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4675B1 -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675B1
KR940004675B1 KR1019900016843A KR900016843A KR940004675B1 KR 940004675 B1 KR940004675 B1 KR 940004675B1 KR 1019900016843 A KR1019900016843 A KR 1019900016843A KR 900016843 A KR900016843 A KR 900016843A KR 940004675 B1 KR940004675 B1 KR 94000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emperature
subject
film
color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474A (ko
Inventor
고지 시노미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67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2Controlling or varying light intensity, spectral composition, or exposure time i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3Controlling exposure by variation of spectral composition, e.g. multicol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 G03B2206/004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using markings on the photographic material, e.g. to indicate pseudo-panoramic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3Optical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6Details of the mark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mera Data Copying 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 기록 방법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와 배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 확대도.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블럭 구성도.
제5도는 색온도 측정부의 회로도.
제6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7도는 색온도 측정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8도 및 제9도는 모두 색온도 코드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제11도는 노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12도는 종래의 사진재생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마이크로 컴퓨터 25 : 색온도 측정부
26 : 색온도 코드박음부
본 발명은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온도에 관한 정보를 사진필름에 기록하도록 한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진업계에서는 촬영시의 피사체의 색과 인화지상에 재생된 피사체의 색을 높은 충실도로 일치시키는 것이 종래부터의 과제의 하나였었다. 그리고,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색의 기준으로 되는 색표가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었다. 즉, 피사체와 동일한 장소에 색표를 배치하고, 피사체와 색표를 일체적으로 촬영해서 은염필름(이하 "필름"이라 한다)의 촬영영역에 찍는다. 그리고, 그 필름을 현상한 후, 인화지상에 재생된 색표의 색이 본래의 색에 일치하도록 인화지로의 노출조건 및 프린트 현상조건을 조정하고 있었다.
즉 필름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을 예를들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노출조건 A,B,C...하에서 모니터용 인화지(1A),(1B),(1C)...에 각각 인화한 후, 이들을 일정한 프린트 현상조건 a하에서 현상하여 피사체상 및 색표상을 각각 재생한다. 이렇게 해서 각 모니터용 인화지(1A),(1B),(1C)...상에 재생된 각 영상의 색은 노출조건이 서로 다르므로, 조금씩 다른 것으로 된다. 계속해서 이들의 모니터용 인화지(1A),(1B),(1C)...에 재생된 색표(3A),(3B),(3C)...색과 현물의 색표의 색을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인화지(1A),(1B),(1C)...중 인화지상에 재생된 색표상의 색이 현물의 색표의 색과 일치 또는 그것에 가장 가까운 것이 어느 것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판단의 결과 예를들면 인화지(1B)인 경우에는 노출조건 B 및 프린트 현상조건 a가 색 재생에 있어서 최적 조건이며, 그 조건에서 인화지에 피사체를 재생하면 고충실도로 피사체의 색을 재현할 수 있다. 그래서 이들의 조건(노출조건 B 및 프린트 현상조건 a)하에서 필름에 찍힌 영상(피사체와 색표)을 진짜 인화지에 재생한 후, 최후에 색표가 재생된 부분을 잘라놓아 바라는 프린트로 마무리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는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색표를 필름에 찍어둘 필요가 있으며, 예를들면 먼 풍경을 촬영하는 경우와 같이 피사체가 촬영자로 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의 경우, 색표를 피사체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할 수 없어 필연적으로 촬영자의 가까이에 배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들면 피사체 부군의 날씨는 흐리지만 색표부근(촬영자 부근)에서는 맑게 개어 있는 경우에는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과 색표를 조명하는 광원이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피사체와 색표를 필름에 촬영 기록한 후, 상기 방법에 의해서 노출조건이나 프린트 현상조건을 결정했다고 해도 그들의 조건의 색표의 색을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는 조건이지만, 피사체의 색을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는 조건은 아니다. 그 때문에 피사체를 인화지상에 충실하게 색을 재생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상기 방법에서는 모니터용 인화지(1A),(1B),(1C)...를 준비하거나 모니터용 프린트현상 처리등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노출조건, 프린트 현상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여분의 노력이나 재료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색표를 사용하는 대신에 촬영자가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색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피사체의 촬영마다 광원의 색온도를 측정 기록하는 것은 촬영자에 따라서 대단히 번거로운 작업으로 된다. 또,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온도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광원의 색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촬영자가 피사체의 촬영과 광원의 색온도의 측정을 동시에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색온도 정보를 그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써 모니터용 인화지의 사용이나 모니터용 프린트 현상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촬영시의 피사체의 색을 인화지상에 고충실도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는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온도를 측정하는 색온도 측정수단, 상기 색온도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색온도를 코드화하는 코드화수단 및 상기 코드화수단에 의해 얻어진 색온도 코드를 상기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사진 필름의 기록영역중 상기 피사체를 기록하는 촬영영역 이외의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색온도 정보기록 방법은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광에 포함되는 다수 파장의 광성분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1의 공정, 상기 제1의 공정에 의해 측정된 광 성분의 강도에서 상기 광원의 색온도를 구하고, 또한 그 색온도에 대응하는 색온도 코드를 구하는 제2의 공정 및 상기 색온도 코드를 상기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사진필름의 기록영역중 상기 피사체를 기록하는 촬영역역 이외의 영역에 기록하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기록 방법에 의하면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온도가 측정된 후, 그 색온도에 대응하는 색온도 코드가 구해진다. 또한, 그 색온도 코드가 사진필름의 기록영역중 피사체를 기록하는 촬영영역 이외의 영역에 기록된다. 따라서 필름에 기록된 피사체의 영상을 인화지상에 인화할 때에 그 필름에 기록되어 있는 색온도 코드를 참고로 해서 인화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와 배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부분 A의 확대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카메라(10)의 몸체(11)의 중심부에는 촬영렌즈(12)가 조립되어 있고, 셔터스위치(13)이 눌려지면 촬영렌즈(12)를 거쳐서 카메라 몸체(11)에 입사한 광이 도시하지 않은 광학수단에 의해 필름 F(제2도)의 표면에 인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촬영렌즈(12)의 아래쪽 위치에는 노출센서(14)와 색온도센서(1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한편, 촬영렌즈(12)의 위쪽 위치에는 자동초점센서(16), 파인더(17), 스트로보(1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2도는 필름 F가 카메라(10)에 세트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에 있어서 미촬영필름을 감고 있는 패트로네(19)가 카메라 몸체(11)의 한쪽 끝에 끼워넣어지고, 이 패트로네(19)에서 인출된 필름 F가 카메라 몸체(11)의 다른쪽 끝에 마련된 수푸울(20)에 감겨지고 있다. 또,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F의 위쪽의 측대부 표면에 대응해서 8개의 LED(22a)~(22h)로 되는 LED 어레이(22)가 배치되어 있다.
제4도는 상기 카메라(10)의 블럭 구성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카메라 몸체(11)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한다)(23)은 CPU(23a)나 메모리(23b)를 갖고 있고, 다음에 설명하는 각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노출제어부(24)는 상기 노출센서(14)를 구비하고, 이 노출센서(14)로 검출된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조도를 디지탈신호 Bv로써 마이컴(23)에 출력하는 한편, 마이컴(23)에서 산출된 셔터스피드 Tv및 조리개 값 Av에 따라서 셔터스피드, 조리개값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색온도 측정부(25)는 상기 색온도센서(15)를 구비하고, 이 색온도센서(15)로 측정된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에서의 광의 빨강(R), 녹(G), 청(B) 성분의 광강도를 디지탈신호 VR, VG, VB로써 마이컴(23)에 출력한다. 제5도는 색온도 측정부(25)의 회로도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온도센서(15)에서는 빨강색 필터부재(51R), 녹색필터부재(51G) 및 청색필터부재(51B)에 대응해서 포토다이오드(52R),(52G),(52B)가 각각 마련된다.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에서의 광은 색필터부재(51R),(51G),(51B)를 거쳐서 포토다이오드(52R),(52G),(52B)에 각각 입사되고, 포토다이오드(52R),(52G),(52B)에서 광전변화되어 광전류가 생성된다. 포토다이오드(52R),(52G),(52B)의 캐소드와 애노드는 연산증폭기(53)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반전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이 연산증폭기(53)은 광전류에 대해서 충분히 작은 입력 바이어스 전류로 되도록 입력 임피던스가 충분히 높은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연산증폭기(53)의 출력단자와 반전입력단자 사이에는 광전류를 대수 압축해서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이오드(54)가 각각 접속된다. 또, 연산증폭기(5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광전류를 대수압축 변환할 때의 기준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전압원(55)가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연산증폭기(53)의 출력단자에는 온도보상회로(56R),(56G),(56B)가 접속되어 각 다이오드(54)에 의해 대수압축된 전압이 부여된다. 또 이 온도보상회로(56R),(56G),(56B)의 출력단자에 A/D 변환회로(57R),(57G),(57B)가 접속되고 온도보상회로(56R),(56G),(56B)에 의해 온도보정된 아날로그 전압이 각각 A/D 변환회로(57R),(57G),(57B)에 의해 각 전압값에 대응한 디지탈신호 VR, VG, VB로 변환되어 마이컴(23)에 부여된다. 마이컴(23)에서는 디지탈신호 VR, VG, VB에 따라서 광원의 색온도에 대응하는 색온도 코드를 구하고(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그 색온도 코드를 색온도 코드박음부(26)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색온도 코드박음부(26)은 상기 LED 어레이(22)(제3도)와 마이컴(23)에서 부여된 색온도 코드에 관한 신호와 필름감도검출부(27)에 의해 검출된 필름감도신호에 따라서 각 LED(22a)~(22h)를 각각 제어하는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필름감도검출부(27)에 의해 검출된 필름 F의 ISO 감도인 필름감도신호는 마이컴(23)에도 출력된다.
자동초점맞춤 기구부(28)은 상기 자동초점맞춤센서(16)을 갖고, 마이컴(23)에서의 명령신호에 따라서 카메라(10)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추정하고, 그 거리에 따라서 촬영렌즈(1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지모터 제어부(29)는 마이컴(23)과 접속되고, 마이컴(23)에서의 명령신호에 따라서 필름 F의 감기를 실행하는 감기모터 M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날짜 모듈(30)은 계시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 외부표시 LCD에 날짜 등을 표시함과 동시에 날짜 등에 관한 신호를 날짜박음부(31)에 출력해서 필름 F의 촬영영역(21)의 일부에 날짜 등을 기록한다.
마이컴(23)에는 또한 상기 셔터스위치(13)이 접속되어 있고, 셔터스위치(13)의 ON/OFF 상태에 따라서 셔터개폐신호가 셔터제어부(32)에 출력되어 셔터(도시하지 않음)의 개폐가 제어된다.
또한 마이컴(23)은 상기 이외에도 셔터스피드나 조리개값의 설정등을 실행하는 스위치군(33), 필름 F의 유무 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군(34), 촬영자에게 여러가지 정보를 알려주는 표시부(35)나 스트로보(18)등도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서 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촬영자가 카메라 몸체(11)에 부착된 전원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을 ON 상태로 하면, 마이컴(23)이 센서군(33)에서의 신호에 따라서 촬영 가능한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S1), 스텝 S1에서 촬영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외부표시 LCD에 촬영자가 어떠한 처리를 실행해야 하는가가 표시된다(스텝 S2), 한편 촬영 가능한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마이컴(23)에서 자동초점맞춤 기구부(28)에 스타트신호가 출력되어 카메라(10)과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 및 촬영렌즈(12)의 초점맞춤이 실행된다(스텝 S3).
또, 마이컴(23)에 의해 셔터스피드나 조리개값 등이 촬영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스텝 S4), 이들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만 자동노출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5). 즉, 마이컴(23)에서 노출제어부(24)에 자동노출신호가 부여되고, 이것에 따라서 노출제어부(24)의 노출센서(14)로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조도가 계측되고, 그 계측결과 BV가 마이컴(23)에서 부여된다. 그리고, 그 값 BV와 필름감도검출부(27)에서 부여되는 필름감도신호에 따라서 최적의 셔터스피트 TV및 조리개값 AV가 설정된다.
이상의 설정이 완료하고, 그것에 계속해서 촬영자가 셔터스위치(13)을 누르면(스텝S6), 셔터를 개방하라는 명령이 마이컴(23)에서 셔터제어부(32)로 출력되어 소정의 셔터스피드로 셔터가 개폐동작한다. 이렇게해서 셔터가 열리고 있는 사이에만 촬영렌즈(12), 광학수단을 거쳐서 필름 F의 표면에 광이 입사되어 피사체의 영상이 필름 F의 촬영영역(21)에 노출기록된다(스텝 S7).
또 그것과 동시에 마이컴(23)에 의해 색온도 측정부(25)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 VR, VG, VB에 따라서 광원의 색온도에 대응하는 색온도코드가 구해지고, 색온도코드박음부(26)에 부여되어 필름 F의 기록영역중 촬영영역(21)에 대응하는 영역(제3도)이외의 영역에 색온도코드가 찍힌다(스텝 S8). 또한 그 상세한 것은 다음에 설명한다.
상기 촬영기록이 완료되면 마이컴(23)에서 감기명령이 감기모터제어부(29)에 부여되어 필름 F가 1화면분 만큼 감기고(스텝 S9), 재차 상기 일련의 처리(스텝 S1~S8)가 반복된다.
다음에 색온도센서(15)의 동작 및 상기 스텝 S8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제5도에 도시되는 색온도센서(15)의 각 색필터부재(51R), (51G), (51B)에 입사된다. 그리고, 빨강색필터부재(51R)을 투과한 광원에서의 광은 포토다이오드(52R)에 입사되고, 포토다이오드(52R)은 입사된 광을 광전변환해서 광전류를 생성한다. 즉, 광전류가 정전압원(55)의 정전극에서 포토다이오드(52R), 다이오드(54)를 거쳐서 연산증폭기(53)의 출력쪽으로 흐른다. 연산증폭기(53)에는 다이오드(54)에 의해 부귀환이 걸리고 있으므로, 결과로써 연산증폭기(53)의 비반전입력(+)와 반전입력(-)의 전위차는 0으로 된다. 따라서, 광전류가 다이오드(54)에 흐르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압강하에 대응하는 전압이 출력단자를 거쳐서 온도보상회로(56R)에 출력된다.
또한 그 전압은 온도보상회로(56R)에 의해 온도보상된후, A/D 변환회로 (57R)에 의해서 디지탈신호 VR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녹색필터부재(51G)를 투과한 광에 의해서 발생된 전류를 대수압축해서 얻어진 전압이 온도보상회로(56G)에 부여되어 온도보상된 후, A/D 변환회로(57G)에 의해 디지탈신호 VG로 변환된다. 또, 청색필터부재(51B)를 투과한 광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그 광강도에 대응하는 디지탈 신호 VB로 변환된다. 이와같이 해서 광원에서의 광의 빨강, 녹, 청성분의 광강도가 각각 검출되고, 이들의 광감도에 대응한 디지탈신호 VR,VG,VB가 출력된다.
제7도는 색온도코드박음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피사체의 촬영기록이 실행되면(스텝 S7), 색온도측정부(25)에 측정명령이 부여되고 (스텝 S81), 상기와 같이 해서 광원의 색온도에 관한 정보(디지탈신호 VR,VG,VB)가 마이컴(23)에 입력된다. 또한 카메라(10)의 전원스위치가 ON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정보를 마이컴(23)으로 계속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마이컴(23)에서 디지탈신호 VG(녹색광의 광강도에 관련된 전압값)에 대한 디지탈신호 VR(빨강색 광의 광강도에 관련된 전압값)의 비가 구해진후, 그 비의 값의 소수점 2째자리수를 반올림해서 값 PR/G가 구해진다(스텝 S82). 또 마찬가지로 해서 디지탈신호 VG,V0에서 값 PB/G가 구해진다(스텝 S83).
메모리(23b)내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값 PR/G, PB/G에 대응하는 8비트의 색온도 코드 D(PR/G, PB/G)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해서 값 PR/G, PB/G가 구해지면 그 값에 대응하는 색온도 코드 D가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색온도에 대응하는 색온도 코드로써 리드된다(스텝 S84)
예를들면 값 PR/G, PB/G가 각각 "0.9", "1.1"인 경우에는 제8도의 사선부분에 기록되어 있는 색온도코드 "11100110"이 메모리(23b)에서 리드된다.
다음에 그 색온도코드에 관한 신호가 색온도코드박음부(26)에 부여되고, 그 색온도코드와 필름감도검출부(27)에서 부여되는 필름 감도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LED만이 그 필름 F의 ISO감도에 따른 적당한 발광에너지로써 점등된다(스텝 S85).
예를들면 상기와 같이 해서 색온도코드 "11100110"이 메모리(23b)에서 리드되어 색온도코드박음부(26)에 부여된 경우에는 LED(22a),(22b),(22c),(22f),(22g)가 소정의 발광에너지로 점등되고, 이들의 LED(22a),(22b),(22c),(22f),(22g)에 대응하는 필름 F의 영역이 감광되어 그 색온도코드 "11100110"이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필름 F에 기록된다(제9도). 또한 상기에서는 색온도코드를 8비트의 2진화 부호로써 필름 F에 기록했지만 색온도코드는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측정된 색온도를 숫자, 기호화해서 필름 F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해서 필름 F로의 피사체의 촬영기록과 동시에 그 피사체와 1대 1로 대응해서 그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색온도에 관한정보, 즉 색온도코드 D가 필름 F의 축대부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LED(22a)~(22h)가 필름 F의 축대부에 대응해서 일렬로 배치되어 있지만 각 LED(22a)~(22h)의 부착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름 F의 기록영역중 촬영영역(21)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라면 좋다. 예를들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4개가 1조인 LED 어레이(36a),(36b)를 상부스프로킷(37a), 상부스프로킷(37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부 스프로킷(37a) 사이에 색온도코드의 4비트를 기록함과 동시에 나머지 4비트를 하부 스프로킷(37b)사이에 기록해도 좋다. 또 촬영영역(21)과 다음의 촬영영역(21')(제10도) 사이에 색온도코드를 기록하도록 LED를 배치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색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광원에서의 광의 빨강(R), 녹색(G), 청(B)성분의 광강도를 구하고 있지만, 이들 빨강, 녹, 청성분 대신에 시안(C), 노랑(Y), 마젠타(M)성분의 광강도를 구하고, 이들의 색온도정보에 따라서 광원의 색온도에 대응하는 색온도코드를 구하도록 해도 좋다.
제11도는 상기 카메라(10)에 의해 기록된 색온도코드에 따라서 필름 F에 촬영된 피사체 영상을 인화지에 인화하는 노출장치(8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노출장치(80)은 타원경(81)의 한쪽의 초점위치에 배치된 할로겐램프 등의 백색광원(82)를 구비하고 있고, 이 광원(82)에서 방사된 백색광 L1이 타원경(82)로 반사되어 다른쪽의 초점위치로 집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원경(81)의 다른쪽의 초점위치에는 3개의 색온도조정용의 빨강, 녹, 청 색필터(83R), (83G), (83B)가 백색광 L1의 조사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각 색필터(83R), (83G), (83B)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두께가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구동모터 MR, MG, MB에 의해 백색광 L1의 조사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노출장치(80)에는 집광렌즈(8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집광렌즈(84)는 그 앞쪽 초점위치가 타원경(81)의 다른쪽의 초점위치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각 색필터(83R), (83G), (83B)를 투과한 광 L2를 평행광 L3으로 변환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이 평행광 L3은 현상처리후의 필름 F의 촬영영역표면에 조사되어 필름 F를 투과한 광 L4가 확대렌즈(85)를 거쳐서 인화지(86)표면에 인도되어 필름 F의 피사체영상이 인화지(86)에 확대 노출된다.
또, 이 노출장치(80)에는 색온도코드 리드센서(8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색온도 코드리드센서(87)은 8조의 투,수광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각 투, 수광부는 필름 F의 보내기방향에 대해서 상류위치에서 필름 F에 기록된 색온도코드를 리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색온도코드 리드센서(87)에서 출력된 색온도코드신호는 CPU와 메모리로 되는 제어부(88)에 부여된다. 제어부(88)에서는 리드된 코드에 따라서 각 색필터(83R), (83G), (83B)의 최적위치를 연산하고, 그 위치명령을 모터구동회로(89)에 부여한다. 이 위치명령이 부여되면 위치 명령에 따른 양만큼 각 색필터(83R), (83G), (83B)를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 구동회로(89)에서 적당한 신호가 각 구동모터 MR, MG, MB에 부여된다. 또한, 제어부(88)은 상기 기능만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노출장치(80)전체를 제어해서 필름 F의 피사체 영상을 인화지(86)에 인화하는(다음에 설명한다)기능도 갖고 있다.
다음에 상기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에 의해 촬영기록된 필름 F의 색현상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필름 F의 특성에 대응한 필름 현상조건에서 촬영기록이 끝난 필름 F를 현상한다. 그리고, 제11도에 도시한 노출장치(80)을 사용해서 도다음의 순서로 필름 F에 촬영한 피사체영상을 인화지(86)상에 노출한다. 즉, 현상처리가 끝난 필름 F를 상기 노출장치(80)의 소정위치에 세트함과 동시에 인화지(86)도 소정위치에 세트한 후 스타트스위치를 누르면 색온도코드 리드센서(87)의 각 투광부에서의 광이 필름 F표면에 조사된다. 여기에서 이 필름 F는 네가티브필름이므로, 예를들면 색온도코드로서 필름 F의 측대부에 "11100110"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센서(87)의 수광부중 왼쪽에서 차례로 제 4,5 및 8번째의 수광부가 네가티브필름 F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는 한편, 그외의 수광부는 광을 수광하지 않는다. 그 결과, 필름 F에 기록된 색온도코드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어부(88)에 부여된다. 또한, 이 신호는 일단 제어부(88)의 메모리에 기록된다.
다음에 제어부(88)에서 필름감기용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구동 명령이 부여되고, 그 모터가 구동해서 필름 F가 1화면분만큼 왼쪽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와 같이 리드된 색온도코드에 대응하는 촬영영역이 광원(82) 바로 아래에 위치 결정된다.
그것에 계속해서 제어부(88)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색온도코드가 리드되고, 그 코드에 따라서 제어부(88)의 CPU에 의해 각 색필터(83R),(83G),(83B)의 최적위치가 연산된다. 그리고, 제어부(88)에서 그 위치명령이 모터구동회로(89)에 부여되고, 각 구동모터 MR, MG, MB에 의해서 각 색필터(83R), (83G), (83B)가 좌우방향으로 적당량 이동된다. 이렇게 해서 광 L2의 분광특성이 조정되어 광 L2의 색온도가 피사체를 조명한 광원의 그것과 일치한다.
또한 상기 광 L2는 집광렌즈(84)에 의해 평행광 L3으로 되고, 네가티브필름 F, 확대렌즈(85)를 거쳐서 인화지 (86)에 조사되어 네가티브필름 F의 피사체영상의 반전영상이 인화된다.
또한 상기 인화와 동시에 색온도 리드센서(87)에 의해 다음에 인화를 하는 촬영영역의 색온도코드가 리드되고, 그 코드가 제어부(88)의 메모리에 기록된다.
상기 인화가 완료하면 인화지의 특성에 맞춘 일정조건에서 프린트 현상해서 피사체영상이 인쇄된 사진이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색온도정보기록 카메라(10)에 의하면 색온도 측정부(25)에 의해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색온도를 코드화해서 필름 F에 촬영된 촬영영역과 1대 1로 대응시켜서 기록하고 있으므로, 인화지로의 피사체영상의 인화시의 노출 광원의 색온도를 피사체를 조명한 광원의 색 온도에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피사체의 색을 간단히 고충실도로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기록방법에 의하면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온도를 측정해서 코드화하고, 그 색온도코드를 사진 필름의 기록영역중 피사체를 기록하는 촬영영역 이외의 영역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그 촬영영역과 1대 1로 대응해서 광원의 색온도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 결과로써 모니터용 인화지의 사용이나 모니터용 현상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촬영시의 피사체의 색을 인화지상에 고충실도로 재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색온도를 측정하는 색온도 측성수단, 상기 색온도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색온도를 코드화하는 코드화 수단, 상기 코드화수단에 의해 얻어진 색온도 코드를 상기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사진 필름의 상기 영역중 상기 피사체를 기록하는 촬영영역이외의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한 색온도정보기록 카메라.
  2. 피사체를 조명하고 있는 광원의 광에 포함되는 다수 파장의 광성분의 강도를 측정하는 제1의 공정, 상기 제1의 공정에 의해 측정된 광성분의 강도에서 상기 광원의 색온도를 구하고, 또한 그 색온도에 대응하는 색온도 코드를 구하는 제2의 공정, 상기 색온도코드를 상기 피사체의 촬영과 동시에 사진 필름의 기록영역중 상기 피사체를 기록하는 촬영영역이외의 영역에 기록하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는 색온도정보기록 방법.
KR1019900016843A 1989-10-23 1990-10-22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 기록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40004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5425 1989-10-23
JP1275425A JPH03136026A (ja) 1989-10-23 1989-10-23 色温度情報記録カメラおよび色温度情報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474A KR910008474A (ko) 1991-05-31
KR940004675B1 true KR940004675B1 (ko) 1994-05-27

Family

ID=1755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843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4675B1 (ko) 1989-10-23 1990-10-22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3136026A (ko)
KR (1) KR940004675B1 (ko)
DE (1) DE40335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325A (ko) * 2011-10-31 2014-08-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롤 형태의 기판에 코팅을 도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3238A (ja) * 1991-02-28 1992-09-29 Fuji Photo Film Co Ltd 情報入出力システムを搭載したカメラ
KR20030014897A (ko) * 2001-08-13 200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입력색온도의 계수인덱스생성장치
US8106346B2 (en) * 2008-09-04 2012-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hoto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8437A1 (fr) * 1975-07-15 1977-02-11 Konishiroku Photo Ind Procede et appareil de photographie en couleur
DE2803381C2 (de) * 1978-01-26 1986-03-27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von Kopierlichtmengen für das Kopieren von Farbvorlagen
DD209297A1 (de) * 1982-08-02 1984-04-25 Joachim Rulf Verfahren zur erfassung der farbmetrischen bedingungen bei fotografischen aufnahm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325A (ko) * 2011-10-31 2014-08-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롤 형태의 기판에 코팅을 도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474A (ko) 1991-05-31
DE4033561A1 (de) 1991-04-25
JPH03136026A (ja) 199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1552A (en) White balance correction using prestored flash lamp color temperature data
US5227837A (en) Photograph printing method
US45112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color information in photographic processes
US7646976B2 (en) Digital camera
US5568187A (e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distance measurement
US5732293A (en) Electronic controlled camera with color correction function
US6424805B2 (en) Exposure control device for use in camera
US4335943A (en) Color compensating device for a camera
KR920007195B1 (ko) 네가티브 컬러필름의 밀도를 입체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JPH03163538A (ja) カメラの光源種判定装置
KR940004675B1 (ko) 색온도 정보기록 카메라 및 색온도 정보 기록 방법
US4912496A (en) Automatic focussing adjusting device
US3748981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exposure of a recording material
US5260739A (en) Camera
JP2537350B2 (ja) 撮像装置
US4769677A (en) Photometering method in photographic printer
US4728992A (en) Process and a device for adjusting a photographic color enlarging or copying apparatus
JP2698578B2 (ja) 撮像装置
JP2553197B2 (ja) カメラ及び写真プリント方法
JP4413395B2 (ja) 測光装置
US738249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method
GB1590084A (en) Photographic camera having light discrimination apparatus
JP2002257627A (ja) 異種光源判別方法及び装置
JP2529416B2 (ja) 写真プリント方法
JPH02278978A (ja) カラー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5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52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