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888A - 반도체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7888A KR940007888A KR1019930019178A KR930019178A KR940007888A KR 940007888 A KR940007888 A KR 940007888A KR 1019930019178 A KR1019930019178 A KR 1019930019178A KR 930019178 A KR930019178 A KR 930019178A KR 940007888 A KR940007888 A KR 9400078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t line
- detection signal
- pair
- bit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11C11/41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18—Address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11C11/41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19—Read-write [R-W]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제1의 비트선과 제2의 비트선을 포함하는 비트선쌍과; 제1 및 제2의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1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비트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제2의 비트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단자중에서 하나를 제1의 전위에 설정하고 다른 단자를 상기 제1의 전위보다 낮은 레벨으 제2의 전위에 설정하기 위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선택되었을때 전위 설정동작을 수행하는 각각의 복수의 메모리셀과; 어드레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 제공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모리 셀 선택수단고; 상기 비트선쌍 사이에 생기는 전위차를 검출하고 전위차를 근거로 하여 판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판독 데이터 출력수단과; 상기 어드레스의 변화가 검출되었을때 소정기간내에 활성화 상태에서 어드레스 변화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어드레스 변화 검출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 신호의 활성화 상태기간 동안에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상기 제2의 비트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등화 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 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판독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제2의 비트선에 존재하는 전위 레벨을 인식하고 상기 비트선쌍내의 고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저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저전위측상의 비트선에 고레벨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수단은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 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판독 데이타를 근거로 하여 현재시간에서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상기 제2의 비트선사이의 고레벨 및 저레벨을 가리키는 바르선쌍 전위쌍 전위차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 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비트선쌍의 고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상기 저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저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상기 고레벨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데이터 출력수단은 상기 비트선쌍의 상기 제1의 비트선에 접속된 제1의 데이터 입출력선과 상기 비트선쌍의 상기 제2의 비트선에 접속된 제2의 데이터 입출력선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출력선쌍, 그리고 상기 제1의 데이터 입출력선과 상기 제2의 데이터 입출력선의 전위치를 검출하고 증폭하여 상기 판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선쌍 사이에 접속된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신호와 상기 판독 데이터는 논리 신호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입력으로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신호와 상기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상기 제2의 비트선사이의 고저인 논리 신호로서 나타나는 상기 비트선상 전위차 검출신호를 출력으로 제공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부가 상기 고레벨 전압을 발생하는 제1의 전원과 상기 저레벨 전압을 발생하는 제2의 전원에 접속되고, 그리고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전원 중에 하나를 상기 제1의 비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전원을 상기 제2의 비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 변호 검출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판독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현재의 시간에서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제2의 비트선 사이의 고저를 나타내는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비트선쌍의 고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상기 저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저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상기 고레벨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저전압인가부와, 그리고 상기 고레벨 전압과 상기 저레벨 전압인가를 동작과 관련된 부분에서 적어도 상기 메모리 셀과 동등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전압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부가 상기 고레벨 전압을 발생하는 제1의 전원과 상기 저레벨 전압을 발생하는 제2의 전원에 접속되고, 그리고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전원중에 하나를 상기 제1의 비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전원을 상기 제2의 비트선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이 4개의 MOS트랜지스터와 2개의 저항을 포함하는 고저항 부하형 셀 구조의 SRA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이 4개의 MOS트랜지스터와 2개의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6개의 트랜지스터 CMOS 셀 구조의 SRA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 수단에서 적어도 상기 고레벨 전압과 상기 저레벨 전압인가 동작에 관한 부분이 상기 메모리 셀과 동등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 및 제2의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의 단자주에서 하나의 단자를 제1의 전위에 설정하고 다른 단자를 상기 제1의 전위보다 낮은 레벨의 제2의 전위에 설정하기 위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선택되었을때 전위 설정동작을 수행하고 매트릭스내에 배열된 각각의 복수의 메모리셀과; 제1의 비트선과 제2의 비트선을 가지고 동일한 열내에서 상기 메모리 셀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 셀의 상기 제1의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상기 메모리 셀의 상기 제2의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제2의 비트선을 가지는 각각의 복수의 비트선상과; 복수의 워드선 각각은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 셀을 선택된 상태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태의 상기 메모리 셀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각각의 복수의 워드선과; 행 어드레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행 어드레스 신호 제공수단과; 열 어드레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열 어드레스 신호 제공수단과; 상기 열 어드레스 신호를 근거로 하여 선택된 비트선쌍으로서 상기 복수의 워드선과; 행 어드레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행 어드레스 신호 제공수단과; 열 어드레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열 어드레스 신호 제공수단과; 상기 행 어드레스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복수의 워드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워드선 선택수단과; 상기 열 어드레스 신호를 근거로 하여 선택된 비트선쌍으로서 상기 복수의 비트선쌍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비트선쌍 선택 수단과; 상기 비트선쌍 사이에 생기는 전위차를 검출하고 전위차를 근거로 하여 비트선쌍 사이의 판독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의 비츠선쌍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비트선쌍 판독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선택된 비트선쌍 사이에 생기는 전위차를 검출하고 전위차를 근거로 하여 외부 출력에 대한 판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의부적으로 출력된 판독 데이터 출력수단과; 상기 행 어드레스 신호 또는 상기 열 어드레스 신호의 어드레스 변화를 검출하는 소정기간 동안에 활성화 상태에서 어드레스 변화 검출신호를 츨력하기 위한 어드레스 변화 검출수단과;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 대응하는 비트선쌍의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제2의 비트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의 비트선상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등화수단과;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 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대응하는 상기 비트선상 판독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대응하는 비트선쌍에서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제2의 비트선사이에 존재하는 전위 레벨의 고저를 인식하고 상기 비트선쌍에서 고전위축상의 비트선에 저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비트선쌍에서 저전위측상의 비트선에 고레벨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복수의 비트선쌍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각의 복수의 전압인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압인가수단 각각은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 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비트 선쌍 판독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대응하는 비트선쌍의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상기 제2의 비트선 사이의 일반적으로 고저를 가리키는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 변호 검출 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비트선상의 고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상기 저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저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상기 고레벨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선상 판독 데이터 출력수단은 상기 비트선쌍 사이에 접속된 비트선쌍에 대하여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제2의 비트선 사이의 전위차를 감지하고 증폭하기 위한 가미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출력된 데이터 판독 수단은 제1의 데이터 입출력선과 제2의 데이터 입출력선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선쌍과;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복수 비트선쌍내의 대응하는 비트선쌍의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상기 데이터 입출력선쌍의 상기 제1의 데이터 입출력선 사이의 전기적 접속과 상기 대응하는 비트선쌍의 상기 제2의 비트선과 상기 데이터 입출력선쌍의 상기 제2의 데이터 입출력선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비트선쌍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1의 데이터 입출력선과 제2의 뎅터 입출력선의 전위차를 감지하고 증폭하여 데이터 입출력선 사이의 판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선쌍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입출력선쌍을 위한 감지 증폭기와, 상기 열 어드레스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칭 수단의 선택적 활성화에 의해 상기 선택된 비트선쌍을 상기 데이터 입출력선쌍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비트선쌍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신호와 상기 비트선상 판독 데이터는 논리 신호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으로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신호와 상기 판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상기 제2의 비트선사이의 고저를 나타내는 논리신호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로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고레벨 전압을 제공하는 제1의 전원과 상기 저레벨 전압을 제공하는 제2의 전원을 접속되고, 그리고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및 제2의 전원 중에 하나를 상기 제1의 비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전원을 상기 제2으 비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복수의 전압인가 수단 각각은 상기 어드레스 변호 검출신호의 활성호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비트선 쌍 판독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대응하는 비트선쌍내의 현재의 시간에서 상기 제1의 비트선과 제2의 비트선 사이의 고저를 나타내는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어드레스 변화 검출신호의 활성화 상태 기간동안에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비트선쌍의 고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상기 저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저전위측상의 비트선에 상기 고레벨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부와, 그리고 상기 고레벨 전압과 상기 저레벨 전압인가 동작과 관련된 부분에서 적어도 상기 메모리 셀과 동등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전압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부는 상기 비트선쌍 전위차 검출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전원중에 하나를 상기 제1의 비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전원을 상기 제2의 비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고레벨 전압을 발생하는 제1의 전원과 상기 저레벨 전압을 발생하는 제2의 전우너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이 4개의 MOS트랜지스터와 2개의 저항을 포함하는 고저항 부하형 셀 구조의 SRA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이 4개의 MOS트랜지스터와 2개의 PMOS를 포함하는 6개의 트랜지스터 CMOS셀 구조의 SRA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압인가 수단 각각이 상기 고레벨 전압과 상기 저레벨 전압인가 동작에 관한 부분이 적얻 상기 메모리 셀과 동등한 구성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5109692 | 1992-09-21 | ||
JP92-251096 | 1992-09-21 | ||
JP5035054A JP2667946B2 (ja) | 1992-09-21 | 1993-02-24 | 半導体記憶装置 |
JP93-035054 | 1993-02-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7888A true KR940007888A (ko) | 1994-04-28 |
KR960003536B1 KR960003536B1 (ko) | 1996-03-14 |
Family
ID=2637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9178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3536B1 (ko) | 1992-09-21 | 1993-09-21 | 반도체 기억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392249A (ko) |
JP (1) | JP2667946B2 (ko) |
KR (1) | KR960003536B1 (ko) |
DE (1) | DE4332084C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5675A (ja) * | 1993-09-17 | 1995-03-31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JP3639323B2 (ja) * | 1994-03-31 | 2005-04-20 | 富士通株式会社 | メモリ分散型並列計算機による連立1次方程式計算処理方法および計算機 |
JPH087573A (ja) * | 1994-06-14 | 1996-01-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データの読出および書込方法 |
JPH09120682A (ja) * | 1995-10-24 | 1997-05-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メモリ装置 |
US5844852A (en) * | 1995-11-16 | 1998-12-01 | Intel Corporation | Memory arrays with integrated bit line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ry |
JPH09190692A (ja) * | 1996-01-09 | 1997-07-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JP3230435B2 (ja) * | 1996-05-17 | 2001-11-19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 |
US6072738A (en) * | 1998-03-09 | 2000-06-06 | Lsi Logic Corporation | Cycle time reduction using an early precharge |
US6356485B1 (en) | 1999-02-13 | 2002-03-12 |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 Merging write cycles by compa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pective write cycle addresses |
US6198682B1 (en) * | 1999-02-13 | 2001-03-06 |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 Hierarchical dynamic memory array architecture using read amplifiers separate from bit line sense amplifiers |
US6947344B2 (en) * | 2003-02-28 | 2005-09-20 | Infineon Technologies Ag |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data from a memory cell |
JP5185441B2 (ja) * | 2009-07-02 | 2013-04-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 |
JP2014195241A (ja) * | 2013-02-28 | 2014-10-09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半導体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58435A (en) * | 1983-05-31 | 1985-12-10 | Rca Corporation | Memory system |
EP0304591B1 (de) * | 1987-08-18 | 1993-03-03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Halbleiterspeicher mit einer Signalwechsel-Erkennungsschaltung |
JPH0373495A (ja) * | 1989-02-15 | 1991-03-28 | Ricoh Co Ltd | 半導体メモリ装置 |
JPH0646513B2 (ja) * | 1989-07-12 | 1994-06-15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記憶装置のデータ読出回路 |
JP2785540B2 (ja) * | 1991-09-30 | 1998-08-1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半導体メモリの読み出し回路 |
-
1993
- 1993-02-24 JP JP5035054A patent/JP2667946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9-14 US US08/120,739 patent/US539224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09-21 DE DE4332084A patent/DE4332084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09-21 KR KR1019930019178A patent/KR96000353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3536B1 (ko) | 1996-03-14 |
JP2667946B2 (ja) | 1997-10-27 |
DE4332084C2 (de) | 1996-01-04 |
US5392249A (en) | 1995-02-21 |
JPH06150660A (ja) | 1994-05-31 |
DE4332084A1 (de) | 1994-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24216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920013456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900000904A (ko) | 반도체기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데이터패스(data path) | |
KR0161510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920006980A (ko) | 메모리 행 라인 선택을 위한 개량된 래치형 리피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 |
KR940007888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950009742A (ko) | 다수의 메모리 셀을 가진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회로 | |
KR930006736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930001214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US5003542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error correcting circuit and method for correcting error | |
KR960005900B1 (ko) | 반도체 다이내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 디바이스 | |
KR0129790B1 (ko) | 개량된 증폭기 회로와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기억장치 | |
KR910001744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US5455795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920013440A (ko) | 열 디코드에 의한 비트 라인 등화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 |
US5715204A (en) | Sense amplifier with hysteresis | |
US5719811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EP0276852B1 (en) |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nibble mode operation | |
US4896299A (en) | Stat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function of resetting stored data | |
KR950010084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US5469392A (en) | Semiconductor memory | |
KR930022384A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KR950008672B1 (ko) | 입/출력 라인사이에서 전위차를 억제하기 위한 클램핑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EP0350860B1 (en) | Semiconductor memory having improved sense amplifiers | |
JPH0574158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3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31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