의 엔트리 번호에 일치하여 코멘트를 기억하고, 데이타 메모리의 영역이 소거된 데이타일때, 테이블 메모리의 대응 코멘트도 또한 소거된다.
새로운 데이타가 데이타 영역(12)에 기억되는 경우, 메모리 영역은 빈 영역을 바로 앞서 나가는 위치에 설정된다.
다음에 데이타 기억 모드시 제1도에 기억된 비데오 텍스 단말기 유니트의 작동이 서술될 것이다.
처음에, 기억 키(1)가 작동된다(단계 ST-101) 상기 키 엔트리에 응답하여, 데이타 검출기(14)는 비데오 텍스 센터로 부터 송신된 데이타 존재를 위해 버퍼 메모리(11)를 찾으며, 만약, 데이타가 부재라면, 표시 유니트(18)상에서 "데이타가 없음"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 제어기(17)상에서 작동한다(단계 ST-102).
만약 데이타가 버퍼 메모리(11)에 지속되는 것이 발견된다면, 데이타 검출기(14)는 메모리 영역 검색기(15)를 제어한다. 메모리 영역 검색기(15)는 테이블 메모리(13)가 데이타 크기를 고려하여 새로운 데이타를 기록(기억)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긍정적인 검사 결과에 따라, 메모리 영역 검색기(15)는 데이타메모리(12), 즉, 자동선정을 표시하기 위해 또한 표시 유니디(18)상에 고멘트 엔트러를 재촉하기 위해 "코멘트 작동"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 제어키(17)상에서 작동한다. 오퍼레이터는 12문자 내로 코멘트를 고정하고, 리턴 키(9)를 누른다(단계 ST-104). 코멘트가 다른 코멘트와 일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7/'키는 시프트 키(8)와 함께 누르고, 그후, 리턴 키(9)를 누른다(단계 ST-105). 따라서, 엔트리 번호(l 내지 20)및 코멘트 메뉴는 표시 유니트(18)상에서, "메모리 작동"이라는 메시지를 잇따르며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메뉴를 참조함으로써 새로운 엔트리 번호를 위해 코멘트를 작동한다(단계 ST-104) 새로운 데이타는 데이타 메모리(l2)에 기억되며, 개시 어드레스 데이타 크기 및 코멘트는 테이블 메모리(13)에 기억된다. 코멘트는 표시 유니트(l8)상에서 메뉴의 새로운 엔트리 번호로 표시되며 메시지"기억됨"이 표시된다(단계 ST-107) 그후에, 단말기 유니트는 비데오 텍스 단말기 모드가 된다(단계 ST-108).
만약 데이타 에모리(12)가 데이타 크기를 고려하여 또다른 데이타를 기억할 수 있는지에 관해 메모리 영역 검색기(15)가 테이블 메모리(13)의 검사에 부정적인 결과를 갖는다면, 데이타 메모리에 또다른 데이타의 기억을 거부를 표시하는 표시 유니트(18)상에 메뉴 및 메시지 "과도 에러 ! 소거 번호 선택"을 표시하고, 데이타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타의 엔트리 번호가 오래된 데이타를 소거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표시제어기(17)상에서 작동한다(단계 ST-109). 그다음, 메뉴와 메시지 "소거 번호 xx?"의 형태로 소거하기 위해 선택된 엔트리 번호는 표시 유니트 상에서표시된다(단계 ST-111). 오퍼 레이터는 엔트리 번호의 배치시 Y키(4)를 누르거나(단계 ST-112), 만약 표시된 엔트리 번호가 틀린다면 N키(5)를 누른다(단계ST-113). Y키(4)에 응답하여, 엔트리 번호에 따라 데이다 메모리(12)에서 데이타가 소거되고, 테이블 메모리에서 이와 결합된 코멘트가 소거되고, 다른 메모리 내용이 수정되며, 표시 유니트(18)의 스크린으로 부터 엔트리 번호의 코멘트를 제거하기 위해 표시 제어기(17)를 제어하도록 키 신호 발생기(10)가 데이타 소거기(16)를 제어한다. 단계 ST-112는 ST-101의 부정적인 결정 위치로 이어지며, 반면에 단계 ST-113은 ST-109의 상단으로 이어진다.
다음에, 데이타 재호출 모드시 제1도에 도시된 비데오 텍스 단말기 유니트의 작동이 제 7 도에 도시된다. 처음에 재호출 키(2)가 작동된다(단계 ST-201). 상기 키 엔트리에 응답하여, 메뉴와, 데이타 메모리(12)에 데이타 소거를 표시하는 메시지 "소거된 번호 선택" 및 표시 유니트(18)상에서 데이타 메모리(12)에 있는 데이타 선택을 표시히는 메시지 "엔트리 번호 선택"을 표시하기 위해 키 신호 발생기(10)가 표시 제어기(17)를 작동한다. 데이타 메모리(12)에서 데이타를 선택하고, 데이타 유니트(18)상에 선택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해, 오퍼레이터 10키 세트(3)를 사용하는 호출 번호를 입력하고, 리턴 키(9)를 누른다(단계 ST-203).
데이타가 규정된 엔트리 번호에 따라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는지를 알기 위해 메모리 영역 검색기(15)가 테이블 메모리(13)를 찾는다. 만약 데이타가 기억된 것을 발견한다면, 테이블 메모리(l3)는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 데이타 메모리(12)를 제어하며, 표시 유니트(18)상에 표시 제어기(17)에 의해 표시된다(단계ST- 204).
그후, 단말기 유니트는 비데오 텍스 단말기 모드가 된다(단계 ST-205). 반면에, 만약 데이타가 규정된 엔트리 번호에 따라 메모리 영역에 부재된다면, 표시 제어기(17)는 메뉴아 빈 표시 유니트(18)상에 빈 메모리 영역을 표시하는 메시지 "부재"를 표시하기 위해 제어된다. 호출 번호가 1 내지 20까지의 숫자가 아닐때, 표시 유니트(18)를 또다른 수를 입력시키도록 지시하는 "다시 하시오"하는 메시지릍 표시하기 위해 작동된다(단계 ST-207). 상기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제어 순차는 ST-201의 마지막으로 진행된다.
데이타 메모리(12)에서 임의의 데이타를 소거하기 위해, D키(6)가 처음 작동이 되고(단계 ST-208), 다음 소거될 수를 입력시키기 위해(0개의 키 셋트(3)가 이동되며, 최종으로 리턴 키(9)를 누른다(단계 ST-209).
다음 메모리 영역 검사기(12)에서 정해진 입력수를 메모리 영역에 입력되있는가를 알기 위해 테이블 메모리(13)를 조사한다. 만약 데이타가 기억된 것으로 판명되면 표시 유니트(18)는 메뉴와"소거 번호 xx?"의 메시지 형태로 소거될 입력수를 표시한다. 오퍼레이터는 만약 입력숫자가 정확하다면 Y키(4)를 누르고(단계 ST-211) 만약 정확하지 못하면 N키(5)를 누른다(단계 ST-212) Y키(4)에 응답하여 키 신호 발생기(10)는 데이타 메모리(12)에 스크린를 입력하여 데이타를 소거하는 소거기(16)를 제어하고, 테이블 메모리(13)에 있는 연관된 명령 및 다른 메모리 내용은 수정이 되고 또한 표시 유니트(18)의 스크린으로 부터 입력된 수에 대한 명령을 소거하기 위해 표시 제어기(17)상에서 작동을 한다(단계 ST-213). ST-2l2 또는 ST-2l3후, 순차는 ST-201의 마지막으로 돌아간다
다음은 표시 유니트(18)의 스크린 상의 데이타 메모리(12)에 기억된 데이타를 표시하는 또다른 방법을 기술한다. "캐러셀"모드라 불리는 상기 표시 작동에서 데이타 메모리(12)에 기억된 데이타는 규정된 순서와 시간길이에 따라 표시 유니트(18)상에서 주기적으로 표시된다. 캐러셀 모드에서 단말기 유니트의 작동은 제8도의 흐름도 및 제9a도 내지 제9h도에 도시된 표시 유니트 상의 표시부를 참고로 예를들어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초기 모드에서, 스크린 번호 테이블은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하부에 있는 메시시 다음에 표시가 된다. 메시지에 따라서 예를들어, 오퍼레이터가 C키(제1도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누를때, 스크린 하부의 메시지는 사라지고(단계 1), 그리고 캐러셀 표가 스크린의 우측부에 나타난다(단계 2). 캐러셀 모드의 명령어가 스크린의 하부에 표시가 된다(단계 3). 그리고 단말기 유니트는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캐러셀 모드로 된다.
케러셀 모드에서 편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숫자 키, 예를들어 "3"을 누르고 리턴 키를 누르면, 스크린의 하부에 표시된 캐러셀 모드 명령어는 소거되고 캐러셀 편집 모드를 위한 편집 모드의 명령어가 제9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단계 5).
다음 세트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숫자 키, 예를들어 "1"을 누르고 리턴 키를 누르면, 스크린의 하부에 표시된 편집 모드 명령어는 소거되고, 스크린 번호 선택을 위한 메시지가 표시되며, 제9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러셀 테이블에서 "첫번째"라는 표시가 깜빡이게 된다.
스크린 번호 2(스크린명 2222)의 표시 예로서, "2"키와 리턴 키를 누르면, 다음 캐러셀 테이블의 첫번째 입력 필드는 "2"의 표시를 가지며, 스크린 하부의 메시지는 소거되고, 표시 시간 선택을 위한 또다른 메시기자 제9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3초 동안 스크린 번호 2를 갖는 222를 표시하려고 하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3"키를 누르고, 다음 리턴 키를 누른다. 다음 캐러셀 테이블의 첫번깨 타이머 필드는 "3"의표시를 가지며, 스크린의 하부에 있는 메시지는 소거되고, 제9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모드 명령어가 표시된다. 만약 세트 모드가 선택되고, 예를들어 5초 동안 두번재로 스크린 번호 1(스크린명:1111)을 표시하려고 하는 경우, 마찬가지의 캐러셀 테이블이 두번째 입력 필드에시는 표시 "l"로 이루어지고, 두번째 타이머 필드에서는 표시 "5"로 이루어지며, 편집 모드 명령어는 제9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하부에시 표시된다.
삽입 작동에 있어서 삽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숫자 키 "2"를 누르고 다음 리턴 키를 누르며, 소거 작동을 위해서는 삭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숫자 키 "3" 누르고 다음 리턴 키를 누른다.
캐러셀 테이블이 완성된 후, 예를들어, ESC 키(제1도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누르면, 스크린의 하부에서 편집 모드 명령어가 삭제되게 하고, 단말기 유니트는 제9h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하부에 표시된 명령어(단계 3)를 갖는 캐러셀 모드로 된다.
캐러셀 모드에서, 예를들어 실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숫자 키 "2"를 누르고 다음 키를 눌렀을때(단계4), 단계 6에서 캐러셀 테이블이 만들어졌는가를 시험해본다.
만약 캐러셀 테이블이 만들어진 것을 확인한경우, 캐러셀 테이블에 따라 주기적 표시가 생긴다(제2도에서 26). 예를들어, 캐러셀 테이블이 제9h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되었을때, 스크린 번호 2를 갖는 스크린(2222)과 스크린 번호 1을 갖는 스크린(1111)은 각각 3초 및 5초 동안 순차대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표시된다. 주기적인 표시 작동 동안 ESC 키가 눌려지면, 캐러셀 모드는 단계 1,2및 3에 의해 회복이 되며, 만약 다른 한편, 캐러셀 모드가 만들어지지 않은경우,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고(단계 10), 캐러셀 모드는 단계 3에 의해 회복이 된다.
캐러셀 모드에서, 디폴트(DEFAULT)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숫자 키 "3"를 누르고 리턴 키를 눌렀을때, 표시 데이타가 단계 8에서 기억되었는지를 시험해 본다. 만약 데이타가 기억되었다고 판명되면 순차는 단계9로 진행이 되고 상기 단계에서는 데이타가 스크린 번호의 순서대로 주기적으로 표시된다. 예를들어, 스크린 번호표가 제9h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이 되었을때, 스크린(1111), (2222) 및 (333)은 규정된 시간 간격으로 스크린 번호의 순서에 따라 표시된다. 주기적인 표시 동작중 ESC 키를 눌렀을때, 캐러셀 모드는 단계1,2 및 3에 의해 회복이 된다. 한편 만약 스크린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면,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고(단계 20), 캐러셀 모드는 단계 3에 의해 회복이 된다. 캐러셀 모드에서,ESC 키가 눌려지면(단계4), 단말기 유니트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술된 사항에서 키 작용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키 작용이 부과될 수 있다. 제 9 도에 도시된 표시 테이블은 테이블 메모리(13)의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테이블 메모리(13)와 별도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캐러셀 기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내용 편집 기능(표시 유니트(18))의 스크린을 이용한 상호 작용 시스템 각 스크린에 대해 표시의 순서(n) 및 표시 시간 길이를 규정하는 스크린 번호의 세팅 n과 n+1사이의 삽입 스크린 번호 및 표시 시간 길이의 소거,
2. 내용 표시 기능(편집 순서에 따른 표시) 정지(임의의 시점에서 표시의 정지 및 재개시) 생략(임의의 시점에서 다음 스크린으로 변환) 에스케이프(캐러셀 기능을 생략함)등의 기능이 있다.

Claims (1)

  1. 비데오 텍스 단말기에 있어서, 비데오 텍스 데이타 소스로 부터 영상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단과; 키보드 수단과; 상기 수선 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타의 유니트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타 메모리 수단과; 개시 어드레스와 상기 유니트의 유니트 수와 연관된 상기 데이타 메모리에 영상 데이타의 각 유니트의데이타 크기를 기억시키는 테이블 메모리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타부터 유도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새로운 영상 데이타가 기억될 수 있는 상기 데이타 메모리 수단에서 메모리 영역을 찾고, 상기 테이블메모리에서 사용되지 않은 유니트 수를 찾으며, 검색된 유니트 번호를 갖는 상기 데이타 메모리 수단의 검색된 메모리 영역에 새로운 영상 데이타를 기록하고, 상기 테이블 메모리 수단의 내용을 상기 데이타 메모리 수단의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키는 메모리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텍스 단말기.
KR1019860007592A 1985-09-10 1986-09-10 비데오 텍스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950002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00078A JPS6260385A (ja) 1985-09-10 1985-09-10 ビデオテツクスの端末装置
JP200078 1985-09-10
JP60211725A JPH0727340B2 (ja) 1985-09-25 1985-09-25 ビデオテツクス端末装置
JP211725 1985-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47A KR870003647A (ko) 1987-04-18
KR950002665B1 true KR950002665B1 (ko) 1995-03-24

Family

ID=2651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592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2665B1 (ko) 1985-09-10 1986-09-10 비데오 텍스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16192A (ko)
EP (1) EP0216248B1 (ko)
KR (1) KR950002665B1 (ko)
DE (1) DE367254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5569A (en) * 1988-02-26 1989-09-20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Multi-page teletext decoder arrangements
US5226109A (en) * 1990-04-26 1993-07-06 Honeywell Inc. Three dimensional computer graphic symbol generator
FR2667973B1 (fr) * 1990-10-15 1995-04-07 Bruno Robert Procede et systeme de memorisation et de restitution de pages affichees sur l'ecran d'un terminal videotex tel qu'un minitel.
KR940002330B1 (ko) * 1991-05-31 1994-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문자방송 화면 표시시간 자동 조정장치
JP3215776B2 (ja) * 1994-12-28 2001-10-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メッセージ受信機
US6463416B1 (en) 1996-07-15 2002-10-08 Intelli-Check, Inc. Authentication system for identification documents
JP2957488B2 (ja) * 1996-09-09 1999-10-0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Fm文字多重放送受信機
JPH1155203A (ja) * 1997-07-18 1999-02-26 Hewlett Packard Co <Hp> 送受信システム
US6523741B1 (en) * 1997-09-05 2003-02-25 Dimaria Peter 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rental and sale of age-controlled merchandise and for controlling access to age-controlled services
RU2152139C1 (ru) * 1999-04-09 2000-06-27 Абдрашитова Саида Искандэровна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терактивной видеографии службой циркулярной видеографии
JP4438172B2 (ja) * 2000-03-30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US7708189B1 (en) 2002-05-17 2010-05-04 Cipriano Joseph J Identification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7860318B2 (en) 2004-11-09 2010-12-28 Intelli-Check,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aring documents
US7792522B1 (en) * 2006-01-13 2010-09-07 Positive Access Corporation Software key control for mobile devices
KR20130090236A (ko) * 2012-02-03 2013-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방법, 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10373409B2 (en) 2014-10-31 2019-08-06 Intellicheck, Inc. Identification scan in compliance with jurisdictional or other rul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4382A (en) * 1967-01-03 1968-01-16 Control Image Corp Automatic generation and display of animated figures
US3700792A (en) * 1969-12-04 1972-10-24 Computer Image Corp Computer animation generating system
DE2058681C3 (de) * 1970-11-28 1974-04-11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Im Fernsehmodus arbeitende Einrichtung zum Senden, Empfangen und Darstellen kodierter Informationen
US3736411A (en) * 1971-05-17 1973-05-29 Atomic Energy Commission Graphics display system
US3757037A (en) * 1972-02-02 1973-09-04 N Bialek Video image retrieval catalog system
GB1478695A (en) * 1974-09-26 1977-07-06 Texas Instruments Ltd Data handling apparatus
US4045789A (en) * 1975-10-29 1977-08-30 Atari, Inc. Animated video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4181971A (en) * 1976-02-09 1980-01-01 The University Of Akron Apparatus for presenting a sequence of fixed pictures
US4422105A (en) * 1979-10-11 1983-12-20 Video Education, Inc.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 of video playback devices
JPS5776652A (en) * 1980-10-31 1982-05-13 Toshiba Corp Display system for picture information
FR2544898B1 (fr) * 1983-04-25 1985-07-19 Texas Instruments France Dispositif d'affichage video sur ecran d'affichage par balayage d'une trame ligne par ligne et point par point
GB2146878B (en) * 1983-09-21 1988-09-21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Television systems and receiver arrangements
US4641253A (en) * 1984-06-06 1987-02-03 Maximus, Inc. Process for synchronizing computer video with independent aud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47A (ko) 1987-04-18
US5016192A (en) 1991-05-14
DE3672545D1 (de) 1990-08-16
EP0216248A1 (en) 1987-04-01
EP0216248B1 (en)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665B1 (ko) 비데오 텍스 단말기
JP3162129B2 (ja) 電話装置の高速ダイヤル方法
US4425630A (en) Sequence instruction display system
US4633432A (en) System for transferring document data to non-volatile memory in a word processing apparatus
US4385367A (en) Sequence block display system
US4663736A (en) File deletion system in a file unit
EP0406895B1 (en) An electronic apparatus
JPS5699569A (en) Registered document selecting system of character processing device
JPS6211367B2 (ko)
US4639723A (en) Data display system
JPH09294170A (ja) 移動通信端末
JPH0620185Y2 (ja) 小型電子機器
JPS6316772B2 (ko)
KR100288361B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메모 기능 제어장치
JPH022916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50476B2 (ja) データ処理装置
KR0175028B1 (ko) 소형기억장치의 지워진 데이터의 저장방법 및 복원방법
JPH06324716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SU7860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писи телефонных номеров и реквизитов абонентов
JPS60103429A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S5561879A (en) Optical character reader
JPH04245085A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KR19990048390A (ko) 키폰 데이타 입출력 장치
KR20040033561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영상 처리 장치의 데이타저장 및 복구 방법들과 이 방법들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장치
JPS6319049A (ja) フアイル容量の表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3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3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