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6507Y1 -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507Y1
KR940006507Y1 KR2019910006953U KR910006953U KR940006507Y1 KR 940006507 Y1 KR940006507 Y1 KR 940006507Y1 KR 2019910006953 U KR2019910006953 U KR 2019910006953U KR 910006953 U KR910006953 U KR 910006953U KR 940006507 Y1 KR940006507 Y1 KR 940006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exposure
built
time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008U (ko
Inventor
윤신웅
Original Assignee
윤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신웅 filed Critical 윤신웅
Priority to KR2019910006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507Y1/ko
Publication of KR920022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0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출몰 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 회로도.
제2a도-제2f도는 제1도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보용 집적소자 3 : 노출 제어부
4 : 노출정지 제어부 5 : 내장 제어부
6 : 내장정지 제어부 M :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
TRI : 트리거 신호 STP : 노출제어 펄스신호
ENP : 내장제어 펄스신호 ENV : 시보음 출력 제어회로
본 고안은 매시간마다 뻐꾸기 울음소리 등의 시보음을 출력하는 전자식시계에 있어서, 시계동체의 전면부에 뻐꾸기 모형등의 장식구를 설치하고, 매시간마다 시보음을 출력할 때 장식구를 출몰시키는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식 시계에 뻐꾸기 등의 장식구를 설치하고, 매시간마다 시보음을 출력하면서 장식구를 출몰시키는 장치로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 일예를 들면, 2개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시보음을 출력하기 시작할 때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장식구를 외부로 인출하고, 시보음의 출력이 완료될 때 다른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인출된 장식구를 다시 내장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2개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므로 기계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고, 그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면서 장식구를 출몰시키는 장치도 있으나, 이는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회로의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하나의 장식구 출몰 구동용 모터를 사용하고, 이 하나의 장식구 출몰 구동용 모터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면서 장식구를 출몰시키는 출몰장치를 개발하여 선출원(199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6175호)한바 있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장식구 출몰 구동용 모터의 회전에 따라 편심캠이 회전되게 하고, 그 편심캠의 전방에는 힌지핀으로 지렛대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 지렛대가 편심캠과 접동되게 스프링을 설치하며, 지렛대의 상단에는 장식구가 고정된 슬라이드편을 설치하며, 장식구 출몰 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따라 편심캠이 회전되면서 지렛대가 슬라이드편을 이동시키고, 장식구가 출몰 즉, 편심캠에 180°회전할 경우에는 장식구가 외부로 노출되고, 장식구가 노출된 상태에서 다시 편심캠을 180°회전시킬 경우에는 장식구가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시보음의 출력시 편심캠을 180°회전시켜 장식구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시보음의 출력이 완료될 경우에 편심캠을 다시 180°회전시켜 장식구가 내부로 들어가게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출몰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출몰 제어회로는, 매시간마다 입력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시보용 집적소자에서 출력되는 노출제어 펄스신호에 따라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장식구를 노출시키고, 장식구의 노출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이를 노출완료 검출용 스위치로 검출하여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시보음의 출력이 완료시 시보용 집적소자에서 출력되는 내장제어 펄스신호에 따라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를 다시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장식구를 내장하고, 장식구의 내장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이를 내장완료 검출용 스위치로 검출하여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출몰 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시간마다 트리거신호(TRI)가 시보용 집접소자(1)에 입력되고, 시보용 집적소자(1)에서 출력되는 시보음 출력 제어신호(ENV)가 시보음 출력부(2)에 입력되어 시보음 출력부(2)에서 스피커(SP)로 시보음이 출력되게 접속된다.
시보용 접속소자(1)에서 출력되는 노출제어 펄스신호(STP)는 낸드 게이트(ND1)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되고, 낸드 게이트(ND1)의 출력단자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는 전원단자(B+)가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에 접속되어 노출 제어부(3)가 구성되고, 장식구의 노출완료를 검출하는 노출완료 검출용 스위치(41)가 저항(R2) 및 낸드 게이트(ND1)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에 상기 시보용집적소자(1)에서 출력되는 노출제어 펄스신호(STP)가 콘덴서(C2)를 통해 인가되게 접속되어 노출정지 제어부(4)가 구성된다.
또한 시보용 집적소자(1)에서 출력되는 내장제어 펄스신호(ENP)는 낸드게이트(ND2)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되고, 낸드게이트(ND2)의 출력 단자는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는 전원단자(B+)가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에 접속되어 내장제어부(5)가 구성되고, 장식구의 내장완료를 검출하는 내장완료 검출용 스위치(61)가 저항(R4), 콘덴서(C3) 및 낸드게이트(ND1)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내장정지 제어부(6)가 구성된다.
상기에서 시보용 집적소자(1)는, 매시간 마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신호(TRI)가 입력됨에 따라 그 입력되는 트리거신호(TRI)를 카운트하여 그 시간에 해당되는 수의 펄스신호를 출력 예를 들면, 현재 2시일 경우에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시보음출력 제어신호(ENV)를 출력함과 아울러 시보음출력 제어신호(ENV)에 의해 시보음을 출력하는 시간동안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제어 펄스신호(STP)를 출력하고, 노출제어 출력신호(STP)의 출력을 정지하기 약간의 시간전에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제어 펄스신호(ENP)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출몰제어회로는, 전원단자(B+)에 동작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시보용 집적소자(1)에 트리거신호(TRI)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보음출력 제어신호(ENV), 노출제어 펄스신호(STP) 및 내장 제어 펄스신호(ENP)를 모두 저전위로 출력하므로 시보음 출력부(2)는 동작하지 않아 시보음를 출력하지 않고, 낸드게이트(ND1)(ND2)는 모두 고전위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1)(Q2)가 오프되며,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1)에 트리거 신호(TRI)가 입력되어 시보용 집적소자(1)에 인가되면, 시보용 집적소자(1)는 인가되는 트리거신호(TRI)를 카운트하고, 현재시간에 해당되는 수 예를 들면, 현재 시간이 2시라고 가정할 경우에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보음출력 제어신호(ENV)를 2회 출력하여 시보음 출력부(2)에 인가되므로 시보음 출력부(2)는 현재 시간인 2시에 해당되는 2회의 시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시보용 집적소자(1)는 시보음출력 제어신호(ENV)의 출력에 따라 시보음 출력부(2)가 소정의 시보음를 출력하는 시간동안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의 노출제어 펄스신호(STP)를 출력하여 낸드게이트(ND1)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콘덴서(C2) 및 저항(R2)을 통해 미분되어 낸드 게이트(ND1)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여기서 콘덴서(C2) 및 저항(R2)의 미분시정수 시간은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장식구가 완전히 노출되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그러면, 낸드 게이트(ND1)가 제2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위를 출력하고, 출력한 저전위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가 구동되어 장식구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식구가 완전히 노출되어 장식구의 노출을 검출하는 노출완료 검출용 스위치(41)가 시간(T2)에 접속되면, 낸드 게이트(ND1)의 타측 입력단자에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낸드 게이트(ND1)는 그의 일측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위에 관계없이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고, 이로 인하여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보음의 출력이 완료되고, 시보용 집적소자(1)가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3)에 고전위의 내장제어 펄스신호(ENP)의 출력하면, 그 출력한 내장제어 펄스신호(ENP)가 낸드게이트(ND2)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이때 전원단자(B+)의 전원이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3)에 충전되어 낸드게이트(ND2)의 타측 입력단자에 고전위를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낸드게이트(ND2)는 제2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한 저전위는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가 온되고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를 구동시켜 장식구를 내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식구가 완전히 내장되어 장식구의 내장을 검출하는 내장완료 검출용 스위치(61)가 시간(T4)에 접속되면, 콘덴서(C3)의 충전전원이 스위치(61)를 통해 접지되어 낸드게이트(ND2)의 타측 입력단자에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낸드게이트(ND2)는 그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에 관계없이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고, 이로 인하여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의 출몰 제어회로는, 시보용 집적소자의 출력신호에 따라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를 구동시켜 장식구를 노출시키고, 장식구의 노출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장식구를 내장시킬 경우에는 상기의 노출시킬 경우와 동일한 방향으로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를 구동시키면서 장식구를 내장하고, 내장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내장완료를 검출하여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를 일방향으로만 구동시켜 그 제어가 매우 용이하고, 또한 회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매시간마다 트리거신호(TRI)가 입력됨에 따라 그 트리거신호(TRI)를 카운트하여 현재 시간에 해당되는 수의 시보음을 출력하는 시간동안 노출 제어 펄스신호(STP)를 출력함과 아울러 시보음의 출력이 완료될 경우 내장제어 펄스신호(ENP)를 출력하는 시보용 집적소자(1)와, 상기 노출제어 펄스신호(STP)에 따라 장식구 출몰구동용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를 구동시켜 장식구를 노출시키는 노출 제어부(3)와, 장식구의 노출이 완료되었는 지를 검출하고 완료되었을 경우에 상기 노출 제어부(3)가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를 정지시키게 하는 노출 정지 제어부(4)와, 상기 내장제어 펄스신호(ENP)에 따라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를 장식구의 노출시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시켜 장식구를 내장시키는 내장 제어부(5)와, 장식구의 내장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완료되었을 경우에 상기 내장 제어부(5)가 장식구 출몰구동용 모터(M)를 정지시키게 하는 내장 정지 제어부(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 제어회로.
KR2019910006953U 1991-05-15 1991-05-15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40006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953U KR940006507Y1 (ko) 1991-05-15 1991-05-15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953U KR940006507Y1 (ko) 1991-05-15 1991-05-15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008U KR920022008U (ko) 1992-12-19
KR940006507Y1 true KR940006507Y1 (ko) 1994-09-24

Family

ID=1931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953U Expired - Fee Related KR940006507Y1 (ko) 1991-05-15 1991-05-15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5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008U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3190B1 (en) Crown switching mechanism
US4551114A (en) Impact-activated toy
TW242210B (en) Display control device
US4562432A (en) Voice or blow-controlled switchboard
FR2399689A1 (fr) Montre electronique
KR940006507Y1 (ko) 전자식 시계에 부착되는 장식구의 출몰제어회로
US4068465A (en) Clock using alternating current cycle counting
US4664491A (en) Photographic data exposure device
US3846624A (en) Automatic clearing device
US6510108B2 (en) Electronic timepiece
KR0140202Y1 (ko) 24시간 주기의 알람기능을 가지는 시계
JP2690537B2 (ja) パチンコ機の枠開閉表示装置
JPS57166584A (en) Electronic wrist watch with illuminating device
RU20757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корости вращения вала
CA1225742A (en) Meter drive inhibit circuit
JPS5619475A (en) Electronic timepiece with battery life display
GB2310935A (en) Digitally activated driver alarm device system for vehicles
CH632386GA3 (fr) Montre electronique a moteur pas a pas et a dispositif d'alarme.
JPH0528549Y2 (ko)
JP3106347B2 (ja) 照度検出回路
JPH0733193Y2 (ja) 帰零時計の検出機構
DE59405631D1 (de) Elektronische Uhr
KR860001292Y1 (ko) 샤워기의 급수시간 제어장치
JPS6115705B2 (ko)
JPH035203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05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05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405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2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02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2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