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1301B1 -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01B1
KR950001301B1 KR1019920000157A KR920000157A KR950001301B1 KR 950001301 B1 KR950001301 B1 KR 950001301B1 KR 1019920000157 A KR1019920000157 A KR 1019920000157A KR 920000157 A KR920000157 A KR 920000157A KR 950001301 B1 KR950001301 B1 KR 95000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xynitride film
oxide film
etching
field ox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137A (ko
Inventor
김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301B1/ko
Publication of KR93001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0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cal Oxidation Of Silicon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제1도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소자분리영역의 단면도.
제2a~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자분리방법을 나타내는 공정순서도.
제3a~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분리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드 산화막의 형상 각도를 조절하여 소자의 동작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소자 분리 기술에서도 소자 분리 영역이 줄어들고 있으며, 널리 사용되고 로코스(LOCOS : local oxidation of silicon)법을 이용하면 필드 산화막 성장시 버드비크(bird's beak)가 너무 크게 자라 고밀도 반도체 장치의 활성 영역을 축소하는데 악영항을 미치고, 두 활성 영역 사이의 펀치쓰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채널저지 이온 주입하면 접합 누설전류가 크ㄹ게 증가하면 MOS트랜지스터의 소폭효과(narrow width effect)가 크게 증대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 왔다.
그 방법중의 하나로 R-LOCOS(recessed-LOCOS)법에 의한 구조가 두 활성 영역 사이의 펀치쓰루 현상을 막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 구조에서 버드비크의 크기를 줄일 경우 필드 산화막의 경사가 매우 급하게 되어 필드 산화막 성장 및 희생 산화막 제거 공정을 실시하면 필드 산화막과 활성영역의 경계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제1도는 R-LOCOS법에 의하여 형성된 소자분리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패드 산화막 대신 옥시나이트라이드막(oxinitride layer)(2)을 사용하여 필드 산화막(4)을 성장시킨 것이다. 옥시나이트라이드막은 특성상 산화종의 확산을 방지하기 때문에 버드비크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필드산화막과 활성 영역의 경계면에서 필드 산화막의 기판에 대한 각도(θ)가 90이하가 되어 이후 산화막 식각공정에서 활성영역이 매끈하지 못하여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을 저하시킴에 따라 반도체 반도체의 동작을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한다. 참조 부호 1은 반도체 기판을, 3은 질화막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드 산화막과 활성영역의 경계면을 매끄럽게 형성하여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옥시나이트라이드막 및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사진 식각법으로 상기 질화막의 소정 부분을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까지 식각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을 언더 커팅하는 단계, 그리고 열산화법으로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2도(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이다.
제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21)상에 100~500Å 두께의 옥시나이트라이드막(22)과 1000~2000Å두께의 질화막(23)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22)과 질화막(23)은 LPCVD(low pressure chemical deposition)법으로 형성하고 특히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22)은 NH3, SiH2Cl2및 N2O가스를 100~500mT의 압력과 600~800℃의 온도 조건에서 열분해하여 형성한다.
다음, 일반적인 사진 식각법으로 상기 질화막(23)을 반도체 기판(21)까지 식각한 후, BOE(buffered oxide etchant)용액 등을 이용한 습식 식각법으로 옥시나이트라이드막(22)을 언더 커팅(under cutting)한다[제2도 (b)]. 상기 질화막(23)을 식각할 때 반도체 기판(21)의 일부를 식각하여 필드산화막의 매몰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기판이 식각되는 깊이는 0.05~0.2㎛정도이다. 또한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22)의 언더 컷의 크기를 필드 산화막의 형성에 영향을 주므로 0.1~0.3㎛정도로 하는 것이 필드 산화막의 형상 각도를 90이상이 되도록 하는데 바람직하다. 만약, 언더 컷의 깊이가 0.3㎛ 이상이 되면, 버드비크가 0.3㎛이상이 되어 서브미크론(submicron), 특히 0.5㎛ 이하의 장치에서는 실용성이 없다.
마지막으로, 제2도(c)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온, 예를들어 1000℃에서 습식 산화법으로 3000~5000Å두께의 필드산화막(24)을 형성한다. 이때, 상술한 옥시나이트라이드막의 언더 컷 때문에 언더 컷의 크기 정도로 버드비크가 형성되며 필드 산화막의 형상각도(θ)는 90이상이 된다.
이와 같은 소자분리 방법에 따르면 이후에 실시되는 희생산화막 제거공정 등에서 산화막이 식각되더라도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네가티브슬로프(negative slope)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게이트 산화막이 형성되더라도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소자 분리 방법에 따른 다른 방법의 공정 순서도가 제3도(a) 내지 (d)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3도(a)에서 처럼, 반도체 기판(31)상에 100~500Å 두께의 옥시나이트라이드막(22) 및 1000~2000Å 두께의 질화막(33)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때에도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22)과 질화막(33)은 LPCVD법으로 형성하고 옥시나이트라이드막 역시 NH3, SiH2Cl8, N2O 가스를 100~500mT의 압력과 600~800℃의 온도 조건에서 열분해하여 형성한다.
그후, 제3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식각법을 이용하여 상기 질화막(33)을 상기 기판까지 식각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후 BOE용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법으로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22)의 언더 컷을 약0.1~0.2㎛의 깊이로 형성한다.
다음에, 기판 전표면 상에 500~1000Å 두께의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한 후 비등방성 식각하여 제3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 측벽에 스페이서(34)를 형성한다.
그후, 제3도(d)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온에서 습식산화하여 필드 산화막(35)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폴리실리콘 스페이서(34)는 과도한 언더 커팅으로 인하여 버드비크가 커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며, 옥시나이트라이드막 언더 컷이 형성되기 때문에 필드 산화막의 형상각도는 90이상으로 된다.
이와 같은 소자 분리 방법에 따르면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후의 희생 산화막 제거 공정에서 산화막이 식각되더라도 활성영역의 가장자리에 네가티브 슬러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게이트 산화막이 형성되더라도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피할 수 있어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소자 분리 방법에 의하면 필드 산화막의 형상각도가 90이상이 되므로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MOS트랜지스터의 소폭을 제어할 수 있어 고집적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9)

  1. 반도체 기판상에 옥시나이트라이드막 및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사진 식각법으로 상기 질화막의 소정 부분을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까지 식각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을 언더 커팅하는 단계, 그리고 열산화법으로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형성시 반도체 기판의 일부까지 식각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식각 깊이를 0.05~0.2㎛의 범위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의 언더 커팅은 습식식각법으로 행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의 언더 커팅은 0.1~0.2㎛의 깊이로 행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의 언더 커팅을 행한후 폴리실리콘을 기판 전표면 상에 적층하고 식각하여 상기 개구부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등방성식각법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버드비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막 및 질화막의 두께를 각각 100~500Å, 1000~2000Å의 범위로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KR1019920000157A 1992-01-08 1992-01-08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50001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157A KR950001301B1 (ko) 1992-01-08 1992-01-08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157A KR950001301B1 (ko) 1992-01-08 1992-01-08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137A KR930017137A (ko) 1993-08-30
KR950001301B1 true KR950001301B1 (ko) 1995-02-15

Family

ID=1932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157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1301B1 (ko) 1992-01-08 1992-01-08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285B1 (ko) * 1997-10-22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운드 모양의 상부 코너를 가지는 트렌치 소자분리영역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137A (ko) 199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7364A (en) Method for locos isolation using a framed oxidation mask and a polysilicon buffer layer
USRE35294E (en) Polysilicon encapsulated localized oxidation of silicon
US6372601B1 (en) Isolation region forming methods
JP2812811B2 (ja) 半導体装置のフィールド酸化膜形成方法
US523686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insulator-semiconductor device using trench isolation technique
US5246537A (en) Method of forming recessed oxide isolation
EP0600176A1 (en) Method for forming an electrical isolation structure in an integrated circuit
US5137843A (en) Isol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US4950618A (en) Masking scheme for silicon dioxide mesa formation
KR930011500B1 (ko)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JPH023774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356096B2 (en) Method providing an epitaxial growth having a reduction in defects and resulting structure
KR950001301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US5139964A (en) Method for forming isolation region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186514B1 (ko) 반도체 소자의 격리영역 형성방법
US5763316A (en) Substrate isolation process to minimize junction leakage
KR940006082B1 (ko) 반도체 소자의 분리(isolation) 방법
US5541136A (en) Method of forming a field oxide film in a semiconductor device
JPS589325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960014450B1 (ko) 반도체 소자 격리방법
KR0179790B1 (ko) 반도체 소자의 격리막 제조방법
KR94000561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KR0137436B1 (ko) 반도체 소자의 필드산화막 형성방법
JPH109292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WO2004025733A1 (en) Non-planar nitride-base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ehod for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U15-X000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2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2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