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2391Y1 -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391Y1
KR950002391Y1 KR92024641U KR920024641U KR950002391Y1 KR 950002391 Y1 KR950002391 Y1 KR 950002391Y1 KR 92024641 U KR92024641 U KR 92024641U KR 920024641 U KR920024641 U KR 920024641U KR 950002391 Y1 KR950002391 Y1 KR 950002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switch
button
furni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24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133U (ko
Inventor
윤광용
Original Assignee
윤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광용 filed Critical 윤광용
Priority to KR92024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391Y1/ko
Publication of KR940016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9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for display cabinets, e.g. for refrigerated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장치를 나타낸 개폐기와 도어홀더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장치를 오디오랙과 같은 장식장에 적용한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서 가구본체에 부착되는 개폐기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장치에서 가구본체에 부착되는 도어 홀더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장치에서 도어에 부착되는 걸림판의 사시도.
제6도는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본 고안의 조립상태 평면도로서, 제6a도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도, 제6b도는도어를 열기위해 버튼을 누른상태도, 제6c도는 도어가 잠겨진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개폐기
5 : 구동체 10 : 버튼
14 : 도어홀더 16 : 밀편
18 : 래치 18a : 걸림홈
20 : 와이어 22 : 걸림판
23 : 후크
본 고안은 각종 오디오 제품이나 비디오제품을 넣어 보관하는 장식장과 같은 가구의 유리문(이하 "도어"라 칭함)을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기를 가구본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보다 다양한 장식적 효과를 얻을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장식장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 예를들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같은 장치는 도어(2)에 고정되는 개폐기(31)와 장식장 본체(1)에 고정되는 도어홀더(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기는 통상 도어(2)의 일측 상단에 고정되며, 개폐기에는 버튼(32)의 누름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래치편(33)과 상기 래치편의 회전을 구속하여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시기기위한 제어편(3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어편은 별도의 키이(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도어홀더(35)에는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밀어주기위한 밀핀(36)이 스프링(도시는 생략함)을 탄력설치되어 있고 전면 양측에는 개폐기의 래치편(33)이 걸릴수 있는 형상의 걸림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2)를 닫으면 도어홀더(35)에 설치된 밀핀(36)이 스프링을 압측시키면서 후퇴함과 동시에 개폐기(31)의 래치편(33)이 도어 홀더(35)의 걸림돌기(37)에 결합되어 도어는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어를 열기위해 버튼(32)를 누르면 래치편(33)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하여 걸림돌기(37)와의 결합상태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밀핀(36)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전진하여 도어를 열어주게된다.
또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키이구멍을 통해 키이를 삽입하고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편(34)이 키이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래치편(33)을 구속하는 잠금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는 버튼(32)을 눌러도 래치편(33)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장식장내에 넣어진 제품을 어린이들의 장난이나 도난으로 부터 보호할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개폐기와 도어홀더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수 밖에 없는 결점이 있다.
즉, 종래 장치에서는 개폐기가 도어힌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야 도어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므로 개폐기는 필연적으로 도어의 상단끝부분에 고정되며, 상기와 같이 개폐기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함에 따라 도어 홀더의 위치도 한정될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개폐기가 도어에 고정됨에 따라 버튼을 눌러 도어를 개방할때 또는 키이에 의해 도어를 잠글때 도어자체가 유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도어자체의 유동에 의해 도어의 개폐조작 또는 잠금조작이 원활하지 못하며, 개폐기가 스크류에 의해 도어와 결합되는 구조이어서 조립작업시 유리가 손상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개폐기를 도어에 고정하지 않고 장식장본체의 편리한 위치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시킬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것이다.
이하 본고안 장치를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고안장치가 장식장에 설치된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본고안 장치는 크게 나누어 장식장 본체(1)에 설치되는 개폐기(3)와 도어(2)의 일측상단에 설치되는 걸림판(22) 및 상기 걸림판과 대응하는 본체의 상판 저면부위에 설치되는 도어 홀더(14)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개폐기(3)의 분해사시도로서 개폐기는 대략 L자상으로 절곡되고 안내홈부(4a)가 있는 전면판(4)과, 상기 전면판의 배면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구동체(5)와, 상기 전면판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체를 회전시키는 버튼(10)과, 상기 전면판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어편(11)과,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결합되는 카버(12)로 구성되 있다.
또 구동체(5)에는 원기둥형태의 회전축(6)과 상기 회전축(6)의 원주면으로 부터 양축으로 돌축된 한쌍의 날개(7), (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6)에는 구동체(5)에 항상 일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토션스프링(9)이 결합되어 있으여, 상기 회전축(6)은 전면판(4)의 배면 부위에 형성된 안내돌기(도시는 생략함)와 카버(12)에 형성된 안대돌기(12a)사이로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어편(11)은 캠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면 키이구멍(1la) 부분이 전면판(4)의 구멍(4b)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키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을때 우측끝단부가 상기 회전축(6)의 일측 날개(7) 전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버튼(10)은 전면판(4)의 구멍(4c)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배면부위가 회전축(6)의 다른 일측 날개(8)의 전방에 오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버튼과 카버사이에는 코일스프링(13)이 설치되어 버튼이 항상 전방으로 밀리는 힘을 받고 있다.
제4도는 본체(1)의 상판 저면부위에 설치되는 도어 홀더(14)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어홀더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형의 케이스(15)와, 상기 케이스 내에 스프링(17)으로 탄력설치되고 선단부가 구멍(15b)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밀핀(16)과 상기 케이스의 보스(1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선단부분에 걸림홈(18a)이 형성된 래치(1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6도와 같이 개폐기(3)의 구동체(5)와 도어홀더(14)의 래치(18)사이에는 와이어(20)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어(20)의 일단은 구동체에 고정되고 다른일단을 전면판(4)의 안내홈부(4a)와 케이스(15)의 구멍(19)을 경유하여 래치(18)의 구멍(18b)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체(5)를 회전시키면 그회전력이 와이어(20)를 통해 래치(18)에 전달되어 래치(18)가 보스(15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되며, 래치의 일측에는 스프링(21)이 설치되어 래치에 항상 원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을 작용시킨다.
제5도는 걸림판(22)의 사시도로서 걸림판(22)은 도어(2)의 일측(힌지반대측)에 고성되며, 상기 걸림판(22)의 배면에는 ㄱ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의 후크(2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도어(2)를 닫을때 도어홀더에 설치된 래치(18)의 걸림홈(18a)으로 끼워져 결합될수 있는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장치의 작동을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고안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6a도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도이다.
도어(2)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도어에 고정된 걸림판(22) 후방의 후크(23)가 도어 홀더(14)에 설치된 래치(18)의 걸림홈(18a)으로 끼워지게 되고 밀핀(16)은 스프링(17)을 압축시키면서 후진된 상태로 있게 되며, 래치(18)와 걸림판(22)의 상호 결합에 의해 도어는 열리지 않는다.
한편 개폐기(3)에 설치된 구동체(5)는 토션스프링(9)의 힘에 의해 도면상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일측날개(8)가 버튼(10)의 배면에 접속된 상태로 있게 되며, 제어편(11)은 열림위치(수직으로 위치된 상태)로 있다.
이상태에서 도어(2)를 개방하기 위해 버튼(10)을 누르면 제6b도와 같이 버튼의 배면에 접속된 날개(8)부분에 힘이 가해져 구동체(5)가 회전축(6)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체의 회전력이 와이어(20)를 통해 래치(18)에 전달되어 래치(18)가 보스(15a)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18)의 걸림홈(18a)에 끼워져 있던 후크(23)가 걸림홈으로 부터 벗어나게 되며 후진하여 있던 밀핀(16)이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걸림판(22)을 밀게되므로 도어(2)는 열리게 된다.
또 제6a도와 같이 도어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제어편(11)의 키이구멍(11a)으로 키이를 끼우고 제어편을 잠금위치로 회전시켜주면 제6c도와 같이 제어편(11)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면상 제어편의 우측부분이 회전축(6)에 형성된 날개(7) 전면에 위치하여 구동체(5)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버튼(10)을 눌러도 구동체(5) 회전을 하지 않아 도어는 열리지 않으며, 도어를 열기위해서는 키이에 의해 제어편을 열림위치로 회전시킨후 버튼을 눌러주어야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의 후크편과 상호걸림작동을 하는 래치를 도어홀더에 설치하고 개폐기와 래치사이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래치를 원격구동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개폐기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게된다.
따라서 개폐기가 도어상단에 고정되던 종래장치와는 달리 개폐기를 본체의 적당한 위치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개폐기의 위치선정이 자유오워짐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폐기가 본체에 설치되므로 도어의 개폐조작 또는 키이의 조작시 도어가 유동하지 않게되고 작동이 확실해지며, 개폐기를 도어에 조립함에 따르는 유리판의 손상이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가구본체(1)에 고정되고 버튼(1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체(5)가 설치된 개폐기(3)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고정되어 도어를 구속하는 래치(18)와 도어를 밀어내는 밀핀(16)이 설치된 도어 홀더(14)와, 상기 구동체와 래치사이에 연결되어 구동체의 회전력을 래치에 전달하는 와이어(20)와,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가 닫했을때 상기 도어홀더의 래치에 걸려 구속되는 결링판(22)으로 구성된 기구용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18)에 걸림홈(18a)을 형성하고 걸림판(22)에는 후크(23)를 형성하여 후크가 걸림홈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한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92024641U 1992-12-07 1992-12-07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50002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641U KR950002391Y1 (ko) 1992-12-07 1992-12-07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641U KR950002391Y1 (ko) 1992-12-07 1992-12-07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33U KR940016133U (ko) 1994-07-22
KR950002391Y1 true KR950002391Y1 (ko) 1995-04-03

Family

ID=1934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641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2391Y1 (ko) 1992-12-07 1992-12-07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3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33U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5449A (en) Self-closing hinge
US4693503A (en) Lever latch
JPH0611345Y2 (ja) 開閉装置
US6308376B1 (en) Hinge with a safety shield plate unit
KR960000682B1 (ko) 도어 개폐장치
KR950002391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JP3886692B2 (ja) 飛び出しキー
JPH0913775A (ja) 閉扉保持装置
CN218683811U (zh) 隐藏式面板组件和烹饪设备
KR960008433Y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장치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950005182Y1 (ko)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0142006B1 (ko) 양측개방가능한 도어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3716518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2690150B2 (ja) 自動販売機のハンドル係止装置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840000050Y1 (ko) 카셋트 뚜껑 개폐장치
KR920001872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920001868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910003460Y1 (ko) 콘트롤 스위치보드의 도아(door)개폐장치
KR92000308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 조작장치
KR940004118Y1 (ko) 중, 대형 컴퓨터의 후면판넬 개폐장치
KR970004507Y1 (ko)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JP3955800B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12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9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091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