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7260B1 - 생산공정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생산공정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260B1
KR940007260B1 KR1019910006721A KR910006721A KR940007260B1 KR 940007260 B1 KR940007260 B1 KR 940007260B1 KR 1019910006721 A KR1019910006721 A KR 1019910006721A KR 910006721 A KR910006721 A KR 910006721A KR 940007260 B1 KR940007260 B1 KR 94000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correction
work
point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123A (ko
Inventor
순지 사카모또
토시히꼬 오시노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109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50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8664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3455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record carriers
    • G05B19/128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record carriers the workpiece itself serves as a record carrier, e.g. by its form, by marks or codes on 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05B19/4187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by tool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086Communication of carriage, agv data, workpiece data at each st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26Real time database management for production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178Normal and correction transferline, transfer workpiece if faul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183Test cel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14Display on screen what fault and which tool and what order to repair faul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05B2219/33192Radio link, wirele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50Machine tool, machine tool null till machine tool work handling
    • G05B2219/50136With sensor, potentiometer to measure relative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nspor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생산공정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생산라인 전체의 시스템구성을 표시한 개략블록도,
제2도는 동생산라인의 어떤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차체와 장착조립대상 부품과의 도킹장면을 표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스테이션의 평면도,
제4도는 상부 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5도는 불비점수정작업 스테이션의 표시장치(7)의 표시태양을 표시한 도면,
제6도는 하부둘레 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D)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제7도는 장착조립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C)와 하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D)와의 관계를 표시한 블록도,
제8도는 상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F)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9도는 상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 또는 하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10도는 불적합발생내용을 표시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불비점수정작업 지시데이터를 작성하는 판독/분배유니트(53)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11도는 데이터캐리어(60)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12도는 불비점수정작업 스테이션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13도,제14도는 판독/분배유니트(53)에 의한 불비점수정작업 지시데이터의 분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l5도,제16도는 판독/분배유니트(5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표시한 도면,
제17도는 판독/분배유니트(53)에 있어서의 실행수순을 표시한 순서도,
제18도는 판독/분배유니트(53)에 있어서의 지시데이터의 작성숫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19도는 불비점수정작업 지시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제20도는 소위 "뒤쫏기"가 발생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21도 내지 제23도는 불비점수정작업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제어수순을 설명하는 순서도,
제24도,제25도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전송숫법을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라인(생산라인) 1A∼1T : 작업스테이션
1D, 1F :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 3 : 차체이송라인
3a : 반입용가이드레일 5a,5b : 서브팔레트
6 : 차체 7,7a∼7c : CRT표시장치
13 : 공작물팔레트 14 : 엔진
15 : 리어서스펜션 15A : 스트러트
17 : 공작물팔레트반송장치 21 : 행거프레임
21a : 승강용실린더 23 : 지지로울러
24L, 24R : 가이드부 25L, 25R : 반송레일
26 : 팔레트계지부 27L, 27R : 팔레트반송대
30L, 30R : 좌우전방쪽 클램프아암 31L, 31R : 좌우후방쪽 클램프아암
35L, 35R, 37L, 37R : 고정기초대 40 : 도킹장치
41L, 41R : 슬라이드레일 42 : 가동부재
45 : 슬라이드장치 46 : 걸어맞춤수단
47 : 승강팔레트기준핀 48A, 48B : 로보트
51, 51a∼51j : 시이퀀스제어대상설비 52, 52a∼52j : 제어/기록유니트
53a, 53b : 판독/분배유니트
54, 54a∼54c : 작업표시제어유니트
55, 57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지시수단)
56,58 : 데이터통신회선(네트워크라인)
60 : 데이터캐리어 60a : 송수신코일부
60b : 메모리부 61 : 시이퀀스제어출력부
62 : 고장진단복귀제어부 63 : 데이터처리부
64 : 판독헤드(판독수단) 65 : 기록헤드(기록수단)
66 : 기록판독헤드제어부 67 : 판독헤드제어부
68 : 데이터처리분배부 70, 70a∼70g : 표시관리제어기
71 : 데이터처리부 73 : 토오크렌치제어기
74 : CRTC 75, 75a∼75c : 인코우더
LS : 리밋스위치 SD : 기억영역
T : 토오크렌치 TWR : 토오크렌치유니트
본 발명은, 실행해야할 작업의 내용마다 작업스테이션이 1개씩 공작물이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작업라인과, 이 작업라인에 있어서 발생한 불비점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스테이션을 복수가지고 상기 작업라인과 연속(series)으로 접속된 수정라인으로 이루어진 생산공정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공정관리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자동차의 조립라인과 같은, 소정의 공작물의 생산라인에 있어서, 직렬로 배치된 여러가지의 작업용설비(Equipment devices) (예를들면, 너트라인, 용접로보트등의 NC장치)에 대하여, 컴퓨터를 내장한 시이퀀스제어를 위한 서브유니트를 배설하고, 이러한 서브유니트에 대하여 호스트컴퓨터로부터 그 각 설비가 순차 행하여야할 동작에 대한 위크 1D에 따른 시이퀀스제어를 행하도록 하게 하므로서, 작업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하는 것이 알리져 있다.
이와같은 시이퀀스제어가 행하여질 때에는 상기 호스트컴퓨터쪽의 시이퀀스제어 유니트의 메모리에 내장되어 있는 시이퀀스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서브유니트에 로우드 된다. 그리고, 당해 서브유니트가, 상기 자동차 생산라인에 있어서의 개개의 작업용설비를 호스트컴퓨터로부터 보내온 시이퀀스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축차 합리적으로 시이퀀스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시이퀀스제어대상의 복수개의 설비가 배치되어 자동화가 도모된 자동차등의 생산라인에 있어서, 그 라인을 따라서 반송되어가는 각 공작물에 대해서, 일련의 작업공정에 따라서, 소정의 작업이, 상기 시이퀀스제어 대상의 복수의 설비에 의해 순차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이와같은 생산라인에 있어서는 실제상, 각 작업공정에 있어서 공작물에 대한 작업의 결과에 불비점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통상, 복수의 시이퀀스 제어대상설비가 배치되어서 자동화가 도모된 상기한 바와같은 생산라인에는, 검사라인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라인을 개시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개소61-108079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의 생산라인(검사라인)에서는, 라인을 흐르는 공작물로서의 차체에 이동통신장치가 장착되고, 이 통신장치내의 RAM에, 각 검사공정에서의 검사결과가 통신에 의해 보내져서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불비점이라고 하는 것은, 자동장치에 의해 행하여진 모든 위치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실제로는, 어떤 작업스테이션의 로보트에 의해 100개소의 포인트에서 작업이 행하여졌다면, 불비점이 발생하는것은 수개소일 것이다. 따라서, 이 적은 불비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특별한 검사라인을 설치하는 것은 생산라인의 효율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된다. 즉, 일본국 특개소 61-108079호와 같은 검사라인을 생산라인내에 설치하는 것은 중요하나, 더 중요한 것은, 생산효율을 어떻게 떨어뜨리지 않고, 불비점을 검사하여, 그 불비점을 수정하느냐 하는 일이다.
조립라인은, 조립을 위한 시이퀀스제어가 이루어지는 곳이며, 거기에서 발생한 불비점을 거기에서 수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실제상, 그러한 불비점 수정의 대부분은 사람의 개재없이는 곤란할 것이다. 즉, 생산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고, 불비점을 수정할려면, 조립라인과는 별도로, 수정라인이라고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 → 검사 →수정이라고 하는 연속적인 라인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나, 발생하는 빈도가 적은 불비점 때문에 특별한 검사라인을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검사라인을 제외한 조립라인 →수정라인이라고 하는 연속적인 라인을 생각하게되는 것이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불비점이 발생하는 곳은, 실제의 조립라인의 각 스테이션에서이므로, 상기 선행기술과 같은 검사라인이라고 하는 특별한 라인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면, 그 조립라인에서 밖에, 실질상, 불비점의 발생, 불비점의 태양을 파악할 수가 없다. 따라서, 조립라인에 있어서 파악된 불비점을 어떻게 수정라인에 전달하느냐가 문제가 된다.
불비점을 검출하고, 불비점을 수정라인에 전달하는 숫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상기 시이퀀스제어된 종래의 생산라인에서는, 즉, 중앙에, 생산계획전체를 관리하는 컴퓨터시스템과 각 작업스테이션에는 대응하는 시이퀀스제어의 서브유니트가 배설되어 있는 생산라인시스템에서는, 각 시이퀀스제어대상 설비에 대응하는 서브유니트에 있어서, 작업결과상태를 나타내는 작업상태 데이터가 형성되고, 그리고, 시이퀀스 제어서브유니트에 있어서 형성된 이 작업결과데이터가, 일단, 각 시이퀀스 제어유니트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중앙시스템에 통신회선을 통해서 수집되고, 이 중앙시스템에 있어서 분석된다. 이 분석결과에 의해, 중앙시스템에서 불비점개소등이 검출되면, 이 중앙시스템으로부터 수정작업스테이션에 설치된 데이터수리유니트에, 검출된 불비점에 관한 데이터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시이퀀스제어유니트, 중앙시스템 및 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의 데이터수리유니트 사이에서의 데이터처리는, 생산라인에 설치된 시이퀀스제어대상설비 및 그것에 대응하는 시이퀀스제어유니트의 수가 다수로 됨에 따라서, 그 처리량이 급증해서 장시간을 소요하게 되는 것으로 되고, 또, 데이터처리상의 에러도 증대하므로, 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의 공작물에 대한 수정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정화성을 해칠요인으로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조립라인에서 발생한 불비점의 존재를, 그 불비점의 내용과 함께, 효율적이고도 확실하게 수정라인에 전달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은 수정라인은, 당연히 복수의 시이퀀스제어대상설비에 대응해서 통상 복수의 수정작업스테이션이 연속해서 배설되게 되나, 그와같이 복수의 수정작업스테이션을 배설하였을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각 수정작업스테이션은 당연히 자동차의 차체에 대응한 길이(예를들면 4m정도)의 것으로 된다. 그때문에 수정대상인 차체의 앞끝에서부터 뒤끝까지의 모든 범위의 수정포인트를 1개의 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 수정한다고하는 것은 작업자의 이동범위가 지나치게 크게 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어느 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 차체불비점 부분의 어느 개소의 수정을 행하는지를 구분하여, 각 스테이션마다 분담시키는 수정시스템을 채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수정작업에 따라서 복수의 수정작업스테이션에 수정작업을 정확하게 분배할 수 있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수정라인에 복수의 수정스테이션이 배설되고, 이들 스테이션에 수정작업이 분배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어느 것인지의 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 적정하게 수정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 이후의 어느 것인지의 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 적정한 수정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는 생산공정 관리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은 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는, 수정작업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공구가 사용된다. 예를들면, 나사죄기등의 수정작업의 경우, 토오크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토오크렌치가 배치되게 된다. 작업효율향상의 견지에서 말하면, 본래, 작업자는 될수 있는한 공구의 바꿔쥐기를 필요로하지 않는 쪽이 효율상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수정작업이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자동차의 조립라인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시스템의 특징]
자동차산업에 한정되지 않으나, 그러나 자동차제조산업에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생산라인의 특징은, 예를들면 엔진의 제조라인이나 차체의 제조라인, 차체의 도장라인, 엔진의 차체장착조립라인등의 복수의 조립라인이 유기적으로 결합해서, 연속적으로 자동차가 생산되어 간다고 하는 것이다. 1개의 기업이 복수개의 공장을 가진 경우도 있고, 1개의 공장만의 기업도 있을 것이다. 기업전체의 생산계획은 중앙의 컴퓨터시스템에 관리되고, 또, 그 기업의 1개의 공장전체도 그 공장전용의 컴퓨터 또는 상기 중앙의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공장에 설치된 복수의 생산라인도 전체적으로는 1개 또는 복수의 연속적인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① : 개개의 생산라인을, 조립작업라인과, 이 조립작업라인에 연속해서 접속된 라인으로서, 그 조립라인에서 발생한 불비점의 수정작업을 행하는 수정작업 라인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조립작업라인에서 발생한 불비점을, 가능한한 동일한 이 생산라인의 테두리내에서, 환언하면, 중앙시스템의 도움을 빌리지 않고 처리수정을 행하는 것이다. 종래의 불비점수정작업시스템이 중앙일괄관리형이였는데 대하여, 본 실시예의 그것은, 분산형이라고 할만한 것이다. 그 때문에, 이 분산형 시스템에서는, 조립작업라인에서 발생한 불비점에 관한 정보, 즉, 불비점이 발생한 공작물에 관한 정보나 불비점의 공작물에 있어서의 발생위치등의 불비점정보를, 그 불비점이 발생한 그 스테이션(조립작업라인에는 복수의 스테이션이 존재한다)에 있어서, 흘러가는 공작물과 함께 이동하는 데이터캐리어에 일단 축적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캐리어로부터 불비점정보를 불비점수정작업라인에 들어가는 직전에서 판독하고, 이 정보에 의거해서 불비점수정작업라인의 어느 스테이션(불비점수정작업 라인에도 복수의 스테이션이 존재한다)에 있어서 어떠한 공구를 사용해서 불비점 수정작업을 행하는지를 작업자에 지시하도록 한다.
② ㆍ제2의 특징은 비접촉형의 데이터캐리어를 사용하여, 이 데이터캐리어에 불비점정보를 전송하고, 혹은 이로부터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내(耐) 잡음성, 전송 거리성능의 점에서 본 시스템에서는, 전송방식으로서 마이크로파를 선택하고 있다.
③ㆍ제 3으로,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는, CRT표시장치가 배치되고 표시장치에 표시된 그래픽스에 따라서, 작업자는 불비점개소의 인식과, 사용해야할 공구의 종류, 불비점수정순서등을 시스템으로부터 알리도록 되어 있다. 환언하면, 불비점에 대처하는 구체적인 지시를 작업자는 일목요언하게 된다.
④ 제4도, 소의 "뒤쫏기"의 문제에 대처하고 있는 일이다. 흐름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는 라인에서 사람이 작업을 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떤 작업자가 다른 작업자의 영역으로 모르고 들어가는 일(이것이"뒤쫏기"이다)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과 같이, 작업내용을 표시화면에 의해서 지시하는 경우에는, 이 "뒤쫏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자에 다음 공작물이 도착한 것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시스템의 쪽에서 강제적으로 화면을, 앞공작물에 대한 작업지시로부터 다음 공작물에 대한 작업지시로 절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작업자의 작업속도에는 개성이 있기 때문에, 획일적으로 화면변경을 행하지 않고, 다음 공작물이 자기영역에 들어오고 나서부터 소정시간(tc)에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⑤ㆍ불비점수정작업의 효율화를 위하여, 불비점수정작업의 실행순서는 시스템이 결정하고 있다. 또, 개개의 불비점수정작업의 완료검지를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은 자동화 하고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불비점수정작업의 예로서, 토오크렌치를 사용하고 있다. 토오크렌치에 의한 불비점수정작업의 종료는, 토오크렌치에 걸리는 부하를 검출하므로서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 종료의 검지를 자동화할 수 없는 불비점수정작업에 대해서는, 본 시스템에서는 작업자가 하나의 종료확인 단추를 누르므로서, 시스템에 불비점수정작업의 종료를 알리고 있다. 이와같은, 종료검지의 자동화등이 가능한 것은, 불비점수정작업순서가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시스템은, 다음에 종료되는 불비점수정작업의 개소는 어디인지를 알고 있게 되므로, 종료신호나 종료확인 단추의 눌러내림이, 실제로는 어느곳의 불비점수정작업 개소종료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문제가 되는 것은, ④에서 설명한 화면절환과, 개개의 불비점수정작업종료검지의 동기를 어떻게 취하는지의 문제이다. 동기를 취할 수 없는 최대의 문제는 불비점수정작업을 실제로는 행하고있지 않는 부분을, 종료로 잘못인식하는 일이다. 그래서, 본 시스템에서는, 화면절환에서부터 소정시간(ts)동안은, 상기 불비점수정작업종료신호의 입력을 금지하고 있다.
본 시스템에는, 상기 ① 내지 ⑤ 이외에도 여러가지의 특징이 있으나, 그들 특징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본 시스템은 이러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의 특징부분의 이해는,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생산라인, 특히, 조립라인과 불비점수정작업라인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자동차 조립라인]
먼저, 제1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조립라인(1)의 전체적인 구성(설비의 레이아우트 구성)을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자동차의 조립라인은, 자동차차체의 최종적인 조립완성라인이다. 즉, 이 조립완성라인에서는, 예를들면, 행거프레임등의 조작수단에 매달려 지지되어서 실려옮아오는 자동차의 차체(보디)에 대해서, 예를들면 엔진이나 서스팬션, 연료탱크, 라디에이터등의 어셈블리를, 볼트등의 나사체결부재를 예를들면 너트러너등을 사용해서 체결하는 자동작업과, 이 작업과정에서 발생한 불비점을 사람작업에 의해 수정하는 불비점수정작업이 행하여진다.
즉, 이 자동차의 조립라인(1)은, 제1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대별하면,
① 차체를 반입하고, 그 위치결정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A)(이군은 스테이션 #1∼#3으로 이루어진다),
② 엔진, 서스펜션등의 장착조립부품을 반입하는 스테이션군(1B)(이군은 스테이션 #4와, 스테이션 #37∼#39로 이루어진다),
③ 로보트에 의한 자동장착조립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C)(이군은 스테이션 #5∼#14로 이루어진다),
④ 사람계의 작업에 의한 제1백업수정라인으로서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D) (이군은 스테이션 #15∼#19로이루어지며, 주로, 차체의 상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한다),
⑤ 톱시이링불이기등 상부둘레의 보조작업스테이션군(1E) (이군은 스테이션 #20∼#21로 이루어진다),
⑥ 또하나의 사람계의 작업에 의한 제2의 배업수정라인으로서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F) (이군은 스테이션 #22∼#27로 이루어지며, 주로, 차체의 하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한다),
⑦ 조립을 완료한 차체의 반송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G) (이군은 스테이션 #28∼#29로 이루어진다),
⑧ 장착조립부품의 서브팔레트를 탑재하는 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H) (이군은 스테이션 #30∼#31로이루어진다),
⑨ 부품의 조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T) (이군은 스테이션 #32∼#36으로 이루어진다)등의 복수의 작업스테이션군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표시된 #1∼#39의 스테이션은, 스테이션마다 엄밀하게 구분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로서는, 대충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불과하다.
위치결정스테이션군(1A)
로보트에 의한 작업이 행하여지는 스테이션군(1C)은, 그 앞단계쪽에 반입한 차체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스테이션군(1A)과, 장착조립대상의 부품반입을 행하는 반입스테이션군(1B)를 가진다. 이 위치결정스테이션군(1A)에 있어서는, 오우버헤드형의 차체이송라인(3) (제1도)의 차체반입용가이드레일(3a) (제2도)에 의해,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방향으로 안내되어서 반송되어오는 자동차의 차체(6)가, 스위치백스타일로, 먼저 #1스테이션에 반입된다. 여기에 반입된 자동차의 차체(6)는, 예를들면 도장은 완료해 있으나, 장착조립대상의 공작물로서의 엔진, 서스펜션, 연료 탱크, 라디에이터, 스트러트, 슬라이딩루우프, 톱시이링등의 각종 차량구성 부분이 아직 장착조립되어 있지 않는 상태의 것이다.
제1도, 제2도를 참조하면서 이 차체(6)은, 차체이송라인(3)의 반입용가이드레일(3a)에 대해서 승강실린더(21a), (21a)를 구비한 승강식 행거프레임(21)을 개재해서 매달려 지지된 상태로, 위치결정스테이션군(1A)상의#1스테이션위치까지 반송되어온다. 그리고, 그후, #1스테이션에서부터 #2스테이션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차체(6)는 아래쪽으로 내려져서 도시생략의 리프터에 얹어져서, 이윽고 #3스테이션에 이른다. 이 위치에서, 리프터상에서의 차체의 정확한 위치결정과 이 위치결정상태의 계측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차체(6)은, 다음에 이 리프터에 리프트된 상태에서, 다음 단계의 장착조립부품반입스테이션군 1B의 #4스테이션에 이송된다.
반입스테이션군(1B)
#4스테이션에 집합하는 서브팔레트(5a), (5b) (제2도)에는, 상기한 서브팔레트 탑재스테이션군(1H)에 있어서 탑재되고, 부품조정작업스테이션군(1I)에 있어서 조정된 공작물이 탑재되어 있다. 즉, 이 #4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집합에 앞서서, 서브팔래트(5a)에는, 서브팔레트탑재스테이션군(1H)에 있어서 프런트서스펜션이 장착조립된 엔진(14)이 탑재되고, 또, 서브팔레트(5b)상에는 리어서스펜션(15)이 탑재되고, 이들 공작물은, 계속되는 부품조정작업스테이션군(1I)에 있어서, 당해 탑제부품의 위치 기타를 정확하게 조정되게 되어 있다. 이들 서브팔레트는, 공작물 반송용의 공작물팔레트(메인팔레트) (13)에 탑재되어, #4스테이션에 있어서, 차체(6)와 합류한다. 즉,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4스테이션에 있어서, 지면의 좌로부터 우방향으로, 행거프레임(21)에 의해 매달려진 차체(6)가 도착하고, 한편, 팔레트(13)에 탑재된 엔진(14) 및 리어서스펜션(15)도 제2도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이동해서 #4스테이션에 도착한다.
반입스테이션군(1B) 이후의 당해 자동차 조립라인(1)의 라인구조는, 예를들면 제2도 및 제3도에 상세히 표시한 바와같이, 먼저 공작물팔레트(13)와 이 공작물팔레트(13)를 반송하는 공작물팔레트 반송장치(17)로 구성되어 있다. 공작물팔레트 반송장치(17)는, 상부쪽에 상기 공작물팔레트(13)의 하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로울러(23), (23)…을 구비한 좌우 1쌍의 가이드부(24L), (24R)와, 이 가이드부(24L), (24R)를 따라서 평행으로 배설된 1쌍의 반송레인(25L), (25R)과, 각각이 상기 공작물팔레트(13)를 걸어 고정(係止)하는 팔레트계지부(係止部) (26)를 가지고, 각각 상기 반송레일(25L), (25R)을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좌우 1쌍의 팔레트반송대(27L), (27R)와, 이 팔레트반송대(27L), (27R)를 상기 반송레일(25L), (25R)을 따라서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리니어모우터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장착조립 스테이션군(1C)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반입스테이션군(1B)의 #4스테이션상에는, 제 2 도와 같이, 위편쪽의 차체(6)에 대하여, 아래편쪽으로 엔진(14)과 리어서스펜션(15)을 탑재한 공작물팔레트(13)가 동기해서 반입된다. 그리고, 다음의 자동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쪽의 최초의 작업스테이션인 #5스테이션의 곳에서 리프터에 의해 차체(6)가 하강되고, 이윽고 동리프터로부터 차체(6)가 풀려서, 제2도에 있어서 우측의 #5스테이션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 및 부품의 양자가 정확하게 도킹된다.
즉, 자동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의 각 스테이션에는, 프런트서스펜션 및 리어서스펜션(15)의 장착조립시에 있어서, 프런트서스펜션의 스트러트(도시생략)와 리어서스펜션(15)의 스트러트(15A) (제 2도)를 각각 지지하여 장착조립 자세를 취하게 하는 1쌍의 좌우전방쪽 클램프아암(30L), (30R) (제3도), 마찬가지로1쌍의 좌우후방쪽 클램프아암(31L), (31R)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전방쪽 클램프아암(30L), (30R)은, 각각, 고정기초대(35L), (35R)상에 있어서, 그들의 선단부가 프런트서스펜션의 스트러트에 걸어 맞추어진 상태하에서, 예를들면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후방의 클램프아암(31L), (31R)은, 각각고정기초대(37L), (37R)상에 있어서, 그들의 선단부가 리어서스펜션(15)의 스트러트(15A)에 걸어맞추어진 상태하에서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다. 이리하여, 좌우전방 클램프아암(30L), (30R) 및 좌우후방 클램프아암(31L), (31R)이, 상기한 도킹장치(40)를 형성하고 있다.
장착조립스테이션의 각각에는, 또, 반송레일(25L), (25R)에 대해서 각각 평행으로 뻗도록 설치된 1쌍의 슬라이드레일(41L), (41R)과, 이 슬라이드레일(41L), (41R)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가동부재(42)와, 이 가동부재(42)를 구동하는 모우터(43)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장치(4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슬라이드장치(45)의 가동부재(42)에는, 공작물팔레트(13)상에 설치된 가동엔진지지부재(도시생략)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수단(4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우버헤드식의 이재(移載)장치(16)의 승강행거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된 보디(6)에, 공작물팔레트(13)상에 배치된 엔진(14)과 프린트서스펜션(도시생략)과 리어서스펜션(15)이 장착조립될때에, 그 걸어맞춤수단(46)이, 승강팔레트기준핀(47)에 의해 위치결정된 공작물팔레트(13)상의 가동엔진지지부재(도시생략)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슬라이드장치(45)는 팔레트(13)를 전후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차체(6)에 대하여 엔진(14)이 전후이동되어서, 차체(6)와 엔진(14)과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되어 있다.
장착조립스테이션의 각각에는, 또, 차체(6)에 장착조립된 엔진(14), 프런트서스펜션(도시생략)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 또는 나사의 죄기작업을 행하는 로보트(48A), 그리고 마찬가지로 차체(6)에 조립된 리어서스펜션(15)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 또는 나사죄기작업을 행하는 로보트(48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공작물팔레트(13)쪽의 장착조립부품과의 도킹이 완료된 차체(6)는, 순차,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의 #6∼#14의 각 작업스테이션으로 소정시간의 간격으로 이행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를 가지고 구성된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는, 상기한 #5작업스테이션에 추가해서, #6스테이션에서부터 #14스테이션(단, 제l도에 있어서, #6에서부터 #13까지는 도시생략)까지의 예를들면 l0조의 단위작업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차체(6)과 엔진(14)등 장착조립부품과의 도킹작업(#5)외에, 엔진 또는 프런트서스펜션 마운트에서의 볼트죄기작업(#6), 연료탱크 장착을 위한 볼트죄기작업(#7), 스트러트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죄기작업(#8), 리어콤비네이션램프 또는 라디에이터등을 장착하기 위한 볼트죄기작업(#10), 슬라이딩루우프장착을 위한 볼트죄기작업(#11)등의 너트러너등의 각종 자동기에 의한 볼트죄기작업이 상기한 바와같은 로보트를 사용해서 순차 실시되어 가도록 되어 있다.
또,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 이후에는, 이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에서 행하여진 장착조립작업의 수정을 행하는 작업스테이션군(1D), (1F) (스테이션군(1D)은 차량의 상부둘레의 불비점수정을, 스테이션군(1F)은 하부둘레의 불비점수정을 행한다)과, 그들의 중간에 위치하는 보조작업스테이션군(1E)과, 상기불비점수정작업도 종료한 조립완료차체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 또는 반송하는 차체반송스테이션군(1G)이,각각 배설되어 있다.
각 장착조립스테이션에 있어서의 볼트나 너트죄기를 행하는 로보트장치는, 죄기 토오크의 이상을 검출하였을 경우는, 그 작업을 중지하고, 이상이 발생한 위치를 기억한다. 이점에 대해서는, 불비점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장치인 데이터캐리어에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둘레 불비점수정 작업스테이션군(1D)
이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D)은, 예를들면, 제1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15∼#19의 5개의 단위작업스테이션을 가지고, 그중 적어도 3개의 작업스테이션 #16, #17, #18의 각각은,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의 각각에서 집적된 불비점데이터에 의거해서 작성된 불비점수정지시(이 작성은 후술하는 분배유니트(53a)에 의해 이루어진다)에 의거해서, 그 지시를 그래픽스 표시제어하기 위한 제어기(70a)∼(70c)와, 그 그래픽스를 표시하기 위한 각각 1개의 CRT(7a), (7b), (7c)와, 이들 CRT(7a)∼(7c)의 표시내용에 의거해서, 볼트의 더죄기등의 수정작업을 행하게 되는, 예를들면 3개 1조의 제1∼제3의 토오크렌치유니트TWR1∼TWR3가 배설되어 있다.
CRT(7a)∼7(c)는, 예를들면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① : 대상으로 되어 있는 차량의 커밋#와 차종,
② : 불비점이 발생한 어셈블리의 그래픽과 발생포인트,
③ : 불비점에 대한 여리가지 메시지등을 불비점정보로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LS1∼LS6(제 1도, 제12도)는, 각각 리밋스위치이며, 상기 #15∼#19스테이션으로의 공작물팔레트(13), (13)…의 반입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손으로 수정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알리는 의미에서도 반입의 검지가 필요하게 된다.
이들 리밋스위치 LS3∼LS5의 각각이 ON으로 되면, 그것은 각각의 스테이션에 새로운 차체(6)가 반입된것을 표시하게 되므로, 본래, 각 리밋스위치 LS3∼LS5의 ON과 동시에, 대응하는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의 표시용 CRT의 표시화면도 새로운 차체의 그것으로 절환하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것은, 앞에서 설명한 "뒤쫓기"에 기인되는 불비점(틀린 화면에 의거해서 작업을 해버리는)을 해소한다고 하는 이유에 의해, 이 절환은 늦춰지게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 리밋스위치 LS3∼LS5가 ON으로 되고 나서부터 실제로 CRT(7a)∼(7c)의 표시화면이 절환될때까지, 소정의 지연시간 tc를 설정하는 한편, 작업결과의 체크시의 토오크렌치유니트 TWR1∼TWR3의 각 입력은, 상기 지연시간 tc경과후의 일정시간 ts내는 불감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는, 예를들면 #16스테이션의 토오크렌치유니트 TWR1에 대해서 말하면, 상기 #16스테이션 또는 #17스테이션이 상기 ts시간내에 있을때에, 당해 토오크렌치유니트TWR1을 불감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고 하는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각 스테이션의 3개의 토오크렌치는 표시관리제어기(70a)∼(70c)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기(70a)∼(70c)는, 후술하는 불비점데이터의 판독분배유니트(53a)로부터 보내온 정보에 의거해서,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불비점수정작업의 지시를 표시한다. 또,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의 표시관리제어기(70a) ∼(70c)에 접속된 인코우더(encoder) (75a) ∼75c)는,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반입되어온 팔레트(13)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는, 팔레트(13)가, 제4도에 표시한 리밋스위치 LS3∼LS5의 각각을 누른시점에서, 상기 인코우더는 초기화되고, 그 시점에서부터의 팔레트 이동량이 이 인코우더에 의해 검출된다.
[보조작업스테이션군(1E)]
보조작업스테이션군(1E)는, 예를들면 #20과 2개의 단위작업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차실내의 톱시이링불이기등, 스테이션군(1D)에 있어서의 차체의 상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 완료를 전제로한 마무리적인 최종 장착조립작업을 실행한다.
하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F)
또, 차량의 하부둘레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F)은, 제 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23∼#27의 적어도 5개의 단위작업스테이션을 가진다. 스테이션군(1F)에 있어서의 작업은 상기한 상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D)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즉, 이 스테이션군(1F)의 각 스테이션은,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부둘레에 관한 불비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CRT(7d)∼(7g), 그리고 불비점포인트의 수정용의 4개 1조의 토오크렌치유니트 TWR4∼TWR7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작업스테이션 #23∼#27에의 공작물팔레트(13), (13)…의 반입을 검출하기 위한 리밋스위치 LS9∼LS13도 스테이션군(1D)과 마찬가지로 배설되어 있다. 또, 이 하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F)에 있어서 CRT절환 지연시간 tc, 및 토오크렌치불감영역 ts이 설정되어 있는 것도, 상기한 상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D)과 완전히 마찬가지이다.
[불비점수정의 분산관리시스템]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의 상기 차체이재장치(16), 공작물팔레트반송장치(17), 도킹장치(40), 슬라이드장치(45), 로보트(48A), (48B)는, 모두 차체(6) 또는 장착조립부품(14), (15)과의 관계로, 소정 시이퀀스제어를 실행하는 시이퀀스제어 대상설비이다.
또, 차체의 상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D)의 CRT(7a)∼(7c)나, 차체 하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F)의 CRT(7d) ∼(7g)는, 주변의 부속설비를 포함해서, 불비점수정작업용의 표시제어유니트로서 생각할 수 있다. 이결과,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 및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D), (1F)의 각각의 서브시스템은, 예를들면 제7도 및 제8도와 같은 형태의 시스템 블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7도, 제8도에 표시된 이들 시스템은, 불비점수정을 위한 독립된 분산관리시스템을 구성한다.
즉, 제7도에 표시한 하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시스템에서는, 장착조립작업 과정에서 검출된 불비점은 데이터캐리어(60)에 기록되며, 이 데이터캐리어(60)는 #15스테이션의 판독분배유니트(53a)에서 판독되고,이 분배유니트(53a)가, 어느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 어떠한 수정작업을 행하는지라고 하는 불비점수정작업 지시를 작성하여,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분배한다.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는, 불비점수정작업 제어유니트(54)가 분배된 지시에 따라서 불비점수정작업의 개소를 제5도와 같이 표시한다. 제7도에 있어서, 불비점수정작업 제어유니트(54) (54a∼54c)는, 제 4도의 각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표시관리제어기(70)와 토오크렌치 T와 CRT표시장치(7)와 인코우더등을 포함한다.
상부둘레의 불비점수정에 대해서도 완전히 마찬가지로,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장착조립작업과정에서 검출되고, 데이터캐리어(60)에 기록된 상부둘레부분의 불비점은 #22스테이션의 판독분배유니트(53b)에서 판독되고, 이 분배유니트(53b)가, 어느 불비점수정작업을 어느 스테이션에서 행하는지라고 하는 지시를 작성하여, 그 지시를 각 스테이션에 분배한다.
먼저 제 7도의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와 하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F)과의 조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엔진(14)의 장착조립, 리어서스펜션(15)의 장착조립, 연료탱크의 장착조립등의 세분화된 개별적인 단위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 #5∼#16이 복수조(10조) 존재한다. 따라서, 그것들은, 복수조의 시이퀀스제어의 대상이 되는 설비(51a)∼(51i)라고 생각할수 있다. 그리고, 이 복수조의 시이퀀스제어 대상설비(51a)∼(51j) (제7도에 있어서, (51a)∼(51f)는 도시생략)에는, 각각 시이퀀스제어를 행하고, 그 작업결과를 후술하는 데이터캐리어(60)에 기록하는 제어/기록유니트(52a)∼(52j) (52a∼52f는 도시생략)가 각각 대응해서 배설되어 있다.
또,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와 상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D)와의 중개역할스테이션인 #15 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는, 판독/분배유니트(53a)가,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에서 장착조립된 엔진(14), 리어서스펜션(15)등의 장착조립상태의 결과정보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불비점데이터를, 그 발생공작물과 발생포인트에 따라서, 계속되는 #16에서부터 #18까지의 제1∼제3의 각 단위작업스테이션에 대응해서 배설되어 있는 불비점수정작업 표시제어유니트(54)∼(54c)에 분배된다.
시이퀀스작업의 제어를 행하고, 그 작업결과의 기록을 행하는 제어/기록유니트(52a)∼(52j)와, 불비점수정작업용의 표시제어유니트(54a)∼(54c)는, 각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 (55)…, (57), (57)…, 데이터통신회선(56), (58)을 개재해서 상기 불비점데이터 판독분배유니트(53)와 상호 접속되어 있다.
[불비점정보데이터의 전송]
차량생산라인을 따라서 이동하여 차체(6)를 반송하는 공작물팔레트(13)에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그 측면부에 데이터캐리어(6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캐리어(60)에 불비점정보가 기억된다. 데이터캐리어(60)는, 메모리부(60b), 신호처리회로(60c), 송수신코일부(60a)를 내장한다. 이 송수신코일부(60a)와 외부의 코일(제어/기록유니트(52n)의 기록헤드(65) 또는 판독헤드(64)과의 전자유도 결합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불비점데이터를 메모리부(60b)에 격납하고, 혹은, 메모리(60b)부에 격납된 당해 데이터를 외부(판독/분배유니트(53a))에의 공급을 임의로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데이터캐리어(60)는, 당해 팔레트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기억하여 보관하는 것으로서, 제1도의 생산라인의 #31스테이션에 반입되기 전에 이미, 그 팔레트(13)에 탑재되어 있는 공작물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캐리어(60)에 있어서의 메모리부(60b)는 전체적으로 6∼8KB의 기억용량을 가지며, 그 데이터구조는 예를들면, 제11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되어 있다. 즉, 생산정보데이터가 격납된 기억영역 PD와, 각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조립작업의 각각에 대한 작업결과에 관한 데이터가 개별적으로 격납되는 기억영역 SD1, SD2, SD3‥·SDn과의 2개의 피일드를 가진다. 또, 기억영역 SD1, SD2, SD3‥·SDn의 각각은, 예를들면 기억영역 SDm에 대해서 말하면, 작업데이터가 격납되는 피일드 CCm과, 작업결과에 불비점이 발생한 공작물 및 그 공작물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피일드 CPm와, 불비점의 발생에 관한 다른 여러가지의 정보(예를들면, 그 불비점에 대한 메시지)를 기억하는 피일드 CDm로 각각 구분되어 있다. 제5도에 관련해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들 데이터를 사용해서, 표시관리제어기(70)는 제5도에 표시한바와같은 표시를 CRT에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비점데이터의 전송에, 전자유도를 이용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마이크로파가 비교적 전자유도 노이즈에 강한 것, 팔레트쪽의 데이터캐리어(60)와 제어/기록유니트(52)의 기록헤드(65)와의 거리가 길지만, 마이크로파는 장거리의 데이터전송에 적합하다는 것등이 이유이다. 또한, 오염발생이 적은 라인만으로 이루어진 공장에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것보다 레이저광을 사용하는 편이 노이즈에 강하다고하는 장점을 향수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각 스테이션이 제7도, 제8도에 표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통신회선으로 결합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데이터캐리어(60)를 사용해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것은, 데이터캐리어(60)는 각 팔레트에 고유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므로, 어떤 특정한 팔레트가 어느 스테이션에 도착하였는지는 통신회선으로 관리하는 것보다, 데이터캐리어(60)에 의해 판독/기록의 쪽이 확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어/기록유니트(52a) ∼(53j)의 각각(제 9 도에서는 (52n)으로 대표함)은, 제 9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또 시이퀀스제어출력부(61)와 고장진단복귀제어부(62)와 데이터처리부(63)를 가진다. 시이퀀스제어출력부(61)는 공작물팔레트(13)쪽의 시이퀀스제어대상설비(51n)(51a∼51j)를 51n으로 대표)에 대하여 시이퀀스제어신호를 공급한다. 고장진단복귀제어부(62)는, 시이퀀스제어대상설비(51n)에 고장이 발생하였을때에, 당해고장을 검출하여 고장개소를 정특하는 동시에, 정상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동작제어를 행한다. 예를들면, 어떤 장착조립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시이퀀스제어출력부(61)의 제어대상이 너트러너인 경우는, 그 너트러더가 오부버 로우드를 검지하였을 경우는 그것을 가지고 불비점이 발생하였다고 검지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63)는, 시이퀀스제어출력부(61), 고장진단복귀제어부(62)를 관리하는 동시에, 네트워크인터페이스(55)를 개재해서 송수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 데이터처리부(63)에는 상기한 공작물팔레트(13)에 고정된 데이터캐리어(60)에 격납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코일을 내장한 판독헤드부(64), 캐리어(60)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코일을 내장한 기록헤드부(65)의 2개의 헤드가, 기록, 판독헤드제어부(66) 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기록, 판독헤드제어부(66)는,기록 헤드부(65)를 기록동작모우드로해서 데이터처리부(63)로부터 보내온 데이터를 데이터캐리어(60)에 기록하고, 또는, 판독헤드(64)를 판독동작모우드로해서 캐리어(60)에 기억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보조작업스테이션군(1E)에 공급한다.
[판독/분해유니트 (53)]
제10도는 불비점데이터의 판독분배유니트(53)의 구성을 표시한다.
이 유니트(53)에는, 제10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공작물팔레트(13)에 고정된 데이터캐리어(60)에 격납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헤드부(64)가, 판독헤드제어부(67)를 개재해서 데이터처리분배부(68)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처리분배부(68)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처리분배부(68)은, 또, 네트워크인터베이스(55)와접속되며, 내트워크(56)를 개재해서, 각 장착조립스테이션의 각 제어/기록유니트(52)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또, 제 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네트워크라인(58)을 개재해서, 각 불비점수정스테이션의 불비점수정작업 표시제어유니트(54)의 표시관리제어기(70)에 접속되어 있다. 판독헤드제어부(67)는, 판독헤드부(64)에 판독동작상태를 취하게 해서, 데이터캐리어(60)에 격납된 불비점개소데이터 CP 및 불비점데이터 CD를 데이터처리분배부(68)에 공급하는 공작을 행한다. 데이터처리분배부(68)는, 이들 데이터 CP,CD에 따라서,수정분배데이터를 형성하고, 그것을 데이터통신회선(58)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불비점수정작업 제어유니트(54)]
제12도는,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불비점수정작업제어유니트(54)의 전제구성을 표시한다.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16∼#19, #23∼#27의 각 스테이션)의 불비점 수정작업제어유니트(54)는, CRT(7)와, 상기한 표시관리제어기(70), 인코우더(75)와, 복수의 토오크렌치 TWR과, 어느 토오크렌치를 사용할것인지를 작업자에 알리기 위한 램프 LA와, 토오크렌치가 작업자에 사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훅스위치 LS와, 토오크렌치를 제어하고, 그 부하를 검출하기 위한 토오크렌치제어기(73)과, 네트워크인터베이스(57)로 이루어진다. 또, 표시관리제어기(70)는, CRT표시장치(7)의 표시제어를 행하는 CRT(74)와, 데이터처리부(71)로 이루어진다. 데이터처리부(71)은, 네트워크인터페이스(57)를 개재해서 데이터통신회선(58)과 데이터송수를 행하여, 불비점수정작업지시를 입력하고, 또, 그 지시를 제5도와 같은 표시화면을 작성하여, CRT(74)에 보낸다.
데이터처리부(7l)는, 상기한 바와같이, 토오크렌치제어기(73)와 인코우더(75)와 리밋스위치 LS와 램프LA에 접속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자가 눌러내리는 수동누름단추스위치 PB와도 접속되어 있다. 이때문에, 데이터처리부(71)는, 인코우더(75)에 의해 당해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들어온 팔레트(l3)의 위치를 알수있고, 또, 리밋스위치 LS에 의해 작업자가 실제로 토오크렌치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또 토오크렌치제어기(73)의 출력에 의해 토오크렌치가 볼트의 더죄기를 종료하였는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할수 있다. 토오크렌치에 의한 불비점 수정작업의 종료는 이와같이 자동화가 가능하다, 작업에 따라서는, 자동검지가 불가능한 것도 있다. 이와같은 불비점수정작업에 대해서는, 작업자가 단추PB를 눌러내리므로서, 데이터처리부(71)에 작업종료를 알린다.
제5도에 있어서, ①∼⑦로 표시된 기호는, 표시된 작업순서를 의미한다. 즉, 작업자는, 이 수순번호를 표시화면으로부터 알아서, 그 순서대로 불비점수정작업을 실행해간다. 이 순서는, 분배부(53)로부터 통신회선(58)을 개재해서 데이터처리부(71)에 보내진 것이다. 데이터처리부(71)는, 상기 ①∼⑦의 순서에 따라서,상기한 토오크렌치제어기(73)로부터의 더죄기 종료신호 또는 단추 PB의 눌러내림을 대기하고 있다. 만약, ②의 순서의 불비점수정작업을 대기하고 있는 시점에서, 예를들면, PB단추가 눌러졌으면, 데이터처리부(71)는 그 ②의 작업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한다. 만약, 예를들면 ③의 순서의 불비점수정작업을 대기하고 있는 시점에서, 예를들면, 토오크렌치제어기(73)로부터 더죄기 종료시호가 보내왔으면, 데이터처리부(71)는 그 ③의 작업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한다.
[시스템전체의 흐름동작]
다음에, 본 시스템이 어떻게 흘러서 동작하는지를 설명한다.
차량이 최종적으로 조립되는데 있어서는, 먼저, 차체(6)와, 그것에 장착조립되어야 할 각종 구성부품이 얹어 놓인 공작물팔레트(l3)가, 자동차조립라인부(1)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어,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의 각 작업스테이션에 순차반입된다. 제어/기록유니트(52a)∼(52j)가 시이퀀스제어대상의 설비(51a)∼(51j)의 각각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어/기록유니트(52a)∼(52j)의 각각에 있어서, 그 데이터처리부(63)가, 필요에 따라서 기록, 판독헤드제어부(66)를 제어에서, 데이터캐리어(60)에 기록되어 있는 당해 조립작업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영역 PD에 격납된 생산정보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다. 그리고, 처리부(63)는 판독한 생산정보데이터에 의거한 제어데이터를 시이퀀스제어출력부(61)에 공급한다. 이 시이퀀스제어출력부(61)는, 시이퀀스제어의 대상설비(51a) ∼(51j)에 대하여 데이터처리부(63)로부터의 제어데이터에 따른 동작을 취하게 한다.
데이터처리부(63)는, 또, 장착조립작업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61)로부터 얻어서, 그것을 고장진단제어부(62)에 보내어, 불비점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시킨다. 고장진단제어부(62)에 있어서의 판단결과에 따라서, 헤드제어부(66)를 작동시켜, 기록헤드부(65)를 개재해서 데이터캐리어(60)의 불비점발생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데이터는, 당해 조립작업스테이션에 대응하는 기억영역 SD1∼SDm내의, 그때의 조립작업에 대응하는 피일드에 기록된다. 즉, 작업결과가 적정인 경우에는, 그것이 작업데이터로서, 기억영역CC(제11도 참조)에 기록되고, 또, 작업결과에 불비점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불비점이 발생한 공작물, 그 불비점이 발생한 당해 공작물에 있어서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영역 CP에 기록된다. 또, 그때의 불비점에 관한 불비점메시지가 기억영역 CD에 기록된다.
이와같이 해서,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에 있어서, 불비점정보의 데이터캐리어(60)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이, 스테이션 순차로 행하여진다.
장착조립자업스테이션군(1C)의 #5∼#14의 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장착조립작업을 종료한 공작물팔레트(13) (자체(6)과 그것에 장착조립된 각종 구성부품을 포함함)가 데이터판독스테이션 QS1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공작물팔레트(13)를, 예를들면 제7도에 있어서 2점쇄선에 의헤 표시된 바와같이, 먼저 데이터판독스테이션 QS1(#15시이퀀스)에 위치시킨다. 그후, 데이터판독스테이션 QS1에 배치된 불비점데이터판독분배유니트(53a)의 데이터처리분배부(68) (제10도)가 데이터캐리어(60)로부터, 각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부분의 기억영역 SD1∼SDm의 데이터판독을 행한다. 이에 의해, 분배부(68)는, 어느 장착조립스테이션에서, 어느 공작물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 불비점이 발생하였는지를 알수 있게 된다.
데이터처리분배부(68)는, 데이터캐리어(60)로부터 판독한 당해 팔레트(13)에 얹어 놓은 차량의 불비점워크데이터와 불비점포인트, 불비점내용데이터등에 의거해서, 이들 불비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시해야할 수정작업을 인식판단하고, 이 인식된 수정작업 내용에 대해서 수정작업스테이션 #16, #17, #18에 대한 작업의 할당을 행하고, 이 할당을 나타내는 각 작업스테이션마다의 수정작업분배데이터를, 데이터통신회선(58)쪽에 소출한다.
제13도에 있어서, #15스테이션에 있는 차량(6)에 대해서, 판독/분배부(53)가 A 내지 L까치의 12개소의 불비점데이터를 캐리어(60)로부터 판독하였다고 하자. 제13도의 예에서, 판독/분배부(53)는, A, B, C의 불비점은 #16스테이션에 있어서, D, E의 불비점은 #17스테이션에서, F의 불비점은 #18의 스테이션에서 수정되도록, 불비점과 그것을 고치는 스테이션을 할당한다. 이러한 할당정보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를 개재해서 제1∼제3의 각 수정작업스테이션 #16, #17, #18의 각 대응하는 불비점수정작업제어유니트(54a)∼(54c)에 입력되며, 거기서, 구체적으로 불비점데이터표시용 CRT(7a) ∼(7c)에 표시된다.
[할당분배방법]
판독분배유니트(53a)에 있어서의 불비점수정작업의 분배할당의 숫법에 관해서 제15도, 제16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관련해서 설명한 바와같이, 장착조립스테이션군에 행하여지는 장착조립작업은 여러갈래에 걸쳐진다. 따라서, 불비점수정작업의 내용, 불비점수정작업에서 사용되는 공구도 여러가지에 걸쳐지므로, 불비점수정작업은 보의 스테이션에서 행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시스템에서의 불비점수정작업은, 다음의 ①에서부터 ⑤의 생각에 의거해서 분배된다.
① : 그 작업내용에 따라, 상부둘레불비짐 수정작업과 하부둘레불비점 수정작업으로 분류되며, 이들 작업은 각각, 스테이션군(1D)와 (1E)에서 분할되어서 행하여진다. 자동차의 조립의 경우, 상부둘레부분의 작업과 하부둘레부분의 작업을 분리한 편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② : 제2도, 이와같이, 불비점수정작업을 크게 둘로 분리한 다음에, 본 실시예의 분배숫법은 공구에 의해서도 분류하도록 하고 있다.
③ : 제3으로, 일반적으로는, 어떤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을 어떤 특정한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게 할수 있도록 전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같은 전문화는 불비점수정스테이션의 수의 증가를 강요하게 된다. 또, 어떤 불비점수정작업은 많이 발생하나, 어떤 불비점수정작업은 적게 발생한다고 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의 수 및 구성(어느 스테이션에서 어떠한 불비점수정작업을 가능하게 하는가라는 할당)은, 불비점수정작업이 발생할 수 있는 종류, 빈도등을 예상하여 고려해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④ : 제1도에 표시한 예와 같은 엔진등의 차체에의 장착조립라인에서는, 장착조립작업스테이션군(1C)에 발생하는 불비점수정작업의 종류가, 하부둘레와 상부둘레로 분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상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에서의 불비점수정작업은 3종류의 토오크렌치를 사용하는 작업으로 충분하고, 또, 하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스테이션군(1F)에서의 불비점수정작업은 4종류의 토오크렌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하는 점을 감안하여, #16∼#19의 스테이션은 모두 3종류의 토오크렌치(제4도의Tl,T2,T3)를 가지고, #23∼#27의 스테이션은 모두 4종류의 토오크렌치(제6도의 Tl, T2, T3, T4)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환언하면, #16∼#19의 스테이션 모두는 상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균등하게 처리할수 있고, 또, #23∼#27의 스테이션도 균등하게 하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할수 있다.
그래서, 예를들면, 토오크렌치 T2를 사용하는 상부둘레부분의 불비점수정작업이 12개소 필요한 경우는, #16∼#19의 4개의 스테이션의 각각에서, 균등하게, 토오크렌치 T1을 3회씩 사용하는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도록, 분배유니트(53a)가 분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19스테이션에 관해서는, 이 스테이션이 상부둘레부분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 최종의 스테이션이므로, 미완료의 불비점수정작업을 발생시키지 않는 관점에서도, #19스테이션에 할당하는 작업량은 적은 편이 좋다.
⑤ : 또 다음의 관점에서, 불비점수정작업을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할당하도록해도 된다. 즉, 각 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이동이 될수 있는대로 적어지도록, 불비점수정작업을 불비점수장작업 스테이션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경우, 토오크렌치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에는, 토오크렌치를 교환하는데 작업자가 이동하는 거리를 고려해야할 것이다. 또, 동일토오크렌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위치적으로 가까운 불비점수정포인트가 되는 복수의 불비점수정작업을, 같은 하나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할당해야할 것이다.
분배유니트(53a)가 이와같이 불비점수정작업을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때문에, 이 유니트(53a)는 제15도, 제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데이터베이스를 가진다.
제15도는 공작물마다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이며, 이 데이터베이스의 각 기록(Record)은, 장착조립스테이션군(1C)에서 공작물에 대해서 장착조립작업이 이루어진 위치(즉, 불비점발생개소)의 식별자 WORKID와, 그 위치테이터 WORKPOS와, 그 작업에서 불비점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필요한 불비점수정공구의 식별자TOOLID와, 그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는데 필요한 시간 TM으로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제15도의 1개의 기록이 1개의 불비점수정작업에 상당한다.
제16도는,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관해서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이며, 주로, 그 스테이션에서 사용가능한 공구를 기술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의 각 기록은,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의 표시절환지연시간 tc와 불비점수정작업종료의 검지를 불감으로하는 기간 ts과, 스테이션에 있어서 가능한 불비점수정작업에 사용되는 공구의 식별자(TOOLID)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연시간 tc와 ts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제17도는 분배유니트(53a)에 있어서의 분배의 앨거리즘(Algorism)을 기록하는 순서도이다. 그 스텝S2에서, 팔레트의 도착이 검지(이 검지는, 제4도의 리밋스위치 LS2에 의해 이루어진다)되면, 판독/분배유니트(53a)는 데이터캐리어(60)의 내용CC, CP, CD(제11도)를 판독한다. 스텝S6에서는, 이 CD데이터, CP데이터를 해석한다. 스텝S8에서는, 이 해석결과에 의거해서, 불비점수정작업을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분배한다.
스텝S6,S8에서의 데이터처리를 더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판독한 CD데이터, CP데이터의 불비점발생위치를 키이로해서, 공작물-공구데이터베이스(제15도)를 검색하고, 데이터캐리어(60)로부터 판독한 불비점발생위치의 각각에 대해서, 그것과 일치하는 워크식별자 WOKID, 작업위치 WORKPOS를 가진 1개의 불비점작업기록을 찾아낸다. 이렇게 해서 찾아낸 WORKID, WORKPOS, 공구식별자 TOOLID, 작업시간 TM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불비점수장작업기록의 모든 것을, TOOLID를 키이로해서 분류(sorting)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기록의 집합은, 불비점수정작업에 필요한 공구별로 분류된 데이터의 집합으로 된다. 다음에, 1인의 작업자가 동일공구를 사용해서, 될수 있는대로 이동거리가 적어도 되는 연속적인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분류된 불비점수정작업기록의 집합을 또 분류한다. 이경우, WORKPOS데이터를 참조하므로서, 불비점수정작업자의 이동거리를 연신하여, 작업의 이동거리가 최소가 되게 최적화한다.
이렇게해서 얻게된 불비점수정작업기록의 집합(RCD1, RCD2, RC3, RCD4)이 어떤 공구(TOOLID1이라고하는 식별자를 가진)에 대해서, 제18도와 같이 얻게 되었다고 하자. 제18도의 예에서는, 4개의 불비점수정작업(RCD1, RCD2, RCD3, RCD4)의 작업시간은, TM1, TM2, TM3, TM4가 된다. 그리고, 만약 합계작업시간
TM1+ TM2 + TM3 + TM4
가, 당해 팔레트가 그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오우버하게 될것 같으면, 그리고 합계시간
TM1 + TM2 + TM3
이 상기 통과에 소요되는 시간을 오우버하지 않는 것이라면, RCD1, RCD2, RCD3에 각각 대응하는 불비점수정작업이 당해 불비점수장작업스테이션에 할당된다. 단, 불비점수정작업을 불비점작업스테이션에 할당하는 경우는, 상기 TOOLID를 키이로해서, 제6도의 스테이션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그 공구가 목적스테이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
각 스테이션마다 할당된 불비점수정작업은, 각 스테이션마다, 이동거리가 가장 적도록, 작업순서가 할당되어 있다. 이의 최적화연산에는, 불비점발생위치데이터 WOR KPOS가 사용된다.
이렇게해서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마다 분배된 불비점수정작업지시데이터는, 제19도의 A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제19도에 있어서는, 불비점수정작업지시데이터는, 불비점이 발생한 공작물마다 분류되어 있다. 각 공작물마다의 기록은, 불비점이 발생한 위치(WORKPOS), 그 불비점의 수정을 담당하는 스테이션번호(ST#), 그 수정에 사용되어야할 공구의 식별자(TOOLID), 그리고 그 불비점수정작업이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문자(Fc)로 이루어진다.
판독/분배유니트(53a)는, 이와같이 해서 작성한 불비점수정작업지시데이터를 데이터 통신회선(58)을 개재해서, 제13도에 표시 한 바와같이,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으로 건넨다.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의 동작]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은,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회전(58)과 인터페이스(57)를 개재해서 접속된, 표시제어제어기(70)와, CRT표시장치(7)등을 가진다. 제어기(70)는 통신회선(58)을 통해서 얻은 불비점수정작업지시데이터에 의거해서, CRT표시장치(7)에, 이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 이루어져야할 불비점수정작업을 표시한다. 즉, 차체(6) 및 그것에 장착조립된 각종의 구성부품에 대해서, 당해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 실시되어야할 불비점수정작업의 내용 그리고 대상이, 제5도와 같이 표시된다.
제5도에 의해, 불비점수정작업지시의 구체적인 표시의 태양을 설명한다. CRT(7)에 표시되는 내용은,
① 당해 팔레트에 불여진 커밋번호 및 차조의 표시,
② 불비점이 발생한 공작물을 그래픽스에 의한 표시, 그리고 불비점발생위치의 포인트표시,
③ 수정순서
④ 불비점에 관한 더 상세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
의 적어도 4종류의 정보가 각각 구체적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불비점위치의 표시태양은, 예를들면
(a) 불비점이 있을 경우는, 그 위치를 붉은 동그라미로 표시,
(b) 불비점이 있고, 그 불비점은 당해 스테이션에서 수리복구해야하는 것인 경우는, 그 위치를 붉은 2중 동그라미로 표시,
(c) 불비점이 있었으나, 이미 수리복구를 완료한 경우는 그 위치를 검은 동그라미로 표시
(d) 불비점이 없는 경우는 무표시
로 한다.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는, 예를들면, #16∼#18의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의 각각에는, 예를들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토오크치를 달리하는 3개의 토오크렌치 T1∼T3을 1조로해서 구비한 토오크렌치유니트 TWR1, TWR2, TWR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토오크렌치유니트 TWR1∼TWR3은, 각각 표시제어제어기(70)에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기-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토오크렌치 T1∼T3의 각각은, 소정의 혹스위치 LST1∼LST3을 개재해서 걸리게 되도록 되어 있고, 또 대응하는 표시램프 LA1∼LA3이 배설되어 있으며, 그 ON, OFF에 의해서 사용해야 할 공구로서의 토오크렌치가 특정지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램프 LA1∼LA3의 표시에 따라서 정확하게 해당하는 토오크렌치 T1∼T3이 취해져서 불비점수정작업이 이루어지면, 혹스위치 LST1∼LST3이 OFF가 되므로, 이에 의해 정확하게 지시대로의 토오크렌치 T1∼T3이 사용된 것이 확인된다. 한편, 그리고, 동일토오크렌치에 의해 불비점수정작업이 완료되면, 혹스위치 LST1∼LST3이 ON으로 되므로, 그것에 의한 불비점수정작업이 완료된 것이 검지된다. 그리고, 이들 상태는 모두 상기한 불비점데이터표시용 CRT(7a)∼(7c)에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토오크렌치를 사용한 불비점수정작업의 종료는, 제어기(73)가 부하의 상승을 검지하므로서 판단해서, 종료를 제어기(70)에 알린다. 또, 종료의 자동검지를 행하는 일이 곤란한 불비점수정작업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작업자가 단추 PB를 누르므로서, 그 취지를 제어기(70)에 알린다.
제19도에서 설명한 불비점수정작업지시데이터는, 어떤 팔레트(13)에 얹어 놓여 있는 차량에 관한 불비점수정작업지시이다. 그리고, 이 지시데이터에 있어서는, 개개의 불비점수정작업마다 어느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서 행할 것인지를 제19도의 ST#피일드에 의해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작업에서는, 어떤 스테이션에서 10개소의 불비점수정작업이 있었을 경우에, 실제로는 그곳의 작업자가 8개소밖에 할수 없었을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제19도의 지시데이터를 재구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본 시스템에서는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은, 거기서의 작업대상의 팔레트가 소정위치까지 나아갔으면, 제19도의 지시데이터(종료표시문자 Fc를 붙여서)를, 그곳에서의 작업결과데이터로서, 판독/분배스테이션(53)으로 반송하도록 하고있다. 판독/분배스테이션(53)은, 이 데이터를 받아서, 필요가 있으면, 불비점수정작업의 재배분을 행하도록 한다. 제17도의 스텝S1∼스텝S18은, 그 재배분의 수순을 표시한다.
판독/본배스테이션(53)은, 거기에 새로운 팔레트가 도착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S10에서, 불비점수리작업스테이션으로부터의 불비점수리작업결과데이터의 반송을 기다리고 있다. 그결과 데이터를 받으면, 스텝S12에서, 그 발송한 곳을 확인한다. 이 확인은, 그 팔레트에 할당되어 있는 커밋번호와, 그결과 데이터를 반송해온스테이션번호를 조회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16, #17, #18, #19의 각 스테이션에, (13a), (13b), (13c), (13d)라고 하는 팔레트가 존재한다면, 예를들면 #17의 스테이션이 팔레트(13a)의 결과 데이터를 반송하는 일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조회를 행하고 스텝S14로 나아가, 불비점수정작업의 결과 데이터로부터, 발송한 곳의 스테이션에서 작업이 미완료의 불비점수정작업이 있는지를 조사한다. 미완료작업이 있으면, 스텝S16에서, 그 미완료작업을 재배분한다. 이 재배분작업은, 스텝S4, 스텝S6에서 설명한 숫법과 동일숫법으로 행할 수 있다. 즉, 미완료의 불비점수정작업에서 필요한 공구를 조사하여, 이 공구를 가진 스테이션을 조사하고, 그 스테이션에 재배분에 의해 새로운 불비점수정작업의 추가가 가능한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재배분결과의 새로운 불비점수정작업지시데이터가 작성되면, 그것을 다음의 스테이션에 보낸다. 이와같이 하면, 불비점수정작업지시데이터는, 상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에 있어서는, 분배유니트(53a) →#16스테이션→분배유니트(53a) →#17스테이션→분배유니트(53a) →#18스테이션→분배유니트(53a) →#19스테이션으로 순회하게 된다.
[불비점수정작업위치의 오인방지]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는, 화면(불비점수정작업지시화면)은 강제적으로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흐름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다른 작업자의 영역부분까지 침입해버리는(소위, "뒤쫓기")일이 가능하고, 그것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이유에서 였다. 제20도는, 이 강제화면절환에 의한 불비점수정작업위치의 오인이 어떵게 발생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제20도에서는, #16, #l7스테이션에 각각 팔레트(13), (13')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들 팔레트(13), (13')가 라인을 따라서 진행하는 모양이 그려져 있다. 제20도의 (a)에 표시된 시점에서는, 팔레트(13')는 아직 #16스테이션에 있다. 이 시점에서는, #17스테이션의 CRT표시장치(7b)에는, 팔레트(13)에 대한 불비점수정작업지시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다. 그후, 라인이 진행해서 제20도의 (6)의 상태에 이르러서, 팔레트(13')는 #17스테이션에 도착한다. 그러나, 본 시스템에서는, 이 시점에서도, CRT(7b)의 화면의 절환을 행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시점에서는, #17스테이션의 작업자는, 팔레트(13) 상의 어디에선가에 있어서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즉시로 화면변경을 행하면, 스테이션(17)의 작업자는 팔레트(13')에 대한 불비점수정작업지시를 팔레트(13)에 대한 지시와 착각할 염려가 높기 때문이다. 또, 본 시스템에서는, 표시관리제어기가 불비점수정작업종료의 자동검지를 행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팔레트(13)의 차량에 대해서 불비점수정작업을 한 결과가 팔레트(13')의 차량에 대한 작업결과로서 기억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시스템에서는, 제20도의 (c)에 표시한 상태, 즉 팔레트(13')가 #17스테이션에 도작하고 나서부터, 시간 tc가 경과한 시점에서 화면을, 팔레트(13)에 대한 것으로부터 팔레트(13')에 대한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 시점까지 팔레트(13')가 진행해오면, 작업자는 그 자체를 충분히 알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는, CRT(76)에는 팔레트(13')에 대한 불비점수정작업지시가 표시되어 있다.
제20도의 (d)는, 시간 ts가 경과하고 나서부터, 팔레트(13')가 tc+ts의 시점까지 진행한 것을 표시하고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제20도의 (c)의 시점에서 부터, (d)의 시점까지의 ts시간은, 제12도에 관련해서 설명한 단추 PB의 눌러내림의 검지, 토오크렌치제어기에 의한 토오크렌치작업의 종료신호의 검지를 못하게 하고 있다. 이것은, 제20도의 (c)의 시점에서부터, (d)의 시점까지의 사이에서, 만약 작업자가 새로운 팔레트의 도착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면, 그 작업의 종료는, 팔레트(13')에 대한 작업종료로서 기억되어 버린다. 그 잘못기억을 방자하기 위하여, 종료신호를 불능하게 하면, 문제는 없어진다. 즉, 이와같은 ts시간대를 설정하므로서, 팔레트(13)에서 실제로 불비점수정작업을 한 개소가 불비점수정작업 미완료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염려는 있으나, 불비점수정작업 미완료부분이 불비점수정작업 완료로 기억되어 버리는 일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1도는, 불비점수정작업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표시관리제어기(70)의 제어수순이다. 제21도의 스텝S20에서는, 분배유니트(53)로부터의 다음의 팔레트에 대한 불비점수정작업의 지시가 도착하였는지를 조사하고, 그 지시가 도착하고 있으면, 그 지시데이터를 제19도의 A의 영역에 기억한다. 이 A의 영역은, 다음의 팔레트에 대한 지시데이터의 기억영역이며, 제20도의 B의 영역은 현재 당해 스테이션이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고 있는 팔레트에 대한 지시데이터의 기억영역이다.
표시관리제어기(70)는 인코우더(75) (제12도)를 감시하고 있고, 그 값에 따라, 제어를 스텝S25 이하의 경우와, 스텝S30 이하의 경우와 스텝S40 이하의 경우와 같이 달라지게 한다. 인코우더의 값이 "0"으로 되는것은, 다음의 팔레트가 리밋스위치를 "ON"으로 한 시점이다.
인코우더 출력이 리밋스위치 LS의 온부터의 시간경과가 tc미만인 것을 나타내는 동안은, 표시관리제어기(70)는 스텝S25에서 완료신호의 검지를 ENABLE하여, 스텝S26에서 불비점수정작업의 완료를 확인하고, 스텝S28에서, 불비점수정작업이 종료된 개소에 대응하는 표시문자 Fc를 "1"로 해서, 상기한 바와같이, 불비점수정작업을 종료한 개소를 검은색의 표시로 변경한다. 스텝S26∼스텝S28의 동작은, 새로 도착한 팔레트(제20도의 예에서는 팔레트(13'))에 대한 불비점수정작업에 대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현존하는 팔레트(제20도의 예에서는 팔레트(13))에 대한 불비점수정작업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다음의 팔레트(13')가 Tc위치까지 진행해오면, 스텝S30에서, 제어기(70)는 완료신호의 검지를 디스에이블한다. 다음에, 스텝S32에서, 제19도의 B영역에 있는 현재의 팔레트(팔레트(13))를 위한 지시데이터를 분배유니트(53)에 반송한다. 유니트(53)으로 반송된 지시데이터는, 상기 (제17도의 스텝S10∼스텝S20)한 바와같이, 필요한 불비점수정작업을 재배분하여, 다음의 불비점수정작업으로 보내질 것이다.
불비점수정작업의 결과데이터를 제어기(53)에 반송한 후에, 표시관리제어기(70)는, 다음의 팔레트를 위한 불비점수정작업지시를 수령하고 있는 것이라면, 스텝S36에서 화면절환을 행한다.
새로운 팔레트가 당해 스테이션의 영역으로 들어가고, tc위치로부터 ts위치까지에 있는 동안은, 완료신호의 감지는 디스에이블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잘못된 팔레트에 대한 불비점수정작업의 완료(제20도의 (d)에 관련한 설명)의 기억은 방지된다.
새로운 팔레트가 당해 스테이션의 영역으로 들어가고, 또 ts위치를 넘으면, 스텝S38에서, 완료신호의 검지가 ENABLE 되고, 스텝S40, 스텝S42에서, 불비점수정작업의 완료가 검지되어서, 그것에 응답한 화면표시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제22도는, 스텝S36의 화면갱신수순의 상세한 순서도이다. 동도면의 스텝S50은, 순서카운터를 "1"로 리세트한다. 이 순서카운터는 현재 불비점수정작업을 행하고 있는 개소를 표시하는 카운터이며, 카운터의 값이 "1"이라고 하는 것은, 제19도의 불비점수정작업 순서번호의 "1"에 대응한다. 스텝S52에서는, 불비점수정작업지시를, 오래된 것으로부터 새로운 것으로 절환하기 위하여, 제19도의 영역A의 데이터를 영역B로 이동한다. 스텝S54에서는, 이 새로운 지시데이터에 의거해서 화면표시를 행한다.
제23도는, 제21도의 스텝S26, 스텝S40에서 행하여지는 불비점수정작업완료신호검출의 상세한 수순을 표시한다. 즉, 스텝S60에서는, 토오크렌치제어기(73)로부터의 완료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 스텝S62에서는, 단추 PB가 눌려져 있는지를 조사한다. 어느 한쪽의 상태가 검출되면, 스텝S64에서, 그 불비점수정작업이 완료된 것을 표시하는 표시문자 Fc를 "1"로 세트한다. 이때, 표시문자 Fc는 순서카운터에 의해 인덱스된다. 스텝S66에서는, 순서카운터를 1개만 증가(increment)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개개의 불비점수정작업이 종료되어 감에 따라서, 대응하는 표시문자 Fc가 "1"로 되고, 또, 그것에 대응해서, CRT(7)상의 화면에서도, 대응개소가 검은색으로 표시변경되고, 순서카운터로 증가되어간다.
이상, 판독/분배유니트(53a)와, 상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D)의 각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였으나, 판독/분배유니트(53b)와 하부둘레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군(1F)에 있어서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장착조립완료차체의 반출]
한편, 이와 같이 해서 차량상부둘레, 하부둘레 전체의 구성부품의 장착조립과 장착조립부의 불비점수정작업이 완료되면, 이윽고 장착조립완료차체(6)를 지지한 공작물팔레트(13)은 #27스테이션으로 이송되며, 그 이송과 도착이 리밋스위치 LS13, LS14에 의해 타이밍 좋게 검출된다. 그리고, 또 #28의 작업스테이션으로 나아가 리프터에 실린후, 최종적으로 #29작업스테이션으로 나아가, 여기서, 행거프레임에 매달려 지지되어서 앞에서 설명한 차체이송라인(3)의 장착완료차체반송용 가이드레일(3b)에 지시되어서 제1도 화살표시방향으로 이송되어간다.
그리고, 그 결과, #29작업스테이션의 공작물팔레트(13)는, 아무런 탑재물이 없는 빈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이 공작물팔레트(13)는, 이윽고 장착조립부품 서브팔레트탑재스테이션군(1H)의 #30작업스테이션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전후의 각 서브팔레트(5a), (5b)가 가로방향(제1도에 도시한 위쪽편)으로 빠지고, 그 측방부쪽의 장착조립부품탑재스테이션군(1H)에서, 앞쪽서브팔레트(5a)상에 프린트 서스펜션 및 엔진(14)이, 또 뒤쪽서브팔레트(5b)상에는 리어서스펜션(15)이 각각 탑재된다. 이 엔진(14), 서스펜션(15)등의 장착조립부품이 탑재종료되는 시점에서는, 서브팔레트(5a), (5b)가 빠져 나간 공작물팔레트(13)은, 다음의 #31작업스테이션에 와서 대기하고 있으며, 이 대기중의 공작물팔레트(13)에 대해서와 같이 엔진(14) 및 리어서스펜션(15)을 각각 탑재한 서브팔레트(5a), (5b)가 끼워 장치되어서, #32∼#36의 부품조정작업스테이션군(1B)의 #4스테이션에 이송되어, 상기한 장착조립, 불비점수정작업동작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해서, 효율좋은 자동차의 조립작업이 실행된다.
[변형예]
본 발명은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M-1 :
상기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캐리어(60)와의 데이터교환은 마이크로파에 의해서 행하고 있었으나, 기타 매체, 예를들면, 자기기록매체에 의한 데이터의 교환, 또는, 광비임에 의한 데이터교환도 가능하다.
M-2 :
상기 실시예에서는,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의 불비점수정작업이 주로 토오크렌치에 의한 작업이었으나, 본 발명은 다른 공구에 의한 불비점 작업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구에 의한 불비정수정작업의 완료를 자동으로 검지하고 있었으나, 드로틀밸브의 불비점수정작업의 완료는, 작업자에 의한 확안동작을 수반하도록 해도 된다. 즉, 작업자가 모든 불비점수정작업에 대해서도 소정의 단추를 누름으로서 비로소 그 완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M-3 :
상기 실시예에서는, 불비점수정작업의 지시화면의 화면절환은,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행하고 있었으나, 작업자가 확인동작을 하므로서 화면질환이 이루어지도록 변경해도 된다.
M-4 :
상기 실시예에서는, 불비점수정작업의 지시데이터는, 팔레트단위로 작성되고 있었다(제19도 참조). 그 때문에, 그 지시데이터는 팔레트의 이동에 대해서 각 불비점수정작업스테이션을 이동하고 있었다.
M-5 :
상기 실시예에서는, 불비점수정스테이션에 있어서의 작업은, 주로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기에 의한 수정작업도 포함된다.
그래서 이하와 같은 변형예를 제안한다. 즉, 분배유니트(53)는, 어떤 1개의 팔레트를 위한 불비점수정작업 지시데이터를 스테이션마다 작성하고, 그것을 각 스테이션마다 분배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스테이션에서는, 자기의 스테이션에서 행하여야 할 불비점수정작업이 팔레트단위로 큐잉되게 된다.
이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은, 각 스테이션에서의 불비점수정작업 종료의 확인이다. 변형예에서는, 이 확인은 분배유니트(53)에서 하게 된다. 그리고, 각 스테이션은, 제24도, 제2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통신회선을 개재해서, 불비점수정작업 종료메시지를 보내도록 한다. 제24도, 제25도의의 (91a), (91b)는 그 전송포오맷을 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한, 여러가지 변화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공지하기 위하여 다음의 특허범위가 이루어진다.

Claims (17)

  1. 라인을 따라서 이동하는 공작물에 대하여 생산적인 작업을 행하는 작업스테이션을 복수가진 생산라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생산공정을 관리하는 생산공정시스템으로서, 이 시스템이 생산적인 작업을 행하는 복수의 작업스테이션(1A∼1I)으로 이루어진 생산라인(1)과, 이 생산라인(1)에 연속으로 접속되고, 수정작업을 행하는 적어도 1개의 수정스테이션(1D, 1F)으로 이루어지는 수정라인과, 상기 생산라인과 수정라인을 통과해서 이동하는 상기 공작물팔레트(13)에 설치된 데이터캐리어(60)와, 상기 생산적인 작업결과의 불비점을 검출하고, 그 불비점의 내용을 상기 데이터캐리어(60)에 기록하는 기록수단(65)을 각각 가진 상기 복수의 작업스테이션과, 상기 생산라인과 수정라인과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데이터캐리어(60)의 내용을 판독하는 판독수단(64)과, 판독한 내용에 의거해서 수정지시를 작성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수정스테이션에 대해서 이 수정지시를 보내는 지시수단(53a, 55, 56)과, 이 지시스테이션으로부터 보내온 수정지시에 의거해서 수정작업을 행하는 상기 수정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스테이션은 상기 수정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지시는, 수정개소를 특정하는 정보와 그 수정에 사용하는 공구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공구는 작업자에 의한 수동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캐리어는, 마이크로파 통신회로와, 마이크로파로 외부의 작업스테이션으로부터 수령한 데이터를 RAM에 기록하는 회로와, 이 RAM으로부터 내용을 판독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통신회로를 통해서 외부의 상기 지시스테이션의 판독회로에 내보내는 회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스테이션은, 상기 데이터캐리어에 대하여, 마이크로파로 데이터를 보내는 회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은 상기 데이터캐리어로부터 마이크로파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회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라인은 복수의 수정스테이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은 상기 생산라인과 수정라인과의 사이의 수정스테이션 위치에 설정되고, 이 지시수단은, 불비점개소와 그 수정에 필요한 공구와의 대응을 기억하는 제1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수정스테이션에 구비된 공구에 관한 제2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1, 제2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해서, 각 수정스테이션마다, 그 각 수정스테이션에서 수정될 불비점과 그것에 사용되는 공구와의 짜맞춤을, 상기 수정지시로서 작성하는 탐색수단과, 상기 수정지시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각 수정스테이션으로 분배하는 분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정스테이션은, 스스로에 대한 수정지시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지시는, 복수의 수정부분을 특정하는 정보와, 그 각각의 수정에 사용하는 공구에 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수정부분에 대한 개개의 수정작업의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스테이션은 수정지시를 이 지시스테이션 다음에 위치하는 수정스테이션에 보내고, 각 수정스테이션은, 개개의 수정작업의 완료/미완료를 검지하고, 그 미완료의 수정작업을, 다음의 수정스테이션에 대해서, 그 다음의 수정스테이션에서 행하여야 할 수정지시로 변경하고, 이 수정지시를 상기의 다음의 수정스테이션에 통신회선을 사용해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스테이션은, 수정지시를 이 지시스테이션의 다음에 위치하는 수정스테이션으로 보내고, 각 수정스테이션은, 공작물이 자기스테이션의 관할범위를 지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관할범위를 상기 공작물이 통과하였을 경우에, 다음의 수정스테이션에 대해서, 상기 수정지시를 넘겨주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정스테이션은, 하나앞의 수정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수정지시가 넘겨줬을때에, 이 넘겨주어진 수정지시의 표시를 소정시간만큼 지연시켜서 상기 표시수단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정스테이션은, 각 스테이션에서의 개개의 수정작업의 완료/미완료를 검지하는 수단과, 하나앞의 수정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수정지시가 넘겨줬을때에, 상기 검지수단을 소정시간불능으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스테이션에서의 작업은 사람손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
  17. 라인을 따라서 이동하는 공작물에 대하여 생산적인 작업을 행하는 작업스테이션을 복수가진 생산라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생산공정을 관리하는 생산공정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생산적작업을 상기 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 행하였을때에, 그 작업결과의 불비점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작업스테이션에 있어서 형성하고, 이 불비점을 표시한 데이터를, 상기 라인을 따라서 이동하는 공작물과 함께 이동하는 데이터캐리어에 기억하고, 상기 데이터캐리어의 내용을, 상기 생산라인에 연속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정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 수정라인의 앞단계에서 판독하고, 데이터캐리어로부터 판독한 불비점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수정스테이션에 있어서 수정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공정관리방법.
KR1019910006721A 1990-04-26 1991-04-26 생산공정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940007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0979 1990-04-26
JP2110979A JP2915066B2 (ja) 1990-04-26 1990-04-26 生産工程管理方法及び装置
JP2-173408 1990-06-30
JP17340890 1990-06-30
JP3086648A JP3043455B2 (ja) 1990-06-30 1991-04-18 生産工程管理システム
JP3-86648 1991-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123A KR910018123A (ko) 1991-11-30
KR940007260B1 true KR940007260B1 (ko) 1994-08-12

Family

ID=2730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721A KR940007260B1 (ko) 1990-04-26 1991-04-26 생산공정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41304A (ko)
KR (1) KR940007260B1 (ko)
DE (1) DE4113556C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850A (ja) * 1992-01-17 1993-08-03 Seiko Epson Corp 生産ラインにおけるデータ管理装置
JPH06203040A (ja) * 1992-12-28 1994-07-22 Honda Motor Co Ltd 製造経歴管理システム
US6035243A (en) * 1993-10-22 2000-03-07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handling defects produced during the automated assembly of palletized elements
US5873392A (en) * 1993-11-24 1999-02-23 Retech Aktiengesellschaft H. Von Arx Process for monitoring faults in textile webs
US6240328B1 (en) * 1994-01-10 2001-05-29 Motorola, Inc. Manufacturing method for assembling products by generating and scheduling dynamically assembly instructions
US5555504A (en) * 1994-06-10 1996-09-1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Production line tracking and quality control system
US5544350A (en) * 1994-07-05 1996-08-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Ratio of running work in progress
JP3643625B2 (ja) * 1995-09-14 2005-04-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生産管理方法および装置
DE19629646C2 (de) * 1996-07-23 1998-09-10 Wolf Gmbh Richar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Identifikation von Komponenten medizinischer Gerätesysteme
JPH10173021A (ja) * 1996-12-12 1998-06-26 Mitsubishi Electric Corp 製造ライン解析方法及び製造ライン解析装置
JP3588531B2 (ja) * 1997-03-24 2004-11-1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不良解析装置
DE19810229B4 (de) * 1997-04-07 2004-04-08 Franken Plastik Gmbh Versorgungsnetz mit Verwaltungseinrichtung
DE19829366C2 (de) 1998-07-01 2000-06-29 Stefan Gleis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fertigungsbezogenen Daten in einer Serienfertigung von Fertigungsobjekt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JP3547118B2 (ja) * 1998-07-17 2004-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組立ライン
US6801821B2 (en) 1999-08-03 2004-10-05 Honda Canada Incorporated Assembly line control system
US6453209B1 (en) 1999-09-01 2002-09-1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vehicle manufacturing operations
US6871112B1 (en) * 2000-01-07 2005-03-22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requesting trace data reports from FDC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es
DE10014236A1 (de) * 2000-03-22 2001-09-27 Volkswagen Ag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Vorgaben bei der Durchführung von Fertigungsabläufen
US6826497B1 (en) * 2000-04-19 2004-11-30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monitoring production and quality
JP2001344005A (ja) * 2000-05-31 2001-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物品管理方法
DE10034606B4 (de) * 2000-07-20 2004-02-26 Stefan Gleis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fertigungsbezogenen Daten in einer Serienfertigung von Fertigungsobjekt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JP3562450B2 (ja) * 2000-08-07 2004-09-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WO2002017025A2 (de) * 2000-08-22 2002-02-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ystem und verfahren zur generierung eines prüfsystems mit temporär verschaltbaren komponenten
US6850811B1 (en) * 2002-02-28 2005-02-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Analyzing error signals based on fault detection
DE20208805U1 (de) * 2002-06-06 2003-10-16 Cooper Power Tools GmbH & Co., 73463 Westhausen Fertigungslinie
ITMI20022109A1 (it) * 2002-10-04 2004-04-05 Advanced Technologies S R L Metodo per l'individuazione e la gestione di errori e
DE10256557B4 (de) * 2002-12-04 2006-05-04 Dürr Somac GmbH Verfahren zur Positionsverfolgung von Prüfeinrichtungen
US7260441B2 (en) * 2003-07-03 2007-08-2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inspecting a workpiece during a production run in which workpieces are supplied to workstations by an autoloader
US20050038541A1 (en) * 2003-07-28 2005-02-17 Clark Lawrence W.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DE202004004495U1 (de) * 2004-03-19 2004-12-30 Wittenbauer, Rudolf, Dipl.-Ing. (FH) Einrichtung zur Erkennung von Montagefehlern
JP4965139B2 (ja) * 2006-02-28 2012-07-04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生産管理方法及び生産管理システム
US8078303B2 (en) * 2007-07-03 2011-12-13 Southwire Company Electronic supervisor
US7643603B2 (en) * 2008-02-11 2010-01-05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Automatic process counter
JP5741614B2 (ja) * 2013-03-14 2015-07-01 株式会社安川電機 製造システム
US10037023B2 (en) * 2015-04-08 2018-07-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ynamic repair system
JP2017104945A (ja) * 2015-12-10 2017-06-15 ソニー株式会社 組立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362229B1 (ja) * 2017-04-06 2018-07-25 株式会社イサナ 物流システム
EP3966649A1 (de) 2019-05-09 2022-03-16 Dürr Systems AG Analyseverfahren und vorrichtungen hierzu
EP3966650B1 (de) * 2019-05-09 2024-03-06 Dürr Systems AG Verfahren zur kontrolle und nachbehandlung von werkstücken, kontrollanlage und behandlungsanlage
JP7415447B2 (ja) * 2019-10-31 2024-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
US12128975B2 (en) * 2021-11-08 2024-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rtially assembled vehicle that autonomously completes its own assembly,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CN115724108B (zh) * 2022-12-20 2025-03-14 广州弘亚数控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封边机生产线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2783A (en) * 1980-07-21 1984-09-18 Kearney & Trecker Corporation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FR2547520B1 (fr) * 1983-06-17 1985-10-11 Prodel Maurice Installation modulaire pour l'assemblage et/ou l'usinage de pieces, avec dispositifs claviers-afficheurs a chaque poste
DE3341294A1 (de) * 1983-11-15 1985-05-23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Fertigungseinrichtung mit einem primaerwerkzeug und einem nacharbeitswerkzeug
JPS61108079A (ja) * 1984-10-30 1986-05-2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品質管理システム
JPS62282848A (ja) * 1986-05-30 1987-12-08 Tokyo Keiki Co Ltd Faシステムのデ−タ処理装置
JP2559847B2 (ja) * 1989-04-27 1996-12-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生産ラインの管理方法
US5086397A (en) * 1989-07-18 1992-02-04 Schuster Pamela K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llection of testing and inspection of products made on a production assembly line
US5088045A (en) * 1990-01-02 1992-02-1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5077674A (en) * 1990-02-26 1991-12-31 Chrysler Corporation Performance feedback system
US5241482A (en) * 1990-04-13 1993-08-3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nitoring system for automated assemblies
US5239487A (en) * 1990-10-24 1993-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rework apparatus and method
US5197172A (en) * 1991-05-31 1993-03-30 Toyoda Koki Kabushiki Kaisha Machi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13556C2 (de) 1996-02-15
US5341304A (en) 1994-08-23
KR910018123A (ko) 1991-11-30
DE4113556A1 (de) 1991-10-31
DE4113556C3 (de) 200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260B1 (ko) 생산공정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6516239B1 (en) Assembly line control system
US6801821B2 (en) Assembly line control system
US5272805A (en) System for the flexible assembly of assemblies
US10744605B2 (en) Manufacturing device, manufacturing plant and method
US5088045A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4667866A (en) Car body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US5197172A (en) Machining system
US5056028A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with simultaneous multiple data transmission
WO19920173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flexible assembly of assemblies
CN109352412B (zh) 轿车动力总成零部件混线生产的生产线调度系统及方法
GB2477411A (en) Workpiece assembling method
KR101495612B1 (ko) Agv를 이용한 자동 서열 장치
US4504919A (en) Method of controlling tire assembly lines
CN112041112A (zh) 汽车白车身组件的组焊或拼接生产线
US6634097B1 (en) Automobile assembly line and transferring system
CN110977260B (zh) 白车身的智能补焊系统及随动补焊方法
JP3043455B2 (ja) 生産工程管理システム
CN210756324U (zh) 装配平台
US4787141A (en)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JP2611225B2 (ja) 無人搬送車
JP3070774B2 (ja) ワークの表面状態監視方法
JP2871006B2 (ja) 作業情報伝達システム
KR950006368B1 (ko) 자동용접장치
JPH05105138A (ja) 組立ライン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4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7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