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0582B1 - 화물운송용 표준형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자동차 적재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운송용 표준형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자동차 적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582B1
KR950000582B1 KR1019870014470A KR870014470A KR950000582B1 KR 950000582 B1 KR950000582 B1 KR 950000582B1 KR 1019870014470 A KR1019870014470 A KR 1019870014470A KR 870014470 A KR870014470 A KR 870014470A KR 950000582 B1 KR950000582 B1 KR 95000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support
container
sup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294A (ko
Inventor
기어린 피터
에이. 리이취 에버릿
Original Assignee
지이 앤드 지이 인털렉츄얼 프로퍼티이즈 인코오퍼레이티드
기어린 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943,688 external-priority patent/US4797049A/en
Application filed by 지이 앤드 지이 인털렉츄얼 프로퍼티이즈 인코오퍼레이티드, 기어린 피터 filed Critical 지이 앤드 지이 인털렉츄얼 프로퍼티이즈 인코오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05Large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e.g. with movable or adjustable walls or wall parts,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3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open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vehicles
    • B65D2585/68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vehicle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물운송용 표준형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자동차 적재시스템
제 1 도는 차량적재용 갠트리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는 변형된 평상형 트레일러위에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밀어넣을 수 있는 차량운송 프레임의 실시예가 지지되어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
제 2 도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기 위하여 차량등을 제거한 제 1 도의 프레임, 트레일러 및 갠트리 조립체의 평면도,
제 3 도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지지되는 차량이 밀어넣어진 화물운송용 표준형 컨테이너에 대하여 제 1 도의 트레일러 및 갠트리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측 단면도,
제 4 도는 화물운송 컨테이너에 밀접하여 위치되는 트레일러 및 프레임의 끝부분의 외부확대 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는 끝부분에 대향하는 프레임의 옆 및 끝부분의 내부확대 사시도,
제 6 도는 갠트리 마스트와 한쌍의 매달려 있는 차량지지 인장부재에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의 상부 레일부분의 확대연장사시도,
제 7 도는 하부 차량바퀴 지지체의 확대분해사시도,
제 8 도는 갠트리 마스트와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는 상부 차량바퀴 지지체 부분의 확대 부분 끝면도,
제 9 도는 프레임을 화물운송 밀폐구조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밀어넣거나 빼내는 트레일러상의 동력구동식 운반기 조립체의 연장측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의 운반체와 운반체를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레일 끝의 확대사시도,
제 11 도는 제 9 도의 선 11-11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 12 도는 점선의 겹침위치에 있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차량지지 프레임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축평면도,
제 13 도는 겹침위치에 있는 제 12 도의 프레임의 단축측면도,
제 14 도는 겹침위치에 있는 제 12 도의 프레임의 단축도,
제 15 도는 제 13 도의 선 15-15에 따른 확대배율 단축 부분단면도,
제 16 도는 제 15 도에 따른 평면도,
제 17 도는 제 12 도의 프레임의 끝면도,
제 18 도는 제 12 도의 선 18-18에 따른 확대배율 부분단면도,
제 19 도는 제 18 도의 선 19-19에 따른 단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지지 프레임 10c, 10c': 상부가로부재
10a, 10b : 직립 측면 10d, 10d' : 하부가로부재
11, 116 : 경사판 12a, 12b, 12c, 60 : 로울러
14 : 트레일러 16 : 컨테이어
24 : 상부레일 26 : 하부레일
29, 32, 38, 48 : 핀 29a, 67 : 베이스
30a, 30a', 30b, 30b', 30c, 30c': 인장부재 42a, 42b : 바퀴지지체
44a, 44b, 44c, 44d : 요동연결구 66 : 유압실린더
76 : 공압실린더 79 : 도르래바퀴
82, 83, 96 : 풀리 84 : 트랙
85 : 운반체 88 : 체인
89 : 케이블 100 : 문
110 : 지지편 112, 124 : 쐐기
본 발명은 1986년 12월 18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번호 제 943,688호의 부분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또는 유개운반차와 같은 화물운송용 표준형 밀폐구조체(enclosure) 속에 자동차를 넣어 수송하는 자동차 적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상세히는,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자동차들을 그와 같은 밀폐구조체 속에서 서로서로에 관하여 거의 끝과 끝이 맞닿아서 배치되어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종렬식(multiple columns)의 자동차 적재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나 소형트럭과 같은 자동차는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그룹을 짓거나 거의 끝과 끝이 맞닿게 배치시켜 종렬을 이루게 하여 수송하는 것이 상례이다. 예를들면, 베이커(Baker)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2,492,829호나 영국 특허번호 제 1,006,496 호에 예시되어 있는 것들과 같은 종래의 고속도로 무개 트레일러는 차량을 몰고 올라간후 트레일러 프레임에 일체로 장착된 유압잭에 의해 승강되는 위치로 올리는 상하조절식 차량지지 조립체를 가진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이의 변형으로, 고속도로 유개운반차의 철도차량과 같은 밀폐구조체들에는, 예컨대 하이스(Hice)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2,016,430 호, 린퀴스트(Linquist)등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1,247,553 호, 거트리지(Gutridge)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3,498,480 호, 캐나다 특허번호 제 961,699 호 및 프랑스 특허번호 제 1,202,387 호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그룹을 지어서 차량을 지지하기 위해 밀폐구조체 내부에 일체식 차량지지 조립체가 설비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구조체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은 주로 2중이다. 첫째로, 일체식 차량지지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지지 구조체들은 차량이외의 상품을 수송하는데 쉽사리 적용할 수 없으므로 차량배달후 돌아오는 길에 다른 화물수송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둘째로, 일체식 차량지지체를 가진 밀폐형 구조체들에 있어서, 차량을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적절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기동할 공간이 밀폐구조체 내부에 필요하므로 차량을 밀폐구조체 내부에 조밀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
고속도로용 차량 트레일러에 있어서와 같이 밀폐구조체를 없애므로써 이러한 어려움을 피하는 경우에는 밀폐구조체가 없음으로 해서 차량이 기후 및 도로장애에 노출되므로 손상을 입는다.
상기 문제점들에 부분적으로 응하여, 스미스(Smith)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4,455,119 호 및 제 4,597,712 호에 각각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밀폐형 차량수송 유개운반차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유개운반차는 각자의 일체식 차량지지 구조체를 구비하여야 된다는 계속적인 요구조건 때문에 각각의 유개운반차는 지나치게 비싸졌다. 게다가 유개운반차 내부에 차량을 서로서로에 대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위치를 정해야 한다는 또 다른 계속적인 요구조건 때문에 비교적 들어가기 어려운 공간내부에 각각의 차량을 체결시켜야 한다는 어려움이 남는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어떤 특별한 일체식 차량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밀폐구조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원가와 다른 유형의 화물취급상의 어려움이 둘다 최소화 되고, 밀폐구조체 내부에 있을 때 어떤 개별적인 차량위치 설정이나 체결을 요구하지 않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내부에 차량을 서로서로에 대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적재하는 경제적인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및 고속도로 유개화물차와 같은 화물운송용 표준형 밀폐구조체들을, 자동차를 대략 끝과 끝이 맞닿게 배치시켜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종렬대형으로 수송하는데 용이하게 적용하므로써 종래 기술의 상기 결점들을 극복한다.
본 발명은 화물운송 밀폐구조체의 외부에 있을 때 차량이 서로서로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위치되어 체결될 수 있는 차량지지 구조체를 구비하여 밀폐구조체 속으로 밀어넣을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므로써 이 결점극복을 달성한다.
이후 차량의 지지체결이 완료된 상태의 전체 프레임은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 유니트로서 밀어넣어질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차량의 위치설정과 체결을 위하여 용이한 방도를 유지하면서 차량이 밀집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차량의 목적지에서, 밀폐구조체의 하역은 장착된 차량과 일치한 밀폐구조체로부터 전체 프레임을 단순히 끄집어 냄으로써 똑같이 용이하게 된다. 일단 밀폐구조체의 외부로 나오면, 차량들은 프레임으로부터 장착을 풀어 제거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빈 프레임은 밀폐구조체의 외부로 나오면, 차량들은 프레임으로부터 장착을 풀어 제거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빈 프레임은 밀폐구조체 속으로 다시 밀어넣을 수 있게 되며, 이 프레임은 비었을 때 아무런 내부 구조물을 필요치 않는 형식의 프레임이므로 그 내부공간은 돌아오는 길에 다른 형식의 화물로 적재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내부 공간은, 밀폐구조체 내부에서 프레임의 면들이 꼭 맞게 끼워지게 되므로 화물운송 밀폐구조체 자체의 내부 공간과 거의 같은 크기이다.
이 프레임이 차량을 들어올리는 여러개의 차량지지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지만, 일체식 동력구동 승강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각각의 차량지지 조립체에 불필요하게 하므로써 프레임의 경제성이 향상된다.
그 대신에, 동력구동 승강장치가 구비되어 각각의 차량지지 조립체를 독립적으로 들어올려 이에 결합되는 차량을 승강위치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붙이고 뗄수 있도록 맞물려 있다. 이후, 지지조립체는 승강장치의 맞물림이 풀린 후에 프레임에 잠궈지므로써 하향이동에 대하여 구속된다.
승강장치는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조립체마다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각각을 독립적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승강장치는 프레임을 화물운송 밀폐구조체 속으로 밀어넣을때에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승강장치는 차량들을 그 다음의 프레임에 들어올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차량을 조밀하게 운송하기 위해 프레임의 융통성을 최대화 하기 위해, 각각의 차량지지 조립체는 다른 지지조립체와는 관계없는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바퀴 맞물림면과 뒷바퀴 맞물림면과의 사이에 뻗어있는 다른 구조물과도 관계가 없으므로 밑에 깔려 있는 차량의 지붕은 위에 있는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길이방향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차량지지 조립체는 승강장치가 각각의 차량지지 조립체의 앞쪽 끝과 뒤쪽 끝을 서로에 관계없이 개별 거리만큼 들어올릴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차량들을 일정각도로 기울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하기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더욱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관하여 설명하면, 차량지지 프레임(10)은 변형된 평상형(flatbed) 트레일러(14)와 같은 적절한 프레임 지지구조체의 위에 있는 로울러(12a, 12b, 12c)에 의해 지지된다.
컨테이너(16)와 같은 빈 화물운송 밀폐구조체의 개방 끝부분은 트레일러의 평상과 동일한 높이로 트레일러(14)의 끝(14a)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프레임(10)은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 속으로 길이방향으로 로울에 의해 굴러들어갈 수 있다.
18과 같은 자동차를 컨테이너안에 싣기 위하여, 프레임이 컨테이너의 외부에 있을 때 경사판(11) 위를 타고 자동차를 프레임 속으로 몰고 들어감으로써 자동차들은 우선 프레임(10)에 적재되고, 이중 몇대는 끝과 끝이 맞닿게 배치되어 2열 또는 그 이상의 종렬을 이루게 하여 프레임(10)에 대강 지지되게 하도록 다른 자동차들 위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들어올려진다.
프레임(10) 위로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것은 트레일러(14)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이 최종적으로 컨테이너(16) 속으로 밀어넣어질 때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가능한 동력구동 승강장치 또는 갠트리(20)에 의해 달성된다.
프레임(10)은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한쌍의 직립 측면(10a 및 10b)과 이 측면 끝부분에서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상부 가로부재(10c, 10c')와 하부가로부재(10d, 10d')로 구성된 기다란 직선부재로 둘러싸인 구조체이다.
컨테이너 속으로 제일 먼저 밀어넣어지는 프레임 끝 즉, 트레일러의 끝(14a)에 인접하는 프레임 끝은 강성을 위해 대각선 교차 지주부재(10e)를 구비하고 있으나, 프레임의 대향 끝은 차량이 진입되도록 차단되지 않는다. 각각의 측면(10a 및 10b)은 상부레일(24)과 하부레일(26)과, 상부레일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일정간격의 컬럼(28)을 구비하고 있다.
제 12 도 내지 제 19 도에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의 변형 실시예에서, 교차부재(10c 및 10d)는 컨테이너(16) 속으로 제일 먼저 들어가는 프레임 끝을 막는 한쌍의 문(100)으로 대체된다.
문(100)의 외부 가장자리들은 힌지(102)에 의해 각각의 측면(10a 및 10b)에 부착되며 내부 가장자리들은 힌지(104)에 의해 서로서로에 부착된다. 힌지(102)는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힌지(104)는 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프레임(10)은 측면(10a 및 10b)이 서로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제 12 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개위치로부터, 문들을 힌지(102 및 104)에 대하여 서로 절첩시키므로써 측면들이 서로서로에 인접하는 제 14 도에 도시된 절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문중의 하나로부터 안쪽으로 뻗어있는 제 15 도 및 제 16 도의 탱(tang ; 106)은 프레임이 전개위치로 있을 때 다른 문으로부터 안쪽으로 뻗어있는 지지편(110) 안에 위치된 슬롯(108)을 관통하여 끼워진다.
쐐기(112)는 탱안의 슬롯(114) 속으로 끼워져서 탱을 지지편에 잠궈 프레임이 절첩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교차부재(10c' 및 10d')는 프레임의 바닥의 양끝을 연결하는 경사판(116)에 의해 대체된다. 측면(10a 및 10b)에 부착되는 패드(118)는 제 19 도의 경사판을 지지한다. 탱(120)은 각각의 패드(118)로부터 윗쪽으로 뻗어서 경사판이 패드에 의해 지지될 때 경사로(116) 안에 위치된 슬롯(122)을 관통하여 지난다.
탱안의 구멍(126)을 통하여 끼워지는 쐐기(124)는 경사판을 패드에 잠근다. 힌지(128)는 경사판의 한쪽 끝을 측면(10b)의 하나에 연결한다. 따라서 쐐기(124)가 구멍으로부터 제거될 때 경사판은 제 12 도에 도시된 정상 작동위치에서 제 13 도 및 제 14 도에 도시된 상승위치로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프레임을 절첩위치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3쌍의 인장부재들(30a, 30a'; 30b, 30b'; 및 30c, 30c')은 채널(24a) 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한 베이스(29a) 위에 장착된 핀(29 ; 제 6 도)에 의해 각각의 상부레일(24)로부터 피봇식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소간의 인장부재가 대응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7 도의 도시된 부재(30c)와 같이 인장부재의 각각의 쌍중의 하나는 그 바닥에서 핀(32)에 의해 하부레일(26)의 구멍(33)에 핀으로 연결되므로 프레임의 종횡이동에 대해서 구속된다.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0c'과 같은 다른 인장부재 쌍은 35와 같은 선택적인 핀이 끼워지지 않는 한 가로방향의 이동만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이동가능한 요크(34)에 의해 하부레일(26)을 맞물리게 한다. 인장부재중의 어떤 쌍들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에 서로 다른 구멍(36 및 33)을 각각 선택하므로써 대략 조절될 수 있으며, 핀(38)은 구멍(36) 속에 끼워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간격에 있어서의 정밀한 변경은 밑바닥에 요크(34)를 구비한 30c'와 같은 인장부재의 피봇식 진자이동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차량지지 조립체들은 인장부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인장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차량지지 조립체는 각각 42a와 같은 한쌍의 상부바퀴 지지체나 프레임의 각각의 측면의 상응하는 인장부재 사이에 가로질러 뻗어 있는 42b와 같은 한쌍의 하부바퀴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다.
바퀴 지지체(42a 및 42b)는 크레이들 부재(44)에 의해(제 5 도 제 6 도에 도시된 상부바퀴 지지체(42a)용의) 수직 미끄럼 이동가능부재(46a)나 (제 7 도에 도시된 하부바퀴 지지체(42b)용의) 46b에 부착되는 기다랗고 가로지르는 튜브형 프레임(43)을 포함한다. 수직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한 부재(46a)는 밀폐 슬리이브(41a)에 의해 인장부재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지만, 부재(46b)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41b와 같은 분할 슬리이브에 의해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슬리이브들은 슬리이브 아래의 구멍(40)을 통하여 끼워지는 39(제 7 도)와 같은 핀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로 인장부재들에 잠겨질 수 있어서 바퀴 지지체의 하향이동을 방지한다.
크레이들 부재(44)는 요동 연결구(44a, 44b, 44c, 및 44d) 때문에 부재(46a, 46b)에 대하여 요동 회전가능하므로 바퀴 지지체의 각각의 쌍 사이의 거리를 이 이상의 정도로 정밀 조정가능하게 해준다.
일단 차량이 최종 상승위치로 들어올려지면, 안정화 블록(45 ; 제 5 도)은 바퀴 지지체의 수직 미끄럼 이동가능 부재의 적절한 구멍(47) 속으로 끼워질 수 있어서 차량 수송도중의 요동에 대하여 크레이들 부재(44)를 잠근다.
튜브형 프레임(43)은 프레임의 끝 튜브형 부재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핀(48)에 의해 각각의 끝에서 크레이들 부재(44)에 뗄 수 있게 연결되어 있어서, 차량이 전혀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을 때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므로 모든 차단부재의 측면(10a, 10b) 사이의 공간이 트여있게 하며 다른 형식의 화물에 사용될 수 있도록 이 공간을 최대화한다. 들어올려진 바퀴 지지체 쌍의 바퀴 지지면 사이에는 아무런 구조체도 뻗어있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요하다면 다음의 하부 차량의 상부 끝에 의해 차지될 수 있는 공간위에 지지되는 차량의 앞바퀴 및 뒷바퀴 사이의 자유공간을 제공한다.
차량들을 서로서로 수직으로 밀접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해주는 이러한 특징의 가치는 제 1 도의 차량(18a 및 18b)의 수직 밀접에 의해 예시되어 있다.
프레임(10)은 프레임(10)의 각각의 하부레일(26) 위에 있는 3개의 로울러(12a, 12b 및 12c)에 의해 프레임 지지 트레일러(14) 위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10)에 차량을 적재하는 도중에, 프레임은 이후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트레일러와 하부프레임 교차부재(10d')로부터 돌출한 귀형상 부분(56 ; 제 1 도)과의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에 의해 트레일러에 관한 이동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트레일러(14)의 외부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따라서, 프레임의 옆부분(10a 및 10b)의 외부에는, 트레일러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61)을 타는 로울러(60)에 의한 트레일러 및 프레임에 관한 수평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다.
갠트리(20)는 가로질러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2쌍의 마스트(64a 및 64b)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쌍은 각각의 가로지르는 교차부재(65)에 의해 윗끝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의 쌍은 한쌍의 로울러(60)을 장착하고 있는 독립된 베이스(67)를 구비하고 있다. 2쌍의 마스트는 이 2쌍의 마스트의 베이스(67) 사이에 뻗어있는 한쌍의 복동 실린더의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거리만큼 서로서로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각각의 마스트는 바람직하게 베이스(67)에 체결되어 있는 하부부분(69)과 이 하부부분(69)에 대하여 수직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상부부분(71)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동 유압실린더(68)의 제어하에 놓이는 2단계 구조의 것이다. 또 다른 복동 유압실린더(70)는 각각의 마스트의 상부부분(71)에 매달려 있고 차량바퀴 지지체(42a 또는 42b)의 수직 미끄럼 이동가능한 부재(46a 또는 46b)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맞물림을 풀리게 하기 위해 요동가능하게 부착되는 훅(74)을 가진 프레임(72)이 그 끝에 부착되는 실린더 로드(79a)를 가지고 있다.
바퀴 지지체의 수직 미끄럼 이동가능 부재의 각각의 슬리이브(41a 또는 41b)는, 훅이 프레임(72)에 장착된 스프링 후퇴식 공압실린더(76 ; 제 8 도)의 신장에 의해 앞쪽으로 요동될 때 각각의 (74)에 의해 맞물림이 가능하고 실린더(76)의 후퇴에 의해 훅으로부터 맞물림이 풀리는 것이 가능한 맨윗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I자형 부재(75)를 구비하고 있다.
특정 상부 바퀴 지지체(42a)의 각각의 끝의 수직 미끄럼 이동가능 부재(46a)의 I자형 부재(75)가 한쌍의 마스트(64a 또는 64b)의 훅(74)에 의해 맞물려졌을 때 부재(46a)는 각각의 마스트에 있는 실린더(68)의 신장 및/또는 실린더(70)의 수축에 의해 윗쪽으로 들어올려져서 각각의 바퀴 지지체(42a)를 상승위치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 바퀴 지지체는 바퀴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들어올리며 이에 따라 갠트리(20)의 다른 쌍의 마스트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일 차량의 다른 바퀴들이 지지되어 있는 바퀴 지지체(42a)를 들어올린다.
각각의 바퀴 지지체는,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차량대수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차량을 어떤 소정의 자세로 기울어질 수 있게 하면서, 갠트리의 2쌍의 마스트의 각각의 유압실린더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른 바퀴 지지체와는 무관한 거리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바퀴 지지체의 소정의 상승위치가 달성되면, 39(제 7 도)와 같은 상기 핀들은 슬리이브(41a)의 바로 밑에 있는 각각의 인장부재들에 있는 구멍(40)을 통하여 끼워지며 이 슬리이브에 의해 부재(46a)는 인장부재에 수직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후 훅(74)은 각각의 공압실린더(76)와, 훅을 I형상 부재(75)로부터 맞물림이 풀리도록 하강하는 마스트의 수축에 의해 뒤쪽으로 요동될 수 있다.
또다른 차량이 상기 문장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승된 차량의 바로 밑에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어 한쌍의 하부바퀴 지지체(42b)를 상승된 차량을 지지하는 동일한 인장부재들의 밑바닥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부착하므로써 차량 종렬을 형성하며, 트레일러(14)의 평상이 없을때는 이 또다른 차량의 바퀴를 들어올리기 위해 갠트리(20)를 사용한다.
하부바퀴 지지체(42b)와 상부바퀴 지지체(42a) 사이의 단 한가지 차이점은 수직방향 미끄럼 이동가능 부재(46b)가 프레임(10) 내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놓여 있는 인장부재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상기 분할 슬리이브(41b ; 제 7 도)이다. 각각의 분할 슬리이브의 외부부분은 훅맞물림 I형상 부재(75)를 지지하며, 각각의 훅(74)에 의해 맞물릴 때 돌기(41c)로 슬리이브의 내부부분을 들어올린다.
제 1 종렬에 끝과 끝이 맞닿은 관계로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된 차량의 제 2 종령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전체 갠트리(20)는 로울러(60) 위를 수평으로 이동되어 다음 쌍의 인장부재위의 한쌍의 바퀴 지지체(42a)와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작동이 반복된다.
갠트리(20)의 수평이동은, 끝 유동풀리(82 및 83) 위의 트레일러(14)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뻗어있으며 81과 같은 어떤 적절한 체결구에 의해 갠트리의 한쌍의 마스트(64a)의 각각의 베이스(67)에 부착하는 각각의 케이블(80)에 의해 이루어진다.
케이블은 다른 쌍의 마스트(64b)의 베이스를 우회하여 유압실린더(66)에 의한 간격조절을 할 수 있게 한다. 케이블(80)은 트레일러(14)를 따라 어느 한쪽의 수평방항으로 갠트리(20)를 역전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선택적 제어가능 역전가능 유압 모우터에 의해 동조하여 구동되는 한쌍의 도르래 바퀴(79) 주위에 감아진다.
트레일러(14) 위의 프레임(10)의 위치는 동력구동운반체(85 ; 제 9, 10, 11 도)의 제어에 의해 결정된다. 운반체(85)는 트레일러 평상의 표면에 노출된 트레일러(14)의 중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트랙(84) 위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로울러베어링(86)에 의해 트랙(84)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레일 끝(tongue ; 87)은, 핀(87a)에 의해 프레임의 돌출부(56)와, 운반체 상의 한쌍의 돌기(85a)에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며, 필요하다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반대로 위치될 수도 있다.
체인(88)이 트레일러 각각의 끝에 있는 각각의 유동풀리(90 및 92)를 거쳐, 그리고 케이블(89)의 중간길이를 거쳐 운반체(85)의 각각의 끝에 부착된다. 체인(88)은, 작동되지 않을 때 지지체를 고정시켜서 차량을 프레임(10) 위에 적재시키는 동안 트레일러(14)에 관한 이동에 대해 프레임(10)을 고정시키는 또다른 역전가능 유압모우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체인 풀리(96)에 맞물린다.
이후, 프레임을 컨테이너 안에 밀어넣기 위하여, 유압모우터는 제 9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풀리(96)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그렇지 않고 프레임을 컨테이너 속으로부터 꺼내기 위하여, 풀리(96)가 그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트레일러(14) 위의 모든 유압 및 공압실린더 및 모우터는 예컨대 신속 분리호우스 부착을 통하여 트럭 트랙터로부터와 같은 편리한 압력원으로부터의 유체 또는 공기에 의해 공급되는 독립된 종래의 수동식 제어밸브(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작동에 있어서, 빈 프레임(10)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일러(14) 위에 위치된다. 정상적으로 이것은, 이전 운행으로부터의 프레임(10)을 내부에 위치시켜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16)를 트레일러의 끝(14a)에 정렬시켜서 트레일러(14) 위의 컨테이너로부터 프레임을 꺼냄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운반체(85)는 컨테이너에 인접한 체인 풀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며 레일 끝(87)은 제 10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의 돌출부(56)로 그리고 운반체(85)로 부착된다.
운반체(85)는 레일 끝(87)에 의해 작동하면서 체인 풀리(96)의 구동에 의해 컨테이너로부터 트레일러의 평상으로 프레임을 잡아당겨서 운반체(85)를 컨테이너로부터 이격 이동시킨다. 프레임은 이 프레임(10)의 측면 사이에서 트레일러의 평상위로 걸쳐서 있는 경사판(11) 위로 자동차를 한번에 한 대씩 몰고 올라감으로써 자동차들이 적재된다.
제 1 차량은 컨테이너에 인접한 프레임의 끝에 있는 완전 하강된 한쌍의 바퀴 지지체(42a) 즉, 트레일러 평상과 맞물려서 하강되어 있는 인장부재(30a 및 30a')에 부착된 지지체(42a) 위로 몰고 올라가지며 이렇게 된후에 차량은, 바퀴 지지체가 인장부재의 구멍(40)을 통해 핀(39)을 끼움으로써 하향이동에 대해 구속되는 소정의 상승위치로 갠트리(20)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이후 한쌍의 하부바퀴 지지체(42b)는 완전하강 위치에 있는 동일한 인장부재(30a 및 30a')에 부착되며, 제 2 차량이 경사판(11)을 올라가서 하부바퀴 지지체 위에 놓인다. 갠트리 훅(74)은 상부바퀴 지지체(42a)로부터 분리되어 트레일러 평상위로 하부 자동차의 바퀴를 들어올리기 위해 내려져서 바퀴 지지체(42b)와 맞물리므로 차량바퀴는 트레일러 평상과의 접촉에 의해 프레임이 컨테이너 속으로 종국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하부바퀴 지지체는 또 다른 핀(39)에 의해 고정되어 하부바퀴 지지체가 하향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차량의 다음의 2개의 종렬은 똑같은 방식으로 갠트리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각각의 바퀴 지지체를 분리가능하게 잇달아 맞물리게 하고, 들어올리고 맞물림이 풀리게 하기 위해 다음의 인장부재의 쌍들(30b, b' 및 30c, c')과 정렬되게 하여 프레임위로 적재된다.
프레임을 컨테이너에 집어넣기 이전에, 바람직하게 차량들은 종래의 구속체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바퀴 지지체에 모두 체결된다.
프레임(10)이 차량으로 완전히 적재된 상태에서 그리고 갠트리(20)가 모든 바퀴 지지체로부터 맞물림이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운반체(85)는 체인 풀리(96)를 구동시킴으로써 작동되어 레일 끝(87)을 통하여 미는 힘을 전달시키면서 프레임(10)을 컨테이너(16) 속으로 밀어 넣는다. 프레임이 컨테이너 속으로 완전히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레일 끝(87)은 프레임으로부터 그리고 운반체로부터 분리되며, 차단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들은 프레임(10)의 각각은 끝에 있는 컨테이너의 밑바닥에 위치되어서 컨테이너 내부에서의 길이방향 이동에 대해 프레임의 하부 레일을 구속한다. 그런다음 컨테이너는 밀폐되고 수송시키기 위해 가져 가진다.
컨테이너의 목적지에서, 갠트레일러리(20)를 구비한 유사한 트레일러(14)가 하역목적을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차량들이 실려진 프레임은 상기 방식으로 레일 끝(87)이 프레임(10) 및 운반체(85)에 부착되고 이어서 컨테이너로부터 프레임을 꺼냄으로써 컨테이너로부터 꺼내어진다. 차량을 하역하기 위하여, 각각의 바퀴 지지체를 잠시 들어올려 핀(39)을 빼낸 다음 이 지지체를 완전히 하강시켜서, 갠트리는 차량이 적재되었던 순서의 역순으로 각각의 차량에 작용하므로 차량을 트레일러 평상으로부터 몰고 나올 수 있다.
하역이 완료된 후, 프레임의 인장부재에 계속 부착되어 남아있는 바퀴 지지체는 핀(48)을 제거하므로써 이 지지체의 튜브형 가로프레임(43)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에 빈 프레임(10)은 컨테이너 속으로 다시 밀어넣어질 수 있다.
컨테이너의 내부는 프레임의 주위뼈대를 제외하고 사실상 비어있게 되며 돌아오는 길에 다른 화물로 종래와 같이 적재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측면(10a, 10b)이 컨테이너의 측면과 밀착 인접하여 끼인다는 사실은 다른 화물의 적재를 위하여 컨테이너의 용적을 최대화 시키는 것을 뜻한다.
제 12-19도에 예시된 실시예로, 빈 프레임들을 절첩시키므로써 한꺼번에 수개의 빈프레임들이 수송될 수 있다. 이것은 탱(120)으로부터 쐐기(124)를 제거하고 힌지(128)에 대하여 경사판(116)을 들어올림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쐐기(112)가 탱(106)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측면(10a 및 10b)은 서로 이동되어 문(100)이 힌지(102 및 104)에 대하여 절첩된다.
상기 명세서에서 기재된 용어 및 표현들은 설명상 사용되었으며 제한적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며, 그러한 용어 및 표현을 사용함에 있어서, 예시되고 설명된 특징의 등가물 또는 그 부분들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하여지고 제한된다는 사실을 주지시키는 바이다.

Claims (13)

  1. 차량지지 직립프레임(10)을 구비하고, 밀폐구조체(16)의 외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위치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이 상기 밀폐기구의 외부에 있는 동안 하나의 차량위에 다른 하나의 차량이 수직으로 일정간격 유지된 각각의 상호 위치에서 복수대의 차량(18)을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에 지지시키고, 상기 차량들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동안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들을 상기 밀폐구조체 속으로 밀어넣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차량 적재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조체를 기다란 3차원 표준형 컨테이너(16)의 형태로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16)안으로 정합시켜 밀어넣을 수 있으며 직립 측면(10a, 10b)을 갖는 기다란 3차원 프레임(10) 형태로 상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상기 컨테이너안으로 정합시켜 밀어넣어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직립 측면(10a, 10b)이 상기 컨테이너(16)의 측면에 매우 인접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차량 적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차량(18)을 수직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각각의 상하위치에 상기 차량(18)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차량 적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동력 구동 승강장치(20)를 상기 차량(18)들중의 하나와 분리가능하게 지지하여 상호연결하고, 상기 동력 구동 승강장치(20)를 상기 프레임(10)과 독립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하위치 사이에서 상기 차량들중의 하나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 상기 동력구동 장치(20)를 상기 차량(18)들중의 하나로부터 분리시키며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이 상기 컨테이너 안으로 밀어넣어진 다음 상기 승강장치를 상기 컨테이너(16) 외부에 유지시키는 것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차량 적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18)을 상기 상부위치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프레임상에 장착된 지지체(42a)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18)이 상기 지지체(42a)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체(42a)를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을 상기 상부위치로 상기 프레임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차량 적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동력구동 승강장치(20)를 지지상태로 상기 지지체(42a)와 분리가능하게 상호연결시키고, 상기 동력구동 승강장치(20)를 상기 프레임과 독립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차량(18)이 자체상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차량 적재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지지체 상에 지지되면서 각각의 상호 지지체(42a, 42b)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하게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양쪽 상하위치로 상기 프레임(10)상에 상기 차량(18)을 위치시키고, 먼저 상기 상부차량 지지체(42a)를 들어올린 다음 상기 하부 지지체(42b)를 들어올림으로써 순차적으로 수행된 상기 들어올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차량 적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상에 어떤 차량을 지지시키기에 앞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기다란 직립 측면(10a, 10b)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차량 적재방법.
  8. 기다란 3차원 프레임, 하나의 차량위에 다른 하나의 차량이 서로서로 수직으로 일정간격 유지된 각각의 상하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상에 복수의 차량(18)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42a, 42b) 및 상기 프레임(10)상에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11, 14)를 갖는 수송용 차량수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되어 있는 기다란 3차원 표준형 화물운송 컨테이너(16)와, 상기 컨테이너 안으로 꽉 끼워지게 밀어 넣어져 있으며 기다란 직립측면(10a, 10b)을 가진 상기 프레임과, 개방끝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을 꽉 끼워지게 수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상기 개방끝을 갖춘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개방끝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내에 꽉 끼워지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상하위치에 상기 차량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구동식 작동장치(85)를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차량수용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지지용 상기 장치는 상기 프레임(10)상의 지지체(42a)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체(42a)는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여 동시에 상기 프레임상에 상기 상부위치로 차량을 들어올리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지 지지체(42a)를 선택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20)와 상기 프레임상의 승강 위치에 상기 지지체(42a)를 체결하기 위한 장치(39)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차량 수용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42a)를 선택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되어 있는 동력구동 승강장치(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장치(20)는 상기 차량의 앞 뒤 바퀴를 상기 상부위치로 동시에 들어올리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차량 수용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42a)를 선택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상기 장치(20)는 들어올려진 차량의 앞 뒤 바퀴에 서로 다른 승강정도를 부여하기 접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차량 수용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소정의 높이와 개방정상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상의 복수의 차량(18)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차량에 못미치는 높이로 제 2 차량을 지지하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개방정상부위에 또한 이 정상부를 통하여 뻗어 있는 들어올려진 상태로 제 1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16)는 상기 프레임(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소정의 높이로 되어 있어 상기 제 1 차량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컨테이너 내에 수용될 때 그 안에서 뻗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차량 수용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한쌍의 평행직립측면과, 상기 측면들 사이의 소정의 가로지르는 간격을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측면들을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혀용하는 것 둘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하기 위한 수단(100, 102, 10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차량 수용 시스템.
KR1019870014470A 1986-12-18 1987-12-18 화물운송용 표준형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자동차 적재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950000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3,688 1986-12-18
US06/943,688 US4797049A (en) 1986-12-18 1986-12-18 System for loading motor vehicles into standard cargo-carrying enclosures
US40469 1987-04-20
US07/040,469 US4768916A (en) 1986-12-18 1987-04-20 Collapsible frame system for loading motor vehicles into standard cargo-carrying enclosures
US943688 1987-04-20
US040,469 1987-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294A KR880007294A (ko) 1988-08-26
KR950000582B1 true KR950000582B1 (ko) 1995-01-26

Family

ID=2671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470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0582B1 (ko) 1986-12-18 1987-12-18 화물운송용 표준형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자동차 적재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768916A (ko)
EP (1) EP0274882B1 (ko)
JP (4) JPH075052B2 (ko)
KR (1) KR950000582B1 (ko)
AU (1) AU594277B2 (ko)
CA (1) CA1285238C (ko)
DE (1) DE3771476D1 (ko)
ES (1) ES2023198B3 (ko)
GR (1) GR3002738T3 (ko)
HK (1) HK15892A (ko)
MX (1) MX160087A (ko)
SG (1) SG4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7332A (en) * 1986-12-18 1995-05-23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djustable vehicle-carrying frame
US5445278A (en) * 1986-12-18 1995-08-29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djustable vehicle-carrying frame for insertion into differently-sized containers
US4797049A (en) * 1986-12-18 1989-01-10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System for loading motor vehicles into standard cargo-carrying enclosures
US6119877A (en) * 1986-12-18 2000-09-19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djustable vehicle-carrying frame
US4919582A (en) * 1988-04-14 1990-04-24 Greenbrier Intermod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utomobiles into a cargo container
US4957407A (en) * 1989-01-13 1990-09-18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motor vehicles from lightweight sleeves which are carried in standard cargo containers
US5106246A (en) * 1989-04-04 1992-04-21 Chance Martin D Movable platform for storing freight and automobiles
US5110242A (en) * 1989-04-04 1992-05-05 Chance Martin D Apparatus for storing automobiles inside maritime containers
US5051046A (en) * 1989-12-14 1991-09-24 Transportation Concepts, Inc. Semi trailer convertible for hauling automobiles
EP0435218B1 (en) * 1989-12-21 1995-06-07 Taiyo Seiki Iron Works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vehicles.
US5415505A (en) * 1991-10-30 1995-05-16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Vehicle-carrying frame
US5769591A (en) * 1993-02-04 1998-06-23 Kar-Tainer International, Inc.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packing vehicle bodies
JPH0627309U (ja) * 1992-09-21 1994-04-12 株式会社矢野特殊自動車 貨物自動車の荷箱構造
SE501843C2 (sv) * 1992-09-24 1995-06-06 Floatline Ab Förfarande jämte anordning för transport av fordon
US5297908A (en) * 1993-02-04 1994-03-29 J. B. Hunt Transport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utomobiles in an enclosed semi-trailer
US5286149A (en) * 1993-02-16 1994-02-15 Seay Michael W Apparatus for supporting a vehicle inside a cargo container
US5454672A (en) * 1993-03-17 1995-10-03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djustable load-carrying frame for fully utilizing transport enclosure space
US5344266A (en) * 1993-04-16 1994-09-06 Kolb Peter W Fully adjustable storage device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vehicles in containers
US5454686A (en) * 1993-11-19 1995-10-03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motor vehicle transporter
US5567111A (en) * 1993-12-28 1996-10-22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ethod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wheeled vehicles
US5489171A (en) * 1994-04-15 1996-02-06 Global Transport Systems, Inc. Vehicle transporter
US5890855A (en) * 1994-04-15 1999-04-06 Claps; William R.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s
US5690453A (en) * 1994-04-15 1997-11-25 Global Transpor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s
US5924248A (en) * 1995-08-02 1999-07-20 Kar-Tainer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frame device
GB2312661B (en) * 1996-04-29 1999-08-04 Treton Developments Inc Motor vehicle transportation
AU2002213840A1 (en) * 2000-11-10 2002-06-03 Maersk Container Industri As Transportation system for containers, transportation frame and method
ATE395214T1 (de) * 2003-05-28 2008-05-15 Adaptainer Ltd Transport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11211A1 (de) * 2005-03-09 2006-09-14 SCHÜCO International KG Transport- und Lagergestell
US8668425B2 (en) 2007-03-05 2014-03-11 SA Recycl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US7837428B2 (en) * 2007-03-05 2010-11-23 SA Recycling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CN101318586B (zh) * 2007-06-04 2010-07-21 南通中集特种运输设备制造有限公司 车货两用集装箱
GB0710702D0 (en) * 2007-06-05 2007-07-18 Clive Smith Martin Car support frame with tyre projection buffer
CN101397074B (zh) * 2007-09-29 2011-06-01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运输托盘
EP2441701B1 (de) 2010-10-15 2014-07-02 Deutsche Post AG Transportvorrichtung und Transportmittel damit
CN104175938B (zh) * 2014-09-02 2016-06-08 于永东 火灾现场清障车
RU2590780C1 (ru) * 2015-03-20 2016-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оторинвест" Стапель и способ перевозки автомобиля внутри контейнера
CN105270421A (zh) * 2015-11-09 2016-01-27 哈尔滨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横移式小汽车运输专用车及运输方法
CN110525459B (zh) * 2019-09-03 2020-08-14 中车山东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铁路多功能运输用特种车
CN111845801B (zh) * 2020-06-07 2024-07-16 中车眉山车辆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汽车与集装箱两用铁路运输车
CN112193629A (zh) * 2020-09-24 2021-01-08 杭州励见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运输储存保护防撞装置
CN113415295A (zh) * 2021-05-19 2021-09-21 山东华樱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货车车体运转车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046A (en) * 1910-01-24 1911-01-17 Charles F Flemming Automobile-shipping case.
US1282766A (en) * 1916-03-14 1918-10-29 John M Daly Apparatu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vehicles.
US1247553A (en) * 1917-03-16 1917-11-20 William Linquist Freight-car construction.
US1276556A (en) * 1917-08-24 1918-08-20 Charles L Michod Supporting-rack.
US1724556A (en) * 1924-11-03 1929-08-13 William W Blakely Vehicle-shipping apparatus
US1869054A (en) * 1931-04-09 1932-07-26 Evans Prod Co Decking structure
US2084661A (en) * 1935-11-15 1937-06-22 Norvel J Wagstaff Curtain drying and stretching rack
US2968260A (en) * 1956-02-27 1961-01-17 Alfred H Scheldrup Rail guide carriage for vehicles
US2969157A (en) * 1958-02-12 1961-01-24 Frank E Panes Tracks for loading and unloading trucks
US3043454A (en) * 1959-11-13 1962-07-10 Houdaille Industries Inc Vehicle elevating mechanism
US3040917A (en) * 1960-02-08 1962-06-26 Bonnia Bertha Load transporting vehicle
US3147868A (en) * 1961-04-21 1964-09-08 Pullman Inc Container transfer arrangement and transfer devices therefor
US3119350A (en) 1961-06-07 1964-01-28 Int Harvester Co Multiple deck railway vehicle
GB1006496A (en) * 1963-08-19 1965-10-06 John Swartzwelder Adjustable motor vehicle transport
US3236400A (en) * 1963-05-27 1966-02-22 Michael A Turturro House loading trailer
US3260385A (en) * 1964-02-19 1966-07-12 Joseph J K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railway cars
JPS4121027Y1 (ko) * 1965-03-29 1966-10-13
US3445013A (en) * 1966-12-19 1969-05-20 Outboard Marin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multilevel railroad cars
US3490622A (en) * 1968-02-26 1970-01-20 Eaton Yale & Towne Van handler vehicle
US3667635A (en) * 1969-07-14 1972-06-06 Hackney & Sons Inc J A Combined truck body and wheeled rack and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a van
DE2049653A1 (de) * 1970-10-09 1972-04-20 Althammer, Karlheinz, Dr.-Ing., 8000 München Gedeckter Wagen
US4016991A (en) * 1974-04-10 1977-04-12 Oldford William G Railway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JPS5322208U (ko) * 1976-08-03 1978-02-24
US4124119A (en) * 1977-08-02 1978-11-07 Transequip Inc. Automobile carrier for use on air cargo pallets
DE2923428C2 (de) * 1979-06-09 1986-04-30 H. Spier + Sohn, 3282 Steinheim Stapel- und Fixiervorrichtung für Personenkraftwagen zu Transportzwecken
US4297071A (en) * 1979-10-01 1981-10-27 Dunbar Glenn G Weight transfer apparatus
WO1981001997A1 (en) * 1980-01-13 1981-07-23 Y Yonahara Vehicle housing apparatus for marine transport
JPS5727709U (ko) * 1980-07-16 1982-02-13
JPS5730310U (ko) * 1980-07-29 1982-02-17
US4545710A (en) * 1982-07-29 1985-10-08 Sun Carriers, Inc. Apparatus for automated less-than-truck load shipments
FR2573014B1 (fr) * 1984-11-15 1988-04-15 Lohr Sa Vehicule porte-voitures a structures porteuses transversales individuelles propres a chaque train de roues
US4668141A (en) * 1985-07-29 1987-05-26 Petersen Karl D Multiple position support structure for transporting vehicles
FR2586628B1 (fr) * 1985-08-28 1990-06-15 Lohr Sa Convoi routier porte-vehicules a unite de chargement dissociable du chassis cabine
CA1234373A (en) * 1986-02-10 1988-03-22 Atlantis Projects Inc. Transportation van having load elevating platform locat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23198B3 (es) 1992-01-01
EP0274882A1 (en) 1988-07-20
CA1285238C (en) 1991-06-25
JPH05193412A (ja) 1993-08-03
MX160087A (es) 1989-11-23
JPS63212140A (ja) 1988-09-05
AU594277B2 (en) 1990-03-01
HK15892A (en) 1992-03-06
AU8254987A (en) 1988-06-23
KR880007294A (ko) 1988-08-26
GR3002738T3 (en) 1993-01-25
SG492G (en) 1992-04-16
JPH075052B2 (ja) 1995-01-25
JP2617066B2 (ja) 1997-06-04
JP2610080B2 (ja) 1997-05-14
JP2610079B2 (ja) 1997-05-14
JPH05193411A (ja) 1993-08-03
DE3771476D1 (de) 1991-08-22
EP0274882B1 (en) 1991-07-17
JPH05238305A (ja) 1993-09-17
US4768916A (en) 198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582B1 (ko) 화물운송용 표준형 밀폐구조체 속으로의 자동차 적재시스템
US4797049A (en) System for loading motor vehicles into standard cargo-carrying enclosures
US52134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erized shipment of automobiles
US49195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utomobiles into a cargo container
US5417540A (en) Cargo container handling and transport system
US4932830A (en) Motor vehicle and boat trailer
CN103201195B (zh) 用于车辆运输的可移除的框架系统
USRE39997E1 (en) Fork lift apparatus adapted to be coupled to a truck or trailer
US5253975A (en) Car loading apparatus
CA2563290A1 (en) Level lift trailer with detachable cargo bed
EP03783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motor vehicles from lightweight sleeves which are carried in standard cargo containers
US4738575A (en) Convertible automobile carrier
JPH07186811A (ja) 自動車の荷積み・荷降ろし方法
US5067869A (en) Automobile transportation apparatus
US3396858A (en) Load handling apparatus having retractable stabilizing arm
US5032044A (en) Light weight stowable front wheel seats for hauling large semistacked highway trucks in railroad cars of extraordinary height
US4834608A (en) Railroad car for hauling large highway trucks and method of loading
JP5566206B2 (ja)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車及び自動車の積込み方法
KR100679464B1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JPH06100077A (ja) トラック輸送および鉄道輸送兼用のコンテナ
GB1580706A (en) Vehicle load carrying containers
JP2802141B2 (ja) 鉄道貨車へのトレーラ積載装置および積載方法
JPH01209225A (ja) 自動車積込装置
JPH05155284A (ja) 荷物運搬車両の積卸し装置
JPH0840134A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荷箱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12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